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647A -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647A
KR20050078647A KR1020050009091A KR20050009091A KR20050078647A KR 20050078647 A KR20050078647 A KR 20050078647A KR 1020050009091 A KR1020050009091 A KR 1020050009091A KR 20050009091 A KR20050009091 A KR 20050009091A KR 20050078647 A KR20050078647 A KR 2005007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ight control
lens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222B1 (ko
Inventor
가와이료조
아오키요시유키
다카쿠와교헤이
마스모토미츠히코
히로타도시즈미
다케우치모토하루
Original Assignee
후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5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444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988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83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6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3325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1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by casting in several steps
    • B29C39/025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by casting in several steps for 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0Completely encapsula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onomers or pre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은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특히 주형 중합법에 의한 고굴절율의 편광 및/또는 조광 플라스틱 렌즈와 같은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체 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이고,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성 수지층과, 또한 적어도 그 경화성 수지층상에 적층된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로 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LIGHT CONTROL PLASTIC LENS, COATED SHEET-LIKE LIGHT CONTROL ELEMENT FOR THE LENS PRODUCTION, AND A PRODUCTION METHOD FOR LIGHT CONTROL PLASTIC LENS}
본 발명은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형 중합법에 의한 고굴절율의 편광특성 및/또는 조광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와 같은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최근, 안경용 렌즈에 있어서는 유리제 렌즈에 비하여 경량인 것, 및 잘 깨지지 않는 점에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가 상용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유리 렌즈에 대하여 종래 실시되고 있는 부가적 기능을 수지 렌즈에 대해서도 부여하는 것의 요구도 커지고 있고, 특히 반사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특성으로, 운전 중의 노면이나 다른 자동차로부터의 반사광, 수상스포츠에서 문제가 되는 수면으로부터의 반사광, 겨울스포츠에 있어서의 설면(雪面)으로부터의 반사광 등을 차단하는 편광특성이나, 강한 빛이 닿았을 때에는 그 빛의 투과를 억제하도록 정색(呈色) 또는 변색되고, 어두운 곳에 놓여졌을 때에는 색이 소실되는 특성, 즉 포토크로믹특성(「조광특성」이라고도 한다)을 가지는 것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또한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렌즈에의 요망도 높아지고 있어, 일부 소량의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유리 렌즈가 제조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비용적으로 적합한 실용적인 레벨의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는 기술적인 요인 때문에 제조 판매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상이다.
종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1) 두꺼운 편광시트를 펀칭하고, 굽힘가공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하기 특허문헌 1참조) 및 (2) 편광시트를 렌즈 기재의 위에 접합시킨 후에, 다시 다른 렌즈 기재를 그 위로부터 접합시켜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제조되어 왔다.
(1)의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편광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채용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교정용 렌즈나 정밀도가 높은 플라노 렌즈를 얻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또 (2)의 방법에서는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 굽힘가공한 편광시트의 뒤쪽으로부터 렌즈기재가 되는 수지를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일체화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하기특허문헌 2 참조)이나 (4) 편광시트를 중합성 조성물로 끼워 넣어 중합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었다(하기 특허문헌 3 참조).
(3)의 방법은, (1)의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있어, 교정용 렌즈나 정밀도가 높은 플라노 렌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미 폴리카보네이트 편광렌즈의 제조법으로서 채용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2 참조). (4)의 방법은 매우 간편하여 유력한 방법으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계에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편광시트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이하, 「TAC」이라고도 한다.)를 접합시킨 적층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종래 포토크로믹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조광렌즈(「플라스틱 포토크로믹 렌즈」라고도 한다.)는, 주로 이른바 임바이브법(imbibing)으로 제조되어 왔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이 방법은, 이른바 CR-39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는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이하, 「CR-39」라 약칭한다.) 이외의 계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CR-39 이외의 계에도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서, (5) 렌즈의 표면에 포토크로믹색소(「조광색소」라고도 한다.)를 함유하는 도막층을 설치하는 방법(하기 특허문헌 5 참조) 및 (6) 렌즈 기재의 속에 직접 포토크로믹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하기 특허문헌 6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 (7) 포토크로믹기능을 가지는 적층체를 제조하여 두고, 그 적층체의 양측으로부터 렌즈기재가 되는 중합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7참조).
그러나, (5)의 방법은 도막 두께의 한계성으로부터 착색시와 비착색시의 컨트러스트를 충분한 수준으로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6)의 방법에서는 컨트러스트, 응답시간을 충분한 것으로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7)의 방법은 아이디어뿐으로, 실용화는 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출성형에 의한 렌즈의 제조법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포토크로믹층을 끼워 넣은 적층체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포토크로믹렌즈로 하는 방법을 조광렌즈의 경우의 응용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또 뛰어난 포토크로믹 적층체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하기 특허문헌 8 참조), 이 방법은 실제로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기존의 기술에 의한 제조는, (8) 플라스틱 편광렌즈 표면에 이른바 임바이브법에 의해 조광층을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또, CR-39 이외의 계에도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서, (9) 플라스틱 편광렌즈 표면에 조광색소를 함유하는 도막층을 설치하는 방법(하기 특허문헌 5 참조) 및 (10) 렌즈의 기재 중에 직접 조광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하기 특허문헌 6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뛰어난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적층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9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공평7-9415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8-5281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1-232006호 공보
[특허문헌 4]
미국특허5,130,353호 명세서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소63-178193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개평7-253633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개소61-236521호 공보
[특허문헌 8]
WO 01/77740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개2002-62423호 공보
그러나, (4)의 방법에서는 사용 가능한 렌즈기재가 한정되고, 또한 중합시에 기재와 편광 필름 기판 또는 편광성 적층체와의 박리가 발생하거나, 렌즈 성형후에도 동일한 박리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4)의 방법에 있어서, 현재 실용화 레벨에 있는 것은 CR-39의 명칭으로 알려진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를 렌즈 기재로 하는 계뿐이며,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대표되는 고굴절율 렌즈에 (4)의 방법을 적용함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이것은 예를 들면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조건과 같이, 고굴절 렌즈를 주형 중합법으로 제작하는 경우의 조건은, CR-39의 중합조건과 비교하면 매우 엄격하기 때문에, 중합시의 여러가지 다양한 조건에 의하여 편광시트가 색조변동, 편광도 저하 등의 성능저하를 일으키는 것, 렌즈 성형에 이용되는 중합성 조성물 또는 그 반응체에 의하여 편광시트나 편광 적층체가 침범당하는 것, 및 렌즈 성형후의 렌즈기재부와 편광성 적층체 또는 편광시트와의 밀착성이 나쁜 것 등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또, 주형 중합법에 의한 조광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현재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방법으로서는, CR-39의 명칭으로 알려진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를 렌즈기재로 하는 계뿐 밖에 알려져 있지 않는다는 것이 현상이다.
또한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을 아울러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경우에는, (8)의 방법에서는 CR-39 이외의 계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9)의 방법은 도막 두께의 한계성으로부터 착색시와 비착색시의 컨트러스트를 충분한 수준으로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하기 특허문헌 5 참조), (10)의 방법에서는 컨트러스트, 응답시간을 충분한 것으로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굴절율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주형 중합에 의하여 생산성 좋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온도나 내약품성 등의 여러가지 엄격한 조건에 견딜 수 있는 편광시트나 편광 적층체의 개발과, 그것들의 시트나 적층체와 렌즈 전구체와의 적절한 조합을 찾아 내는 것이 불가결하다.
또, 티오우레탄계 중합 조성물로 대표되는 고굴절율 렌즈를 사용한 플라스틱조광렌즈의 제조에는, 현재 채용되어 있는 CR-39의 경우와는 전혀 다른 맞붙임법이 요구되고, 주형 중합시의 여러가지 엄격한 조건에 견딜 수 있는 조광시트나 조광 적층체의 개발과, 그것들 시트나 적층체와 렌즈 전구체와의 적절한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불가결하다.
주형 중합법에 의한 편광/조광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능성을 가지는 방법으로서는, CR-39을 렌즈기재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제작한 후, 임바이브법을 채용하여 표면에 조광층을 형성하는 방법밖에 없다는 것이 현상이다.
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대표되는 고굴절율 렌즈에 대해서는 상기한 방법을 적용함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시트가 색조변동, 편광도 저하 등의 성능저하를 일으키는 것, 렌즈성형에 사용되는 중합성 조성물 또는 그 반응체에 의하여 편광/조광 적층체가 침범당하는 것 및 렌즈 성형후의 렌즈 기재부와 편광/조광 적층체와의 밀착성이 나쁜 것 등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로 대표되는 고굴절 렌즈를 사용한 플라스틱 편광/조광렌즈의 제조에도, 현재 가능성이 있다고 되어 있는 CR-39의 경우와는 전혀 다른 맞붙임법이 요구되고, 주형 중합시의 여러가지 엄격한 조건에 견딜 수 있는 편광/조광 적층체의 개발과, 그것들의 시트나 적층체와 렌즈 전구체와의 적절한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불가결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용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주형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굴절율의 편광특성 및/또는 조광특성을 가지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체 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를 진행하여 CR-39에 한정되지 않고,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과 같은 범용성이 높은 계에 사용하여도 렌즈 기재와 편광시트, 조광시트 및 편광/조광시트와 같은 광제어 시트와의 밀착도가 충분하고, 또 주형 중합법에 있어서의 렌즈 성형을 위한 광제어 시트가공이나 그 전후의 관리도 용이한 광제어 시트 및 광제어 적층체 등의 검토를 더욱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광제어 시트에, (메타)아크릴레이트수지 등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둠으로써, 렌즈 기재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주형 중합법 등이 엄격한 제조조건이어도 양호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시트를 접합시키고, 그 투명시트 위에 특정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 처리한 적층체는, 매우 넓은 범위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조합 가능하고, 또 굽힘가공이나 그 전후의 관리도 용이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로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성 수지층과, 또한 적어도 그 경화성 수지층상에 적층된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제어 시트는,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이 적합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층의 두께는, 0.1㎛ 이상 20㎛ 이하이고, 2㎛ 이상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광제어 적층체이어도 좋다. 이 광제어 적층체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와 그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시트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시트가, 다시 금속화합물 및 붕산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광시트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조광색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광색소로서는 스피로벤조피란 유도체, 나프토피란 유도체 및 스피로옥사진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또한 경화제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시트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수지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 투명시트의 두께가 20㎛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은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및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은 아릴카보네이트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로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막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제어 시트는,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사용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하는 도막공정과, 도막형성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 막을 경화하여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과, 그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매설하고, 매설한 상태로 해당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을 행하는 주형 중합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조방법에는 상기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에서 형성된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렌즈형상 굽힘가공을 행하는 굽힘가공 공정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투명시트의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하여 제조한 도막 투명시트를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상기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시트를 접착하여 제조한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상기 투명시트를 경화성 중합성조성물로 도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광제어 시트로서는,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로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성 수지층과, 또한 적어도 해당 경화성 수지층상에 적층된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는,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 예를 들면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그 경화성 수지층상에 예를 들면 그 경화성 수지층상에만 또는 그 경화성 수지층상과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또 한쪽의 면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의 경화된 중합성 수지층이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도막처리에 의하여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제조시의 엄격한 조건하에 있어서도 열화를 받고 있지 않다. 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은 투명성을 유지한 채로 중합하여,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는, 고굴절율 특성을 가지는 것을 비롯하여, 광범위한 종류의 렌즈용 기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란, 예를 들면 편광특성, 조광특성, 편광특성과 조광특성(이하, 「편광/조광특성」이라 한다.)을 가지는 등, 눈에 들어 가는 빛을 특정방법으로 제어하는 기능(이하, 「광제어 특성」이라 한다.)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것을 말한다. 이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광제어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안경, 자동차나 주택용 플라스틱 렌즈창, 렌즈창, 썬바이저, 스키고글, 비행기나 오토바이의 바람막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플라스틱 편광렌즈, 플라스틱 조광렌즈 및 편광/조광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편광/조광렌즈를 이용한 안경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광특성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강한 빛이 닿았을 때에는 그 빛의 투과를 억제하도록 정색 또는 변색하고, 어두운 곳에 놓여졌을 때에는 색이 소실되는 특성의 것을 말한다. 또 편광특성이란,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특성으로, 운전 중의 노면이나 다른 자동차로부터의 반사광, 수상스포츠에서 문제가 되는 수면으로부터의 반사광, 겨울스포츠에 있어서의 설면(雪面)으로부터의 반사광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의 것을 말한다. 특히 낚시에서는 수중의 물고기 등의 시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본 특성을 가지는 안경은 필수품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란, 그 자신이 광제어 특성을 가지는 시트형상물을 말한다. 이와 같은 광제어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시트, 조광시트 및 편광/조광특성을 가지는 편광/조광시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란, 그 자신이 광제어특성을 가지는 광제어 시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광제어특성을 가지는 시트형상물의 것을 말한다.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단일층이어도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층을 구비한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광제어 적층체라 한다.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예를 들면 편광시트, 조광시트 등과 같이, 그 두께에 상관없이 그 자신이 광제어특성을 가지는 것, 및 편광시트, 조광시트 등과 같이 그 자신이 광제어특성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광제어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광제어 시트와 광제어 적층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이란, 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 등의 외부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하여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하여 형성되는 수지층의 것을 말한다. 경화성 수지층은,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을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도포함으로써, 렌즈기재 등의 화학약품이 접촉함에 의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백탁(白濁) 등의 손상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주형 중합법 등에서 렌즈기재 등을 고온에서 중합하는 경우에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열에 의한 손상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은, 상기 경화성 수지층의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렌즈기재의 층이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광제어 적층체인 경우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있어서는, 광제어 시트(1)의 양면에 투명시트(2)가 접착하여 광제어 적층체인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양면에 경화성 수지층(3)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들 경화성 수지층(3)상에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4)이 적층, 또는 피복되어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경화성 수지층은, 각종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용의 중합성 조성물(이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에 대한 내성이 높아,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광제어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정도의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란, 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 등의 외부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하여 그 전구체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이 중합하여 형성되는 수지의 것을 말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전구체, 즉 중합하여 경화되기 전의 상태의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는 것이 경화시간,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의 점으로부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이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 및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1종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것을 말하고, 이 조성물 중에는 중합성 화합물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중합성 올리고머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의 혼합계가 바람직하다. 이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다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구조 중에 우레탄결합과 (메타)아크릴기를 가지는 올리고머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및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계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일반적이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다가알콜에 프로필렌옥사이드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나, 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 올리고카보네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로서는, 많은 것이 시판되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이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빔 세트 575, 빔 세트 551B, 빔 세트 550B, 빔 세트 505A-6, 빔 세트 504H, 빔 세트 510, 빔 세트 502H, 빔 세트 575CB, 빔 세트 102(이상, 아라카와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포토머 6008, 포토머 6210 (이상, 산노푸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NK 올리고 U-4HA, NK 올리고 U-108A, NK 올리고 U-1084A, NK 올리고 U-200AX, NK 올리고 U-122A, NK 올리고 U-340A, NK 올리고 U-324A, NK 올리고 UA-100, NK 올리고 MA-6(이상,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알로닉스 M-1100, 알로닉스 M-1200, 알로닉스 M-1210, 알로닉스 M-1310, 알로닉스 M-1600, 알로닉스 M-1960(이상, 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AH-600, AT-606, UA-306H (이상, 교에이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카야래드 UX-2201, 카야래드 UX-2301, 카야래드 UX-3204, 카야래드 UX-3301, 카야래드 UX-4101, 카야래드 UX-6101, 카야래드 UX-7101, 카야래드 UX-4101 (이상, 니혼가야쿠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자광 UV-1700 B, 자광 UV-3000B, 자광 UV-3300B, 자광 UV-3520TL, 자광 UV-3510TL, 자광 UV-6100 B, 자광 UV-6300B, 자광 UV-7000B, 자광 UV-7210B, 자광 UV-7550B, 자광 UV-2000B, 자광 UV-2250TL, 자광 UV-2010B, 자광 UV-2580B, 자광 UV-2700B (이상, 니혼고세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아트레진 UN-9000 PEP, 아트레진 UN-9200A, 아트레진 UN-9000H, 아트레진 UN-1255, 아트레진 UN-5200, 아트레진 UN-2111A, 아트레진 UN-330, 아트레진 UN-3320HA, 아트레진 UN-3320HB, 아트레진 UN-3320HC, 아트레진 UN-3320HS, 아트레진 UN-6060P (이상, 네가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Laromer UA19T, Laromer LR8949, Laromer LR8987, Laromer LR8983(이상, BASF 사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다이아빔 UK6053, 다이아빔 UK6055, 다이아빔 UK6039, 다이아빔 UK6038, 다이아빔 UK6501, 다이아빔 UK6074, 다이아빔 UK6097 (이상, 미쓰비시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Ebecryl 254, Ebecryl 264, Ebecryl 265, Ebecryl 1259, Ebecryl 4866, Ebecryl 1290K, Ebecryl 5129, Ebecryl 4833, Ebecryl 2220(이상, 다이셀 U.C.B 가부시키가이샤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는 내용제성이나 투명시트와의 밀착성,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과의 밀착성의 점에서 다관능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관능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 중에서도 NK 올리고 U-4HA 및 Ebecryl 264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다염기산과, 다가알콜과, (메타) 아크릴산과의 탈수 축합반응에 의하여 합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알로닉스M-6100,알로닉스M-7100, 알로닉스M-8030, 알로닉스M-8060, 알로닉스M-8530, 알로닉스M-8050 (이상, 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Laromer PE44F, Laromer LR8907, Laromer PE55F, Laromer PE46T, Laromer LR8800 (이상, BASF사제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Ebecryl 80, Ebecryl 657, Ebecryl 800, Ebecryl 450, Ebecryl 1830, Ebecryl 584 (이상, 다이셀 U·C·B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포토머 RCC13-429, 포토머 5018 (이상, 산노푸코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 중에서도, Ebecryl 80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에폭시계 올리고머에 (메타)아크릴산을 부가시킨 구조의 것으로, 비스페놀A-에피크롤히드린형, 변성 비스페놀 A형, 아민 변성형, 페놀노보락에피크롤히드린형, 지방족형, 지환형 등이 있다. 예를 들면 Laromer LR8986, Laromer LR8713, Laromer EA81 (이상, BASF사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NK 올리고 EA-6310, NK 올리고 EA-1020, NK 올리고 EMA-1020, NK 올리고 EA-6320, NK 올리고 EA-7440, NK 올리고 EA-6340(이상, 신나카무라 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Ebecryl 3700, Ebecryl 3200, Ebecryl 600 (이상, 다이셀 U·C·B 가부시키가이샤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올리고머 중에서도, NK 올리고 EA-1020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족 알콜, 디올 및 다가알콜의 모노, 디 및 폴리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이나,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다가알콜에서 분기된 지방족 에테르결합, 에스테르결합, 카보네이트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30 이하인 말단 히드록시화합물의 폴리 (메타)아크릴레이트체나, 그들의 골격 중에 지환식 화합물이나 방향족 화합물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에틸헥실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 중에서도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단일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화합물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중합성 올리고머와 중합성 모노머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조작성의 면으로부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모노머의 배합비율이, 모노머와 올리고머 전체의 20 내지 8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의 막두께는 상기한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내성이나 접착성 및 굽힘가공시의 균열발생 등의 점으로부터 0.1㎛ 이상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에 의하여 구성되는 광제어 적층체이어도 좋다. 이 광제어 적층체로서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와 그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제어 시트로서는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 중 어느 것인가 한쪽의 1층 또는 양쪽에 의한 2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편광특성을 가지는 광제어 적층체의 것을 편광 적층체라고도 한다. 또조광특성을 가지는 광제어 적층체의 것을 조광 적층체라고도 한다. 또 편광특성 및 조광특성의 양쪽을 가지는 광제어 적층체의 것을 편광/조광 적층체라고도 한다.
상기 광제어 적층체가 편광시트와 투명시트로 구성되면,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편광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광제어 적층체가 조광시트와 투명시트로 구성되면,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조광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광제어 적층체가 편광/조광시트와 투명시트로 구성되면,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편광/조광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편광시트는, 기본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만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편광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편광시트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형성되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없고, 일반적인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수지,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수지, 폴리비닐부틸랄수지, 폴리비닐아세탈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수지가 바람직하다.
편광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얇으면 찢어지기 쉽고, 두꺼우면 광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10㎛∼50㎛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시트로서는, 2색성 색소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비닐알콜수지의 경우에는 2색성 색소용액 속에 그 수지를 실온 내지 50℃의 가온하에서 침지함으로써 염색할 수 있다.
상기 편광시트의 제조에 사용하는 상기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크리소페닌(C. I.24895), 클로란틴퍼스트 레드(C.I.28160), 시리우스 옐로우(C.I.29000), 벤조 퍼플린(C.I.23500), 다이렉트퍼스트 레드(C.I.23630), 브릴리안트 블루B(C.I.24410), 클로란졸 블랙BH(C.I.22590), 다이렉트 블루2B(C.I. 22610), 다이렉트 스카이블루(C. I.24400), 디아민 그린(C.I.30295), 솔로페닐 블루4GL(C.I.34200), 다이렉트코퍼 블루2B(C.I.24185), 닛폰브릴리안트 바이올렛BKconc(C.I.27885), 콩고 레드(C.I. 22120), 아시드 블랙(C.I.20470)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색소 중으로부터 목적에 따라서 2색 이상의 색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괄호 내에는,유기합성협회편「신판 염료편람」(마루젠가부시키가이샤, 1970년)에 기재된 Colour Index No.를 나타내었다.
상기 편광시트는, 다시 금속화합물 및 붕산에 의하여 처리되어 있으면 뛰어 난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가져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색성 색소용액 속에서 염색된 상기 편광시트를 금속화합물 및 붕산의 혼합용액에 침지 중 또는 침지후에 연신하는 방법, 또는 2색성 색소용액 속에서 염색 및 연신된 상기 편광시트를 금속화합물 및 붕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로서는, 제 4 주기, 제 5 주기, 제 6 주기의 어느 주기에 속하는 천이금속이어도 그 금속화합물에 상기 내열성 및 내용제성 효과가 확인되는 것이 존재하나, 가격면으로부터 크롬, 망간,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등의 제 4 주기천이금속의 아세트산염, 질산염, 황산염 등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니켈, 망간, 코발트, 아연 및 구리의 화합물이, 저렴하고 상기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망간(II) 4수화물, 아세트산 망간(III) 2수화물, 질산망간(II) 6수화물, 황산망간(II) 5수화물, 아세트산코발트(II) 4수화물, 질산코발트(II) 6수화물, 황산코발트(II) 7수화물, 아세트산니켈(II) 4수화물, 질산니켈(II) 6수화물, 황산니켈(II) 6수화물, 아세트산아연(II), 황산아연(II),질산크롬(III) 9수화물, 아세트산구리(II) 1수화물, 질산구리(II) 3수화물, 황산구리(II) 5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화합물 중, 어느 것인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복수종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 및 붕산의 상기 편광시트 중의 함유율은, 상기 편광시트에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주는 점으로부터 편광시트 1g당, 금속화합물에서는 금속으로서 0.2 내지 20mg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mg이 더욱 바람직하다. 붕산의 함유율은 붕소로서 0.3 내지 30mg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0mg이 더욱 바람직하다. 처리에 사용하는 처리액의 조성은 이상의 함유율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일반적으로는 금속화합물의 농도는 0.5 내지 30g/L, 붕산농도는 2 내지 20g/L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시트에 함유되는 금속 및 붕소의 함유율의 분석은, 원자흡광분석법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합물 및 붕산에 의한 침지공정에 있어서의 침지조건은, 통상 실온 내지 50℃에서 5 내지 15분이다. 침지후의 가열공정의 조건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내지 120분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분간 가열한다.
편광 적층체로서는, 편광시트와 그 편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편광 적층체로서는 투명시트가 편광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을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는 투명시트로 피복한 편광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편광시트의 주형 중합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편광 적층체를 사용하면 극히 일반적인 편광 적층체의 표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하거나, 미리 표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된 투명시트로 이루어지는 도막 투명시트를 상기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편광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시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편광 적층체에 있어서의 투명시트와 편광시트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적층할 수 있다. 이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나 UV 경화형 접착제 등이 예시된다.
상기 편광시트에의 투명시트의 적층은 일반적으로는 편광시트의 양쪽에 샌드위치형상으로 행한다. 용도에 따라서는 한쪽 면만에 적층하고, 한쪽 면은 편광시트가 노출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조광시트는 기본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만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조광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조광시트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가 조광시의 응답속도가 빠른 것 및 조광시트의 가공성,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로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폴리옥시알킬렌디올을 일정 비율로 반응시킨 화합물로서,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사용되는 폴리옥시알킬렌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5 내지 30의 중합도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으로 500 내지 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이다. 여기서 수평균 분자량이란, 말단기 정량법, 비점상승법, 응고점 강하법, 침투압법 및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에 의하여 구해지는 평균 분자량의 것을 말한다.
상기 경화제로서는,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들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정한 이소시아네이트와 특정한 폴리올로부터 얻어지는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폴리올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적어도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폴리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 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와 반응시킨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중합도가 5 내지 3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경화제의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으로 500 내지 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이다.
이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및 경화제에는, 점도조절을 위하여 아세트산에틸및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의 사용은, 특히 포토크로믹화합물을 우레탄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유효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광색소인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는, 폴리우레탄 프리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좋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시판의 유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유기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는, 포토크로믹성능으로부터, 스피로벤조피란유도체, 나프토피란 유도체 및 스피로옥사진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로벤조피란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2'-[2H]-1'-벤조피란), 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8'-니트로-2, 2'-[2H]-1'-벤조피란), 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히드록시-2, 2'-[2H]-1'-벤조피란), 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8'-메톡시-2, 2'-[2H]-1'-벤조피란), 5-클로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2'-[2H]-1'-벤조피란), 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8'-디브로모2, 2'-[2H]-1'-벤조피란), 1,3,3,4,7-펜타메틸스피로(인돌린-8' -에톡시-2, 2'-[2H]-1'-벤조피란), 5-클로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니트로-2, 2'-[2H]-1'-벤조피란) 및 5-클로로-1,3,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8'-디니트로-2, 2'-[2H]-1'-벤조피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프토피란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1,3,3-트리페닐스피로(인돌린-2,3'-[3H]-나프토-(2,1-b)-피란), 1-(2,3,4,5,6-펜타메틸벤질)-3, 3-디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피란), 1-(2-메톡시-5-니트로벤질)-3, 3-디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피란), 1-(2-니트로벤질)-3, 3-디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피란) 및 1-(2-나프틸메틸)-3, 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 3'-나프토(2,1-b)-피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피로옥사진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1, 3, 3, 4, 5-펜타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1,4)-옥사진), 1, 3, 3, 4, 6-펜타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1,4)-옥사진), 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1,4)-옥사진, 5-메톡시-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1, 4)-옥사진, 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 (1-피페리딜)-2, 3'-[3H]-나프토-2,1-b)-(1,4)-옥사진, 1, 3, 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린-6'-(1-모르포릴)-2, 3'-[3H]-나프토-(2,1-b)-(1, 4)-옥사진), 1, 3, 3, 4, 5-펜타메틸스피로(인돌린-6'-(1-피페리딜)-2, 3'-[3H]-나프토-(2,1-b)-(1,4)-옥사진), 1, 3, 3, 5, 6-펜타메틸스피로(인돌린-6'-(1-피페리딜)-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 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6'-(1-피페리딜)-9'-(메톡시) -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 5-클로로-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1-b)-(1, 4)-옥사진, 4, 7-디에톡시-1, 3, 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 1-b)-(1, 4)-옥사진, 1, 3, 3, 5-테트라메틸스피로(인돌린-9'-(메톡시)-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 1-이소프로필-3, 3, 5-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 1-(p-클로로벤질) -3, 3'-디메틸스피로(인돌린-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 및 1, 3, 3-트리메틸스피로(인돌린-2, 2'-[2H]-페난트로-9, 10-b)-(1, 4)-옥사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포토크로믹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내광성의 점으로부터 스피로옥사진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층에는 수명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종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다드아민계의 광안정제나 힌다드페놀 등의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힌다드아민계의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2-(3, 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1-메틸-8-(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2- 〔3-(3, 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 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조일옥시-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테트라키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트리에틸렌디아민, 8-아세틸-3-도데실-7, 7, 9, 9-테트라메틸-1, 3, 8-트리아자스피로[4, 5]데칸-2, 4-디온 등을 들 수 있다. 그외 니켈계 자외선 안정제로서, 〔2, 2'-티오 비스(4-tert-옥틸페놀레이트)〕-2-에틸헥실아민니켈, 니켈컴플렉스-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모노에틸레이트,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등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힌다드아민계의 광안정제로서는, 3급의 아민만을 함유하는 힌다드아민계의 광안정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2-(3, 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또는 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지놀/트리데실알콜과 1, 2, 3, 4-부탄테트라카르본산과의 축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로서는, 각종 힌다드페놀 등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페놀계 산화방지제, 티올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1, 1, 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2, 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6-디-tert-부틸-p-크레졸, 4, 4'-티오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4, 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1, 3, 5-트리스(3', 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 -S-트리아진-2, 4, 6-(1H, 3H, 5H)트리온, 스테아릴-β-(3, 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 9- 비스[1, 1-디-메틸-2-〔β-(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 5〕운데칸, 1, 3, 5-트리메틸-2, 4, 6-트리스(3, 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분자량이 55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올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스테아릴-3, 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스(2, 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디(2, 6-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 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 4-디-tert-부틸페닐)4, 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2, 2'-메틸렌비스(4, 6-디-ter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광 적층체는, 투명시트와 미리 제작한 조광시트를 접착제로 접착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아크릴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나 UV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가 접착층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조광 적층체는, 투명시트에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하고, 그후 가열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조광시트를 포함하는 조광 적층체로서는, 조광시트와 그 조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조광 적층체로서는 투명시트가 조광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을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조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는 투명시트로 피복한 조광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조광시트의 주형 중합시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조광 적층체를 사용하면 극히 일반적인 조광 적층체의 표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하거나, 미리 표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된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막 투명시트를 도막시트형상 광조광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광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투명시트의 두께를 제외하고 10㎛∼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광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시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적어도 1매의 폴리카보네이트 투명시트와 그 시트가 적층된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층(조광시트)으로 이루어지는 조광 적층체의 일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특정 유기용매로 희석한 용액에, 포토크로믹화합물을 수지 고형분에 대하여 0.2 내지 5중량%의 비율로 가하고, 다시 수지 고형분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의 힌다드아민계의 광안정제 및 /또는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다. 그후 다시 이소시아네이트기(I)와 경화제의 수산기(H)의 비(I/H)가 0.9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을 목표로 하여 경화제를 가하고, 다시 교반하여 용액을 형성시킨다. 용액 속의 폴리머농도는 일반적으로는 40 내지 90중량%가 적당하다. 그 용액을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한쪽 면에 도포 두께 50 내지 1000 미크론의 닥터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도포후, 도포면이 용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상태까지 가열 건조하여, 그 합성수지 시트의 도포면에 다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하여 샌드위치형상으로 한다. 상기의 가열건조는 통상 20 내지 50℃에서, 30 내지 120분 행한다. 그 적층 시트를 가열하여 경화제를 함유하는우레탄 프리폴리머를 경화시켜, 투명한 합성수지 적층체를 얻는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화조건은 통상 60 내지 140℃에서, 2시간 내지 일주간이다.
상기 조광 적층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희석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과 같은 탄화수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 n-프로필,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이소부틸 등의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틸아세톤, 시클로헥실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셀솔브, 디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 n-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2-ethoxyethyl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테르에스테르류, 디아세톤알콜, tert-아밀알콜 등의 3급 알콜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편광/조광특성을 가지는 편광/조광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된 편광시트와 조광시트를 접합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편광시트에,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하고, 그후 가열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후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에 의하여 투명시트와 편광시트를 접합하여 가열처리를 행함으로써 편광/조광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편광/조광특성을 가지는 광제어 적층체인 편광/조광 적층체로서는, 적어도 편광/조광시트와 그 편광/조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조광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 2에 나타낸다. 이 편광/조광 적층체는, 편광시트(5) 및 조광시트(6)로 이루어지는 광제어 시트(1)와, 투명시트(2)로 구성된다.
상기 편광/조광 적층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의 편광/조광특성을 가지는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편광/조광 적층체 중에서도 예를 들면, 편광시트와 조광시트를 접합하여 형성한 편광/조광시트와 그 편광/조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시트와 투명시트를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접착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를 거쳐 접착하고, 가열처리하여 제조되는 적층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편광시트 또는 조광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는 투명시트로 피복한 편광/조광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편광시트 또는 조광 시트의 주형 중합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편광/조광 적층체를 사용하면 이 편광/조광 적층체의 표면을 경화성중합성 조성물로 막처리를 할거나, 미리 표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된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막 투명시트를 본 발명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상, 매우 효율적이다.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것 자체가 접착층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시트와 편광시트의 어느 쪽에도 충분한 밀착성이 발현되는 조성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크로믹화합물을 가지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에 의하여 투명시트와 편광시트를 접합시키는 것이, 상기 편광/조광 적층체를 제조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의 도막방법으로서는, 스핀코트, 닥터블레이드나 스프레이, 플로코트 등의 배치식, 그라비아롤, 마이크로그라비아롤, 코터다이방식 등의 딥방식이나 연속식 등,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도막이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막 두께는, 보다 균일한 쪽이 균일한 발색이나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한 상기 편광/조광 적층체에 있어서, 편광시트의 또 한 쪽의 면은, 그대로의 상태에서도 굽힘가공 또는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중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대로 노출하여도 상관없다. 가공성이나 핸들링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시트를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범용의 접착제로 접착하여 투명시트를 적층할 수 있다. 조광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투명시트의 두께를 제외하고 10㎛ 내지 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편광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얇으면 찢어지기 쉽고, 두꺼우면 광투과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10㎛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열경화, UV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도공하는 접착제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너무 얇으면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너무 두꺼우면 굽힘가공시의 작업성이나 광학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1㎛ 내지 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공방법은 상기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을 들 수 있고, 두께는 균일한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조광 적층체에 있어서의 편광시트와 조광시트의 조합은, 편광시트 또는 조광시트의 어느 것이 표가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대물측(광원측)에 조광시트를 배치하고, 다음에 편광시트를 배치하는 쪽이, 보다 조광성능이 발현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시트는 기본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만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투명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시트를 구비함으로써,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 투명시트를 구비함으로써, 굽힘가공 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제품의 수율도 향상한다.
이와 같은 투명시트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각종 폴리카보네이트수지, TAC로 대표되는 아세트산 셀룰로스, 프로필셀룰로스, 아세트산, 낙산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각종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하, 「PEN」이라 한다.)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PET」이라 한다.), 또는 뛰어난 광학특성을 가지는 플루오렌계 폴리에스테르(이하, 「OKP」라 한다.)수지, 「ARTON」, 「Zeonoa」, 「APEL」 등으로 대표되는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이하「APO」라 한다) 등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강도 및 광응답성의 특성의 점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서는, 2, 2- 비스(4-히드록시페닐)알칸이나 2, 2- 비스(4-히드록시-3, 5-디할로게노페닐)알칸으로 대표되는 비스페놀화합물로부터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가 사용되고, 그 중합체 골격에 지방산 디올에 유래하는 구조단위가 포함되는 에테르결합을 가지는 구조단위가 포함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2, 2- 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이다.
상기 투명시트의 분자량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부형성이나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17,000 내지 4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의 것이다.
상기 투명시트의 두께는, 20㎛ 내지 2 mm 이고, 특히 곡면가공을 하는 경우는 50㎛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시트로서는, 이상과 같은 수지 중 1종으로 형성되는 투명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복수의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투명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렌즈용 중합성 수지로서는, 매우 광범위한 렌즈 기재용 중합성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렌즈 기재용의 중합성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R39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성 조성물로서는,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이 함유되는 중합성조성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 등의 고굴절율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공중합체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한다.)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티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티오우레탄계 수지조성물로 조합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 3-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 6-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데카히드로나프탈렌, 리진트리이소시아네이트, 2, 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o-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3- (2'-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실)프로필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티오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리덴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2, 2' - 비스(4-이소시아네이트에닐)프로판,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스(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릴)페닐메탄, 4, 4', 4'-트리이소시아네이트-2, 5-디메톡시페닐아민, 3, 3' -디메톡시벤지딘-4, 4'-디이소시아네이트, 1, 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 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 4'-디이소시아나토비페닐, 4, 4'-디이소시아나토-3, 3'-디메틸비페닐, 디시클로헥실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1, 1'-메틸렌비스(4-이소시아나토벤젠), 1, 1'-메틸렌 비스(3-메틸-4-이소시아나토벤젠),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 3- 비스(1-이소시아네이트-1-메틸에틸)벤젠, 1, 4- 비스(1-이소시아네이트-1-메틸에틸)벤젠, 1, 3- 비스(2-이소시아나토-2-프로필)벤젠, 2, 6-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 시클로펜타디엔,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펜, 2, 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노르보넨,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아다망간, 3, 4-디이소시아네이트셀레노판, 2, 6-디이소시아네이트-9-셀레나비시클로노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셀레노판, 3, 4-디이소시아네이트-2, 5-디셀레노란,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1, 3, 5-트리(1-이소시아나토헥실)이소시아눌산, 2, 5-디이소시아나토메틸1, 4-디티안, 2, 5-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4-이소시아나토-2-티아부틸)-1, 4-티안, 2, 5- 비스(3-이소시아나토-2-티아프로필)-1, 4-티안, 1, 3, 5-트리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산, 1, 3, 5-트리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메탄, 1, 5-디이소시아네이트-2-이소시아나토메틸-3-티아펜탄, 1, 2, 3-트리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프로판, 1, 2, 3-(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프로판, 1, 1, 6, 6-테트라키스(이소시아나토메틸)-2, 5-디티아헥산, 1, 1, 5, 5-테트라키스(이소시아나토메틸)-2, 4-디티아펜탄, 1, 2-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탄, 1, 5-디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나토메틸-2, 4-디티아펜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뷰렛형 반응에 의한 2량체,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고리화 3량체 및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와 알콜 또는 티올의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소티오시아네트기로 바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조합되는 티올화합물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티올, 에틸티올, n-프로필티올, n-부틸티올, 아릴티올, n-헥실티올, n-옥틸티올, n-데실티올, n-도데실티올, n-테트라데실티올, n-헥사데실티올, n-옥타데실티올, 시클로헥실티올, 이소프로필티올, tert-부틸 티올, tert-노닐티올, tert-도데실티올, 벤질티올, 4-클로로벤질티올, 메틸티오글리콜레이트, 에틸티오글리콜레이트, n-부틸티오글리콜레이트, n-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메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3-메톡시부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n-부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n-옥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머캅토에탄올, 3-머캅토프로판올, 2-머캅토프로판올, 2-히드록시프로필티올, 2-페닐-2-머캅토에탄올, 2-페닐-2-히드록시에틸티올, 3-머캅토-1, 2-프로판디올, 2-머캅토-1, 3-프로판디올 등의 모노티올류, 메탄디티올, 메탄트리티올, 1, 2-디머캅토에탄, 1, 2-디머캅토프로판, 2, 2-디머캅토 프로판, 1, 3-디머캅토프로판, 1, 2, 3-트리머캅토프로판, 1, 4-디머캅토부탄, 1, 6-디머캅토헥산, 비스(2-머캅토에틸)설파이드, 비스(2, 3-디머캅토프로필)설파이드, 1, 2- 비스(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 5-디머캅토-3-옥사펜탄, 1, 8-디머캅토-3, 6-디옥사옥탄, 2, 2-디메틸프로판-1, 3-디티올, 3, 4-디메톡시부탄-1, 2-디티올, 2-머캅토메틸-1, 3-디머캅토프로판, 2-머캅토메틸-1, 4-디머캅토부탄, 2-(2-머캅토에틸티오)-1, 3-디머캅토프로판, 1, 2- 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4-머캅토메틸-1, 8-디머캅토-3, 6-디티아옥탄, 2, 4- 비스(머캅토메틸)-1, 5-디머캅토-3-티아펜탄, 4, 8- 비스(머캅토메틸)-1, 11-디머캅토-3, 6, 9-트리티아운데칸, 4, 7- 비스(머캅토메틸)-1, 11-디머캅토-3,6, 9-트리티아운데칸, 5, 7- 비스(머캅토메틸)-1, 11-디머캅토-3, 6, 9-트리티아운데칸, 1, 2, 7-트리머캅토-4, 6-디티아헵탄, 1, 2, 9-트리머캅토-4, 6, 8-트리티아노난, 1, 2, 8, 9-테트라머캅토-4, 6-디티아노난, 1, 2, 10, 11-테트라머캅토-4, 6, 8-트리티아운데칸, 1, 2, 12, 13-테트라머캅토-4, 6, 8, 10-테트라티아운데칸, 1, 1, 1-트리스(머캅토메틸)프로판,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테트라키스(4-머캅토-2-티아부틸)메탄, 테트라키스(7-머캅토-2, 5-디티아헵틸)메탄, 에틸렌글리콜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 4-부탄디올 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1, 4-부탄디올 비스(3-메틸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1, 1-디머캅토시클로헥산, 1, 4-디머캅토시클로헥산, 1, 2-디머캅토시클로헥산, 1, 4-비스(머캅토메틸)시클로헥산, 1, 3-비스(머캅토메틸)시클로헥산, 2, 5-비스(머캅토메틸)-1, 4-디티안, 2, 5-비스(2-머캅토에틸) -1, 4-디티안, 2, 5-비스(머캅토메틸)-1-티안, 2, 5-비스(머캅토에틸)-1-티안, 1, 4-비스(머캅토메틸)벤젠, 1, 3-비스(머캅토메틸)벤젠, 비스(4-머캅토페닐)설파이드, 비스(4-머캅토페닐)에테르, 비스(4-머캅토메틸페닐)메탄, 2, 2- 비스(4-머캅토페닐)프로판, 비스(4-머캅토메틸페닐)설파이드, 비스(4-머캅토메틸페닐)에테르, 2, 2-비스(4-머캅토메틸페닐)프로판, 2, 5-디머캅토-1, 3, 4-티아디아졸, 3, 4-티오펜디티올, 1, 2-디머캅토-3-프로판올, 3, 4-티오펜디티올, 1, 2-디머캅토-3-프로판올, 1, 3-디머캅토-2-프로판올, 글리세릴티오글리콜레이트, 1, 1, 2, 2-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 1, 3, 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3-머캅토메틸-1, 5-디머캅토-2, 4-디티아펜탄 등의 폴리티올류, 및 이들의 2량체 내지 20량체와 같은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티올류의 티올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콜기로 바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티오페놀, 4-tert-부틸페놀, 2-메틸티오페놀, 3-메틸티오페놀, 4-메틸티오페놀, 1, 2-디머캅토벤젠, 1, 3-디머캅토벤젠, 1, 4-디머캅토벤젠, 2-히드록시티오페놀, 3-히드록시티오페놀, 4-히드록시티오페놀 등의 티오페놀류나 아릴티올, 2-비닐벤질티올, 3-비닐벤질티올, 4-비닐벤질 티올 등의 불포화기를 가지는 티올류, 2-비닐티오페놀, 3-비닐티오페놀, 4-비닐티오 페놀 등의 불포화기를 가지는 티오페놀류를 들 수 있다. 이들 티오알콜류는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혼합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설파이드, 프로필렌설파이드, 시클로헥센설파이드, 스틸렌설파이드, 티오글리시들, 1, 1-비스(에피티오에틸)메탄,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메탄, 1, 1, 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프로판, 1, 3- 또는 1, 4-비스(에피티오에틸)시클로헥산, 2, 5- 비스(에피티오에틸)-1, 4-디티안, 4-에피티오에틸-1, 2-시클로헥센설파이드, 4-에폭시-1, 2-시클로헥센설파이드, 메틸티오글리시딜에테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에테르, 1, 2-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에탄,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메탄, 1, 1, 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프로판, 비스 〔4- (β-에피티오프로필옥시)시클로헥실〕메탄, 2, 2-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옥시)시클로헥실〕설파이드, 2, 5-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1, 4-디티안, 1, 3 - 또는 1, 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벤젠, 1, 3 - 또는 1,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메틸)벤젠, 비스〔4- (β-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메탄, 2, 2- 비스〔4- (β-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 프로판, 비스〔4- (β-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옥시)페닐〕술폰, 4,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옥시)비페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트리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1, 2- 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 3-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 2-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 5-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펜탄, 1, 6-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헥산,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설파이드, 테트라키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메탄, 1, 1, 1-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1, 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 -2-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 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 -2,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티아펜탄, 1, 8-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디티아옥탄, 1, 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 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디티아옥탄, 1, 8-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 4-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디티아옥탄, 1, 8-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 4, 5-트리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디티아옥탄, 1, 8-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2, 5-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디티아옥탄, 1, 9-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5-〔(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3, 7-디티아노난, 1, 10-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 6-비스〔(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3, 6, 9-트리티아데칸, 1, 11-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 8-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 9-트리티아운데칸, 1, 11-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 -5, 7-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 9-트리티아운데칸, 1, 11-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5, 7-〔(2-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3, 6, 9-트리티아운데칸, 1, 11-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4, 7-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3, 6, 9-트리티아운데칸, 2, 5- 비스(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 4-디티안, 2, 4, 6-트리스(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 3, 5-디티안, 1, 3 - 또는 1,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 3 - 또는 1,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벤젠, 비스〔4-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메탄, 2, 2- 비스〔4-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프로판,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4-(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페닐〕술폰, 4,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비페닐,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셀레니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셀레니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텔루르,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텔루르, 비닐페닐티오글리시딜에테르, 비닐벤질티오글리시딜에테르, 티오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디오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아릴티오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상과 같은 화합물의 티이란고리의 수소원자의 1개 이상이 메틸기에서 치환된 에피설파이드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중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트리설파이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1, 2- 비스 (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 3-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프로판, 1, 4-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부탄, 1, 5-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펜탄, 1, 6-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헥산,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틸)설파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CR-39계 중합성 조성물(공중합체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한다)에 사용되는 모노머로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올의 아릴카보네이트류와 같은 아릴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CR-39)가 가장 일반적이나, 그 밖에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비스(2-메틸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글리콜 비스(2-클로로아릴카보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 1, 3-프로판디올 비스(아릴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비스(2-에틸아릴카보네이트), 1, 3-부텐디올 비스(아릴카보네이트), 1, 4-부텐디올 비스(2-브로모아릴카보네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 트리메틸렌글리콜 비스(2-에틸아릴카보네이트), 펜타메틸렌글리콜 비스(아릴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렌비스페놀A 비스(아릴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릴카보네이트류는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혼합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관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극히 일반적인 광제어 적층체의 표면을 도막 처리를 하거나, 미리 표면을 도막 처리된 투명시트(도막 투명시트)를 광제어 시트에 접합하여 제조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사용하여 주형 중합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제조를 위한 중간품으로서 유용하다.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광제어 시트」및「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광제어 시트」및「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와 마찬가지다. 또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은, 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 등의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방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의 전구체로서의 중합성 조성물의 것을 말한다.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시트, 조광시트 및 편광/조광시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광제어 적층체인 경우의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있어서의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4)을 제외한 광제어 시트(1), 투명시트(2)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조성물막(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을 경화하여 형성된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상기한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내성이나 접착성이 저하하고, 막 두께가 20㎛를 넘으면 굽힘가공시의 균열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는 것이 경화시간,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의 점에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이란,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 과 동의이며,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재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스로 양측을 끼운 편광시트나 조광시트와 같은 일반적인 적층체를 사용하고, 그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을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편광시트나 조광시트를 제작한 후에, 양측을 ARTON, ZEONOR, APEL 등의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으로 대표되는 광학용 투명수지로 샌드위치형상으로 적층하여 제조한 적층체를 사용하고, 그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을 적층한 것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막 투명시트는,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막 투명시트로서, 투명시트와, 그 투명시트의 한쪽 면에 도막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막 투명시트를 광제어 시트에 접합하여 제조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사용하여 주형 중합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막 투명시트는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제조를 위한 중간품으로서 유용하다.
상기 도막 투명시트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와동일하다. 또 상기 도막 투명시트에 있어서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은, 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 등의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방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경화성수지」의 전구체로서의 중합성 조성물의 것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투명시트」의 기재가, 상기 도막 투명시트에도 적용된다.
상기 도막 투명시트는, 도 1 및 도 3에 있어서의 투명시트(2)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층(3)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막(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이 도막 투명시트를 기존의 편광시트나 조광시트 등의 광제어 시트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막 투명시트는 매우 유용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는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상기한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내성이나 접착성이 저하하고, 막두께가 20㎛를 넘으면 굽힘가공시의 균열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는 것이 경화시간,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의 점에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이란,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 과 동의이며,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하는 도막공정과, 도막하여 형성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을 경화하여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과, 그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매설하고, 매설한 상태에서 그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을 행하는 주형 중합공정을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하는 것은, 이 도막층이 광범위한 각종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내성이 높고, 또한 잘 접착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광범위한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굽힘가공이나 그 전후의 관리도 용이하며, 특히 고굴절율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주형 중합법에 의하여 생산성 좋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투명시트의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하여 제조한 도막 투명시트를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막 투명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막 투명시트를 접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상기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시트를 접착하여 제조한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광제어 적층체도 포함한다)의 상기 투명시트를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 도막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편광시트, 조광시트 및 편광/조광시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광제어 시트」 및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광제어 시트」 및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의의와 동일하다. 또, 상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은 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 등의 외부로부터의 에너지 방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의 전구체로서의 중합성 조성물의 것을 말한다.
상기 투명시트에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의 도막은, 광제어 적층체의 형성후에 행할 수도 있고, 미리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이 도막처리된 투명시트(본 발명의 도막 투명시트)를 사용하여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접합하여 본 발명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는 도막된 광제어 적층체도 포함된다. 어느 쪽의 경우도 스핀코트법, 딥법, 플로코트법, 롤코터법, 커튼코트법 등의 극히 일반적인 도포법에 의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의 투명시트에의 도막이 가능하다.
또, 상기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의 막두께는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수지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상기한 중합성 조성물에 대한 내성이나 접착성이 저하하고, 막두께가 20㎛을 넘으면 굽힘가공시의 균열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여러가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는 것이 경화시간,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의 점으로부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이란,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 과 동의이며,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재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투명시트상에 적층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은,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하여 경화되어, 경화성 중합성 수지층이 형성된다.
상기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는 것이 경화시간,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이 제조방법에는 상기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에서 형성된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렌즈형상 굽힘가공을 행하는 굽힘가공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굽힘가공품에, 다음의 주형 중합공정에서 렌즈 기재가 피복되어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굽힘가공품에 렌즈용 중합성 수지를 적층함에 의해서도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중합성 수지층이 적층된 경화처리후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그대로의 형상으로 다음의 주형 중합을 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렌즈로서 적절한 형상으로 펀칭하고, 진공성형하여 렌즈형상 굽힘가공품으로 한 후에 주형 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형 중합법의 일 형태로서는, 본 발명의 경우 경화처리후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매설한 주형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한 후에 그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중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상기 경화처리후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일체화는 극히 일반적인 주형 중합법으로 가능하다.
즉, 이 경화처리후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상하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상기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이 주입 가능하게 되는 구조의 유리 몰드 등의 주형 중합용 형을 사용하고, 사용하는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에 적합한 조건으로 중합하면 좋다.
따라서, 한쪽 면에 경화성 중합성 수지층이 적층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경우,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도막된 면만이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일체화하여도 되고,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경화성 중합성 수지층에 의하여 적층된 면과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노출되어 있는 면과의 양면이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일체화하여도 좋다. 또 양면에 경화성 중합성 수지층이 적층된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경우, 통상 그 양면이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일체화되게 되나, 한쪽 면만이 일체화되어도 좋다.
상기 주형 중합용 형으로서는, 통상의 안경용 렌즈 등을 제작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주형 중합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조작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형의 한쪽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충전하여 두고, 그 위에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뜨게 하여 두고, 가스킷을 거쳐 형의 다른쪽을 액밀하게 세트한 후, 형 내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더욱 주입하여 중합하는 방법,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형 내에 있어서 지지시켜 두고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형 내에 주입하여 중합하는 방법, 그밖의 형의 한쪽에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밀착시켜 두고, 형 내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여 중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주형 중합에 사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크기 및 형상은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렌즈의 전체에 걸치는 형상의 것이어도 좋고, 또는 렌즈의 일부를 덮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일단 사용하는 모노머로 적신 후에 형 내에 세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여 기포의 혼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경화성 수지와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는 경우에 따라 중합 개시제가 함유되어 적당한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중합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는, 매우 광범위한 렌즈 기재용의 중합성 조성물과 조합시켜 렌즈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렌즈 기재용의 중합성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는 CR39 뿐만 아니라, 광범한 중합성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성 조성물로서는,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이 포함되는 중합성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 등의 고굴절율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이란,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 동의이며,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사용하는 도막 투명시트의 평가)
본 발명의 도막 투명시트 및 플라스틱 조광렌즈를 제작하여, 본 발명의 도막투명시트의 평가를 행하였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성능)
< 측정방법 >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투과율, 편광도, 및 도막의 두께측정 및 산출은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A) 투과율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시스템(니혼분코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B) 편광도
편광도(P)는 하기 수학식
에 의하여 구하였다.
상기 식에 있어서, 편광도(P)는 가시부 400nm 내지 700nm에 있어서의 시감도 보정을 행한 평균치이다. H0은 평행위 투과율을 나타내고, 편광판 2매를 그 분자 배향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겹쳤을 때의 광투과율의 것을 말한다. H90은 직교위 투과율을 나타내고, 편광판 2매를 그 분자 배향축이 수직하게 되도록 겹쳤을 때의 광투과율의 것을 말한다.
(C) 도막의 두께
또 도막의 두께 측정은, 다층막 두께 측정장치 DC-8200(군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
본 발명의 편광시트로서 편광 필름기판(1), 투명필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시트(2),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5) (실시예 1),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6) (실시예 2) 및 CR-39(7) (실시예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편광렌즈를 제조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실시예 1 >
(a) 편광시트기판 (1)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시트)의 제조
폴리비닐알콜(쿠라레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쿠라레비닐론#750)을 클로란틴퍼스트레드(C.I. 28160) 0.25g/L, 클리소페닌(C.I. 24895) 0.18g/L, 솔로페닐블루 4GL (C.I. 34200) 1.0g/L 및 황산나트륨 10g/L을 함유하는 수용액 속에서 35℃에서 3분간 염색한 후, 용액 속에서 4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이 염색시트를 아세트산니켈 2.5g/L 및 붕산 6.6g/L을 함유하는 수용액 속 35℃에서 3분 침지하였다. 이어서 그 시트를 긴장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실온에서 3분 건조를 행한 후, 70℃에서 3분간 가열처리하여 편광시트기판(1)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편광시트의 광학특성은, 가시부 전역에서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 T(vis.) = 19.3%, 편광도 P = 99.8% 이었다. 또 그 필름 기판 중의 니켈 함유량은 1.2mg/g 이고, 붕소 함유량은 1.3mg/g 이었다. 얻어진 편광시트의 두께는 31㎛ 이었다.
(b) 본 발명의 투명시트
두께 300㎛의 폴리카보네이트시트(2)(미쓰비시가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리터데이션값 4,800)를 투명시트로서 사용하였다.
(c) 접착제 조성물(3)
폴리프로필렌글리콜(M = 900)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25중량부,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600중량부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3)을 조제하였다.
(d)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
1, 9-노난디올아크릴레이트(오오사까유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비스코트 #215) 60중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U-4HA) 37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제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을 조제하였다.
(e) 도막된 편광 적층체의 제조
(a)에서 얻은 편광 필름기판(1)의 한쪽 면에, 접착 조성물제(3)를 바코터 #24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온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폴리카보네이트시트(2)를 라미네이터(미츠시바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로 닙압 4.0kg/㎠G의 조건으로 접합시켰다. 이어서 다른 면도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시트를 접합하였다.
이 적층체의 한쪽의 가장 바깥층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 을 바코터 #24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그 위로부터 폴리에틸렌필름(도오레고세이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50㎛)을 씌우고, 그 폴리에틸렌필름의 위로부터 자외선을 2200mJ/㎠의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다른 면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된 본 발명의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를 얻었다.
경화후의 양 도막면의 두께는, 5 내지 7㎛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 주형 중합에 의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f-1)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의 굽힘가공
(e)에서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를 원형으로 펀칭하고, 140℃, 3mmHg의 분위기하에서 5분에 걸쳐 진공 성형하여, 곡율반경 R = 87.2 mm의 렌즈형상 굽힘가공품을 얻었다.
(f-2) 주형중합
(f-2-1)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5)을 사용한 주형 중합
이 굽힘가공품을 지름 60mm로 재단하여, 지름 60mm의 구면형상의 유리 몰드 속에 넣고, 이 굽힘가공품의 상하에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39.55중량부,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30.45중량부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3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5)을 주입하고, 30℃에서 100℃까지를 3.5℃/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로부터 120℃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중합시켰다.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와 렌즈 기재인 티오우레탄계 수지가 강고하게 일체화한 투명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렌즈의 색조는 중합전의 편광필름 기판과 비교하여, 육안으로도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음과 동시에, 분광광도계에서의 특성평가에서도 T(vis.) = 19.9%, P = 99.9% 이고, 중합 전후에 편광특성에 있어서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1).
< 실시예 2 >
(f-2-2)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6)을 사용한 주형 중합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 95중량부, 비스(2-머캅토에틸)설파이드 : 5중량부, 테트라-n-부틸포스포늄프로마이드 :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6)을 조제하였다.
중합 조건으로서 20℃에서 100℃까지를 4℃/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에서 120℃ 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f-2-1)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렌즈가 얻어졌고, 편광특성은 T(vis.) = 19.8%, P = 99.8% 이고, 중합 전후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1).
< 실시예 3 >
(f-2-3) CR-39(7)를 사용한 주형 중합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 150중량부,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 5중량부를 혼합하여, CR-39(7)를 조제하였다.
중합조건으로서, 30℃를 10시간 유지한 후, 30℃로부터 100℃까지를 7℃/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를 1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f-2-1)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렌즈가 얻어졌고, 편광특성은 T(vis.) = 19.5%, P = 99.8%이고, 중합 전후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1).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하기 표 1과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1티오우레탄계 실시예 2에피설파이드계 실시예 3CR-39
T(vis,%)P(%) 19.999.9 19.899.8 19.599.8
<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로서 1, 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NK 에스테르 NOD-N) 60중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U-4HA) 40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혼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8)을 조제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 적층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의 면 두께는 6 내지 9㎛ 이었다.
어느 쪽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도 하기 표 2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4티오우레탄계 실시예 5에피설파이드계 실시예 6CR-39
T(vis,%)P(%) 19.699.6 19.799.8 19.799.6
< 실시예 7 ∼ 실시예 9 >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산노푸코사제, 상품명 : 포토머 4127-SN) 48중량부,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다이셀 UCB사제, 상품명 : Ebecry 1264) 49중량부, 벤조페논(중합 개시제,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중량부를 혼합하여, (메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9)을 조제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 적층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4 ∼ 6㎛ 이었다.
어느 쪽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 렌즈를 얻을 수 있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도 하기 표3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7티오우레탄계 실시예 8에피설파이드계 실시예 9CR-39
T(vis,%)P(%) 19.799.6 19.899.7 19.799.7
< 실시예 10 ∼ 실시예 12 >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도료 UT-001(10) (니혼비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 적층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의 면두께는 6 ∼ 8㎛ 이었다.
어느 쪽의 렌즈체용의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도 하기 표 4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10티오우레탄계 실시예 11에피설파이드계 실시예 12CR-39
T(vis,%)P(%) 19.899.7 19.899.8 19.799.7
< 실시예 13 ∼ 실시예 15 >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산노푸코사제, 상품명 : 포토머 4127-SN) 45중량부, 4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Ebecry180(다이셀 UCB사제, 상품명 : Ebecryl80) 30 중량부, 3 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Ebecryl264(다이셀 UCB제, 상품명 : Ebecryl264) 20중량부, 벤조페논(중합 개시제,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5중량부를 혼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11)을 조제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 적층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의 면두께는 7 내지 9㎛ 이었다.
어느 쪽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도 하기 표5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13티오우레탄계 실시예 14에피설파이드계 실시예 15CR-39
T(vis,%)P(%) 19.699.8 19.799.8 19.899.8
< 실시예 16 및 실시예 17 >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로서 1, 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NK 에스테르 NOD-N) 70중량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NK 올리고머 EA-1020) 30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혼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12)을 조제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광 적층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 면 두께는 6 내지 9㎛ 이었다.
어느 쪽의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시에 있어서도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도 하기 표 6과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편광특성 실시예 16티오우레탄계 실시예 17CR-39
T(vis,%)P(%) 19.699.7 19.899.6
< 실시예 18 >
실시예 1에서 얻은 편광 필름기판의 한쪽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시트를 접합하였다. 이 적층체의 폴리카보네이트면에 실시예 1와 동일하게 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층을 설치하고, 한쪽면에 도막한 시트형상 편광체를 얻었다.
이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의 도공 처리된 PC의 측이 볼록측이 되도록 하고, 굽힘가공으로부터 중합까지의 가공을 실시예 1의 (f-2-1)과 동일하게 하여 행하여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작성하였다.
이 경우도 도막 시트형상 편광체와 렌즈 기재가 강고하게 일체화한, 투명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얻어진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색조는 중합전의 편광 필름기판과 비교하여 육안으로도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음과 동시에, 분광광도계에서의 특성평가에서도 T(vis.) = 19.7%, P = 99.8% 로서, 중합 전후에서 편광특성에 있어서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9 >
투명시트로서, 플루오렌계 폴리에스테르수지 OKP4 필름(13)(오사카가스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수지를 280℃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200㎛ 정도의 시트를 작성)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의 (f-2-1)와 동일한 조건으로 티오우레탄수지계 렌즈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T(vis.) = 19.8%, P = 99.8%로 중합 전후에 편광특성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0 >
투명시트필름으로써 TAC 필름(14)(코니카미놀타옵트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 80㎛)을 사용하여 굽힘가공의 온도를 95℃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에피설파이드계 수지렌즈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렌즈는 T(vis.) = 19.7%, P = 99.8%로, 중합 전후에서 편광특성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1 >
투명시트필름으로서 APEL(15)(미츠이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APL6509T, 두께 : 200㎛)을 사용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굽힘가공온도를 80℃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티오우레탄계 수지렌즈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T(vis.) = 19.9%, P = 99.8%로, 중합 전후에 편광특성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1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의 표면에 도포막을 실시하지 않고, 실시예 1의 (f-1)과 동일하게 하여 굽힘가공하여, 실시예 1의 (f-2-2)과 동일하게 에피설파이드계 수지의 렌즈성형을 시도하였다.
백탁한 렌즈밖에 얻어지지 않아, 적층체 표면이 침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비교예 2 >
실시예 20와 동일한 조작을, TAC의 표면에 도포막을 실시하지 않고 실시예 1의 (f-2-2)와 동일하게 에피설파이드계 수지의 렌즈성형을 행하였다.
렌즈 기재인 중합성 수지와 TAC 시트필름은 접착하지 않았다.
< 비교예 3 >
실시예 21과 동일한 조작을, APEL의 표면에 도막을 실시하지 않고 행하였다. 실시예 1의 (f-2-1)와 같이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렌즈성형을 시도하였다.
렌즈기재인 중합성 수지와 APEL은 접착하지 않았다.
< 비교예 4 >
실시예 19와 동일한 조작을 OKP4에 도포막을 실시하지 않고 행하였다.
백탁한 렌즈밖에 얻어지지 않아, 적층체의 표면이 침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조광렌즈의 성능)
< 측정방법 >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플라스틱 조광렌즈의 외관 관찰, 투과율, 발색시간 및 소색시간의 측정 및 산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 외관 관찰 >
플라스틱 조광렌즈의 외관을 육안판단에 의하여 관찰하였다.
< 투과율 >
시료가 23℃가 되도록 조절한 항온층 내에서, 키세논램프(SUPERCURE-203S, SAN-EI ELECTRIC사제)의 방사조도가 시료표면에서 25W/㎡(315nm 내지 400nm의 파장에서의 적산값)가 되도록 조절한 광을 조사시켜 조사개시로부터 7분후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T2) 및 무조사시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T1)을 분광광도계 V-550(니혼 분코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발색시간 및 소색시간 >
광조사시에 있어서 가시광영역에서 최소 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의 투과율을 T2, 상기 파장의 무조사시의 투과율을 T1이라 하고, 투과율의 경시변화 곡선으로부터 이하와 같이 구하였다.
발색시간 : 투과율이 T1로부터 (T1 + T2)/2까지 변화되는 시간
소색시간 : 투과율이 T2로부터 (T1 + T2)/2까지 변화되는 시간
< 실시예 22 ∼ 실시예 24 >
(g)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16)(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광시트의 원료)의 제조
NCO기 당량 중량(여기서「당량 중량」이란 관능기 1개당의 평균 분자량의 것을 말한다.)이 1500인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디페닐메탄 4, 4'-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평균 중합도가 15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 15g을 유기용매(톨루엔 4.636g, 메틸에틸케톤 1.745g 및 아세트산에틸 7.2g) 13.58g에서 희석한 용액에,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 4-[4-〔6- (4-모르포닐)-3-페닐-3H-나프토(2, 1-b) 피란-3-일〕페닐]-모르핀(상품명 Reversacol Flame, James Robinson LTD사제)을 0.075g과, 첨가제로서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0.453g 및 3, 9-비스[1,1-디-메틸-2-〔β-(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 5〕운데칸 0.227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 후, 수산기 당량 중량이 630인 경화제(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 상품명 : BHS6020C : 도요모톤 가부시키가이샤제) 1.6g을 가하고, 다시 교반하여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16)을 얻었다.
(h)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시트
두께 300㎛의 폴리카보네이트시트(2) (상품명 : 유피론, 미쓰비시가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투명시트로서 사용하였다.
(i)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
1, 9-노난디올아크릴레이트(오오사까유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비스코트 #215) 60중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U-4 HA) 37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을 조제하였다.
(j)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로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제조
(g)에서 얻은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16)을 (h)에서 나타낸 투명시트 (2)에 200㎛의 클리어런스인 닥터블레이드(요시미쯔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후 60℃의 열풍 건조기에 10분간 넣어 용제를 휘발시켰다. 그 도막의 위에 따로 상기와 동일한 투명시트 (2)를 적층한 후, 70℃에서 2일간 가열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2매의 투명시트와 그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포트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층(조광시트)로 이루어지는 조광 적층체를 얻었다. 조광시트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두께를 제외한 두께는 82㎛ 이었다.
이 조광 적층체의 한쪽의 가장 바깥층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4)을 바코트 #24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그 위로부터 폴리에틸렌필름(도오레고세이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50㎛)을 씌우고, 그 폴리에틸렌필름의 위로부터 자외선을 2200mJ/㎠의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다른 면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경화처리후의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를 얻었다. 경화후의 양 도막면의 두께는, 6 내지 8㎛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k) 주형 중합에 의한 플라스틱 조광렌즈의 제조
(k-1)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굽힘가공
(j)에서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를 원형으로 펀칭하고, 140℃, 3mmHg의 분위기하에서 5분에 걸쳐 진공 성형하여, 곡율반경 R = 87.2 mm의 렌즈형상 굽힘가공품을 얻었다.
(k-2) 주형 중합
(k-2-1)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5)를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22)
이 굽힘가공품을 직경 60mm로 재단하여, 직경 60mm의 구면형상의 유리 몰드 속에 넣고, 이 굽힘가공품의 상하에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39.55중량부, 메타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30.45중량부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0.03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5)를 주입하여 30℃에서 100℃까지를 3.5℃/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에서 120℃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중합시켰다.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와 렌즈 기재가 강고하게 일체화된, 투명성이 양호한 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렌즈의 색조는 중합전의 시트와 비교하여 육안으로도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분광광도계에서의 특성평가에서도 그 포토크로믹특성(외관, 투과율, 컨트라스트, 응답속도)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특성이 유지되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k-2-2)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 (6)을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23)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95중량부, 비스(2-머캅토에틸)설파이드 5중량부,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하였다(6).
중합조건으로서 20℃에서 100℃까지 4℃/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에서 120℃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k-2-1)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포트크로믹특성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k-2-3) CR-39(7)을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24)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150중량부,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5중량부를 조제하였다(7).
중합조건으로서, 30℃를 10시간 유지한 후, 30℃에서 100℃까지 7℃/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를 1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k-2-1)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포트크로믹특성은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5 ∼ 실시예 27 >
1, 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NK 에스테르 NOD-N) 60중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U-4 HA) 40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1173) 3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8)을 조제하였다(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2).
그외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4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 및 CR-39을 사용하여 주형 중합을 행하였다(실시예 25 내지 실시예 27).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5 내지 8㎛으로 되어 있었다.
어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 실시예 28 ∼ 실시예 30 >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산노푸코사제, 상품명 : 포토머4127-SN) 48중량부,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다이셀 UCB사제, 상품명 : Ebecry 1264) 49중량부, 벤조페논(중합 개시제,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9)를 조제하였다(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3).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 Reversacol Midnight Grey(상품명, James Robinson LTD 사제)를 사용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4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 및 CR-39를 사용하여 주형 중합을 행하였다(실시예 28 내지 실시예 30).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5 내지 8㎛으로 되어 있었다.
어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 실시예 31 ∼ 실시예 33 >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도료 UT-001(10) (니혼비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제)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4)로서 사용하고, 포트크로믹화합물로서, Reversacol Midnight Grey(상품명, James Robinson LTD 사제)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4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7 내지 9㎛으로 되어 있었다.
어느 렌즈체용의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 실시예 34 ∼ 실시예 36 >
PO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산노푸코사제, 상품명 : 포토머4127-SN) 45중량부, 4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Ebecryl80 (다이셀 UCB제) 30중량부,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Ebecry1264 (다이셀 UCB제) 20중량부, 벤조페논(중합 개시제, 와코쥰야쿠고교제)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11)을 조제하였다(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 6'-(2, 3-디히드로-1H-인돌-1-일)-1, 3-디히드로-3, 3-디메틸-1-프로필-스피로(2H-인돌-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상품명 : Reversacol Storm Purple, James Robinson LTD사제)를 사용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4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7 내지 9㎛으로 되어 있었다.
어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표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 실시예 37 및 실시예 38 >
1, 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 품명 : NK 에스테르 NOD-N) 70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NK 올리고머 EA-1020) 30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12)을 조제하였다(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 6'-(2, 3-디히드로-1H-인돌-1-일)-1, 3-디히드로-3, 3-디메틸-1-프로필-스피로(2H-인돌-2, 3'-[3H]-나프토(2, 1-b)-(1, 4)옥사진)(상품명 : Reversacol Storm Purple, James Robinson LTD제)를 사용하였다.
그외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4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도막 시트형상 조광체의 가장 바깥층의 도막면 두께는 7 내지 10㎛으로 되어 있었다.
어느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과의 조합에 있어서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각각의 렌즈의 광학특성은 표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었다.
< 실시예 39 >
투명시트로서, 플루오렌계 폴리에스테르수지 OKP4 필름(13)(오사카가스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제 : 수지를 280℃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200㎛ 정도의 시트를 작성하였다.)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22의 (k-2-1)과 동일한 조건으로 티오우레탄계 수지 렌즈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렌즈의 포토크로믹특성은 표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40 >
투명시트로서, TAC필름(14)(코니카미놀타옵트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 80㎛)을 사용하여 굽힘가공의 온도를 95℃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23의 (k-2-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피설파이드계 수지렌즈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렌즈의 포토크로믹특성은 표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41 >
투명시트로서 APEL(15)(미츠이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APL6509T, 두께 : 200㎛)를 사용하여 굽힘가공 온도를 80℃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22의 (k-2-1)와 동일한 조건으로 티오우레탄계 수지렌즈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렌즈의 포토크로믹특성은 표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5 >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조광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의 표면을 처리하지 않고, 실시예 22의 (k-1)과 동일하게 하여 굽힘가공하여, 실시예 22의 (k-2-2)와 동일하게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렌즈성형을 시도하였다.
백탁한 렌즈밖에 얻어지지 않아, 적층체 표면이 침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비교예 6 >
실시예 36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TAC의 표면을 조금도 처리하지 않고 실시예 22의 (k-2-2)와 동일하게 에피설파이드계 수지 렌즈성형을 시도하였다.
렌즈 기재인 중합성 수지와 TAC필름은 접착하지 않았다.
< 비교예 7 >
실시예 37과 동일한 조작을, APEL의 표면을 조금도 처리하지 않고 행하였다. 실시예 22의 (k-2-1)과 동일하게 티오우레탄계 수지 렌즈성형을 시도하였다.
렌즈 기재인 중합성 수지와 아펠은 접착하지 않았다.
< 비교예 8 >
실시예 35와 동일한 조작을, OKP4의 표면을 조금도 처리하지 않고 행하였다.
백탁된 렌즈밖에 얻어지지 않아 적층체의 표면이 침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편광/조광렌즈의 성능)
< 측정방법 >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플라스틱편광/조광렌즈의 투과율, 편광도 및 도막의 두께측정 및 산출의 편광특성의 평가 및 외관 관찰, 투과율, 발색시간 및 소색시간의 측정 및 산출의 조광특성의 평가는, 상기한 플라스틱 편광렌즈 및 플라스틱 조광렌즈의 성능에 사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 실시예 42 ∼ 실시예 44 >
(1) 편광 필름기판(1)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시트)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비닐알콜(쿠라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쿠라레이비닐론 #750)을 클로란틴퍼스트레드(C.I.28160) 0.25 g/L, 크리소페닌(C.I.24895) 0.18 g/L, 솔로페닐블루 4GL(C.I. 34200) 1.0 g/L 및 황산나트륨 10g/L을 함유하는 수용액 속에서 35℃에서 3분간 염색한 후, 용액 속에서 4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이 염색시트를 아세트산니켈 2.5 g/L 및 붕산 6.6 g/L을 함유하는 수용액 속 35℃에서 3분간 침지하였다. 이어서 그 시트를 긴장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실온에서 3분 건조를 행한 후, 70℃에서 3분간 가열처리하여 편광 필름기판(1)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편광시트의 광학특성은, 가시부 전역에서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 T(vis.) = 19.3%, 편광도 P = 99.8% 이었다. 또 그 필름기판 중의 니켈 함유량은 1.2 mg/g 이고, 붕소 함유량은 1.3 mg/g 이었다. 얻어진 편광시트의 두께는 30㎛ 이었다.
(m) 접착제 조성물(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프로필렌글리콜(M = 900)을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25중량부,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600중량부를 사용하여 접착제 조성물(3)을 조제하였다.
(n)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16)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광시트의 원료)의 제조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NCO기 당량 중량(여기서「당량 중량」이란, 관능기 1개당의 평균 분자량의 것을 말한다.)이 1500인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평균 중합도가 15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 15g을 유기용매(톨루엔 4.636g, 메틸에틸케톤 1.745g 및 아세트산에틸 7.2g) 13.58g으로 희석한 용액에, 포토크로믹화합물로서 4- [4-〔6- (4-모르포닐)-3-페닐-3H-나프토(2,1-b)피란-3-일〕페닐]-모르핀(상품명 Reversacol Flame, James Robinson LTD사제)을 0.075g과, 첨가제로서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0.453g 및 3, 9- 비스[1, 1-디-메틸-2-〔β- (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 -2, 4, 8, 10-테트라옥사스피로〔5, 5〕운데칸 0.227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 후, 수산기 당량 중량이 630인 경화제(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 상품명 : BHS6020C : 도요모톤 가부시키가이샤제) 1.6g을 가하여 다시 교반하였다.
(o)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명시트
두께 300㎛의 폴리카보네이트시트(2)(상품명 : 유필론, 미쓰비시가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투명시트로서 사용하였다.
(p)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
1, 9-노난디올아크릴레이트(오오사까유키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비스코트 #215) 60중량부,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 U-4 HA) 37중량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사제 중합 개시제, 상품명 : 다로큐아 1173) 3중량부를 사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조성물(4)를 조제하였다.
(q) 도막된 편광/조광 적층체의 제조
(1)에서 얻은 편광 필름기판(1)의 한쪽 면에, 접착제 조성물(3)을 바코터 #24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온에서 5분간 건조시킨 후, (o)의 폴리카보네이트시트(2)를 라미네이터(미츠시바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닙압 4.0kg/㎠G의 조건으로 접합한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n)에서 얻어진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16)을 다른 폴리카보네이트시트에 200미크론의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닥터블레이드(요시미츠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후 60℃의 열풍 건조기에 10분간 넣어 용제를 휘발시켰다. 그 도막상에 먼저 제조하여 둔 시트의 편광 필름기판측을 적층하고,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터로 밀착시킨 후, 70℃에서 2일간 가열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2매의 투명시트와 그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포토크로믹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층(조광층)과 편광시트를 가지는 편광/조광 적층체를 얻었다.
이 편광/조광 적층체의 한쪽의 가장 바깥층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4)을 바코터 #24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그 위로부터 폴리에틸렌필름(도오레고세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 50㎛)을 씌우고, 그 폴리에틸렌필름의 위로부터 자외선을 2200 mJ/㎠의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다른 면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였다.
경화후의 양 도막면의 두께는, 6 내지 8㎛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편광/조광 적층체의 광을 조사하지 않을 때의 투과율은 19.0%, 편광도는 99.8% 으로, 편광 필름기판 그 자체의 광학특성과 거의 동등하였다. 이것에 광을 조사하면 신속하게 발색하여 7분후의 23도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9.8% 편광도는 99.9% 이었다. 외관은 매우 양호하였다.
(r) 주형 중합에 의한 플라스틱 조광/편광렌즈의 제조
(r-1) 도막된 조광/편광 적층체의 굽힘가공
(q)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원형으로 펀칭하고, 140℃, 3mmHg의 분위기하에서 5분에 걸쳐 진공 성형하여, 곡율반경 R = 87.2 mm의 렌즈형상 굽힘가공품을 얻었다.
(r-2) 주형 중합
(r-2-1)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조성물(5)를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42)
이 굽힘가공품을 직경 60mm로 재단하고, 직경 60mm의 유리몰드 속에 넣어, 이 굽힘가공품의 상하에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39.55 중량부, 메타크실릴렌이소시아네이트 30.45 중량부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렌즈체용 중합성 조성물(5)를 주입하여 30℃에서 100℃까지를 3.5℃/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에서 120℃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중합시켰다.
도막된 편광/조광 적층체와 렌즈 기재가 강고하게 일체화된 투명성이 양호한 렌즈가 얻어졌다. 얻어진 렌즈의 색조는 중합전의 시트와 비교하여, 육안으로도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고, 분광광도계에서의 특성평가에서도 포토크로믹특성(외관, 투과율) 및 편광도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특성이 유지되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r-2-2)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조성물(6)을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43)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설파이드 95중량부, 비스(2-머캅토에틸)설파이드 5중량부,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하였다(6).
중합조건으로서 20℃에서 100℃까지 4℃/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에서 120℃까지를 2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킨 후, 120℃를 3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r-2-1)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포토크로믹특성 및 편광도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r-2-3) CR-39(7)을 사용한 주형 중합(실시예 44)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로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아릴카보네이트 150중량부,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5중량부를 조제하였다(7).
중합조건으로서, 30℃를 10시간 유지한 후, 30℃에서 100℃까지 7℃/시간의 속도로 승온하고, 다시 100℃를 1시간 유지하는 조건을 채용하는 이외는, (r-2-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이 경우도 양호한 렌즈가 얻어지고, 포토크로믹특성 및 편광도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는, 여러가지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유리제 렌즈에 비하여 경량이고, 잘 깨지지 않아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특히 고굴절율의 편광특성 및 /또는 조광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은, 매우 넓은 범위의 렌즈용 기재를 이용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유용하며, 간편한 것으로 높은 생산성을 가진다. 이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서는 사용하는 광제어 시트의 광학특성이 손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광제어 특성이 렌즈 기재의 성질에 의존하는 것이 작고, 많은 렌즈재료에서 응답성, 컨트러스트가 뛰어난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광제어 적층체인 경우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의 광제어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제어 시트 2 : 투명시트
3 : (메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층(경화성 수지층으로서)
3' : (메타)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막(경화성 중합성 조성물막으로서)
4 : 렌즈체용 중합성 수지층 5 : 편광시트
6 : 조광 시트

Claims (20)

  1.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성 수지층과, 또한 적어도 그 경화성 수지층 위에 적층된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가,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층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층의 두께가 2㎛ 이상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 광제어체가 광제어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적층체가, 적어도 광제어 시트와 그 광제어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을 피복하는 투명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시트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2색성 색소를 함유하며, 또한 금속화합물 및 붕산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시트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조광색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색소가, 스피로벤조피란 유도체, 나프토피란 유도체 및 스피로옥사진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의 두께가 20㎛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용 중합성 수지층이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황함유 중합성 화합물이, 티오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및 에피설파이드계 중합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16.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포함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이용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에 있어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와, 그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막된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가,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
  18. 적어도 광제어 시트를 가지는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사용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적어도 한쪽 면을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에 의하여 도막하는 도막공정과, 도막형성된 도막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경화성 중합성 조성물 막을 경화하여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과, 그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를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 중에 매설하고, 매설한 상태에서 그 렌즈용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을 행하는 주형 중합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수지층 형성공정에서 형성된 경화성 수지층이 적층된 시트형상 광제어체의 렌즈형상 굽힘가공을 행하는 굽힘가공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 시트로서, 편광시트 및 조광시트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한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50009091A 2004-02-02 2005-02-01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KR101160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5896A JP4644429B2 (ja) 2004-02-02 2004-02-02 フォトクロミ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4-00025896 2004-02-02
JPJP-P-2004-00098840 2004-03-30
JP2004098840A JP4408384B2 (ja) 2004-03-30 2004-03-30 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偏光積層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2004126003A JP4523325B2 (ja) 2004-04-21 2004-04-21 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
JPJP-P-2004-00126003 2004-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647A true KR20050078647A (ko) 2005-08-05
KR101160222B1 KR101160222B1 (ko) 2012-06-26

Family

ID=3465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091A KR101160222B1 (ko) 2004-02-02 2005-02-01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50917B2 (ko)
EP (1) EP1560060B1 (ko)
KR (1) KR101160222B1 (ko)
CN (1) CN100472227C (ko)
DE (1) DE602005026739D1 (ko)
TW (1) TWI3232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14B1 (ko) * 2011-04-12 2014-10-23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및 편광 선글라스
KR20160089236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광변색층이 형성된 광변색렌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985B2 (en) * 2000-05-30 2006-07-18 Vision-Ease Lens Injection molding of lens
US8261375B1 (en) 2003-06-19 2012-09-11 Reaux Brian K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covering for the face and eyes
US9096014B2 (en) 2003-07-01 2015-08-04 Transitions Optical, Inc. Oriented polymeric sheets exhibiting dichroism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EP2955567A1 (en) 2003-09-09 2015-12-16 Insight Equity A.P.X., LP Photochromic polyurethane laminate
US7858001B2 (en) * 2003-09-09 2010-12-28 Insight Equity A.P.X., L.P. Photochromic lens
US8002935B2 (en) * 2005-03-04 2011-08-23 Insight Equity A.P.X., L.P. Forming method for polymeric laminated wafers comprising different film materials
KR20060111386A (ko) * 2005-04-22 2006-10-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제어 필름 제조방법
JP4933780B2 (ja) * 2006-01-17 2012-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6023965A1 (de) * 2006-05-22 2007-11-29 Rodenstock Gmbh Photochromer Kunststoffgegenstand mit gesteigertem Kontrast sowie einer Reduzierung von Streueffekten und Blendungen
US7999989B2 (en) 2006-06-30 2011-08-16 Hoya Corporation Photochromic film, photochromic len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chromic lens
US7289257B1 (en) * 2006-07-28 2007-10-30 Yasunobu Nakagoshi Molded laminate for optical use
KR101067605B1 (ko) * 2006-08-10 2011-09-27 가부시키가이샤 호프닉켄큐쇼 플라스틱 편광 렌즈 및 그 제조방법
WO2008033291A2 (en) * 2006-09-11 2008-03-20 Alphamicron, Inc. Photochrom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80187749A1 (en) * 2007-01-11 2008-08-07 Ppg Industries Ohio, Inc. Optical element having light influencing property
JP2008279425A (ja) * 2007-04-12 2008-11-20 Nikon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装飾されたボディ部材
CN101874222B (zh) * 2007-10-25 2012-09-26 欧球眼镜股份有限公司 偏光镜和偏光镜制法
DE102008014902B4 (de) 2008-03-19 2009-12-24 Rodenstock Gmbh Funktionelle Folien in optischen Linsen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mittels eines blasenfreien Aufschwimmverfahren
EP2305451B1 (en) * 2008-05-13 2013-11-2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endable polycarbonate resin laminate, optically transparent electromagnetic wave shield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26183A (ja) * 2008-07-17 2010-02-04 Hoya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19170A1 (en) 2009-07-24 2012-05-17 Skyrad Ltd. Color changing polymer-based article
JPWO2011049108A1 (ja) * 2009-10-21 2013-03-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US20110141336A1 (en) * 2009-12-11 2011-06-16 Apple Inc. Photochromatic coating for controlling lens flare
WO2011119966A2 (en) 2010-03-26 2011-09-29 National Oil Well Varco, L.P. Headgear and method of using same
US8770749B2 (en) 2010-04-15 2014-07-08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ES2663841T3 (es) * 2010-11-24 2018-04-17 Covestro Deutschland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cuerpos moldeados ópticos
KR20130131384A (ko) * 2010-12-27 2013-12-03 제온 코포레이션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물, 표면 처리 경화물, 및 적층체
EP2698410A4 (en) * 2011-04-13 2014-10-01 Tokuyama Corp PHOTOCHROME COMPOSITION
MX352393B (es) * 2011-04-18 2017-11-23 Tokuyama Corp Composicion fotocromica y articulo optico que utiliza la composicion fotocromica.
EP2769262A4 (en) * 2011-10-20 2015-04-01 Oakley Inc EYE WITH CHROMIUM AGGLOMERATION
EP2824504B1 (en) * 2012-03-06 2017-02-08 Mitsui Chemicals, Inc. Plastic polarizing len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WO2013169987A1 (en) 2012-05-10 2013-11-14 Oakley, Inc. Eyewear with laminated functional layers
CN104822760B (zh) * 2012-11-30 2017-03-08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组合物及其用途
CN102998812A (zh) * 2012-11-30 2013-03-27 杨之冬 一种双重防辐射眼镜片
US9310541B2 (en) * 2013-05-13 2016-04-12 Kilolambda Technologies Ltd Layered photochromic composition and device
US9575335B1 (en) 2014-01-10 2017-02-21 Oakley, Inc. Eyewear with chroma enhancement for specific activities
US10871661B2 (en) 2014-05-23 2020-12-22 Oakley, Inc.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WO2016077431A2 (en) 2014-11-13 2016-05-19 Oakley, Inc. Variable light attenuation eyewear with color enhancement
JP2016065949A (ja) * 2014-09-24 2016-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及び製造方法
US9905022B1 (en) 2015-01-16 2018-02-27 Oakley, Inc. Electronic display for demonstrating eyewear functionality
EP3279229B1 (en) * 2015-03-31 2019-11-13 Hoya Lens Thailand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 optical member, and spectacle lens base
WO2017009680A1 (en) * 2015-07-15 2017-01-1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Functional film laminate
MX2018002532A (es) * 2015-09-03 2018-06-27 Tokuyama Corp Composicion fotocromica de recubrimiento.
US10737471B2 (en) * 2016-03-10 2020-08-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photochromic properties and lens using same
CN115509030A (zh) * 2016-04-28 2022-12-23 卡尔蔡司光学国际有限公司 高折射率偏振眼镜镜片
US11378720B2 (en) * 2016-09-19 2022-07-05 Essilor International Adhesion primer for laminate in cast lenses
US20200376804A1 (en) * 2016-09-19 2020-12-03 Essilor International TAC Primer Coating with Improved Adhesion
KR20190067790A (ko) * 2016-10-19 2019-06-17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임시 편광 패치
EP3312662B1 (de) 2016-10-21 2019-07-17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Brillengla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611061B2 (en) 2017-03-27 2020-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manufacturing wind turbine rotor blades
EP3392700A1 (en) * 2017-04-19 2018-10-24 Essilor Italia Societa per Azioni Ophthalmic article
CN110831992B (zh) * 2017-07-03 2022-08-2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及成型体
WO2019051311A1 (en) * 2017-09-08 2019-03-14 Verily Life Sciences Llc SELF-CONDUCTING WIRES IN WET ENVIRONMENTS
US11112622B2 (en) 2018-02-01 2021-09-07 Luxottica S.R.L. Eyewear and lenses with multiple molded lens components
CN111587396B (zh) * 2018-02-09 2022-08-05 三井化学株式会社 镜片及镜片的制造方法
WO2019163728A1 (ja) * 2018-02-23 2019-08-29 株式会社トクヤマ 機能性積層体、及び機能性積層体を用いた機能性レンズ
CN112105495B (zh) 2018-05-15 2023-04-14 依视路国际公司 生产层压件的方法
WO2020132822A1 (en) 2018-12-24 2020-07-02 Carl Zeiss Vision Technical Services Guangzhou Ltd. Photochromic lens with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ing a photochromic lens, and a spectacle frame
CN114502356B (zh) * 2019-10-09 2023-12-26 帝人株式会社 弯曲构件的制造方法和用于热弯的带硬涂层的聚碳酸酯树脂层叠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289A (en) 1970-05-28 1974-09-03 Polaroid Corp Composite light-polarizing element
US4215010A (en) 1978-09-08 1980-07-29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Photochromic compounds
US4268134A (en) * 1979-03-07 1981-05-19 Corning Glass Works Lightweight laminated photochromic lenses
US4230768A (en) 1979-03-29 1980-10-28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Laminated light-polarizing sheet
JPS61236521A (ja) 1985-04-12 1986-10-21 Kureha Chem Ind Co Ltd 調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78193A (ja) 1987-01-20 1988-07-22 Nippon Sheet Glass Co Ltd フオトクロミツク性を有する被覆用組成物
US4793703A (en) * 1987-08-03 1988-12-27 Corning Glass Works Laminated glass lenses
JPH01232006A (ja) 1988-03-14 1989-09-18 Nippon Kayaku Co Ltd 偏光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成形方法
US5130353A (en) 1990-03-07 1992-07-14 Ppg Industries, Inc. Method for preparing photochromic plastic article
JPH0794154A (ja) 1993-09-21 1995-04-07 Hitachi Maxell Ltd アルカリボタン電池
JP3372665B2 (ja) 1994-08-12 2003-02-0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用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US7048997B2 (en) * 1995-03-03 2006-05-23 Vision-Ease Lens Production of optical elements
WO2001077740A1 (fr) 2000-04-10 2001-10-1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tratifie photochrome en resine synthetique transparente
JP4586953B2 (ja) 2000-06-09 2010-11-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偏光性とフォトクロミック性を併せ持つ合成樹脂積層体
JP4455743B2 (ja) * 2000-09-12 2010-04-21 山本光学株式会社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822689B1 (ko) 2001-06-01 2008-04-17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포토크로믹 특성 및/또는 편광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
JP3925784B2 (ja) * 2002-03-20 2007-06-06 外男 林 積層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14B1 (ko) * 2011-04-12 2014-10-23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필름 및 편광 선글라스
KR20160089236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광변색층이 형성된 광변색렌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222B1 (ko) 2012-06-26
TWI323254B (en) 2010-04-11
US20050168690A1 (en) 2005-08-04
EP1560060B1 (en) 2011-03-09
EP1560060A1 (en) 2005-08-03
CN100472227C (zh) 2009-03-25
DE602005026739D1 (de) 2011-04-21
CN1657975A (zh) 2005-08-24
TW200530177A (en) 2005-09-16
US7350917B2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222B1 (ko)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 그 렌즈제조에 이용하는 도막시트형상 광제어체 및 광제어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방법
JP4729354B2 (ja) 偏光調光特性を有する光制御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5785B2 (ja) 防眩性積層体、塗膜防眩性積層体、防眩性材料、及び該防眩性材料の製造方法
KR101259235B1 (ko) 플라스틱 편광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4843677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74722B1 (ko)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JP4644429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9862B1 (ko)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US1089909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lens, method of positioning film, and composite body
JP4523325B2 (ja) プラスチックス調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
US7767304B2 (en) Polarized articles and methods for obtaining polarized articles
JP4408384B2 (ja) 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ス偏光レンズ体、該レンズ体製造に用いる偏光積層体および被覆シート
JP7357051B2 (ja)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レンズ
US20210362446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ens,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lens
WO2020262400A1 (ja) 偏光レンズ
JP6244092B2 (ja) 光学材料およびその用途
WO2019194132A1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97725A (ko) 광학 렌즈 제조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