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839A -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839A
KR20050079839A KR1020040008143A KR20040008143A KR20050079839A KR 20050079839 A KR20050079839 A KR 20050079839A KR 1020040008143 A KR1020040008143 A KR 1020040008143A KR 20040008143 A KR20040008143 A KR 20040008143A KR 20050079839 A KR20050079839 A KR 2005007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juicer
fastening
main body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658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04-000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6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감속기 등이 장착된 녹즙기, 정미기, 주서 등의 본체와 스크루 등이 장착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를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와 본체의 풀림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는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상기 체결링에 의해 본체와 결합된 후 상기 잠금핀에 결합구멍에 삽입되며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상기 본체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즙용 케이스의 요동이 차단되어 상기 녹즙기의 작동중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분리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핀을 누를 경우 상기 잠금핀이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어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COUPLING STRUCTURE OF MULTI USING 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본체와 그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의 체결 구조,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와 감속기 등이 장착된 녹즙기, 정미기, 주서 등의 본체와 스크루 등이 장착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요부 구성인 체결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요부 구성인 체결링의 정면도이다.
종래의 다목적 녹즙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야채 또는 과일을 포함하는 과채의 즙을 짜내거나 현미를 정미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원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녹즙용 또는 정미용 케이스(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녹즙용 케이스(40)는 과채를 투입하기 위한 유입구(42)와 즙과 건더기를 각각 배출하기 위한 즙 배출구(47) 및 건더기 배출구(49)가 구비되어 과채가 수용되는 드럼(41)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41)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유입된 과채를 분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분쇄된 즙과 건더기가 분리되는 거름망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동 모터를 덮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녹즙용 케이스(4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링(2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링(20)은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밀착되는 결착면(2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면(21)은 중심이 소정의 크기로 관통된 관통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면(21)의 외주면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 오목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오목부(23)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체결돌기(25)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1체결돌기(25) 사이에는 소정의 제1수용공간(2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링(20)은 상기 관통부(21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체결되는 체결판(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20)의 외주면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파지돌기(2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판(30)의 중심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44a)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2)의 주변부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나사(33a)로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나사홈(33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링(20)의 결착면(21)이 걸리는 단턱부(3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럼(41)의 단부에는 원통형 돌출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3)의 외주면에는 제2체결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돌기(45)는 상기 제1체결돌기(25)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45)는 소정의 제2수용공간에 의해 이격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30)의 단턱부(34)에는 상기 체결링(20)의 제1수용공간(26)을 통해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돌기(35)가 돌출된다. 각각의 고정돌기(35)는 소정의 피납공간(36)에 의해 이격되고, 상기 피납공간(36)에는 상기 녹즙용 케이스(40)의 제2체결돌기(45)가 치합되며 상기 녹즙용 케이스(40)의 요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링(20)의 결착면(21)에는 소정각도로 개구된 안내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1a)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링(2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안내돌기(37)가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10)와 녹즙용 케이스(40)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의 제1체결돌기(25)와 상기 녹즙용 케이스(40)의 제2체결돌기(45)는 각각 대응되는 녹즙용 케이스(40)의 제2수용공간과 본체(10)의 제1수용공간(26)에 일치된 후 상기 녹즙용 케이스(40)가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돌기(45)가 상기 체결판(30)의 피납공간(36)에 상기 고정돌기(35)에 치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링(2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체결링(20)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25) 및 그에 대응되는 상기 녹즙용 케이스(40)의 제2체결돌기(45)가 서로 물려지도록 하여 상기 녹즙용 케이스(40)와 본체(10)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체결링(20)이 회전되며 상기 녹즙용 케이스(4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녹즙용 케이스(40) 내부의 스크류가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녹즙용 케이스(40)의 결합시 한 손으로 케이스(4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본체(10)의 체결링(20)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시 힘이 많이 들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를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체결판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체결링의 풀림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는 원통형 오목부와 상기 원통형 오목부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제1수용공간에 의해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결합부에는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원통형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수용공간에 의해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체결돌기가 제2수용공간을 지나가고 상기 제2체결돌기가 제1수용공간을 지나가도록 상기 원통형 오목부가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한 다음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또는 제거 가능한 잠금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는 상기 잠금핀의 인접위치에 누름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누름핀과 잠금핀의 대향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핀과 잠금핀 사이에는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은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결합구멍이 형성된 체결 돌기에는 본체와 케이스의 회전시 상기 잠금핀을 상기 결합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오목부의 내주면 또는 원통형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본체와 케이스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전체적인 구성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을 포함하는 본체(60)와, 상기 본체(60)에 결합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녹즙용 또는 정미용 케이스(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60)에는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구동 모터(64)와, 상기 구동 모터(64)를 덮는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링(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는 과채를 투입하기 위한 유입구(92)와 즙과 건더기를 각각 배출하기 위한 즙 배출구(97) 및 건더기 배출구(99)가 구비된 드럼(91)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91)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92)를 통해 유입된 과채를 분쇄하는 스크류(94)와 상기 스크류(94)에 분쇄된 즙과 건더기가 분리되는 거름망(98)이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구동 모터(64)의 제1소형입력기어(65)에 치합되는 제1대형감속기어(66)와 상기 제1대형가속기어(66)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소형감속기어(67)가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군을 형성하며, 상기 제2소형감속기어(67)에는 제2대형출력기어(69)와 일체로 형성된 제3소형감속기어(68)가 치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링(70)은 상기 하우징(62)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상기 본체(60)에 결합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체결링의 정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와 케이스가 결합관계의 단면도이다. 상기 체결링(7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2)의 전면에 밀착되는 결착면(7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면(71)은 상기 스크류(94)의 회전축(94a)이 관통 삽설되기 위한 소정 크기의 관통홀(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링(70)의 결착면(71)에는 상기 관통홀(72)의 주변부에 상기 하우징(62)의 전면에 볼트(78a)로 체결되기 위한 볼트홀(78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면(71)의 외주면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 오목부(7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오목부(73)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체결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돌기(75) 사이에는 소정의 제1수용공간(7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70)이 하우징(62)에 결합되도록 되어있으나, 상기 체결링(70)은 종래 기술과 같이 체결링과 체결판을 분리하여 제작되어, 체결판이 하우징에 고정되며 체결링을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단부에는 원통형 돌출부(93)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돌출부(93)의 외주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2체결돌기(9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돌기(95)는 상기 제1체결돌기(75)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95)는 소정의 제2수용공간(96)에 의해 이격된다.
전술된 녹즙용 케이스(90)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상기 스크류(94)와 거름망(98)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와 상기 체결링(70)의 제1체결돌기(75)가 각각 대응되는 제1수용공간(76)과 제2수용공간(96)으로 삽입된 후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회전시켜 상기 제2체결돌기(95)가 상기 제1체결돌기(75)와 밀접되도록 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와 상기 체결링(70) 사이에는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회전단속수단(80)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단속수단(80)은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 중 최상측에 위치되는 제2체결돌기(95)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결합구멍(95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70)의 최상측에는 상기 본체(60)와 녹즙기 케이싱(90)의 결합시 상기 결합구멍(95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90)의 요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결합구멍(95a)에 삽입 또는 제거 가능한 잠금핀(82)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핀(82)의 일단부에는 상기 잠금핀(82)이 상기 결합구멍(95a)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핀(82)을 가압하는 스프링(83)을 포함하는 탄성복귀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단속수단(80)은 상기 잠금핀(82)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83)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잠금핀(82)을 이동시키는 누름핀(84)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핀(84)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는 누름버튼(8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82)과 누름핀(84)의 대향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핀(82)과 누름핀(84) 사이에는 각각의 치형부에 치합되는 피니언(86)이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86)은 상기 체결링(70)의 내부에 돌출형성된 회전축(8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전술된 회전단속수단(80)은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85)을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핀(84)이 눌려질 경우, 상기 누름핀(84)의 치형부에 치합된 상기 피니언(86)이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피니언(86)이 다른 쪽 치형부에 치합된 상기 잠금핀(82)을 들어올려 상기 결합구멍(95a)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체결돌기(95) 중 어느 하나의 제2체결돌기에는 상기 본체(60)와 녹즙용 케이스(90)의 결합시 상기 잠금핀(82)이 상기 결합구멍(95a)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82)을 들어올리기 위한 안내 경사부(95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오목부(7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60)와 녹즙용 케이스(90)의 과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체결돌기(95)의 측면에 걸리는 멈춤돌기(7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74)는 상기 안내 경사부(95b)가 형성된 제2체결돌기(95)의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전술된 다목적 녹즙기의 회전단속수단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단속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에 있어서, 잠금핀(182)과 누름핀(184)에 각각 형성된 치형부는 각각 하나의 관통홀(182a, 184a)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핀(182)에는 제1관통홀(182a)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핀(184)에는 제2관통홀(18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182)과 누름핀(184) 사이에는 상기 제1관통홀(182a)과 제2관통홀(184b)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시 상기 잠금핀(182)과 누름핀(184)을 서로 대향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부재(18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퀴부재(186)는 상기 체결링(70)의 내부에 돌출형성된 회전축(8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는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상의 스크류(94)를 포함한 녹즙용 케이스(90)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서, 과채에서 즙을 짜는 녹즙기 또는 주서로 사용되거나 현미를 도정하는 정미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녹즙기를 정미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녹즙용 스크류(94)를 포함하는 녹즙용 케이스(90)는 정미용 스크류를 포함하는 정미용 케이스로 교체 장착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에 정미용 케이스(210)가 결합된 단면도로서, 상기 정미용 케이스(210)는 드럼 내에 정미 스크류(214)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의 선단에는 분도조절 케이스(220)가 결합된다. 상기 정미 스크류(214)의 외측은 정미망(218)과 프레임(219)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19)의 일단부는 상기 드럼(211)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또 다른 단부는 분도조절 케이스(220)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정미망(218) 표면은 도정된 현미의 껍질이 배출되기 위한 장공형으로된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정미망(218)의 선단에 조절판(221)이 분도조절 케이스(220)의 힌지에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끼워지고 상기 조절판(221) 일측은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222)으로 탄성 압지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22)의 끝단은 분도조절 케이스(220)에 결합된 조절손잡이(224)의 내부중공부에 맞댄 상태이고 조절손잡이(224)의 분도조절 케이스(220) 내부는 중심축에서 편심진 캠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손잡이(224)의 캠부(225)는 캠중심에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캠부(225)의 장부에 판스프링(222)이 위치하되 판스프링(222)의 굽힘탄성이 약해져 조절판(221)이 위치하되 판스프링(222)의 굽힘탄성이 약해져 조절판(221)이 정미망(218)의 끝단으로부터 이탈이 어려워지도록 하고 판스프링(222)의 탄성력으로 정미망(218) 내에 머무르는 현미의 가공시간이 달라져서 정미기능의 분도를 조정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를 녹즙기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녹즙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와 본체(60)와 결합된 체결링(70)의 제1체결돌기(75)가 각각 대응되는 제1수용공간(76)과 제2수용공간(96)에 일치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녹즙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가 상기 체결링(70)의 대응되는 제1수용공간(76)을 지나가고 상기 체결링(70)의 제1체결돌기(75)가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수용공간(96)을 지나가도록 하여 원통형 오목부(73)가 원통형 돌출부(93)를 수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회전시켜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가 대응되는 상기 체결링(70)의 제1체결돌기(75)와 서로 물리며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는 제2체결돌기(95) 중 최상단에 위치된 제2체결돌기(95)에 형성된 안내 경사부(95b)가 상기 잠금핀(82)을 들어올리며 회전된다. 이후로 상기 제2체결돌기(95)가 멈춤돌기(74)에 걸리며 과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링(70)에 설치된 잠금핀(82)이 탄성복귀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체결돌기(95)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멍(95a)에 삽입되며 상기 녹즙용 케이스(90)가 이탈 또는 요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는 상기 본체(60)에 결합된 녹즙용 케이스(90)를 정미용 케이스(210)로 교체하여 정미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교체할 경우 먼저, 상기 체결링(70)의 상단에 설치된 누름핀(84)을 눌러 상기 누름핀(84)을 하강시키면 상기 누름핀(84)에 형성된 치형부가 상기 피니언(86)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잠금핀(82)이 상기 누름핀(84)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핀(82)이 상기 결합구멍(95a)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60)의 제1체결돌기(75)와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제2체결돌기(95)가 각각 제2수용공간(96)과 제1수용공간(76)에 위치되면 상기 녹즙용 케이스(90)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녹즙용 케이스(90)가 분리되면 정미용 케이스(210)를 상기 녹즙용 케이스(90)의 결합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는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상기 체결링에 의해 본체와 결합된 후 상기 잠금핀에 결합구멍에 삽입되며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상기 본체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즙용 케이스의 요동이 차단되어 상기 녹즙기의 작동중 상기 녹즙용 케이스가 분리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핀을 누를 경우 상기 잠금핀이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어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요부 구성인 체결판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의 요부 구성인 체결링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전체적인 구성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체결링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와 케이스가 결합되기 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본체와 케이스가 결합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녹즙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녹즙기에 정미용 케이스가 결합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본체 62 : 하우징
64 : 구동 모터 65 : 제1소형입력기어
66 : 제1대형감속기어 67 : 제2소형감속기어
68 : 제3소형감속기어 69 : 제2대형출력기어
70 : 체결링 71 : 결착면
72 : 관통홀 73 : 원통형 오목부
74 : 멈춤돌기 75 : 제1체결돌기
76 : 제1수용공간 80 : 회전단속수단
82 : 잠금핀 83 : 스프링
84 : 누름핀 85 : 누름버튼
86 : 피니언 87 : 회전축
90 : 녹즙용 케이스 91 : 드럼
92 : 유입구 93 : 원통형 돌출부
94 : 스크류 94a : 회전축
95 : 제2체결돌기 95a : 결합구멍
95b : 안내 경사부 96 : 제2수용공간
97 : 즙 배출구 98 : 거름망
99 : 건더기 배출구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는 원통형 오목부와 상기 원통형 오목부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제1수용공간에 의해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결합부에는 원통형 돌출부와 상기 원통형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수용공간에 의해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체결돌기가 제2수용공간을 지나가고 상기 제2체결돌기가 제1수용공간을 지나가도록 상기 원통형 오목부가 원통형 돌출부를 수용한 다음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또는 제거 가능한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의 인접위치에 누름핀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핀과 잠금핀의 대향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핀과 잠금핀 사이에는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탄성 복귀 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결합구멍이 형성된 체결 돌기에는 본체와 케이스의 회전시 상기 잠금핀을 상기 결합구멍으로 안내하는 안내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오목부의 내주면 또는 원통형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본체와 케이스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KR10-2004-0008143A 2004-02-07 2004-02-07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KR10052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43A KR100524658B1 (ko) 2004-02-07 2004-02-07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143A KR100524658B1 (ko) 2004-02-07 2004-02-07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839A true KR20050079839A (ko) 2005-08-11
KR100524658B1 KR100524658B1 (ko) 2005-10-31

Family

ID=3726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143A KR100524658B1 (ko) 2004-02-07 2004-02-07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6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11Y1 (ko) * 2007-08-14 2009-09-17 김동성 즉석 도정장치
KR101033550B1 (ko) * 2010-07-12 2011-05-11 이양근 원액 추출기
CN102774030A (zh) * 2012-08-03 2012-11-14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榨油机的快速拆装式压榨机构
KR101232461B1 (ko) * 2012-11-06 2013-02-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480934B1 (ko) * 2014-09-25 2015-01-13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101502701B1 (ko) * 2013-11-11 2015-03-13 이문현 착즙기
US10238137B2 (en) 2014-12-30 2019-03-26 Koninklijke Philips N.V. Juice extractor
CN114980780A (zh) * 2020-09-04 2022-08-30 株式会社Nuc电子 食品加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49B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11Y1 (ko) * 2007-08-14 2009-09-17 김동성 즉석 도정장치
KR101033550B1 (ko) * 2010-07-12 2011-05-11 이양근 원액 추출기
CN102774030A (zh) * 2012-08-03 2012-11-14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榨油机的快速拆装式压榨机构
KR101232461B1 (ko) * 2012-11-06 2013-02-12 이지혜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1502701B1 (ko) * 2013-11-11 2015-03-13 이문현 착즙기
KR101480934B1 (ko) * 2014-09-25 2015-01-13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WO2016047915A1 (ko) *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썬라이즈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US10238137B2 (en) 2014-12-30 2019-03-26 Koninklijke Philips N.V. Juice extractor
CN114980780A (zh) * 2020-09-04 2022-08-30 株式会社Nuc电子 食品加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4658B1 (ko)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658B1 (ko)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CN106659310B (zh) 用于榨汁器的汁液压榨模块
CN102961063B (zh) 用于食品处理器的盖子及食品处理器
DE60300092T2 (de) Mühle für Pfefferkörner, Gewürze, Kaffeebohnen oder ähnliches
JP6381666B2 (ja) 減速装置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7040561B2 (en) Spice grinder
KR20200001620U (ko) 착즙기
CN113349620B (zh) 榨汁机
KR20120029638A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주서기
TW201302134A (zh) 榨汁機
CA2390980C (en) Peppercorn crusher
JP2007116969A (ja) 豆乳製造器
KR20200000719U (ko) 착즙기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DE102009016205B4 (de) Als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Lebensmittel, Rührvorrichtung oder Schleudervorrichtung ausgebildete Vorrichtung
KR200494872Y1 (ko) 착즙 주스기용 구동 본체 및 이를 이용한 착즙 주스기
JP4200313B2 (ja) 粉挽き機
CN102765032A (zh) 一种带开启锁定功能的电动角磨机
JP4269949B2 (ja) 粉挽き機
KR200269007Y1 (ko) 녹즙기용 도정기
KR200277645Y1 (ko) 핸드믹서기
DE10336617B4 (de) Einhändig bedienbare Handmühle
KR960015949B1 (ko) 내접기어에 의한 압쇄방식 전동맷돌
CN220195093U (zh) 一种电动草药研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