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977A -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 Google Patents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977A
KR20050079977A KR1020050055428A KR20050055428A KR20050079977A KR 20050079977 A KR20050079977 A KR 20050079977A KR 1020050055428 A KR1020050055428 A KR 1020050055428A KR 20050055428 A KR20050055428 A KR 20050055428A KR 20050079977 A KR20050079977 A KR 20050079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hinge bracket
iron
door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465B1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05005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4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5P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문(鐵門)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합되는 철문용 단부(端部)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힌지브래킷(Hinge bracket)이 체결되는 부분의 단부마감부재에 프레싱을 통하여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이 요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부착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힌지브래킷 체결을 위한 나사선의 길이를 확장하여 철문과 피버트힌지(Pivot Hinge)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자체의 강도는 물론 단부마감부재와 힌지브래킷간의 체결강도 또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철문과 힌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철문의 설치 안정성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UNION TYPE REINFORCED CAPPING PLATE FOR STEEL DOOR}
본 발명은 철문(鐵門)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합되는 철문용 단부(端部)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힌지브래킷(Hinge bracket)이 체결되는 부분의 단부마감부재에 프레싱을 통하여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이 요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보강판을 부착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힌지브래킷 체결을 위한 나사선의 길이를 확장하여 철문과 피버트힌지(Pivot Hinge)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출입문 또는 방화문(防火門) 등으로 사용되는 철문은 통상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강철판을 절곡하여 철문본체(40)를 구성하고, 내부에 강도 보강 등을 위한 허니컴(Honeycomb)구조체를 설치한 후, 상하 양단에 단부마감부재(30)를 접합하여 완성하게 되며, 단부마감부재(30)가 접합된 상, 하단에 피버트힌지(Pivot Hinge)를 설치하거나, 철문본체(40) 측면에 경첩을 부착하여 프레임(49)에 결합함으로써 출입문을 구성하게 된다.
철문본체(40)의 상, 하단에 접합되는 단부마감부재(30)는 강철 등의 금속판으로 그 폭과 길이가 철문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통상 금속판을 U자형으로 절곡하여 양측에 측벽을 형성하고 이들 측벽과 철문본체(40)간에 스폿(Spot)용접 등의 용접을 실시하여 접합되게 되는데, 이 단부마감부재(30)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볼트(23)를 이용하여 힌지브래킷(22)을 체결함으로써 철문을 프레임(49)에 설치하게 된다.
이렇듯 단부마감부재(30) 자체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나사선의 길이가 짧을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힌지브래킷(22)과의 체결강도도 낮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단부마감부재(30)의 나사공 주변은 철문의 하중이 집중되고 철문이 개폐됨에 따라 반복적인 외력과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이나, 이에 대한 별도의 보강조치가 없을 뿐 아니라, 나사공의 형성으로 인한 단면감소로 오히려 구조적인 취약부로서 작용하게 되어 철문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부마감부재(30)외에 별도의 보강판(10)을 구성하여, 힌지브래킷(22)의 체결작업시 단부마감부재(30)와 힌지브래킷(22)사이에 삽입한 후 체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대부분의 나사 체결력은 힌지브래킷(22)과 보강판(10)사이에 작용하게 되므로, 보강판(10)이 단부마감부재(30)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보강판(10)을 단부마감부재(30)에 미리 부착하되 힌지브래킷(22)과의 접합면 이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철문본체(40) 내부의 허니컴(Honeycomb)구조체를 잘라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힌지브래킷(Hinge bracket)(22)이 체결되는 부분의 단부마감부재(30)에 프레싱을 통하여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이 요부에 나사공(11)이 형성된 보강판(10)을 부착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힌지브래킷(22) 체결을 위한 나사선의 길이를 확장하여 철문과 피버트힌지(Pivot Hinge)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이 상측 및 하측 단부마감부재(30)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단부마감부재(30)의 힌지브래킷(22) 접합면 이면에 보강판(10)이 부착되되, 이 이면에는 보강판(10)과 동일한 형상의 요부가 형성된다.
상기 요부의 형성은 프레싱가공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요부에 결합된 보강판(10)은 스폿용접 또는, 보강판(10) 및 단부마감부재(30)에 각각 돌출부 및 통공을 형성하여 결합한 후 프레싱을 통하여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부마감부재(30)와 보강판(10)간의 부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단부마감부재(30)와 보강판(10) 간의 부착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폿용접에 의하여 접합면상에 너겟(nugget)(19)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부마감부재(30)에 형성되는 요부는 보강판(10)이 결합되는 역할 외에도, 단부마감부재(30) 자체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휨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되며, 따라서 단부마감부재(30)와 힌지브래킷(22)간의 체결강도는 물론, 철문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보강판(10)에는 나사공(11)이 형성되고, 단부마감부재(30)와 힌지브래킷(22)에는 각각 결합공(31)과 볼트통공(24)이 형성되어, 힌지브레킷, 단부마감부재(30) 및 보강판(10)의 순으로 볼트(23)가 통과되며 체결되는데, 이때 보강판(10)은 단순히 강도보강의 역할 뿐 아니라, 일종의 너트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단부마감부재(30)와 힌지브래킷(22) 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철문본체(40)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합되고, 힌지브래킷(22)이 체결되는 단부마감부재(30)에 있어서, 단부마감부재(30)의 힌지브래킷(22)과의 접합면 이면에는 나사공(11)이 형성된 보강판(10)이 부착되되, 상기 이면에는 보강판(10)과 동일한 형상의 요부가 형성되어 이 요부에 보강판(10)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자체의 강도는 물론 단부마감부재와 힌지브래킷간의 체결강도 또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철문과 힌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철문의 설치 안정성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보강판 삽입 및 체결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측 단부마감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측 단부마감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보강판
11 : 나사공
19 : 너겟(nugget)
22 : 힌지브래킷(Hinge bracket)
23 : 볼트
24 : 볼트통공
30 : 단부(端部)마감부재
31 : 결합공
40 : 철문본체
49 : 프레임(Frame)

Claims (1)

  1. 철문본체(40)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합되고, 힌지브래킷(22)이 체결되는 단부마감부재(30)에 있어서,
    단부마감부재(30)의 힌지브래킷(22)과의 접합면 이면에는 나사공(11)이 형성된 보강판(10)이 부착되되, 상기 이면에는 보강판(10)과 동일한 형상의 요부가 형성되어 이 요부에 보강판(10)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KR1020050055428A 2005-06-25 2005-06-25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KR10060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28A KR100608465B1 (ko) 2005-06-25 2005-06-25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28A KR100608465B1 (ko) 2005-06-25 2005-06-25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77A true KR20050079977A (ko) 2005-08-11
KR100608465B1 KR100608465B1 (ko) 2006-08-02

Family

ID=3726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28A KR100608465B1 (ko) 2005-06-25 2005-06-25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456B2 (en) 2011-10-13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programm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14718424A (zh) * 2022-05-09 2022-07-08 广州金迅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焊接铁门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54B1 (ko) 2012-01-13 2013-04-03 손창민 방화문의 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456B2 (en) 2011-10-13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programm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14718424A (zh) * 2022-05-09 2022-07-08 广州金迅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焊接铁门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465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971B2 (ja) 金属構造物のための剛性ネジ止めユニット
JP3328237B2 (ja) 牽引フ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100608465B1 (ko) 일체형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US8007025B2 (en) Fastening device for hinges of a motor vehicle door
JP2001214541A (ja) 座屈拘束ブレース
CN108569119B (zh) 一种车辆闭合构件的结构
KR101051883B1 (ko) 창호의 보강구조
JPS5881867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528591B1 (ko) 도어힌지 체결용 너트 및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766813B1 (ko)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100524011B1 (ko) 보강판이 설치된 철문용 단부마감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41572B1 (ko) 지지판을 이용한 철문과 힌지의 연결구조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CN110861475B (zh) 门框与侧板的连接结构
JPH0423743Y2 (ko)
JP2003335262A (ja) 車両のピラー構造
JP2002225563A (ja) ドアヒンジ取付部構造
JP3887987B2 (ja) 車両のピラー構造
KR100756633B1 (ko) 트렁크 게이트 개구부 강성구조
JP3211058B2 (ja) 合成樹脂製障子の補助部品取付構造
JP4506268B2 (ja) 車体のリヤピラー上部構造
KR100569970B1 (ko) 차량용 도어힌지 장착구조
JP3906490B2 (ja) 自動車の車体結合構造
KR20090005423U (ko) 용접식 창호 강도 보강부재
JPH09290639A (ja) 車両用ドア
KR100387881B1 (ko) 차량도어의 힌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