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609B1 - 메밀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메밀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609B1
KR102004609B1 KR1020170113797A KR20170113797A KR102004609B1 KR 102004609 B1 KR102004609 B1 KR 102004609B1 KR 1020170113797 A KR1020170113797 A KR 1020170113797A KR 20170113797 A KR20170113797 A KR 20170113797A KR 102004609 B1 KR102004609 B1 KR 10200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pulley
buckwheat
uni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134A (ko
Inventor
김오호
Original Assignee
김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호 filed Critical 김오호
Priority to KR102017011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 탈피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본체의 외부 상측에 장착하는 호퍼(110)와, 제1그라인더(121) 및 제1그라인더(121)에서 이격하여 회전하는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삼각 배치하여 내장하는 탈피부(120)와, 탈피부(120)의 하측에 장착하여 연통하는 수평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송부(130)와, 이송부(130)의 후단에 결합하고 일측에는 집진튜브(151)를 장착하는 배출부(140)와, 집진튜브(151)와 연결하여 과피를 집진한 후 수거포대(153)로 포집하는 집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120)의 일측에 탑재하여 구동축(161)과 V벨트로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는 제7풀리(169)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와 제3그라인더(123) 및 이송부(130)와 배출부(140)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160)와, 상기 집진부(150)의 일측에 탑재하여 집진부(150)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삼각뿔 형상의 메밀의 과피를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메밀 탈피장치{PEELING APPARATUS FOR BUCKWHEAT}
본 발명은 메밀 탈피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화 및 소형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다단계에 걸친 탈피 작업이 가능한 메밀 탈피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투입된 다량의 메밀종실의 탈피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자동으로 수행하여 고품질의 메밀쌀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메밀은 척박한 기후 및 환경에서도 자생력이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 예로부터 널리 재배되는 식물 중 하나이다. 메밀은 밀에 비해 글루텐 함량이 낮아 특유의 식감과 향미를 가지며 영양가가 우수하여 각종 면이나 묵 등의 식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메밀은 일반적인 곡물이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삼각뿔 형상의 종실을 형성하며 종실의 약 20%를 차지하는 과피가 메밀쌀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순도의 메밀쌀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과피를 제거하는 탈피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곡물의 탈피 작업이 대부분 기계화되어 원심력을 이용한 회전식 탈곡기, 또는 수확과 동시에 탈곡이 이루어지는 콤바인 등의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곡물 탈피장치의 구성을 공지된 기술을 통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07824 호에 공지된 곡물탈피기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형성하되 상하 한 쌍의 회전판 사이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각 블레이드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곡물이 원심력에 의해 방출되도록 한 임펠러와, 방출된 곡물이 충돌하여 그 충격에 의하여 곡물이 탈피되도록 임펠러의 바깥측에 밀폐형으로 고정설치하되 일측에는 토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하우징을 관통하여 임펠러의 중심부로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통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38740 호에 공지된 곡물 껍질 제거장치는 마찰패드를 부착하여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판과, 마찰패드를 부착하여 구동판과 근접하게 곡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구동판과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한 가압판을 구비하고, 구동판과 가압판 사이로 공급된 곡물을 가압하면서 구동판의 회전으로 곡물을 구동판과 가압판이 마찰에 의하여 껍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66650 호에 공지된 곡물 탈곡장치는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커버로 마감되는 탈곡드럼과, 탈곡드럼의 전방에 형성하는 투입구와, 탈곡드럼의 하방에 탈곡 된 알맹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선별망과, 알맹이와 함께 낙하하는 껍질과 줄기 배출하는 배출홴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07824 호 (2013.09.12)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38740 호 (2007.07.12)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66650 호 (2007.10.15) 한국등록특허 제 10 - 0766650 호 (2007.10.15)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곡물 탈피장치는 크게 원심분리를 이용하는 분리 방식과, 곡물의 표면을 갈아 연마하는 방식과, 충격(타격)에 의한 탈락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일례로든 곡물탈피기는 원심분리 및 충격에 의한 방식에 해당하는 장치로써, 임펠러를 이용해 중심에서 외곽으로 곡물을 방출하면 원심력에 의해 외곽에 충돌하는 곡물이 그 충격에 의해 탈피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는 장치는 곡물이 외곽에 충돌하는 부위가 일측에 한정되므로 탈피 효율이 낮으며, 반복적인 탈피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곡물의 전체 표면적에 균등한 탈피 효과를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충격에 의해 곡물이 파쇄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저하시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 다른 예로든 곡물 껍질 제거장치는 연마 방식에 해당하는 장치로써, 상측 마찰패드와 하측 구동판 사이에 곡물을 투입하고 가압된 상태로 구동판을 회전하여 곡물 알갱이가 회전하면서 표면을 갈아 연마하여 탈피 효과를 도출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마 방식의 장치는 상, 하 양측의 패널 사이에서 곡물 알갱이가 마찰에 의해 구르면서 표면이 연마되므로 메밀과 같이 삼각뿔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곡물을 투입할 경우 과피 뿐만 아니라 메밀쌀의 모가 난 부위까지 연마되므로 사실상 부적합하다.
상기 또 다른 예로 든 곡물 탈곡장치는 충격(타격) 방식에 해당하는 장치로써, 고속 회전하는 탈곡드럼에 곡물을 투입하여 탈곡핀과의 타격, 마찰에 의해 탈피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찰 방식의 장치 역시 전술한 원심분리를 이용한 장치와 마찬가지로 곡물의 전체 표면적에 균등한 탈피 효과를 보장하기 어렵고 충격에 의해 곡물이 파쇄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체의 외부 상측에 장착하는 호퍼(110)와,
본체의 내부에 탑재하여 상기 호퍼(110)와 연통하고, 제1그라인더(121)와, 제1그라인더(121)에서 이격하여 회전하는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삼각 배치하여 내장하는 탈피부(120)와,
상기 탈피부(120)의 하측에 장착하여 연통하는 수평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탈피된 메밀쌀 및 과피를 배출부(140)로 이송하는 이송부(130)와,
상기 이송부(130)의 후단에 결합하고 일측에는 집진튜브(151)를 장착하여 과피가 선별된 메밀쌀을 배출하는 배출부(140)와,
상기 집진튜브(151)와 연결하여 과피를 집진한 후 수거포대(153)로 포집하는 집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탈피부(120)의 일측에 탑재하여 구동축(161)과 V벨트로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는 제7풀리(169)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와 제3그라인더(123) 및 이송부(130)와 배출부(140)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160)와,
상기 집진부(150)의 일측에 탑재하여 집진부(150)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삼각뿔 형상의 메밀의 과피를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고품질의 메밀쌀을 수득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간소화 및 소형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다단계에 걸친 탈피 작업이 가능한 메밀 탈피장치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메밀쌀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곡물과 달리 삼각뿔 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메밀의 탈피에 최적화된 구조의 탈피부를 형성하여 종래 원심분리 방식이나 연마 방식 및 충격 방식에 의한 기술에 비해 메밀쌀의 손상률을 최소화하면서 탈피 효율을 증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탈피된 메밀쌀은 이송부와 집진부 및 배출부를 통과하면서 재차 잔여 이물질이 제거되고 과피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별도 배출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분리 효율 역시 증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밀 탈피장치의 부품 전반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 역시 각 부에 일정 방향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의 운용을 효율화하고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이송부 및 배출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메밀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이송부 및 배출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메밀 탈피장치는 일반적인 원형의 곡물과는 달리 삼각뿔 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메밀의 탈피에 최적화된 구조의 탈피부(120)를 구비하고, 이송부(130)와 집진부(150) 및 배출부(140)에 의한 효과적인 선별 배출이 가능하며, 제1구동부(160) 및 제2구동부(170)에 의해 장치 전반의 작동을 구조적으로 효율화한 메밀 탈피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메밀쌀의 손상률을 최소화하면서 탈피 효율을 증진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메밀 탈피장치는 투입에서 탈피, 이송 및 배출에 이르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본체를 중심으로 호퍼(110), 탈피부(120), 이송부(130), 배출부(140), 집진부(150)와, 장치 전반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160) 및 제2구동부(170)를 탑재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는 상, 하 2단 구조의 본체를 형성한다.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호퍼(110)를 통해 메밀종실을 투입하고 본체의 정면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부(140)를 통해서는 과피가 선별된 메밀쌀을 배출한다. 메밀쌀에 비해 비중이 작은 과피는 별도 집진하여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수거포대(153)에 수거한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프레임을 형성하여 각 부품을 설치하며, 외측에는 소정의 패널로 케이싱을 형성하여 마감한다. 외부 패널은 조립식 혹은 개폐식으로 구성하여 유지보수성을 확보한다.
상기 호퍼(110)는 본체의 외부 상측에 장착하여 본체 내로 메밀종실을 투입한다. 소정의 컨베이어나 이송관체 등을 연결하여 메밀종실의 투입량, 투입속도를 제어하면서 투입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호퍼(110)는 본체의 내부로 통로를 연장하여 투입구(124)를 통해 탈피부(120)와 연결한다.
상기 탈피부(120)는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내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타워형으로 형성하여 본체의 내부에 탑재한다.
상기 탈피부(120)의 상측에는 상기 호퍼(110)와 연통하는 투입구(124)를 형성하여 투입되는 메밀종실의 과피를 2단계에 걸쳐 탈피한다. 하측에는 이송부(130)와 연통하는 소정의 호퍼(110)를 장착한다.
상기 탈피부(120)의 내부에는 제1그라인더(121)와, 제1그라인더(121)에서 이격하여 회전하는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삼각 배치하여 내장한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는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가 근접하여 회전하도록 일측에 배치하는 주 그라인더에 해당한다. 제1그라인더(121)의 외주면은 경도가 우수한 금강석 합금 재질을 이용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의 심부에는 제1회전축(121a)을 결합하며, 후술하게 될 제1구동부(160)로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제1그라인더(121)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과, 제1풀리(162)와, 작동축(163)과, 제2풀리(164)와 제1회전축(121a)을 상호 연동하는 일련의 구성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풀리(162)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과 V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작동축(163)은 일단은 상기 제1풀리(162)에 결합하고, 타단은 탈피부(120)의 전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2풀리(164)는 작동축(163)의 타단과 V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풀리(164)에는 탈피부(120)의 내부로 연장하는 제1회전축(121a)이 결합하여 제1그라인더(1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의 작동 구조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부(160)가 탈피부(120) 뿐만 아니라 이송부(130) 및 배출부(140)에 일정 방향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며,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최적의 작동 구조를 형성하여 장치의 간소화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상기 제1그라인더(121)는, 탈피부(120)의 투입구(124)가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으로 편향하여 위치하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투입구(124)를 통과한 메밀종실은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인더(122)는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 상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여 회전하도록 배치하여 탈피부(120) 내로 투입된 메밀종실의 과피를 1단계로 탈피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그라인더(122)의 외주면은 일정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탈피 과정에서 메밀쌀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메밀종실에 일정 수준의 밀착력을 가하여 메밀종실이 비벼지는 효과를 도출하도록 구비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작동 기제 및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2그라인더(122)의 심부에는 제2회전축(122a)을 결합하며 상기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과 연동하여 후술하게 될 제1구동부(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제2그라인더(122)는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과, 제3풀리(165)와, 제4풀리(166)와, 제5풀리(167)와, 제2회전축(122a)을 상호 연동하는 일련의 구성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3풀리(165)는 탈피부(120)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에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4풀리(166)는 제3풀리(165)와 L벨트로 연동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5풀리(167)는 제4풀리(166)와 L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5풀리(167)에는 탈피부(120)의 내부로 연장하는 제2회전축(122a)이 결합하여 제2그라인더(12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그라인더(122)의 작동 구조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부(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을 통해서 제1구동부(160)의 동력을 제2그라인더(122)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특히 제2그라인더(122)의 회전 방향을 제1그라인더(1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작동 기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의 이격 거리는 호퍼(110)를 통해 투입되는 메밀종실의 크기만큼 이격한다. 더불어, 상기 제2그라인더(122)의 심부에 결합하는 제2회전축(122a)에는 제1그라인더(121)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소정의 핸들 및 탄성부재(미도시)를 장착한다. 따라서, 양자 간의 이격 거리를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하거나 투입된 메밀종실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인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3그라인더(123)는 제2그라인더(122)의 하측, 즉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여 회전하도록 배치하여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사이를 통과하면서 1단계 탈피된 메밀종실의 과피를 2단계로 탈피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3그라인더(123)의 외주면은 일정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탈피 과정에서 메밀쌀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메밀종실에 일정 수준의 밀착력을 가하여 메밀종실이 비벼지는 효과를 도출하도록 구비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작동 기제 및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3그라인더(123)의 심부에는 제3회전축(123a)을 결합하며 상기 제2그라인더(122)를 회전시키는 제5풀리(167)와 연동하여 후술하게 될 제1구동부(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제3그라인더(123)는 제5풀리(167)와, 제6풀리(168)와, 제3회전축(123a)을 상호 연동하는 일련의 구성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6풀리(168)는 상기 제2그라인더(122)의 제2회전축(122a)을 구동하는 제5풀리(167)와 L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6풀리(168)에는 탈피부(120)의 내부로 연장하는 제3회전축(123a)이 결합하여 제3그라인더(12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3그라인더(123)의 작동 구조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부(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제2그라인더(12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풀리(167)를 통해서 제1구동부(160)의 동력을 제3그라인더(123)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특히 제3그라인더(123)의 회전 방향을 제1그라인더(121) 및 제2그라인더(12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작동 기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3그라인더(123)의 이격 거리는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격하여 1단계 탈피 작업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과피를 탈피하는 2단계 탈피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3그라인더(123)의 심부에 결합하는 제3회전축(123a)에는 제1그라인더(121)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소정의 핸들 및 탄성부재(미도시)를 장착한다. 따라서, 양자 간의 이격 거리를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하거나 투입된 메밀종실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인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내장하는 탈피부(120)의 하측에는 이송부(130)를 탑재한다.
상기 이송부(130)는 탈피부(120)의 하측에 장착되는 소정의 호퍼(110)와 연통하는 수평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탈피부(12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함에 따라, 1 내지 2단계 탈피 작업을 거친 메밀쌀 및 과피를 배출부(140)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부(130)의 심부에는 제4회전축(131a)과 스크류브러시(131)를 장착하며 후술하게 될 제1구동부(16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즉, 상기 이송부(130)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과, 제1풀리(162)와, 제7풀리(169)와, 제4회전축(131a)과, 스크류브러시(131)를 상호 연동하는 일련의 구성을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7풀리(169)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과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7풀리(169)에는 이송부(130)의 내부로 연장하는 제4회전축(131a)이 결합하여 내장된 스크류브러시(13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브러시(131)는 제4회전축(131a)의 외주면에서 이송부(130)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높이로 형성하고, 이송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메밀쌀 및 과피를 배출부(140)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부(130)의 작동 구조를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부(160)가 탈피부(120) 뿐만 아니라 이송부(130) 및 배출부(140)에도 일정 방향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며,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최적의 작동 구조를 형성하여 장치의 간소화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이송부(130)를 통해 이송되는 메밀쌀과 과피는 배출부(140)로 이송되어 선별 분리된다.
상기 배출부(140)는 이송부(130)의 후단에 결합하고 일측에는 집진튜브(151)를 장착하여 과피가 선별된 메밀쌀을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130)와 연결하는 내부관(145)과, 내부관(145)의 외부에 장착하는 외부관(143)과, 내부관(145)에 장착하는 배출수단(1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관(143)은 일측 집진홀(141a)에 집진튜브(151)를 장착하여 과피를 배출하고, 하측에는 배출구(142)를 형성하여 메밀쌀을 배출한다.
상기 내부관(145)은 외부관(143)의 내부에 장착한다. 내부관(145)에는 이송부(130)에서 이송되는 메밀쌀과 과피를 상기 외부관(143)의 배출구(142)와 집진홀(141a)로 배출하기 위한 투과홀(144)과 집진홀(141b)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수단(147)은 내부관(145)의 심부에 장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블레이드(146)를 형성하여 이송되는 메밀쌀 및 과피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수단(147)은 이송부(130)에 내장하여 스크류브러시(131)를 회전시키는 제4회전축(131a)과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회전축(147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배출수단(147)의 선단과 내부관(145)의 선단 사이는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분산통로(148)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블레이드(146)의 선단은 내부관(145)의 선단에 당접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0)를 통과한 메밀쌀 및 과피는 분산통로를 통해 배출수단(147)과 내부관(145)의 사이 공간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블레이드(146)의 회전에 의해서 내부관(145)의 둘레에 형성되는 투과홀(144) 전반에 분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적체되지 않고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147)에 형성하는 가이드블레이드(146)는 베이스(146a)에 밀착부재(146b)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46a)는 중심에 삽입홈을 구비하고 배출수단(147)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배출수단(147)의 회전 작동시에 가이드블레이드(146)의 사이로 메밀쌀 및 과피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착부재(146b)는 상기 베이스(146a)의 삽입홈에 장착하고 베이스(146a)의 상부로 돌출하여 내부관(145)에 내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밀착부재(146b)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관(145)에 탄성적으로 내접하도록 구비하며, 말단에는 회전 방향 측으로 소정의 테이퍼를 형성하여 메밀쌀 및 과피가 투과홀(144)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배출부(140)의 집진홀(141a)에는 본체 내부에 탑재하는 집진부(150)와 연결되는 집진튜브(151)를 장착하여 메밀쌀에 비해 비중이 작은 과피를 집진부(150)로 흡입한다.
상기 집진부(150)는 제2구동부(17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 내장된 터빈을 구동하여 집진튜브(151)를 통해 과피를 집진하며, 배출튜브(152)를 통해 본체 외부에 마련되는 수거포대(153)로 포집하여 별도 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메밀 탈피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장치 전반을 작동하는 제1구동부(160)와 제2구동부(170)를 탑재하여 각 부품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구동부(160)는 탈피부(120)의 일측에 탑재하여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와 제3그라인더(123) 및 이송부(130)와 배출부(140)를 구동한다.
상기 제1구동부(160)에는 구동축(161)과 V벨트로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는 제7풀리(169)를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구동부(170)는 집진부(150)의 일측에 탑재하여 집진부(150)를 구동한다. 제2구동부(170)에는 구동축(171)과 V벨트로 연동하는 제8풀리(172)를 결합하여 집진부(150)의 터빈을 구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메밀 탈피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체의 상측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메밀종실은 투입구(124)를 통과하여 탈피부(120)로 유입된다. 상기 투입구(124)는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에 편향하여 위치하므로 유입된 메밀은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 방향(제2그라인더(122)측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탈피부(120)의 내부에 삼각 배치되는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의 작동 기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는 투입되는 메밀종실의 직경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단계 탈피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 제1풀리(162), 작동축(163), 제2풀리(164), 제1회전축(121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메밀 탈피장치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그라인더(122)는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 제3풀리(165), 제4풀리(166), 제5풀리(167), 제2회전축(122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메밀 탈피장치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투입되는 메밀종실은, 제1그라인더(121)와의 접촉부에서는 하측 방향의 마찰력이 작용하고, 제2그라인더(122)와의 접촉부에서는 상측 방향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금강석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1그라인더(121)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그라인더(122)는 마치 메밀종실의 표면을 비비는 것과 같이 작용하여 과피를 효과적으로 벗겨낸다.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3그라인더(123)는 상기와 같이 1단계 탈피된 상태의 메밀종실의 직경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2단계 탈피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제3그라인더(123)는 제2그라인더(122)의 제2회전축(122a), 제5풀리(167), 제6풀리(168), 제3회전축(123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메밀 탈피장치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3그라인더(123)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투입되는 메밀은, 제1그라인더(121)와의 접촉부에서는 하측 방향의 마찰력이 작용하고, 제3그라인더(123)와의 접촉부에서는 상측 방향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1단계 탈피 과정과 마찬가지로 금강석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1그라인더(121)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3그라인더(123)는 메밀종실의 표면을 비비는 것과 같이 작용하여 잔여 과피를 완전히 벗겨낸다.
상기와 같이 2단계에 걸쳐 탈피된 메밀쌀과 과피는 탈피부(120) 하측에 구비된 호퍼(110)를 통해 이송부(13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130)의 내부에는 제4회전축(131a)에 결합하는 스크류브러시(131)를 장착하여 회전 작동하면서 메밀쌀과 과피를 배출부(140)를 향해 이송한다.
상기 스크류브러시(13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구동부(160)의 구동축(161), 제1풀리(162), 제7풀리(169), 제4회전축(131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메밀 탈피장치를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스크류브러시(131)에 의해 메밀쌀과 과피를 배출부(140)를 향해 이송함과 동시에 메밀쌀에 잔류하는 각종 이물질 역시 탈락시킨다.
상기 이송부(130)를 거친 메밀쌀과 과피는 배출부(140)의 내부관(145)으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부(140)의 내부관(145)에는 배출수단(147)을 장착하며, 상기 배출수단(147)은 상기 스크류브러시(131)를 회전시키는 제4회전축(131a)과 연동하는 제5회전축(147a)을 구비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배출수단(147)의 선단은 내부관(145)의 선단과 이격하여 분산통로를 형성하므로 이송부(130)에서 이송되는 메밀쌀과 과피는 분산통로를 통해 배출수단(147)과 내부관(145)의 사이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아울러, 회전하는 배출수단(147)의 가이드블레이드(146)에 의해 메밀쌀과 과피를 내부관(145)의 전반으로 분산하여 투과홀(144)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관(145)의 투과홀(144)은 메밀쌀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한다. 메밀쌀에 비해 비중이 낮은 과피는 내부관(145)의 상측에 마련된 집진홀(141b,141a) 통해 집진튜브(151)를 거쳐 집진부(150)로 흡입되며, 메밀쌀은 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집진부(150)는 제2구동부(170)의 구동축(171)과 연동하는 제8풀리(172)에 의해 내장된 터빈을 회전하여 과피를 흡입하며, 배출튜브(152)를 통해 본체 외부로 과피를 배출하여 수거포대(153)에 포집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 탈피장치는 금강석 재질의 제1그라인더(121)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삼각 배치하는 탈피부(120)와, 스크류브러시(131)를 내장하는 이송부(130)와, 배출수단(147)을 내장하는 배출부(140)와, 과피만을 별도 포집하는 집진부(150)를 구성하고, 이들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부(160) 및 제2구동부(170)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종래의 곡물 탈피 장치에 비해 간소화 및 소형화된 구성으로 높은 탈피효율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곡물과 달리 삼각뿔 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진 메밀의 탈피에 최적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종래 기술에 비해 메밀쌀 손상률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메밀쌀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특히, 본 발명의 메밀 탈피장치 전반을 구동하는 제1구동부(160) 및 제2구동부(170)가 일정 방향의 회전력을 각 부품에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구동력 전달 구조를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장치의 운용을 효율화하고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가지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호퍼 120: 탈피부
121: 제1그라인더 122: 제2그라인더
123: 제3그라인더 124: 투입구
130: 이송부 131: 스크류브러시
140: 배출부 142: 배출구
143: 외부관 144: 투과홀
145: 내부관 146: 가이드블레이드
147: 배출수단 148: 분산통로
150: 집진부 151: 집진튜브
152: 배출튜브 153: 수거포대
160: 제1구동부 161: 구동축
162: 제1풀리 163: 작동축
164: 제2풀리 165: 제3풀리
166: 제4풀리 167: 제5풀리
168: 제6풀리 169: 제7풀리
170: 제2구동부 171: 구동축
172: 제8풀리

Claims (7)

  1. 본체의 외부 상측에 장착하는 호퍼(110);
    본체의 내부에 탑재하여 호퍼(110)와 연통하고, 제1그라인더(121)와, 제1그라인더(121)에서 이격하여 회전하는 제2그라인더(122) 및 제3그라인더(123)를 삼각 배치하여 내장하는 탈피부(120);
    상기 탈피부(120)의 하측에 장착하여 연통하는 수평 관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탈피된 메밀쌀 및 과피를 배출부(140)로 이송하는 이송부(130);
    상기 이송부(130)의 후단에 결합하고 일측에는 집진튜브(151)를 장착하여 과피가 선별된 메밀쌀을 배출하는 배출부(140); 및
    상기 집진튜브(151)와 연결하여 과피를 집진한 후 수거포대(153)로 포집하는 집진부(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피부(120)의 일측에 탑재하여 구동축(161)과 V벨트로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는 제7풀리(169)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와 제3그라인더(123) 및 이송부(130)와 배출부(140)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160)와,
    상기 집진부(150)의 일측에 탑재하여 집진부(150)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140)는,
    일측에 집진튜브(151)를 장착하는 집진홀(141a)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배출구(142)를 형성하는 외부관(143)과,
    상기 외부관(143)의 내부에 장착하고 이송부(130)에서 이송된 메밀쌀과 과피를 배출구(142)와 집진홀(141a)로 배출하는 투과홀(144)과 집진홀(141b)을 형성하는 내부관(145)과,
    상기 내부관(145)의 심부에 장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블레이드(146)를 형성하는 배출수단(14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수단(147)은,
    이송부(130)에 내장하는 제4회전축(131a)과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회전축(147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더(121)는,
    제1풀리(162)에 결합하여 탈피부(120)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작동축(163)과 V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풀리(164)와,
    상기 제2풀리(164)와 결합하여 탈피부(120) 내부로 연장하는 제1회전축(121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라인더(122)는,
    탈피부(120)의 외부로 연장하는 제1그라인더(121)의 제1회전축(121a)에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풀리(165)와,
    상기 제3풀리(165)와 L벨트로 연동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풀리(166)와,
    상기 제4풀리(166)와 L벨트로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5풀리(167)와,
    상기 제5풀리(167)와 결합하여 탈피부(120) 내부로 연장하는 제2회전축(122a)을 상호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그라인더(122)는, 제1그라인더(121)의 일측에서 호퍼(110)를 통해 투입된 메밀종실의 크기만큼 탄성적으로 이격하도록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그라인더(123)는,
    제2그라인더(122)의 제2회전축(122a)을 구동하는 제5풀리(167)와 L벨트로 연동하는 제6풀리(168)와 결합하여 탈피부(120) 내부로 연장하는 제3회전축(123a)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그라인더(123)는 제2그라인더(122)의 하측에 배치하되, 제1그라인더(121)와 제2그라인더(122)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제1그라인더(121)와 탄성적으로 이격하도록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30)의 심부에는, 구동축(161)과 연동하는 제1풀리(162)와 V벨트로 연동하는 제7풀리(169))에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회전축(131a)을 장착하고,
    상기 제4회전축(131a)의 외주면에는, 이송부(130)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높이로 형성하는 스크류브러시(131)를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147)의 선단과 내부관(145)의 선단 사이는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분산통로(148)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블레이드(146)의 선단은 내부관(145)의 선단에 당접하도록 형성하여 메밀쌀 및 과피를 내부관(145)의 투과홀(144) 전반에 분산하여 공급하고,
    상기 가이드블레이드(146)는,
    중심에 삽입홈을 구비하고 배출수단(147)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는 베이스(146a)와,
    상기 삽입홈에 장착하고 베이스(146a)의 상부로 돌출하여 내부관(145)에 내접하도록 구비하는 밀착부재(146b)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탈피장치.
KR1020170113797A 2017-09-06 2017-09-06 메밀 탈피장치 KR10200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97A KR102004609B1 (ko) 2017-09-06 2017-09-06 메밀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97A KR102004609B1 (ko) 2017-09-06 2017-09-06 메밀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4A KR20190027134A (ko) 2019-03-14
KR102004609B1 true KR102004609B1 (ko) 2019-07-26

Family

ID=6575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97A KR102004609B1 (ko) 2017-09-06 2017-09-06 메밀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498B (zh) * 2020-05-10 2021-03-30 广东白燕粮油实业有限公司 一种面粉生产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63Y1 (ko) * 1995-10-20 1999-03-20 윤봉현 브러쉬스크류와 브러쉬로울러가 장착된 고추가루분쇄기
KR0121979Y1 (ko) * 1995-11-17 1998-07-15 장창희 들깨 탈피기
KR100738740B1 (ko) 2006-08-28 2007-07-12 김기대 곡물 껍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0766650B1 (ko) 2006-12-11 2007-10-15 김창동 곡물 탈곡장치
KR200456632Y1 (ko) * 2010-02-12 2011-11-09 임희철 현미기
KR101307824B1 (ko) 2011-11-25 2013-09-12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곡물탈피기
KR101565773B1 (ko) * 2013-04-22 2015-11-06 한국식품연구원 비접촉 압축식 고추분쇄롤 및 이를 이용한 고추분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4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990B1 (ko)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
US7766267B2 (en) Shelling and grinding apparatus
EP1944085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n grains for production of ethanol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US77938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husking and degerminating cereals
KR102004609B1 (ko) 메밀 탈피장치
CN108745448B (zh) 一种农业用谷物连续的去麸皮加工设备
CN104432419A (zh) 一种杜仲翅果的多级脱壳筛分系统
CN201001300Y (zh) 玉米脱粒初清机
CN201369942Y (zh) 整括玉米脱粒机
CN109500870A (zh) 花生子房柄切除装置及花生精选分级装备
CN111789265B (zh) 一种搓筒式花生去壳装置及去壳方法
KR101037746B1 (ko) 즉석 도정장치
CN112718047A (zh) 一种稻米或糙米端部切割和分离装置
KR20190116633A (ko)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KR101571625B1 (ko) 곡물 기피장치
CN207476259U (zh) 一种高脱净率谷物脱粒机
CN211020096U (zh) 一种玉米脱粒筛选机
CN204292137U (zh) 一种杜仲翅果的多级脱壳筛分系统
CN218962887U (zh) 一种魔芋精粉研磨加工装置
CN2377825Y (zh) 一种用于谷物除杂的清选装置
EP4272540A1 (en) Equipment for hemp seeds conditioning
CN218775175U (zh) 一种玉米种子加工用精选装置
KR100465753B1 (ko) 콩 탈곡장치
CN211185023U (zh) 一种玉米脱粒扬筛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