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011Y1 - 즉석 도정장치 - Google Patents

즉석 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011Y1
KR200446011Y1 KR2020070013496U KR20070013496U KR200446011Y1 KR 200446011 Y1 KR200446011 Y1 KR 200446011Y1 KR 2020070013496 U KR2020070013496 U KR 2020070013496U KR 20070013496 U KR20070013496 U KR 20070013496U KR 200446011 Y1 KR200446011 Y1 KR 200446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ust
engaging
grai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571U (ko
Inventor
김동성
변승진
김영우
이병수
Original Assignee
김동성
변승진
김영우
이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성, 변승진, 김영우, 이병수 filed Critical 김동성
Priority to KR2020070013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01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과 이 도정날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을 구비하는 도정블록을 결합시킴에 있어, 보다 탈부착을 용이화할 수 있는 구조를 도모함과 더불어, 상호 간의 평형도(센터링)과 같은 방위맞춤을 보다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즉석 도정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곡물을 유입하기 위한 입구인 호퍼와,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과, 이 도정날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을 구비하는 도정블록과, 상기 도정날과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력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즉석 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은 계합수단에 의해 동축방향으로 일체화 결합되고,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되고, 원형상의 개구부로부터 원호상의 슬릿부가 연이어 형성된 계합구와, 상기 도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구의 개구부에 이송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기단부를 이루어 상기 도정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계합돌부를 포함하는 즉석 도정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즉석 도정장치{Instant Rice Pounder}
본 고안은 즉석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과 이 도정날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을 구비하는 도정블록을 결합시킴에 있어, 보다 탈부착을 용이화할 수 있는 구조를 도모함과 더불어, 상호간의 센터링과 같은 방위맞춤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즉석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수확 후 정미공정 및 연미공정을 통해 쌀을 얻게 되며, 이러한 정미공정 및 연미공정에 사용되는 장치가 도정기이다. 이러한 도정기는 통상 벼를 투입하면 내부에서 도정과정을 거쳐 쌀과 쌀겨로 탈리되고, 이때 탈리된 쌀과 쌀겨는 각각의 이동로를 통해 배출된다. 쌀의 이동로의 끝에는 쌀가마나 쌀포대를 위치시켜 정미공정 및 연미공정을 통해 배출되는 쌀을 담게 되고, 쌀겨를 포함하는 분진은 도정기에 설치되는 집진통에 수거되어 탈리 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된다.
현재, 도정장치에 있어서는,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을 플랜지형 이음구조(Flanged shaft coupling)를 매개로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일예로, 상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이 대면하는 측에 각각 플랜지부를 형성하 고, 체결볼트(coupling bolt)로 양측 플랜지부의 체결공에 관통 삽입하는 결합구조로서, 내부의 이송스크류(211)의 회전에 의한 쌀과의 마찰 전동력이 상기 체결볼트의 전단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이음구조의 경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의 플랜지부 각각의 치수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서, 체결볼트의 사방 결합력을 동일하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상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 간의 길이방향 평형도(centering)가 맞지 않게 나오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내부 요소의 유지 관리를 위해 수회 착탈할 경우에는, 전문가가 아니면 상기한 2개의 블록 간의 평형도를 맞추기가 어려워 정밀한 도정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정장치의 이송블록과 도정블록 간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회 탈착하더라도 사용자가 양 블록간의 평형도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어, 도정 시 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도정 시 쌀이 비정상적으로 도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정상태를 유지하며, 도정 시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즉석 도정장치를 제공함에 주된 기술적 해결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는, 곡물을 유입하기 위한 입구인 호퍼와,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과, 이 도정날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을 구비하는 도정블록과, 상기 도정날과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력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즉석 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은 계합수단에 의해 동축방향으로 일체화 결합되고,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되고, 원형상의 개구부(311)로부터 원호상의 슬릿부가 연이어 형성된 계합구와, 상기 도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구의 개구부에 이송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기단부를 이루어 상기 도정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계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는 이상과 같은 단점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기계적 결합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고, 기계적 결합의 내구성도 뛰어나면서,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또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계합수단(300)을 구비한 즉석도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내부에 이송스크류(21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210)과,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221)과 이 도정날(221)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223)을 구비하는 도정블록(220)을 결합시킴에 있어, 보다 탈부착을 용이화할 수 있는 구조를 도모함과 더불어, 상호 간의 평형도(센터링)와 같은 방위맞춤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정 시 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도정 시 쌀이 비정상적으로 도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정상태를 유지하며, 도정 시의 소 음도 저감할 수 있도록 함에 주된 기술적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간편하고도 신속한 결합으로 인해, 사후관리상 유지보수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소요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정장치에서 도정을 위한 이송블록, 도정블록, 및 호퍼 등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 도시한 확대구조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계합수단을 확대 도시한 확대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정블록 만을 방향전환하여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계합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확대 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100)는 곡물(10)을 유입하기 위한 입구인 호퍼(H)와, 내부에 이송스크류(21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210)과,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221)과 이 도정날(221)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223)을 구비하는 도정블록(220)과, 상기 도정날(221)과 이송스크류(21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력구동수단(23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이송블록(210)과 도정블록(220)은 계합수단(300)에 의해 동축방향으로 일체화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계합수단(300)은 상기 이송블록(210)에 형성되고, 원형상의 개구부(311)로부터 원호상의 슬릿(313)부가 연이어 형성된 계합구(310)와, 상기 도정블록(220)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구(310)의 개구부(311)에 이송블록(2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걸림돌부(321)와, 상기 걸림돌부(321)의 기단부를 이루어 상기 도정블록(220)에 나사결합되는 접속부(323)로 이루어진 계합돌부(3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즉석 도정장치는,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분진 배출구(250), 및 곡물(10)을 배출하기 위한 곡물 배출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도정블록(220)에는 집진기(400)가 설비되어, 1차로 분진 제거되어 배출되는 곡물(10)에 존재하는 왕겨 조각, 등겨 조각 및 작은 쇄미 등의 분진을 2차로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400)는 상기 도정블록(220)에서 정미된 곡물(10)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곡물 유입구(411)가 관통 형성되고, 중간부에 분진 흡입구(412)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정미 배출구(227)가 관통 형성된 내부가 중공인 집진 케이스(410)와, 상기 집진 케이스(410) 내의 곡물 유입구(411) 중앙부에 지지바아(411a)를 매개로 플로팅 고정된 와동부재(H)와, 상기 와동부재(H)가 배열된 상기 곡물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되는 곡물(10)과의 사방향 충돌을 통해 상기 곡물(10) 내에 함유된 분진을 탈리하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상부에 경사 배치된 1차 사면부재(421)와, 상기 1차 사면부재(421)에 충돌되어 사방향 낙하되는 곡물(10)이 2차 사방향 충돌되도록 상기 1차 사면부재(421)의 하류에 배치된 2차 사면부재, 및 상기 1차 및 2차 사면부재(421, 422)를 통해 탈리되는 분진을 흡입팬(M)을 매개로 흡입하여 상기 도정블록(220) 측으로 배출하는 분진 흡입 수단(4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계합돌부(320)의 걸림돌부(321)는 상기 계합구(310)의 슬릿(313) 내벽면이 밀착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종단면이 디스크 형상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정미 배출구(413) 측에는 일정하게 경사진 경사면(114)이 형성되는데,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곡물(10)은 상기 1차 및 2차 사면부재(421, 422)에 선차로 부딪히고, 상기 경사면(414)에 재차로 부딪히게 되어 곡물(10)이 와동하면서, 곡물(10) 내에 존재하는 왕겨 조각, 등겨 조각 및 작은 쇄미 등의 분진이 탈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곡물(10)로부터 탈리된 분진은 집진 케이스(410)의 중간부에 관통 형성된 분진 흡입구(412)와 결합하는 분진 배출관(431) 측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정미 배출구(413)는 곡물 유입구(411)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사면부재(421)는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상부 내측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으로, 이는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강도를 조 절할 수 있도록 진퇴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 사면부재(122)는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중간부 내측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결합하며, 상기 1차 사면부재(421)의 맞은편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케이스(410)의 곡물 유입구(411)로부터 유입되는 곡물(10)은 상기 1차 사면부재(421)에 부딪힌 후 1차 사면부재(421)와 집진 케이스(410)의 내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떨어지게 되며, 다시 2차 사면부재(122)와 부딪힌 후 정미 배출구(413) 측의 경사면(414)에 부딪혀 와동하면서 탈리되는 분진이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배출되고, 2차 분진 제거된 곡물(10)은 정미 배출구(413)를 통해 기 준비된 정미 보관함(450)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진 흡입 수단(130)은 분진 배출관(431), 및 분진흡입 모터(4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상기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곡물(10)의 왕겨 조각, 등겨 조각 및 작은 쇄미 등의 분진을 흡입하여 도정기(200) 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분진 배출관(431)의 일 측은 상기 2차 사면부재(122)의 하측에 관통 형성되는 상기 분진 흡입구(412)와 결합하고, 타 측은 도정기의 제강망(223) 측에 결합하여 상기 집진 케이스(410) 내부의 분진을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정기의 제강망(223) 측에 분진 배출관(431)의 타 측이 결합함으로써, 분진 배출관(431)을 통해 불어나가는 공기가 제강망(223)에 존재할 1차 분진을 불어서 집진 케이스(410)로부터 집진되는 2차 분진과 함께 도정기(200)에 형성되는 분진 배출구(250) 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분진 배출관(43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도정기(200) 내부의 열을 식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도정기(200) 측으로 분진 배출관(431)을 연결하여 집진 케이스(410)로부터 흡입되는 분진을 도정기(200) 측으로 배출한 후 도정블록(220)의 분진 배출구(227) 측으로 보냄으로써 분진 배출관(431)을 통해 흡입되는 분진을 처리할 별도의 집진수거통(500)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분진흡입 모터(432)는 상기 분진 배출관(431) 상에 결합하여 집진 케이스(410)로부터 분진을 흡입함과 동시에 도정기의 제강망(223) 측으로 2차 분진을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진 배출관(431)의 전단에는 스트레이너(S)와 압력감지센서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분진흡입 모터(132)가 역구동되어 상기 스트레이너(S)에 흡착된 분진을 탈거한 후, 재차 정상 구동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100)는 도정블록(220)과 이송블록(210)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도정블록(220)과 이송블록(210) 간의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시간이 불필요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장탈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계합구(310)의 슬릿(313)의 형성방향은 상기 이송스크류(211) 및 도정날(2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311)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217, 227)은 상기 도정블록(220)과 이송블록(210)의 중심맞춤이음의 조력을 위한 돌출 슬리브부와 수용구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정기의 곡물 배출구(260)를 통해 1차 분진 제거된 곡물(10)이 집진기(400)의 곡물 유입구(411)로 유입되면, 1차 사면부재(421)를 부딪힌 후 2차 사면부재(122)에 떨어지게 되고, 2차 사면부재(122)에 부딪힌 곡물(10)은 곡물(10) 내에 포함된 왕겨 조각, 등겨 조각 및 작은 쇄미와 같은 분진이 탈리된다.
이 과정에서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상기와 같은 분진이 흡입되며, 또한 상기 2차 사면부재(122)를 부딪히고 떨어지는 곡물(10)은 집진 케이스(410)의 하부 경사면(114)에 부딪혀 와동하면서 곡물(10)과 분진이 더욱 잘 탈리되고, 와동되면서 탈리되는 분진은 상기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진 흡입구(412)를 통해 흡입된 분진이나 기타 내부적인 부조화에 기인하여 도정블록(220)이나 이송블록(21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도정블록(220)을 이송블록(210)으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간단히 상기 도정블록(220)을 잡고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걸림돌부(321)를 빼내기만 하면 간단히 탈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정블록(220)의 내부를 유지보수한 후, 간단히 상기 탈거작업의 역순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이송블록(210)에 대한 상기 도정블록(220)의 결합 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정블록(220) 측의 걸림돌부(321)가 상기 이송블록(210) 측의 개구부(311)를 통과한 후 재차 상기 슬릿(313)으로 상기 계합돌부(320)의 접속부(323)만 접속되는 방향이 관건인 바, 상기 슬릿(313)이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회전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원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장착 후 절대적으로 탈거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 견고히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정블록(220)의 제강망(223) 측에 연결된 분진 배출관(431)을 통해 분진흡입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제강망(223) 측으로 배출되며, 제강망(223)에 존재하는 1차 분진과 함께 도정기(200)의 분진 배출구(250) 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도정블록(220)의 곡물(10)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곡물(10)이 상기 집진기(400)의 곡물 유입구(411)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와동부재(H)에 의해 곡물(10)이 와동되면서 보다 비산되도록 비산하여 1차 사면부재(421)와 충돌되게 됨으로써, 보다 정제된 곡물(10)을 도정할 수 있는 등의 부가 효과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즉석 도정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이송스크류(21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210)과, 상기 이송스크류(211)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221)과 이 도정날(221)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223)을 구비하는 도정블록(220)을 결합시킴에 있어, 보다 탈부착을 용이화할 수 있는 구조를 도모함과 더불어, 상호 간의 평형도(센터링)과 같은 방위맞춤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결합 정밀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고, 기계적 결합의 내구성도 뛰어나면서, 착탈 조작을 용이하게 또 견고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계합수단(300)을 구비한 즉석도정장치를 제공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가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인해, 도정 시 쌀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도정 시 쌀이 비정상적으로 도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도정상태를 유지하며, 도정 시의 소음도 저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편하고도 신속한 결합으로 인해, 사후관리상 유지보수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소요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장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도정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도정장치에서 도정을 위한 이송블록, 도정블록, 및 호퍼 등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 도시한 확대구조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계합수단을 확대 도시한 확대 구조도,
도 4는 도 2의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정블록 만을 방향전환하여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 및
도 6은 도 3의 계합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확대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이송블록 211 : 이송스크류
220 : 도정블록 221 : 도정날
223 : 제강망 240 : 호퍼
300 : 회전력구동수단 400 : 집진기
410 : 집진 케이스 411 : 곡물 유입구
421 : 1차 사면부재 422 : 2차 사면부재
H : 와동부재

Claims (3)

  1.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축부에 삽입고정된 도정날과, 이 도정날과 동심상 배치된 제강망을 구비하는 도정블록과, 상기 도정날과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력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즉석 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과 도정블록은 계합수단에 의해 동축방향으로 일체화 결합되고,
    상기 계합수단은,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되고, 원형상의 개구부로부터 원호상의 슬릿부가 연이어 형성된 계합구와,
    상기 도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구의 개구부에 이송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기단부를 이루어 상기 도정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 계합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정블록에서 정미된 곡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 곡물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중간부에 분진 흡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정미 배출구가 관통 형성된 내부가 중공인 집진 케이스와, 상기 집진 케이스 내의 곡물 유입구 중앙부에 지지바아를 매개로 플로팅 고정된 와동부재와, 상기 와동부재가 배열된 상기 곡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곡물과의 사방향 충돌을 통해 상기 곡물 내에 함유된 분진을 탈리하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상부에 경사 배치된 1차 사면부재와, 상기 1차 사면부재에 충돌되어 사방향 낙하되는 곡물이 2차 사방향 충돌되도록 상기 1차 사면부재의 하류에 배치된 2차 사면부재, 및 상기 1차 및 2차 사면부재를 통해 탈리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도정블록 측으로 배출하는 분진 흡입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도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돌부의 걸림돌부는 상기 계합구의 슬릿 내벽면이 밀착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종단면이 디스크 형상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도정장치.
KR2020070013496U 2007-08-14 2007-08-14 즉석 도정장치 KR200446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496U KR200446011Y1 (ko) 2007-08-14 2007-08-14 즉석 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496U KR200446011Y1 (ko) 2007-08-14 2007-08-14 즉석 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71U KR20090001571U (ko) 2009-02-18
KR200446011Y1 true KR200446011Y1 (ko) 2009-09-17

Family

ID=4129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496U KR200446011Y1 (ko) 2007-08-14 2007-08-14 즉석 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0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46B1 (ko) * 2010-09-02 2011-05-27 (주)나록 즉석 도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75U (ko) 1972-05-10 1974-01-30
KR940007452Y1 (ko) * 1989-05-31 1994-10-22 주식회사 금성사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빵케이스 고정장치
JP2002191995A (ja) 2000-12-26 2002-07-10 Zojirushi Corp 精米機
KR20050079839A (ko) * 2004-02-07 2005-08-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75U (ko) 1972-05-10 1974-01-30
KR940007452Y1 (ko) * 1989-05-31 1994-10-22 주식회사 금성사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빵케이스 고정장치
JP2002191995A (ja) 2000-12-26 2002-07-10 Zojirushi Corp 精米機
KR20050079839A (ko) * 2004-02-07 2005-08-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46B1 (ko) * 2010-09-02 2011-05-27 (주)나록 즉석 도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71U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085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n grains for production of ethanol
MXPA06010851A (es) Sistema y metodo para pulverizar y extraer humedad.
KR101315096B1 (ko) 폐라디에이터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446011Y1 (ko) 즉석 도정장치
EP3827899A1 (en) Comminution device
JP4486740B2 (ja) 粉砕分別機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5542654U (zh) 一种用于梅干丁的筛丁机
EP1874489B1 (en) Method to separate particles of very fine granulometry from an incoherent mass of woody material
KR20090005532A (ko) 소형 즉석 도정기용 집진장치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4514578A (ja) 水中造粒機のための分離装置
US5829943A (en) Machine for emptying material from scrap cans
CN106342491A (zh) 一种联合收割机及其复合清选系统
JP7021553B2 (ja) クーラントタンク
KR102004609B1 (ko) 메밀 탈피장치
JP4593701B2 (ja) 切りくず破砕装置および切りくず処理システム
CN109046971A (zh) 一种谷物收割后的谷物分离装置
CN215695871U (zh) 一种教保料加工用原料除杂装置
CN218835145U (zh) 一种建筑施工用筛沙装置
KR101846387B1 (ko) 탈망정선기
JP2004330020A (ja) 破砕処理装置
JP4455426B2 (ja) 缶破砕機
JP2005230653A (ja) 破砕処理装置付きコンベア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取り付け用破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