KR19990023541U -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541U
KR19990023541U KR2019970035925U KR19970035925U KR19990023541U KR 19990023541 U KR19990023541 U KR 19990023541U KR 2019970035925 U KR2019970035925 U KR 2019970035925U KR 19970035925 U KR19970035925 U KR 19970035925U KR 19990023541 U KR19990023541 U KR 19990023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oking chamber
convection fan
foo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5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541U/ko
Publication of KR19990023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541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히터가 저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조리물의 바닥이 과도하게 가열되고, 히터가 후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조리물의 측면은 과도하게 가열되는데 비해 바닥은 미흡하게 가열되는 등 조리 성능의 편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히터와 컨벡션팬이 설치된 다기능 전자렌지의 히터브라켓(410)과 컨벡션팬 브라켓(310) 사이에 통공부(500)를 형성하여 하히터(400)의 열이 상기 통공부(500)를 통해 컨벡션팬(300)이 설치된 함실로 이동한 후 조리실 후판(100)의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물의 상부와 측면을 조리하고, 하히터(400)에서 발생한 직접인 복사열은 조리실 저판을 통해 조리물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편차없이 골고루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과 하히터가 설치되는 하히터브라켓 사이에 통공부를 형성하여 히터의 복사열이 저판에 형성된 통공과 함께 조리실 후판 통공을 통해서도 조리실에 유입됨에 따라 조리 효율이 향상된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써 조리실과 전장실로 구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전장실에는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냉각팬 등이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에는 저판에 트레이가 놓여지며 상기 트레이 위에 얹혀지는 음식물에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조사된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모두 전장실 저판에 취부되는 고압트랜스에서 유도된 고전압을 안정적으로 마그네트론에 인가함에 따라 마그네트론에서 고주파가 발진되고, 이렇게 생성된 고주파는 조리실 일측 외벽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론이 고정되는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 내로 조사된다.
그런데 상기한 고압트랜스와 마그네트론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전장실이 정상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장실 후미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냉각팬에서 발생된 차가운 바람에 의해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를 식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트랜스를 냉각시킨 바람은 흡기덕트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조리실의 타측 벽에 설치된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수증기 때문에 조리실 전면창이 뿌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일정방향으로만 반사되고 조사되기 때문에 조리실 내의 음식물에 고주파가 고르게 조사되지 않아 음식물이 일부분은 과조리되고 일부분을 미조리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 하부에 트레이 모터를 설치하여 트레이가 회전됨에 따라 트레이 위에 놓인 음식물을 회동시켜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는 트레이 회동방식과 조리실 일측에 스터러팬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스터러팬에 고주파가 부딪쳐 난반사된 후 음식물에 조사되도록 하는 스터러팬 회동방식을 채택하여 조리실 내에 고주파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렌지는 고주파나 히터의 강약조절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본체 전면 일측에 컨트롤 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 상에는 기능 설정을 위한 멤브레인 키보드나 조절용 노브를 설치하며 설정된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 및 도어오픈용 버튼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상기와 같이 고주파만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고주파 외에도 조리실의 상부나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의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그릴조리 기능이나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는 컨벡션팬의 회동에 의해 열풍을 대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조리 기능을 갖춘 다기능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기능 전자렌지에는 고주파는 물론 조리실의 상부에 육류등과 같이 오랜시간을 조리하여야 하는 음식물 조리시 사용할 수 있는 상히터가 설치되어 그 상히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로 육류와 같은 음식물의 겉부분까지 노릇노릇하게 갈변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있다.
상기의 상히터는 주가열원인 고주파와 더불어 보조가열원으로 사용하는데, 상히터로는 조리물의 상부만 노릇노릇하게 가열되고, 조리물의 하부 즉, 바닥면은 골고루 가열되지 않으므로 조리실의 바닥판에 하히터를 설치하여 하히터의 열이 조리실 저판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어 조리물의 바닥면을 효과적으로 가열시켜주도록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도 있다.
즉, 도 1 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히터가 설치된 전자렌지에 있어서 하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은 조리실의 저판(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로 유입되는데 하히터(40)에서 발산되는 열은 전량 모두 조리실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극히 미미한 열량만이 저판(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로 유입되고, 나머지 열량은 반사되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저판(20)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한 열은 조리물의 바닥만 가열하게 되어 바닥은 과도하게 조리되고 조리물의 측면이나 상부는 조리가 미흡하여 조리성능의 편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 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리실 후판(10)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후판(10)의 외부에는 컨벡션팬(30)이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31)을 설치하며 히터(40a)를 컨벡션팬 브라켓(31) 내부에 켠벡션팬(30)과 함쎄 설치하면 컨벡션팬(30)의 회동에 의해 히터(40a)의 복사열이 조리실 내로 유입되어 대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조리실의 후면에 히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리물의 중앙 바닥면 조리가 늦고 미흡하여 조리물이 골고루 조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히터의 복사열이 저판의 통공과 함께 조리실 후판을 통해서도 조리실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조리물이 골고루 조리되도록 한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하히터가 설치되는 하히터 브라켓과 컨벡션팬 브라켓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공부를 형성하므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히터 브라켓과 컨벡션팬 브라켓 사이에 통공부를 형성하여 하히터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는 콘벡션 팬의 회동에 의해서 이동하여 조리실 후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 내로 유입되어 조리물의 상부와 측면을 조리하고 하히터의 직접적인 복사열은 조리실 저판을 통해 조리물의 저면을 가열하게 되므로 조리성능의 편차를 줄일 수 있게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컨벡션팬 310 : 컨벡션팬 브라켓
400 : 하히터 410 : 히터브라켓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면이 도시하는바와 같이 컨벡션팬과 하히터가 설치되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조리실 후판(100) 외부에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310)과 조리실 저판(200)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브라켓(410)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공부(50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조리실 저판(200) 하부에 하히터(400)를 설치하고 후판(100) 외부에 컨벡션팬(300)을 설치하되 하히터(400)가 설치되는 히터브라켓(410)과 컨벡션팬(300)이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310) 사이에 통공부(500)를 형성하여 하히터(400)에서 발생한 열이 컨벡션팬(300)의 회동에 의해 대류되어 조리실 후판(100)의 통공을 통해서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고 하히터(400)에서 발생한 직접적인 복사열은 조리실 저판(200)의 통공을 통해서 조리실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조리실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 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브라켓(410)의 후판쪽에 형성된 플랜지를 컨벡션팬 브라켓(310)에 연결하여 하히터(400)가 설치되는 히터브라켓(410)과 컨벡션팬(300)이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310)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공부(500)를 형성하므로써 하히터(400)에서 발생한 열이 컨벡션팬(300)의 회동에 의해 대류되어 상기 통공부(500)를 지나 컨벡션팬(300)이 설치된 함실로 이동한 후 조리실 후판(1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로 유입되고, 하히터(400)에서 발생한 직접적인 복사열은 조리실 저판(2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조리실 내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 저판(200)의 통공을 통해 조리실 내에 전달된 하히터(400)의 복사열은 조리실에 놓여진 음식물의 바닥면을 노릇하게 가열하게 되고 컨벡션팬 브라켓(310)과 히터브라켓(410) 사이에 형성된 통공부(500)를 통하여 이동한 하히터(400)의 열은 컨벡션팬(300)의 회동에 의해 대류되어 조리실 후판(100)의 통공을 통해서 조리실 내로 유입되어 음식물의 상부와 측면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리실의 저판과 후판의 통공을 통해 하히터의 열이 골고루 전달됨에 따라 음식물이 일부분은 과조리 되고 일부분은 미조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조리 편차가 줄어듬에 따라 조리성능을 개선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히터의 복사열을 저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조리실 내로 전달시키므로써 조리물의 바닥면을 노릇노릇하게 조리하고, 히터브라켓과 컨벡션팬 브라켓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공부를 형성하여 컨벡션팬의 회동에 의해 하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통공부를 거쳐서 조리실 후판의 통공을 통해 조리실 내로 유입시켜 조리물의 측면과 상부를 가열할 수 있게되어 조리실 내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편차없이 조리함에 따라 조리성능이 향상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컨벡션팬과 하히터가 설치되는 다기능 전자렌지에 있어서 컨벡션팬(300)이 설치되는 컨벡션팬 브라켓(310)과 하히터(400)가 설치되는 히터브라켓(410)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공부(50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KR2019970035925U 1997-12-06 1997-12-06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KR19990023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925U KR19990023541U (ko) 1997-12-06 1997-12-06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925U KR19990023541U (ko) 1997-12-06 1997-12-06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41U true KR19990023541U (ko) 1999-07-05

Family

ID=6969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925U KR19990023541U (ko) 1997-12-06 1997-12-06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5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4847A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US6297485B1 (en) Microwave oven having bidirectional microwave flow channels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9990023541U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KR200175396Y1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960006981B1 (ko) 전자렌지의 컨백션팬 및 도파관 설치구조
KR200327739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
KR100577481B1 (ko)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100293343B1 (ko) 전자렌지의회동식히터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JPS61125524A (ja) 複合加熱調理器
KR960003259B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 컨벡션 팬 및 그 구동회로
KR9700044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100533273B1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및 그릴 겸용히터 시스템
KR200217723Y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용 히터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KR19990023521U (ko) 전자렌지의 흡기장치
KR200295964Y1 (ko) 유전가열식 전기 압력밥솥
KR19990017331U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분산구조
KR19990010440U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가열구조
KR20070053567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050009555A (ko) 전자 레인지의 히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