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37A -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37A
KR20050077737A KR1020050004935A KR20050004935A KR20050077737A KR 20050077737 A KR20050077737 A KR 20050077737A KR 1020050004935 A KR1020050004935 A KR 1020050004935A KR 20050004935 A KR20050004935 A KR 20050004935A KR 20050077737 A KR20050077737 A KR 2005007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de
cursor
display
input
c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621B1 (ko
Inventor
히네요이치
노지마도시노리
호소카와다케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rinting code ma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바코드 데이터의 특수 자리수 문자를 입력 문자로 하거나, 입력 문자를 특수 자리수 문자로 하는 것과 같은 오해를 이용자에게 주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된 문자열은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고,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는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커서의 위치가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다른 커서 위치와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켜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DUCING BARCODE DATA}
본 발명은,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바코드 (「바코드」의 용어에는, 적당히, 일반적인 바코드뿐만 아니라 2차원 코드도 포함한다)의 입력·인쇄 기능을 갖는 테이프 인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바코드의 인쇄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와 같은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는, 바코드로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열(캐릭터열)의 입력 방법이나 처리 방법 등은, 취급하는 바코드의 규격에 준거하고 있다.
예를 들면, 소위 NW-7(JIS-X-0503)이라고 불리는 바코드 규격에서는, 입력된 문자열 본체에 대한 체크 디지트(체크 캐릭터라고도 불린다)는, 문자열 본체의 마지막이 아니라, 문자열 본체의 도중에 삽입되도록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이 바코드 규격 대응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는, 입력된 문자열 본체에 기초한 연산에 의해서, 체크 디지트의 값을 정하고, 그 체크 디지트값을 문자열 본체의 도중의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이 체크 디지트를 표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커서 이동시에는, 체크 디지트의 위치를 커서 정지 위치로는 하지 않고, 이동 방향으로 체크 디지트의 다음의 문자에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7-23490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체크 디지트를 포함시킨 일련의 문자열의 표시 상태에서, 체크 디지트를 사이에 끼운 커서 이동시에, 커서가 체크 디지트를 점프하여 이동하는 것에 위화감을 품는 이용자도 많이 생긴다.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 등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익숙해져 있고, 또한, 바코드 입력은 초보자인 이용자는, 커서가 자동적으로 1문자를 뛰어 넘는 것에 놀라움을 느껴서, 조작 미스를 해 버렸다고 오해할 가능성도 있다.
또, 애당초 체크 디지트는 바코드 리더로 바코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정보이고, 인쇄를 행하는 이용자측에 있어서는, 일련의 문자열 중에 반드시 체크 디지트가 표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거나, 혹은 체크 디지트의 존재 자체를 모르거나 하는 이용자도 있다. 그와 같은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일련의 문자열 중에 체크 디지트가 표시되는 것에 기인하는 커서 이동(체크 디지트를 점프하는 이동)에 위화감을 품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표시에 관해서, 이용자에게 오해를 주지 않은 표시 형태 내지 표시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은,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체크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체크 디지트의 값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은,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을 갖는 것으로서, 입력된 문자열 및 커서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커서의 이동 지령을 취입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수단을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은,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체크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체크 디지트의 값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은,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된 문자열 및 커서를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에서 작성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과, 상기 커서의 이동 지령을 취입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공정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본 발명의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의 각 공정을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코드로 기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을, 테이프 인쇄 시스템, 테이프 인쇄 방법 및 테이프 인쇄 프로그램에 적용한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시스템(테이프 인쇄 장치)은, 테이프 인쇄 전용의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크게는, 입력부(10), 제어부(20) 및 출력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20)가, 입력부(10)로부터의 정보나 그 시점의 처리 단계 등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여, 그 처리 결과 등을 출력부(30)에 의해서 표시 출력 또는 인쇄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입력부(10)는,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지만 가압 키(또는 다이얼 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11)나, 테이프 폭 검출 센서(12)를 갖는다. 키 입력부(11)는, 제어부(20)에 부여하는 문자 코드나 각종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이다. 테이프 폭 검출 센서(12)는,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의 폭을 검출하여 테이프 폭 정보를 제어부(20)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키 입력부(11)에는, 바코드 입력·인쇄 모드(바코드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바코드 모드 키(11a)(전용 키여도 되고, 다른 키 등과 함께 이용되는 겸용 키여도 되고, 또한, 소정 순서로 조작되는 다수 종류의 키군이어도 된다)도 설치되어 있다.
출력부(30)는, 인쇄 구성과 표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스텝핑 모터나 직류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리본 이송 모터(31)는, 장전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나 잉크 리본을 소정의 인쇄 위치나 장치 외부까지 송출하는 것이고, 인쇄 헤드(여기에서는 서멀 헤드로 한다)(32)는 예를 들면 고정되어 있고, 주행하는 테이프에 대해서 열 전사에 의해서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이들 테이프·리본 이송 모터(31) 및 서멀 헤드(32)는 각각, 제어부(20)의 제어 하에서, 모터 구동 회로(33)나 헤드 구동 회로(34)에 의해서 구동된다. 인쇄된 테이프의 절단은,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외력 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의 표시부로서, 예를 들면 소정 사이즈의 문자를 수행(數行)(예를 들면 4행)에 걸쳐서 수문자(數文字)(예를 들면 6문자) 정도 표시할 수 있는 정도의 액정 디스플레이(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35)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6)에 의해서 구동된다.
액정 디스플레이(35)의 표시면은, 입력된 문자열 등을 표시하는 문자 표시 영역과, 입력된 문자열의 각 행의 입력 상태 등을 표시하는 행 번호 인디케이터와, 입력 문자열에 관한 각종 속성 등을 표시하는 속성 인디케이터를 갖는다. 각 속성 인디케이터는, 그 온 표시가, 그 속성 인디케이터에 대응한 표시면의 주위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가 표시하는 속성이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각 속성 인디케이터가 지시하는 속성으로서는, 문자 사이즈에 대한 것이나, 가나 입력이나 로마자 입력 등의 입력 방식에 대한 것이나, 세로 쓰기나 가운데 정렬 등의 문자열의 어느 정도의 집합을 단위로 한 것이나, 장식 문자나 영서체 등의 문자 단위의 것이나, 기본적인 서식의 채용 유무를 표시하는 것 등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CPU(21), ROM(22), RAM(23), 캐릭터 제너레이터 ROM(CG-ROM)(24), 입력 인터페이스(25) 및 출력 인터페이스(26)가 시스템 버스(27)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22)은, 1 또는 복수개의 ROM 칩으로 이루어지고, ROM(22)에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가나 한자 변환용 사전 데이터 등의 고정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바코드 모드의 실행 프로그램(22a)도 격납되어 있다.
RAM(23)은, 1 또는 복수개의 RAM 칩으로 이루어지고,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또, 유저 입력에 관한 고정 데이터 등도 격납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RAM(23)으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EEPROM 등의 다른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RAM(23)은, 인쇄하는 문자열이나 바코드를 도트 전개하여 격납하는 인쇄 버퍼나, 입력 문자열이나 입력된 바코드 문자열 등에 대한 표시 화상을 격납하는 표시 버퍼나, 인쇄나 입력에 관한 문자 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텍스트 버퍼나, 행 번호 인디케이터에 대한 표시 양태를 유지하는 행 번호 인디케이터 상태 유지 버퍼나, 속성 인디케이터에 대한 표시 양태를 유지하는 속성 인디케이터 상태 유지 버퍼 등을 갖는다.
CG-ROM(24)은, 해당 테이프 인쇄 장치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나 기호의 도트 패턴을 격납하고 있는 것으로, 문자나 기호를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부여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도트 패턴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용과 인쇄용으로 별개의 CG-ROM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폰트 정보의 격납 형식은, 아웃라인 폰트 형식 및 비트맵 형식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또, 어느 문자에 대한 바코드의 도트 패턴도, CG-ROM(24)에 격납해 두어도 되지만, 선폭이나 선간 등의 파라미터 데이터를, ROM(22)에 격납해 두고, 바코드 패턴에 대응하도록 해도 된다.
입력 인터페이스(25)는, 입력부(10) 및 제어부(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것이고, 출력 인터페이스(26)는, 출력부(30) 및 제어부(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것이다.
CPU(21)는, 입력부(10)로부터의 입력 신호나 그 때의 처리 단계에 따라서 정해지는 ROM(22) 내의 처리 프로그램을, RAM(23)을 워킹 에어리어로서 이용하면서, 또, 필요하면 ROM(22)이나 RAM(23)에 격납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를 적당히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그 처리 상황이나 처리 결과 등을 액정 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키거나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에 인쇄시키거나 하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동작(테이프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는, 바코드가 표현하는 문자열의 입력시의 동작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바코드를 인쇄시키기 위한 전체 순서를 설명한 후, 상술한 특징적인 바코드 문자열의 입력 동작을 설명한다.
바코드 모드 키(11a)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CPU(21)는, 도 2의 흐름도로 도시하는 바코드 모드의 실행 프로그램(22a)을 개시한다. 바코드 모드 키(11a)가 조작되었을 때의 일례로서는, 이하와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소정의 2종류의 키의 동시 조작에 의해, 「연속 번호」및「바코드」라는 선택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그 표시 화면에 대한 선택지「바코드」의 선택을 위한 키 조작에 의해, 바코드 모드의 실행 프로그램(22a)을 개시한다.
CPU(2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코드 모드의 실행 프로그램(22a)을 개시하면, 이제부터 인쇄시키는 바코드의 규격의 정보(규격명)를 취입한다(단계 100). 예를 들면, 표제가「바코드」이고, 각 선택지로서, 「ITF」,「NW-7」,「UPC-A」등의 바코드의 규격명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용자가 의도하고 있는 바코드 규격명을 취입한다. 이 때, 액정 디스플레이(35)의 표시 행수에 비교하여 선택지수가 많은 경우에는, 적당히 스크롤 표시 처리를 행한다(다른 선택용 표시 화면에서도 동일하다).
바코드의 규격명을 취입하면, CPU(21)는, 바코드 전체의 폭을 어느 정도로 할지의 지정을 취입한다(단계 101). 예를 들면, 표제가「전체의 폭」이고, 각 선택지로서, 「작게」,「보통」,「크게」등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켜, 이용자가 의도하고 있는 바코드 전체의 폭을 취입한다. 또, CPU(21)는, 가는 선과 굵은 선의 비율을 어느 정도로 할지의 지정을 취입한다(단계 102). 예를 들면, 표제가「가는 선/굵은 선의 비율」이고, 각 선택지로서,「2.0」,「2.5」,「3.0」등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켜, 이용자가 의도하고 있는 가는 선과 굵은 선의 비율을 취입한다. 또한, CPU(21)는,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지의 여부의 지정을 취입한다(단계 103). 예를 들면, 표제가「C/D」이고, 각 선택지로서,「유」,「무」를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시켜, 이용자가 의도하고 있는 체크 디지트의 부여 유무를 취입한다.
또한, 바코드 전체의 폭의 취입 처리나, 가는 선과 굵은 선과의 비율의 취입 처리나, 체크 디지트의 부여 유무의 취입 처리는, 선택된 바코드 규격(명)에 의해서는 적당히 생략된다.
체크 디지트의 부여 유무의 취입 처리가 종료하면, CPU(21)는,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바코드 문자열의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고, 바코드가 표시하는 문자열(바코드 문자열)을 취입한 후(단계 104), 이용자의 인쇄 기동을 기다려, 입력된 문자열에 관한 바코드의 화상을 장전되어 있는 테이프에 인쇄시킨다(단계 105).
또한, 바코드 문자열의 취입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도 8 참조). 또, 바코드 문자열의 입력 종료가 이용자에게 지시되었을 때에는, 인쇄되는 바코드 화상의 인쇄 이미지를 액정 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키고, 그 확인(OK)의 조작(예를 들면「실행 키」의 조작)에 의해서, 바코드 화상의 테이프로의 인쇄로 이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용자의 인쇄 기동시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수가 과부족인 경우나, 허용되어 있지 않은 문자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키는 등의 에러 처리를 행한다.
바코드 문자열의 입력 화면(35a)은,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바코드 규격을 명시한 행(35a1)과, 체크 디지트의 부여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행(35a2)과,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행(35a3)을 갖는다.
도 3은, 바코드 규격으로서「NW-7」이 지정되고, 체크 디지트의 부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지 않은 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행(35a2)은 공백행이 된다. 체크 디지트의 부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행(35a2)의 전반 부분에는, 체크 디지트의 부여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C/D」가 표시되고, 행(35a2)의 후반의 소정 위치(35a2D)에는 체크 디지트의 값이 표시된다. 또한, 도 3의 경우와 같은 바코드 문자열이 1문자도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위치(35a2D)에는,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 위치인 것을 표시하는 「-」가 표시된다. 입력된 문자열의 표시행(35a3)은 「 [ 」 과「 ] 」로 끼워진 문자열의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이들 대괄호로 끼워진 문자열이 바코드 문자열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입력 필드에는, 커서(35a3C)도 표시된다. 도 3에서는, 커서(35a3C)로서 하선과 같은 가로 커서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로 커서나, 그 밖의 표시 형태의 커서여도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도 4, 도 5∼도 8은, CPU(21)에 의한 바코드 문자열의 취입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체크 디지트의 부여 유무의 취입 처리가 종료하면, CPU(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문자열의 취입 처리에 들어가서, 우선,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문자열의 입력용 화상(의 초기 화상)을 작성하여 액정 디스플레이(35)에 표시시킨 후(단계 200), 키 입력을 대기한다(단계 201). 키 입력의 대기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면, 그 조작 키를 판별하여(단계 202), 조작 키가 문자 키이면 도 5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단계 203)을 실행한 후, 키 입력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고, 조작 키가 커서 좌측 이동 키(상측 이동 키가 동일한 키로 간주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이면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단계 204)을 실행한 후, 키 입력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고, 조작 키가 커서 우측 이동 키(하측 이동 키가 동일한 키로 간주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이면 도 7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단계 205)을 실행한 후, 키 입력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며, 조작 키가 삭제 키이면 도 8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단계 206)을 실행한 후, 키 입력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조작 키가 다른 키인 경우의 처리는 생략하지만, 인쇄 기동 키인 경우에는, 바코드 화상의 인쇄 처리(단계 105)로 이행한다.
문자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21)는 우선, 금회의 입력 문자가 지정되어 있는 바코드 규격에서 입력이 허용되어 있는 문자인지의 여부나, 커서가 체크 디지트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문자 입력이 접수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한다(단계 300). 금회의 입력 문자가 허용 문자가 아니거나, 커서가 체크 디지트 위치를 나타내고 있거나 하면, CPU(21)는, 경보를 발하는 등의 에러 처리를 행한 후(단계 301),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금회의 입력 문자가 허용 문자이고, 또한, 커서가 체크 디지트 위치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면, CPU(21)는, 금회의 입력 문자를, 문자열의 입력 필드(도 3 참조)에 추가시키는 동시에(단계 302), 추가된 문자의 다음의 위치의 문자 입력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커서의 표시 위치를 갱신시킨다(단계 303).
그 후, CPU(21)는, 체크 디지트(C/D)를 부여하는 지정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04).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지 않은 지정 상태이면, CPU(21)는,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로 즉시 되돌아간다. 한편,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지정 상태이면, CPU(21)는, 금회의 입력 문자를 포함시켜서 체크 디지트값을 다시 계산하여(단계 305), 그 체크 디지트값을,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 위치(35a2D)(도 3 참조)에 표시시켜서(단계 306),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커서 좌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21)는 우선, 커서의 위치가 좌측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50). 예를 들면, 가장 좌측의 자리수(문자 위치)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등, 커서의 위치가 좌측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위치에 없으면, CPU(21)는, 금회의 키 조작을 접수할 수 없는 취지의 경보 등을 발하여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단계 351).
커서의 위치가 좌측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CPU(21)는,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52).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지 않은 설정이면, CPU(21)는, 커서 위치를 1자리수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후(단계 353),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해서,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면, CPU(21)는, 좌측 이동 처리 후의 커서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54).
상술한 바와 같이, 행(35a3)은,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행이고, 체크 디지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이 행(35a3)에는, 체크 디지트가 표시되지 않지만, 커서의 위치와 표시 양태에 의해서,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령, 어느 바코드 규격이, 입력된 7문자+체크 디지트의 합계 8문자에 관한 바코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고, 체크 디지트의 위치가, 합계 8문자 중의 6번째의 위치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체크 디지트를 포함하지 않은 7문자 중의 6번째의 위치(입력 문자수가 7문자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의 문자의 1문자 전의 위치)에 커서가 있을 때에는, 2종류의 표시 양태가 있다. 첫 번째가, 커서로서의 일반적인 표시 양태이고(예를 들면, 점등), 이 경우에는, 6번째의 위치의 문자가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두 번째가, 커서로서의 특수한 표시 양태이고(예를 들면, 점멸), 이 경우에는,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6번째의 위치의 문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 6번째의 위치의 문자의 전에, 바코드 화상에서는, 체크 디지트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계 354의 판정은, 6번째의 위치의 문자가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는 커서의 표시 상태에서, 커서 좌측 이동 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다.
좌측 이동 처리 후의 커서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이면, CPU(21)는, 커서의 표시 양태를 일반적인 표시 양태로부터 특수한 표시 양태로 변경하는 동시에(단계 355), 행(35a2)의 전반의「C/D」및 또는 행(35a2)의 후반의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를 이용자에게 주의를 재촉하는 양태(예를 들면 점멸)로 표시시킨 후(단계 356),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는, 커서의 표시 양태가 전환되어, 관념적으로 체크 디지트의 위치를 통지하고 있지만, 물리적인 표시 상의 커서 위치는 변화하지 않다.
좌측 이동 처리 후의 커서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21)는, 키가 조작되었을 때의 커서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357). 부정 결과를 거쳤을 때에는, CPU(21)는, 커서 위치를 1자리수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후(단계 353),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해서, 커서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 경우에, 커서 좌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CPU(21)는, 커서의 표시 양태를 특수한 표시 양태로부터 일반적인 표시 양태로 되돌리는 동시에(단계 358), 행(35a2)의 전반의「C/D」및 또는 행(35a2)의 후반의 체크 디지트값의 주의를 환기하는 표시도 종료시키고(단계 359), 또한, 커서 위치를 1자리수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후(단계 353),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커서 우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CPU(2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세 처리를 행한다. 이 도 7에 도시하는 처리는, 커서 좌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의 상술한 도 6에 도시하는 처리에 비교하여, 커서의 이동 방향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삭제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21)는 우선,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450).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CPU(21)는, 커서가 위치하고 있었던 문자를 삭제시키고(단계 451),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면, CPU(21)는, 커서의 위치(표시 양태)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452). 커서의 위치(표시 양태)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이면, CPU(21)는, 금회의 삭제 지시를 접수할 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경보를 발하고(단계 453), 한편, 커서의 위치(표시 양태)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가 아니면, CPU(21)는, 커서가 위치하고 있었던 문자를 삭제시키는 동시에, 체크 디지트값을 재계산하여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를 갱신시키고(단계 454),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삭제에 의해, 입력 문자열이 없어진 경우에는, 단계 454의 처리에서는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란에「-」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현재,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코드 규격으로서 NW-7이 선택되고, 체크 디지트의 부여 설정이 이루어져서, 문자열로서, [4912349]가 입력되었다고 한다.
또한, 도 9는, 실제의 표시 화면으로 볼 수도 있지만, 입력 문자열의 전체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가상적인 표시 화면을 의미하고 있다.
입력 문자열에서의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에 커서가 위치하는 경우의 표시 양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표시 양태(예를 들면 커서가 점등)와, 특수의 표시 양태(예를 들면 커서가 점멸)가 있다.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가 도 9(B)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그 「4」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나 체크 디지트값「4」는 점멸 표시되지 않고 단지 점등 표시되어 있다. 한편,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가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수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그 「4」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4」의 직전의 위치가 체크 디지트의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있고, 이 때에는,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나 체크 디지트값「4」는 점멸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우측의 문자「9」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 커서 좌측 이동이 지시되면,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에 대해서 커서가 통상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는 도 9(B)의 표시 상태로 변화한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 커서 좌측 이동이 지시되면, 커서의 물리적인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그 물리적인 위치인 채로, 도 9(C)에 도시하는 특수한 표시 양태로 이행하고, 또, 문자「C/D」나 체크 디지트값「4」도 점멸 표시된다.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에 커서가 위치하여 특수한 표시 양태로 표시되어 있을 때에, 커서 좌측 이동이 지시되면, 우측으로부터 3번째의 문자「3」에 대해서 커서가 통상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는 도 9(D)의 표시 상태로 변화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체크 디지트의 부여 설정이 이루어져 있어도, 바코드에 관한 문자열의 표시행에는 체크 디지트를 포함시키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용자가 체크 디지트를 입력 문자로 오해하거나, 입력 문자를 체크 디지트로 오해하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체크 디지트의 부여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것, 및, 체크 디지트값은, 입력 문자열과는 상이한 위치에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입력 문자열에 대한 커서 이동에서는, 체크 디지트 위치를, 커서의 표시 양태나, 체크 디지트의 부여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 및/또는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 양태로 통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바코드에 관한 문자열의 표시행에 체크 디지트를 포함시키지 않도록 해도, 체크 디지트의 위치를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체크 디지트 위치에서는, 커서를 특수한 표시 양태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체크 디지트 위치에서는, 커서의 표시를 정지하고,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나 체크 디지트값의 표시 양태의 변화로, 체크 디지트 위치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체크 디지트 위치를 통지하는 커서의 특수한 표시 양태도,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서의 입력 문자열 중의「3」및「4」의 2문자의 전체 또는 그 중간을 걸치는 것과 같은 커서 표시여도 된다.
또한, 체크 디지트에 관한 표시 내용은,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와 체크 디지트값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표시 내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만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특수 자리수 문자가 체크 디지트인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스타트 코드나 스톱 코드 등의 다른 문자나 코드여도 된다.
또, 체크 디지트 위치에서도 커서를 통상의 표시 상태로 하고,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와 체크 디지트값도 통상의 표시 상태로 해도 된다. 즉, 입력 문자열은 마치 체크 디지트가 존재하지 않는 듯한 표시 상태로 하고, 체크 디지트의 유무 및 그 값에 대해서는, 입력 문자열과 상이한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체크 디지트 부여가 채용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문자「C/D」와 체크 디지트값에 의해,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이면,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우측의 문자「9」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 커서 좌측 이동이 지시되면,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문자「4」에 대해서 커서가 통상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는 도 9(B)의 표시 상태로 변화하고, 또한, 커서 좌측 이동이 지시되면, 우측으로부터 3번째의 문자「3」에 대해서 커서가 통상의 표시 양태로 표시되는 도 9(D)의 표시 상태로 변화한다.
이상과 같은 변형예를 실현하는 처리의 흐름은, 문자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술한 도 5와 동일하고, 커서 좌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6에서 단계 352, 354∼359의 처리를 제외한 것이 되며, 커서 우측 이동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7에서 단계 402, 404∼409의 처리를 제외한 것이 되고, 삭제 키가 조작된 경우이면, 도 8에서 단계 452 및 453의 처리를 제외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차원 코드의 바코드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지만, 2차원 코드 대응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용기로서의 테이프 인쇄 시스템(테이프 인쇄 장치)을 나타내었지만,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 정보 처리 장치의 주변 장치로서의 라벨 프린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바코드 데이터의 작성 기능을 갖는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의하면,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표시에서, 이용자에게 오해를 주지 않은 표시 형태 내지 표시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바코드 정보의 입력, 인쇄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실시 형태의 바코드 입력용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바코드 정보의 입력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단계 203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4의 단계 204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4의 단계 205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4의 단계 206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실시 형태의 체크 디지트값 등의 표시 방법의 설명도,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체크 디지트값 등의 표시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11 : 키 입력부
11a : 바코드 모드 키 20 : 제어부
21 : CPU 22 : ROM
30 : 출력부 32 : 서멀 헤드
35 : 액정 디스플레이 35a : 바코드 문자열의 입력 화면
35a1 : 바코드 규격의 명시행
35a2 : 체크 디지트의 부여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행
35a3 : 입력 문자열 표시행

Claims (12)

  1.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체크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을 갖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체크 디지트의 값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2.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을 갖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 및 커서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커서의 이동 지령을 취입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수단을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열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커서 자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입력 문자열과 커서만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특수 자리수 문자가 체크 디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6.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체크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체크 디지트의 값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7.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 및 커서를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에서 작성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과,
    상기 커서의 이동 지령을 취입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공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공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열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커서 자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공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는, 입력 문자열과 커서만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특수 자리수 문자가 체크 디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11.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체크 디지트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을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수단이 작성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체크 디지트의 값을,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을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의 각 공정을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코드로 기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12. 바코드 규격이 규정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입력 공정과, 입력된 문자열과 조작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은 특수 자리수 문자로 이루어지는 바코드 데이터를 작성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을 포함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열 및 커서를 표시 수단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작성 공정에서 작성된 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공정과,
    상기 커서의 이동 지령을 취입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공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가 상기 특수 자리수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와, 다른 문자의 위치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특수 자리수 문자에 관한 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키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의 각 공정을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코드로 기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
KR1020050004935A 2004-01-29 2005-01-19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646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1463 2004-01-29
JP2004021463A JP4079891B2 (ja) 2004-01-29 2004-01-29 バーコードデータ作成システム、バーコードデータ作成方法、及び、バーコード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37A true KR20050077737A (ko) 2005-08-03
KR100646621B1 KR100646621B1 (ko) 2006-11-23

Family

ID=3483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935A KR100646621B1 (ko) 2004-01-29 2005-01-19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7324B2 (ko)
JP (1) JP4079891B2 (ko)
KR (1) KR100646621B1 (ko)
CN (1) CN100433035C (ko)
TW (1) TWI277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377B1 (en) 2000-07-18 2003-12-23 Scott C. Harris Bar code data entry device
JP2007114837A (ja) * 2005-10-18 2007-05-10 Seiko Epson Corp Hri文字付きバーコードの生成方法、hri文字付きバーコードの生成装置、印刷装置、プログラム
US20100147960A1 (en) * 2008-12-17 2010-06-17 Global Graphics Software Limite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inting bar cod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626A (en) * 1976-02-05 1978-01-24 Basf Ag Glicolic anilideennmthylolether and preparation thereof
JPS5723144A (en) 1980-07-18 1982-02-06 Teraoka Seiko Co Ltd Bar-code setting method of printer
GB2077970B (en) * 1980-02-26 1984-12-19 Teraoka Seikosho Kk A label printer
US5023438A (en) * 1988-11-26 1991-06-11 Nitto Kohki Co., Ltd. Portable data input apparatus with different display modes
JP2998817B2 (ja) 1992-04-30 2000-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バーコード印刷装置
US5811781A (en) * 1993-11-05 1998-09-22 Intermec Corporation Bar code symbology capable of encoding 16-bit charact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reading same
US5557092A (en) * 1993-11-05 1996-09-17 Interme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16-bit and numeric data collection using bar code symbologies
JP3412900B2 (ja) 1994-02-23 2003-06-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データ作成装置
US5513264A (en) * 1994-04-05 1996-04-30 Metanetics Corporation Visually interactive encoding and decoding of dataforms
CN2332004Y (zh) * 1998-03-25 1999-08-04 胡晓春 实时显示条码计数器
JP3534250B2 (ja) * 2002-04-23 2004-06-07 中村 憲生 動的バーコード表示装置及び動的バーコード生成方法並びに動的バーコードを生成する記憶媒体。
JP2003341196A (ja) 2002-05-31 2003-12-03 Sato Corp 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79891B2 (ja) 2008-04-23
TW200532566A (en) 2005-10-01
CN1648930A (zh) 2005-08-03
JP2005215966A (ja) 2005-08-11
US7357324B2 (en) 2008-04-15
TWI277908B (en) 2007-04-01
US20050178837A1 (en) 2005-08-18
CN100433035C (zh) 2008-11-12
KR100646621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1674B2 (ja) 点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点字ラベル作成方法、及び、点字ラベル作成プログラム
EP0577247A1 (en) Tape print device
KR100646621B1 (ko) 바코드 데이터 작성 시스템, 바코드 데이터 작성 방법, 및 바코드 데이터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5606658A (en) Text processing device for printing character strings in various character string shapes
EP2105311B1 (en) Print data gener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int data generation program
JPH05305748A (ja) 印字装置
KR100628800B1 (ko) 소인쇄물 작성 장치, 소인쇄물 작성 방법 및 소인쇄물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P0271321B1 (en) Display device for typewriters
JPH0615909A (ja) テープ印字装置
JPH07186456A (ja) 印刷装置
JP2008135041A (ja) テープ印刷装置
EP0606768A2 (en) Registration dot pattern data processor of a text processing apparatus
JP4603828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2998817B2 (ja) バーコード印刷装置
JP3118999B2 (ja) スケール印刷装置
JP2998829B2 (ja) テープ状ラベル作成装置
JP3630161B2 (ja) 印刷装置
JP4463487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印字装置
JPH07285244A (ja) 印字装置
EP0593190A2 (en) Print processing apparatus
JP3237979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H0752496A (ja) 印字装置
JPH0825704A (ja) バーコード印刷装置
JPH07195751A (ja) 印刷装置
JPH0624085A (ja) ラベル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