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866A -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866A
KR20050079866A KR1020040008184A KR20040008184A KR20050079866A KR 20050079866 A KR20050079866 A KR 20050079866A KR 1020040008184 A KR1020040008184 A KR 1020040008184A KR 20040008184 A KR20040008184 A KR 20040008184A KR 20050079866 A KR20050079866 A KR 2005007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ser
input
generated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936B1 (ko
Inventor
윤지영
이호웅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8251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7986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to KR102004000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93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US10/899,491 priority patent/US8810690B2/en
Priority to CN2004100575927A priority patent/CN1652592B/zh
Priority to JP2004299775A priority patent/JP5334350B2/ja
Publication of KR2005007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936B1/ko
Priority to JP2012056852A priority patent/JP2012124958A/ja
Priority to US14/217,884 priority patent/US9124854B2/en
Priority to JP2014138629A priority patent/JP5797307B2/ja
Priority to US14/324,680 priority patent/US9813788B2/en
Priority to US14/829,236 priority patent/US10341749B2/en
Priority to US15/913,175 priority patent/US10334336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9Recording in, or reproducing from, a specific memory area or areas, or 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내지 (d)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기록 매체에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단계 (b)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2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된다. 단계 (c)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계속 저장된다. 단계 (d)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 장치들 예를 들어, 1999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31,689호(명칭 : 디지털 카메라) 또는 2002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23,377호(명칭 :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의 디지털 카메라는,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며,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며, 촬영 모드에서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을 재생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 장치들에 있어서,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어느 한 버튼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 파일이 기록 매체에 생성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처리되어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다시 누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
상기 동작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다시 누르면, 또다른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처리되어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다시 누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 버튼을 누를 때마다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촬영된 동영상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없는 불편함을 겪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촬영된 동영상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단계들 (a) 내지 (d)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기록 매체에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2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된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계속 저장된다. 상기 단계 (d)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들이 추가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된 동영상들의 데이터가 동일한 상기 동영상 파일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촬영된 동영상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1), 렌즈부(20), 및 원격 수신부(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 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플래시(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도 3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3의 507)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입력시킨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을 조작한 후,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1단만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1 신호가 온(On)되고, 2단까지 누르면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S2 신호가 온(On)된다(도 5 및 도 11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칼라 LCD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동영상 촬영 모드(14MP)로의 전환 후,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을 일차 누르면,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기능 버튼들(15)중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일차 누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계속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된 동영상들의 데이터가 동일한 상기 동영상 파일에 함께 저장되므로, 상기 시간적으로 분리된 동영상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 동영상 촬영 모드(14MP)와 관련된 내용은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14MY)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 필요한 촬영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한편, 상기 녹음 모드(14V)는 소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만을 단순히 녹음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가리킨다. 녹음 모드(14V)로의 전환 후,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일차 누르면,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오디오(audio) 파일이 생성되고, 입력되는 소리가 상기 오디오 파일에 저장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기능 버튼들(15)중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일차 누르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파일에 계속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재차 누르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오디오 파일이 완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가 동일한 상기 오디오 파일에 함께 저장되므로, 상기 시간적으로 분리된 소리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한편, 칼라 LCD 패널(35)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상기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누름으로써 근접 자동 포커싱이 설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름에 의하여 어느 한 동작 모드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을 누르면 활성화 커서가 하향 이동된다. 또한, 동영상 촬영 모드 또는 녹음 모드에서의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이동 버튼(15R)을 누르면, 이어지는 촬영 동작 후에 10 초 동안 녹음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름에 의하여 어느 한 동작 모드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메모/상향-이동 버튼(15R)을 누르면 활성화 커서가 상향 이동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커서가 어느 한 선택 항목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선택-확인 버튼(15M)을 누르면 상기 선택 항목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동-조정/재생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 및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칼라 LCD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피사체의 화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칼라 LCD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어느 한 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번째로 누르면 재생되고 있는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가 칼라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되고, 두번째로 누르면 순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모드 지시 램프(14L)는 모드 다이얼(14)의 선택 모드를 가리킨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여기서, 줌 렌즈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의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율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33), 모드 지시 램프(14L) 및 플래시 대기 램프(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모니터 버튼(32), 수동-포커싱/삭제 버튼(36), 수동-조정/재생 버튼(37), 광각-줌 버튼(39W), 및 망원-줌 버튼(39T)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하고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도 3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주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1)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초기화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초기화 단계(S1)가 실행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프리뷰(Preview)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2). 이 프리뷰 모드에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프리뷰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파악한다(단계 S3, 이하, 상기 녹음 모드와 관련된 설명이 생략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정지영상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41 또는 S42). 정지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1)하는 알고리듬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2)하는 알고리듬은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중에서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수행된다(단계 S6).
한편, 종료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단계 S7).
먼저, 사용자 입력부(INP) 안의 재생 모드 버튼(42)으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8), 재생 모드(S4)를 수행한다(단계 S9). 이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 입력부(INP)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에 따라 동작 조건들이 설정되고, 재생 동작이 수행된다. 다음에, 재생 모드 버튼(42)으로부터 신호가 재차 발생되면(단계 S10), 상기 단계들이 반복 수행된다.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여 도 4의 동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단계 S42)하는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의 잔량을 검사하여(단계 S4201),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202). 기록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을 표시한다(단계 S4203). 기록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들에 따라 백색 균형(White Balance) 설정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4204).
다음에,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이면(단계 S4205),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고 셔터 속도(Shutter speed)를 설정한다(단계 S4206).
다음에, 자동 포커싱(Automatic Focusing) 모드이면(단계 S4207),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단계 S4208).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09)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210).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단계들 S4205 내지 S4210을 반복 수행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에 한 개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4211).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동영상 데이터를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또는 MJPEG(Motion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압축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4212).
상기와 같이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의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지 않고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와 2단 신호인 S2 신호가 모두 온(On) 상태이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한다(단계들 S4213, S4218, S4219 및 S4220)).
한편, 상기와 같이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의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4213),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동작을 중단한다(단계 S4214). 이와 같이 저장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의 중단-계속 신호가 다시 발생되면(단계 S4215),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저장 단계 S4212를 다시 수행한다(단계 S4212).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와 2단 신호인 S2 신호가 모두 온(On) 상태이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한다(단계들 S4216, S4217, 및 S4220).
도 6은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S2는 셔터 릴리즈 버튼(도 1의 13)으로부터의 2단 신호를, SP는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도 2의 15P)으로부터의 신호를, 그리고 DS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각각 가리킨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t1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10), 메모리 카드에 한 개의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단계 S4211), 생성된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1)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2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4213),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동작이 중단된다(단계 S4214). 다음에, t3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다시 발생되면(단계 S4215), 상기 동일한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2)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4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단계들 S4219 및 S4220).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제1 예에 의하여 얻어진 한 동영상 파일(7)에는, 파일 시작부(71), 헤드 데이터(72), 제1 동영상 데이터(DS1), 제2 동영상 데이터(DS2), 제1 오디오 데이터(741), 제2 오디오 데이터(742), 기타 데이터(75), 및 파일 종료부(76)가 저장된다. 파일 시작부(71)는 파일 시작을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헤드 데이터(72)는 파일 형식을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된 제1 동영상 데이터(DS1)와 제2 동영상 데이터(DS2)는 동일한 동영상 파일(7)에 함께 저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촬영된 동영상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1 동영상 데이터(DS1)에 상응하는 제1 오디오 데이터(741) 및 제2 동영상 데이터(DS2)에 상응하는 제2 오디오 데이터(741)가 동일한 동영상 파일(7)에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제1 오디오 데이터(741) 및 제2 오디오 데이터(741)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동영상 촬영 조건에 따라 동영상 파일(7)에 저장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타 데이터(7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자막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파일 종료부(76)는 파일 종료를 알리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8에서 도 6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 및 8을 참조하면, t1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10), 메모리 카드에 제1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단계 S4211), 생성된 제1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1)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2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4213),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동작이 중단된다(단계 S4214). 다음에, t3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다시 발생되면(단계 S4215), 상기 제1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2)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4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단계들 S4219 및 S4220).
다음에, t5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10), 메모리 카드에 제2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단계 S4211), 생성된 제2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1)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6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단계들 S4219 및 S4220).
도 9는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3 예를 보여준다. 도 9에서 도 6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 및 9를 참조하면, t1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10), 메모리 카드에 제1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단계 S4211), 생성된 제1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1)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2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4213),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 동작이 중단된다(단계 S4214). 다음에, t3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단계들 S4215 내지 S4217 및 단계 S4220).
다음에, 동영상 촬영 모드의 수행이 종료된 시간의 t4 시점에서, 매크로/하향-이동/중단-계속 버튼(15P)으로부터 중단-계속 신호가 발생되더라도(도 5에 도시되지 않음), 동영상 촬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t5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210), 메모리 카드에 제2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고(단계 S4211), 생성된 제1 동영상 파일에 동영상 데이터(DS1)가 저장된다(단계 S4212). 다음에, t6 시점에서,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2단 신호(S2)가 온(On) 상태이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중단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이 완성된다(단계 S4219 및 S4220).
도 1 내지 3 및 10을 참조하여, 도 4의 프리뷰(Preview) 모드 수행(S2)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자동 백색 균형(AWB, Automatic White Balance) 동작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201).
다음에,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이면(단계 S202),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며 셔터 속도(Shutter speed)를 설정한다(단계 S203).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감마(gamma) 보정을 수행하고(단계 S204), 감마 보정이 수행된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규격에 맞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단계 S205).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스케일링이 수행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적색(R)-녹색(G)-청색(B)의 형식에서 휘도-색도의 형식으로 변환한다(단계 S206).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위치 등과 관련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필터링을 수행한다(단계 S207).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다이나믹 램(도 3의 504)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단계 S208).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다이나믹 램(도 3의 5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와 오에스디(On-Screen Display) 데이터를 합성한다(단계 S209).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합성된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휘도-색도의 형식에서 적색(R)-녹색(G)-청색(B)의 형식으로 변환하고(단계 S210), 변환된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LCD 구동부(도 3의 514)로 출력한다(단계 S211).
도 11은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단계 S41)의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S41)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줌 렌즈의 현재 위치는 이미 설정된 상태이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잔량을 검사하여(단계 S4101), 디지털 영상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102). 기록 가능한 용량이 아닌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함을 표시한 후, 정지영상 촬영 모드의 수행(S41)을 종료한다(단계 S4103). 기록 가능한 용량인 경우, 아래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들에 따라 백색 균형(White Balance) 설정을 수행하여 백색 균형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을 설정한다(단계 S4104).
다음에,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이면(단계 S4105),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노광량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를 구동하고 셔터 속도(Shutter speed)를 설정한다(단계 S4106).
다음에, 자동 포커싱(Automatic Focusing) 모드이면(단계 S4107),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단계 S4108).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으로부터의 1단 신호인 S1 신호가 온(On) 상태이면(단계 S4109) 아래의 단계들을 계속 수행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S2 신호가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110). S2 신호가 온(On)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상기 단계들 S4105 내지 S4110을 반복 수행한다.
S2 신호가 온(On) 상태이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하여 셔터 릴리즈 버튼(13)의 2단을 누른 상태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에 정지영상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4111).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정지영상 포착을 수행한다(단계 S4112). 즉,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정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수신된 정지영상 데이터를 압축시킨다(단계 S4113).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압축된 정지영상 데이터를 정지영상 파일에 저장한다(단계 S4114).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버튼들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들이 사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된 동영상들의 데이터가 동일한 동영상 파일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촬영된 동영상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윗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주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영상 촬영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1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예에 의하여 얻어진 한 동영상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2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도 5의 단계들 S4210 내지 S4219의 수행에 의한 제3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프리뷰(Preview)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정지영상 촬영 모드 수행의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1...셀프-타이머 램프,
12...플래시, 13...셔터 릴리즈 버튼,
14...모드 다이얼, 15...기능 버튼들,
17a, 17b...뷰 파인더, 19...플래시-광량 센서,
20...렌즈부, 21...외부 인터페이스부,
MIC...마이크로폰, SP...스피커,
31...전원 버튼, 32...모니터 버튼,
33...자동-초점 램프, 34...플래시 대기 램프,
35...칼라 LCD 패널, 36...수동-포커싱/삭제 버튼,
37...수동-조정/재생 버튼,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4...DRAM, 505...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신호 처리기,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c...비데오 출력부, 510...렌즈 구동부,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

Claims (4)

  1.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기록 매체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2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는 단계;
    (c)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계속 저장하는 단계; 및
    (d)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 (b) 및 (c)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c) 단계들에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1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기록 매체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2 버튼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파일에 계속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버튼으로부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입력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40008184A 2004-02-07 2004-02-0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4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84A KR101044936B1 (ko) 2004-02-07 2004-02-0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10/899,491 US8810690B2 (en) 2004-02-07 2004-07-26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04100575927A CN1652592B (zh) 2004-02-07 2004-08-23 记录活动图像数据的方法和数码照相机
JP2004299775A JP5334350B2 (ja) 2004-02-07 2004-10-14 デジタル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デジタル撮影装置
JP2012056852A JP2012124958A (ja) 2004-02-07 2012-03-14 デジタル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デジタル撮影装置
US14/217,884 US9124854B2 (en) 2004-02-07 2014-03-18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4138629A JP5797307B2 (ja) 2004-02-07 2014-07-04 デジタル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デジタル撮影装置
US14/324,680 US9813788B2 (en) 2004-02-07 2014-07-07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4/829,236 US10341749B2 (en) 2004-02-07 2015-08-18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5/913,175 US10334336B2 (en) 2004-02-07 2018-03-06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84A KR101044936B1 (ko) 2004-02-07 2004-02-0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866A true KR20050079866A (ko) 2005-08-11
KR101044936B1 KR101044936B1 (ko) 2011-06-28

Family

ID=3482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84A KR101044936B1 (ko) 2004-02-07 2004-02-07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8810690B2 (ko)
JP (3) JP5334350B2 (ko)
KR (1) KR101044936B1 (ko)
CN (1) CN16525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23B1 (ko) * 2006-11-13 201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동영상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36B1 (ko) * 2004-02-07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JP4488989B2 (ja) * 2005-09-16 2010-06-23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装置
US8689296B2 (en) * 2007-01-26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access of digital identities
KR20140052700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임 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실행 방법
CN105704533A (zh) * 2016-01-21 2016-06-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控制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110B2 (ja) * 1989-07-24 2001-03-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入力装置
JP2849301B2 (ja) * 1993-03-25 1999-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H09311699A (ja) 1996-05-17 1997-12-02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US6014135A (en) * 1997-04-04 2000-01-11 Netscape Communications Corp. Collaboration centric document processing environment using an information centric visual user interface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JPH10322631A (ja) * 1997-05-15 1998-12-04 Nikon Corp 画像記録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JP3971487B2 (ja) * 1997-07-10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409834B2 (ja) 1997-07-10 2003-05-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297050A (ja) 1998-04-14 1999-10-29 Nik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331689A (ja) 1998-05-19 1999-11-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3959842B2 (ja) 1998-05-22 2007-08-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US6714724B1 (en) * 1999-08-05 2004-03-30 Bradley Steven Cook Portable device for capturing image and sound data including compact memory and board arrangement
US6801707B1 (en) 1999-09-20 2004-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oding/recording device that suspends encoding for video data and sampling for an audio signal in response to a recording pause instruction so as to allow data recorded before and after recording pause to be continuously reproduced
JP2001160968A (ja) 1999-09-20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符号化記録装置
JP4369604B2 (ja) 1999-09-20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ームレス再生に適した光ディスク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US6782193B1 (en) 1999-09-20 2004-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that are all suitable for seamless reproduction
JP2001111934A (ja) 1999-10-04 2001-04-2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1195807A (ja) 2000-01-06 2001-07-19 Nikon Gijutsu Kobo:Kk 録画装置
JP3551123B2 (ja) * 2000-04-18 2004-08-04 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045525B2 (ja) * 2000-05-31 2008-0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質選択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7133594B2 (en) * 2000-06-26 2006-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recording apparatus that secures a certain number of video frames in a VOB constituting with another VOB a portion of encode stream that should be reproduced seamlessly
JP4048407B2 (ja) 2001-01-18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434502B2 (ja) * 2001-01-19 2010-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2223377A (ja) 2001-01-29 2002-08-09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277309B2 (ja) * 2001-02-28 2009-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2290908A (ja) * 2001-03-28 2002-10-04 Minolta Co Ltd 撮影装置、動画および静止画の記録制御方法、画像編集装置
JP2003158706A (ja) 2001-11-21 2003-05-30 Funai Electric Co Ltd 再生・録画の一時停止状態移行処理機能を備えた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4118073B2 (ja) 2002-04-02 2008-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03333521A (ja) 2002-05-17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4309618B2 (ja) 2002-06-11 2009-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3885778B2 (ja) * 2002-08-27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319480B2 (en) * 2003-06-26 2008-01-1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motion image files to provide an improved image navigation display
JP2005191756A (ja) 2003-12-25 2005-07-14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101044936B1 (ko) * 2004-02-07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23B1 (ko) * 2006-11-13 201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동영상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24958A (ja) 2012-06-28
JP2005223886A (ja) 2005-08-18
US20050174447A1 (en) 2005-08-11
JP2014220825A (ja) 2014-11-20
US9813788B2 (en) 2017-11-07
US10334336B2 (en) 2019-06-25
JP5797307B2 (ja) 2015-10-21
CN1652592A (zh) 2005-08-10
US20140199047A1 (en) 2014-07-17
CN1652592B (zh) 2010-09-29
US20180199120A1 (en) 2018-07-12
US20140321827A1 (en) 2014-10-30
US9124854B2 (en) 2015-09-01
US20150358703A1 (en) 2015-12-10
US8810690B2 (en) 2014-08-19
JP5334350B2 (ja) 2013-11-06
US10341749B2 (en) 2019-07-02
KR101044936B1 (ko)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019B1 (ko)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0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5797307B2 (ja) デジタル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デジタル撮影装置
US77602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29071B1 (ko) 감지 휘도 범위를 넓히기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2247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51807B1 (ko) 효율적 설정 동작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8640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26B1 (ko) 선택된 프리뷰 이미지의 저장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4800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50089923A (ko) 적응적 영상 합성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781157B1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카메라
KR10067396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20060016914A (ko)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058033B1 (ko) 분할촬영 방법,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KR20060082187A (ko) 선택적인 인덱스 재생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203151B1 (ko) 효율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054800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50112567A (ko) 편리한 재생을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585597B1 (ko) 촬영 장치에서 투명 배리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