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310A -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310A
KR20050080310A KR1020040008384A KR20040008384A KR20050080310A KR 20050080310 A KR20050080310 A KR 20050080310A KR 1020040008384 A KR1020040008384 A KR 1020040008384A KR 20040008384 A KR20040008384 A KR 20040008384A KR 20050080310 A KR20050080310 A KR 2005008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errite core
deflection
magnetic field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오주
송재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310A/ko
Publication of KR2005008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3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편향감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중요 설계특성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편향코일과, 자계의 강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자계를 강화시키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는 코마 수차보정용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코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FERRITE CORE AND DEFLECTION YOK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편향감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중요 설계특성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브라운관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은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RGB 전자총부(3)에 위치되어 전자총(3a)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이러한 편향요크(4)는 크게 상,하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때의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수평편향코일(15)과 수직편향코일(16)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 측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a)와, 리어 플레이트(11b) 및 이 리어 플레이트(11b)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코일(15) 및 수직편향코일(16)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수직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페라이트 코어(14)가 마련되어 수직자계를 강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측면에 구비되는 수평편향코일(15) 및 수직편향코일(16)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측면에 위치된 회로기판 상으로 인출되어 단자에 접속됨으로써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편향요크(4)에 의하여 음극선관(1)의 전자총(3a)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은 소정의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미도시)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면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하므로써 텔레비전의 화면에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편향요크는 코일의 권선구조에 따라 새들-새들(Saddle-Saddle)형 및 새들-토로이달(Saddle-Toroidal)형으로 대별되는데,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새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새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는 네크부(21)와 스크린부(22)로 이루어지는 코일 세퍼레이터(23)가 구비되며, 상기 네크부(21)의 상면에는 전자총(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는 삽입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23)의 내주면에는 수평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으며, 코일 세퍼레이터(23)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페라이트 코어(26)가 구비되는데, 상기 페라이트 코어(26)에는 수직편향코일(25)이 권선되어 있다.
상기 수직편향코일(25)이 권선된 페라이트 코어(26)는 코어 클램프(27)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새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는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25)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자계가 발생되어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 전자빔을 화면상에 상.하, 좌.우로 편향시켜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인라인(In-line) 배열방식의 전자총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6빔의 감도가 양측에 위치하는 R빔과 B빔보다 낮게되어 화면상의 상,하측으로 G빔은 R빔과 B빔보다 내측에 주사되는 버터컬 센터 라스터(Vertical Center Raster:이하 VCR이라 한다)현상이 발생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코일 세퍼레이터(23)의 네크부(21) 상면에 코마프리 보정편(도시안함)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코마프리 보정편은 보빈에 장착된 얇은 철편을 여러 장 적층시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빈이 네크부(21)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코마프리 보정편이 장착된 보빈의 외측으로 코일이 권선되어 G빔의 편향력을 높여주게 된다.
최근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이 평면화, 대형화 및 슬림화됨에 따라 저소비전력에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보장할 수 있는 편향요크가 요구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는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그리고 페라이트 코어에 의존한 편향을 하여 전자빔의 궤적에 따른 편향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코마프리 보정편이 설치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코마프리 보정편은 버티컬(V) 그린 특성을 보정하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편향요크는 최근 평면화, 대형화 및 슬림화된 음극선관에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씨알티의 대형화에 따른 샤시의 전력 사용량 증가로 인해 저소비전력에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보장할 수 있는 편향요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편향요크는 감도 개선이나 그린 특성 등의 특성을 개선할 경우 코일을 권선하는 와인딩 프레임(Winding Frame)을 용접하거나 연마 가공을 하여 특성을 조정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수가공에 의한 비대칭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성 조정에 따르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와인딩 프레임을 가공한 후 컨버젼스 및 디스토션 특성이 맞지 않는 경우, 원형대로 피드 백(feed back)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원형복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와인딩 프레임을 가공하지 않고도 그린 특성뿐 아니라 감도 등 중요한 설계 특성의 개선이 용이하고 고품질의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전력에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제공하여 대형화된 씨알티에 적용가능한 편향요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그린 특성과 감도 조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씨알티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편향코일과, 자계의 강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자계를 강화시키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는 코마 수차보정용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코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코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은 어느 한 개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후 연이어 나머지 한 개에 권선되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향요크는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주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는 보조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는 소정 길이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코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자계를 강화시키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코마(COMA)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 페라이트 코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로서, 새들-새들(Saddle-Saddle)형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새들-토로이달(Saddle-Toroidal)형의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페라이트 코어 모두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페라이트 코어는 새들-새들형 및 새들-토로이달(Saddle-Toroidal)형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주 페라이트 코어에 보조 페라이트 코어를 더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장착되도록 설치되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어 감도 및 인너 핀 특성 등 중요한 설계 특성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가 장착된 편향요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코어가 적용된 편향요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스크린부(32)와 네크부(31)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33)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33)의 내주면에는 수평편향코일(도시안함)이 마련되고,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33)의 외주면에는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주 페라이트 코어(36)가 설치되는데, 상기 주 페라이트 코어(36)는 새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에 적용되는 코어로서, 상기 주 페라이트 코어(36)의 외면에 수직편향코일(35)이 권선되어 있다.
상기 수직편향코일(35)이 권선된 주 페라이트 코어(36)는 코어 클램프(37)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33)는 상기 네크부(31)가 길게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공간부(38)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상기 공간부(38)에 코마(COMA)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 수차보정용 보조 페라이트 코어(39)가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39)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33)의 네크부(31) 측의 공간부(38)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코어 클램프(40)에 의해 결합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39)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39)는 원통형 형상이며, 수직으로 구분되어 한 쌍(39a)(39b)으로 구성되고 외면에는 코일(41)이 권선된다.
상기 코일(41)은 상기 수직편향코일(35)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39)에 코일(41)을 권선하여 수직편향코일(35)과 결선한 것이다.
이때, 상기 코일(41)은 새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에서 페라이트 코어에 수직편향코일을 권선하는 방식으로 권선되며, 특히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39)에서는 상기 코일(41)이 한 쌍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39) 중 어느 한 개의 코어(39a)에 권선된 후 연이어 나머지 한 개의 코어(39b)에 권선됨으로써 직렬로 연결된다.
즉, 첨부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41)은 한 개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39a)의 일측에서 권선을 시작하여(START) 타측으로 감아 권선을 마친 후(FINISH) 이와 인접한 나머지 보조 페라이트 코어(39b)의 타측에서 권선을 시작하여 일측으로 감아 일측에서 권선을 마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도 7의 수직편향 회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수직편향코일(35)을 병렬로 연결한 후,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39)에 감긴 코일(41)을 직렬로 연결하여 톱니파 형상의 수직편향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수직편향자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39)를 구비한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39)에 수직편향코일(35)과 연결되는 코일(41)을 권선함으로서 수직편향자계를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하여 전자빔(R)(G)(B)의 편향력을 높여줌으로서 티브이(TV) 세트에서 적은 전류량으로 원하는 만큼의 편향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자빔의 편향효율을 향상시켜 대형화, 슬림화되는 편향요크에서 저소비전력으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보장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마 수차보정용 보조 페라이트 코어가 조립된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종래의 코마프리 보정편이 설치된 편향요크의 경우 버티컬(V) 그린 특성만을 보정하는 것에 비해 그린 특성 뿐 아니라 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된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를 구비함으로써, 전자빔의 편향효율을 향상시켜 대형화되는 음극선관에 적용이 가능하며, 저소비전력에서 고감도의 편향감도를 보장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빔의 편향력을 높여줌으로서 티브이(TV) 세트에서 적은 전류량으로 원하는 만큼의 편향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세트의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코일을 감아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장착함으로써, 코마 수차보정용으로 사용가능하여 별도의 코마프리 코일이 필요없으며, 설계시 인너 핀 특성, 감도, 디스토션 등의 중요한 설계 특성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편향요크는 감도 개선이나 그린 특성 등의 특성을 개선할 경우 코일을 권선하는 와인딩 프레임(Winding Frame)을 용접하거나 연마 가공을 하여 특성을 조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와인딩 프레임을 가공하지 않고도 그린 특성뿐 아니라 감도 등 중요한 설계 특성의 개선이 용이하고 고품질의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평면화, 대형화 및 슬림화된 씨알티에 적용이 가능하여 양질의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욕구에 부응하며, 고품질의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 및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우수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가 장착된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의 수직편향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네크부 32 : 스크린부
33 : 코일 세퍼레이터 35 : 수직편향코일
36 : 주 페라이트 코어 37 : 코어 클램프
38 : 공간부 39 : 보조 페라이트 코어
40 : 코어 클램프 41 : 코일

Claims (7)

  1.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편향코일과, 자계의 강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자계를 강화시키는 주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는 코마 수차보정용 보조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코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코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은 어느 한 개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후 연이어 나머지 한 개에 권선되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코어.
  4. 스크린부와 네크부를 구비한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수평편향코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자계 형성을 위하여 설치되는 주 페라이트 코어;
    상기 주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연결된 코일이 권선되는 보조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는 소정 길이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코어 클램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은 어느 한 개의 보조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후 연이어 나머지 한 개에 권선되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40008384A 2004-02-09 2004-02-09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KR20050080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384A KR20050080310A (ko) 2004-02-09 2004-02-09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384A KR20050080310A (ko) 2004-02-09 2004-02-09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310A true KR20050080310A (ko) 2005-08-12

Family

ID=3726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384A KR20050080310A (ko) 2004-02-09 2004-02-09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3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170A (ko) 2015-08-31 2017-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패키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170A (ko) 2015-08-31 2017-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패키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1756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3543900B2 (ja) 陰極線管装置
JP3061389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EP1063674A1 (en) Color cathode-ray tube device
EP0997924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KR20050080310A (ko) 페라이트 코어 및 이를 포함한 편향요크
US657366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US6984929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with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KR100334670B1 (ko) 편향요크의그린빔드롭현상방지장치
JPH05252525A (ja) 偏向ヨーク装置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US7629754B2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JPH0739163Y2 (ja) 偏向ヨーク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JPH07147145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JPH09213240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US20020041141A1 (en) Deflection yoke
JPH087780A (ja) 偏向ヨーク
US20070262691A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JP2000067776A (ja) 偏向ヨーク装置
JP2004228020A (ja) 陰極線管装置
KR20040074224A (ko)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KR2003007288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30013536A (ko)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