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15A -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 Google Patents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15A
KR20050077715A KR1020040038741A KR20040038741A KR20050077715A KR 20050077715 A KR20050077715 A KR 20050077715A KR 1020040038741 A KR1020040038741 A KR 1020040038741A KR 20040038741 A KR20040038741 A KR 20040038741A KR 20050077715 A KR20050077715 A KR 2005007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mp
arcuate support
camera head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복
이희명
아니마이클
무드알랜크리소퍼
윌슨제임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7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이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봇 부재와; 상기 피봇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된 아치형 지지대와;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자유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헤드;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Video Presenter with Arch type Support}
본 발명은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치형의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기는 대상 물체를 씨씨디 카메라(charge coupled camera)로 촬상하여 이를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학술 및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특히 실물 화상기에서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씨씨디 카메라에 현미경 렌즈와 같이 실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렌즈를 결합함으로써, 미세한 대상 물체를 확대시킨 화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물 화상기에는 다양한 주변 장치가 포함되며, 예를 들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키 위해 실물을 조명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실물 화상기는 씨씨디 카메라를 지지하는 구조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는 촬상 대상인 실물의 입체 형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캡쳐할 수 있는 구성을 가져야 한다. 즉, 촬상시에 카메라지지 구조와 실물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촬상된 이메이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조명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조명과 실물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본 특개평 7-107377 호에 개시된 실물 화상기에서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두개의 지지대가 관절을 통해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 1 지지대는 테이블과 제 2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 2 지지대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카메라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 개재된 실물 화상기에서는 실물 화상기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 카메라를 분리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2 지지대를 테이블에 근접시킬때 카메라의 부피에 기인하여 제 2 지지대가 테이블에 적절하게 접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2011715 호에 개시된 실물 화상기에 따르면,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대는 망원경식으로 형성되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2 개의 조명이 테이블의 양 측에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실물 화상기는 2 개의 조명이 구비됨으로써 조명의 강도는 증가할 수 있지만, 조명이 실물에 접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대나 조명을 지지하는 지지대 모두가 직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 위치에 따라서 실물과 간섭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실물 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실물 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지지대가 실물과 상호 간섭하지 않는 실물 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이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봇 부재와;
상기 피봇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된 아치형 지지대와;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자유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헤드;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지지대에 부착된 램프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내측 표면에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 램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명 램프는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 마운트와, 상기 램프 마운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램프 튜브를 유지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테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아치형 지지대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테이블에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테이블의 상부 표면과 상기 피봇 부재에 대한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회전 중심 사이 거리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헤드의 외주면을 고무 테두리로써 감싼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는 촬상의 대상인 실물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봇 부재 (12), 상기 피봇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된 지지대(13)와, 상기 아치형 지지대(13)의 자유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헤드(14)를 구비한다.
실물 화상기의 테이블(11)의 내부에는 실물 화상기의 모든 작동을 처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자 회로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블(11)은 소정의 두께를 구비함으로써 전자 회로 기판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1)의 상부 표면 일측에는 조작 패널(control panel, 16)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12)의 버튼등을 조작함으로써 실물 화상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테이블(11)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평면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예에서는 그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서 적용되었던 사각형 테이블이나 타원형의 테이블도 가능할 것이며, 본원 발명은 테이블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테이블(11)의 일측에 구비된 조작 패널(16)은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파워 버튼, 램프 버튼, 줌 버튼, 또는 이미지 제어 버튼등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 패널(16)에 구비된 버튼들의 상부 표면은 테이블(11)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버튼들이 테이블(11)의 상부 표면의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테이블(11)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테이블(11)의 일측에 설치된 피봇 부재(12)는 아치형 지지대(1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봇 부재(12)에는 클램프 레버(17)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클램프 레버(17)를 조작함으로써 아치형 지지대(13)를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거나, 또는 아치형 지지대(13)를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둘 수 있다. 피봇 부재(12), 클램프 레버(17) 및, 아치형 지지대(13)의 결합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아치형 지지대(13)의 단부에 축(미도시)을 고정하고, 상기 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고리형 베어링(미도시)을 피봇 부재(12)에 설치함으로써 아치형 지지대(13)가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램프 레버(17)는 상기 피봇 부재(12) 상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될 수 있게 하고,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아치형 지지대(13)의 축에 대하여 가압됨으로써 아치형 지지대(1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대한 민국 공개실용신안 1997-0052552 호를 참조하면, 실물 화상기의 아암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으며, 그러한 장치를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봇 부재(12)의 높이는 테이블(11)의 저면으로부터 h 의 높이를 가진다. 또한 테이블(1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지지대(13)의 회전축의 중심 까지의 거리는 h' 의 높이를 가진다. 이와 같은 피봇 부재(12)의 높이(h)및, 아치형 지지대(13)의 회전축 중심의 높이(h')는 카메라 헤드(14)가 테이블(1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아치형 지지대(13)가 회전하였을 때 카메라 헤드(14)가 테이블(1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한다.
아치형 지지대(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아치형의 형상은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을 이룬다. "아치형"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아치형, 아크형, 굽힘 형상, L 자 형상, 브래킷 형상등으로 포괄하도록 사용된다. 아치형 지지대(13)는 별도의 관절이 없이도 아치형 지지대(13)의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 헤드(14)를 테이블(11)의 중심부 위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즉, 아치형 지지대(13)의 일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 헤드(14)는 아치형 지지대(13)에 회전에 의해 테이블(11) 중심의 위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아치형 지지대(13)는 테이블(11) 위의 공간 상에 놓이는 실물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는 아치형 지지대(13)가 만곡된 경로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테이블(11) 위에 형성되는 실물 배치 공간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치형 지지대(13)는 만곡된 내표면상에 램프(15)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램프(15)를 위한 별도의 지지 구조가 생략될 수 있게 한다.
아치형 지지대(13)의 상부 단부에는 카메라 헤드(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메라 헤드(14)는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것이다. 카메라 헤드(14)의 외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은 제 1 피봇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피봇 하우징(20)은 아치형 지지대(13)의 일 단부에 구비된 제 2 피봇 하우징(19)에 대하여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제 1 피봇 하우징(20)과 제 2 피봇 하우징(19)의 회전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피봇 하우징(19)의 내부에 피봇 샤프트(미도시)를 고정시키고, 제 1 피봇 하우징(20)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 1 피봇 하우징(20)과 제 2 피봇 하우징(19)의 대향하는 측 사이에 탄성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판 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함으로써, 피봇 하우징(19,20)들 사이에서 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야기되는 마찰에 기인하여 서로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판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는 경우에만 카메라 헤드(14)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카메라 헤드(14)의 회전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헤드(14)의 외부 표면에는 고무 테두리(18a,18b)가 에워싸게 된다. 고무 테두리(18a,18b)는 카메라 헤드(14)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테이블(11)에 접촉하였을 때 카메라 헤드(14)와 테이블(11)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테두리(18a,18b)는 카메라 헤드(14)의 중간과 하단을 에워싸게 된다.
램프(15)는 아치형 지지대(13)의 만곡된 곡면의 내측에 설치된다. 램프(15)는 이후에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램프 마운트에 대하여 램프 홀더가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램프(15)가 아치형 지지대(13)에 설치됨으로써 램프(15)는 테이블(11)에 놓인 실물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또한 램프(15)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것은 도 1 에 도시된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이블(11)의 일측에는 접속 단자(25)들이 구비된다. 접속 단자(25)들은 실물 화상기를 다른 주변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단자들이다. 접속 단자(25)들은 예를 들면 VGA 아웃 포트, VGA 인 포트, RS-232C 포트, USB 포트 및, 마우스 포트등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테이블(11)의 다른 일측에는 파워 커넥터(26)들이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커넥터는 예를 들면 DC 12 볼트 인 커넥터와 아웃 커넥터일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도 1에 도시된 램프를 분리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램프(15)는 램프 마운트(41)와 램프 홀더(42)를 구비한다. 램프 마운트(41)는 아치형 지지대(13)에 볼트(43,44)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램프 마운트(41)의 일 표면은 아치형 지지대(13)의 만곡된 표면에 대응하는 만곡면으로써 형성된다. 램프 홀더(42)는 그 내부에 램프 튜브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11) 위에 놓인 실물을 근접한 거리에서 조명할 수 있다. 램프 홀더(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가 램프 마운트(41)에 대하여 피봇 연결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다. 램프 홀더(42)는 램프 마운트(41)에 대하여 피봇 회전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테이블(11) 상에 놓인 실물을 조명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도 1 에 도시된 실물 화상기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헤드(14)는 그 원주면이 테이블(11)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접혀진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헤드(14)의 제 1 피봇 하우징(20)이 처음에 지지대(13)의 단부에 부착된 제 2 피봇 하우징(19)에 대하여 회전되고, 다음에 지지대(130가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아래로 회전한다.
도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대(13)가 회전하여 카메라 헤드(14)를 원형 테이블(11)의 상부 표면과 완전하게 접촉시키면, 실물 화상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실물 화상기를 제한된 공간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것은 아치형 지지대(13)의 일부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아치형 지지대(13)는 제 1 부분(61)과 제 2 부분(6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부분(61)과 제 2 부분(62)은 볼트를 통하여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 1 부분(61)과 제 2 부분(62)의 내부에는 케이블(73)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73)은 도 1 에 도시된 카메라 헤드(14)로부터 상기 아치형 지지대(13)를 통하여 테이블(11)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도 4 에 도시된 램프 마운트와 램프 홀더의 구조를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램프 홀더(42)는 피봇(72)을 통하여 램프 마운트(4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램프 튜브(71)는 램프 홀더(42)의 일측에 유지됨으로써, 램프 홀더(42)의 회전에 따라서 램프 튜브(71)의 조명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서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 튜브(71)에 대한 전기 공급은 전기 와이어(73)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기 와이어(73)의 일 단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피봇(72)을 통해서 램프 홀더(42)의 내측으로 연결됨으로써 램프 튜브(71)와 접속되며, 전기 와이어(73)의 다른 단부는 플러그(74)에 연결된다. 플러그(74)는 램프 마운트(41)와 아치형 지지대(13)에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게 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볼트(43,44)가 램프 마운트(41)를 아치형 지지대(13)에 고정시키는 반면에, 상기 플러그(74)는 와이어(73)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아치형 지지대(13)를 통해 연장되는 다른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플러그(74)에 접속됨으로써 전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것은 램프 홀더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 조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를 참조하면, 램프 홀더(42)가 램프 마운트(41)에 대하여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정렬된다. 이에 반하여, 도 8b 및, 도 8c 에서는 램프 홀더(42)가 램프 마운트(41)에 대하여 직각으로 회전하게 된다. 각 조명 위치의 선택은 테이블상에 놓인 실물을 조명하는데 최적의 상태인 것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물 화상기를 이용하여 실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도 2 에 도시된 접속 단자(25)를 통해서 실물 화상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실물 화상기의 접속 단자(25)에 구비된 USB 포트와, 퍼스널 컴퓨터(미도시)의 USB 포트(미도시)를 USB 케이블(미도시)로 연결함으로써, 컴퓨터 모니터(미도시)를 통하여 실물 화상기로 촬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물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해서는 실물을 테이블(11)의 상부에 올려놓고, 카메라 헤드(14)를 실물에 근접하게 배치한다. 이때, 피봇 부재(12)에 대하여 아치형 지지대(13)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헤드(14)를 촬상에 적합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 헤드(14)가 아치형 지지대(1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램프(15)도 최적의 조명 위치에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홀더(42)가 램프 마운트(41)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램프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물 화상기를 보관하려고 할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지지대(13)를 접어서 실물 화상기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는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실물과 지지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잡한 관절의 구성 없이도 카메라 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물 화상기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도 1에 도시된 램프를 분리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도 1 에 도시된 실물 화상기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에 도시된 것은 아치형 지지대의 일부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도 4 에 도시된 램프 마운트와 램프 홀더의 구조를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것은 램프 홀더의 위치 변경에 따른 각 조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Claims (6)

  1. 실물이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봇 부재와;
    상기 피봇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며 아치형으로 형성된 아치형 지지대와;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자유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 헤드;를 구비하는 실물 화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지지대에 부착된 조명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조명 램프는 지지대의 내측 표면에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램프는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 마운트와, 상기 램프 마운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램프 튜브를 유지하는 램프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테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아치형 지지대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테이블에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테이블의 상부 표면과 상기 피봇 부재에 대한 상기 아치형 지지대의 회전 중심 사이 거리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헤드의 외주면을 고무 테두리로써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KR1020040038741A 2004-01-30 2004-05-29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KR20050077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68,808 2004-01-30
US10/768,808 US7409147B2 (en) 2004-01-30 2004-01-30 Video presenter with arch-type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15A true KR20050077715A (ko) 2005-08-03

Family

ID=3271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41A KR20050077715A (ko) 2004-01-30 2004-05-29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9147B2 (ko)
KR (1) KR20050077715A (ko)
CN (1) CN1649389A (ko)
GB (1) GB24106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66B1 (ko) * 2008-07-31 2013-06-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57B2 (en) * 2004-01-30 2008-07-29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including table with curved contour
JP4511322B2 (ja) * 2004-11-25 2010-07-28 株式会社エルモ社 撮像装置
US7394978B2 (en) * 2004-11-25 2008-07-01 Elmo Company Limited Imaging device
US7564499B2 (en) * 2005-01-12 2009-07-21 Samsung Techwin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video presenter and video presenter having the same
JP2006197320A (ja) * 2005-01-14 2006-07-27 Elmo Co Ltd 資料提示装置
DE102005036230B3 (de) * 2005-08-02 2006-11-23 Leica Microsystems (Schweiz) Ag Stereomikroskop mit Auflicht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05049338B3 (de) * 2005-10-12 2007-01-04 Silvercreations Software Ag System zur digitalen Dokumentenerfassung und -speicherung
JP4597875B2 (ja) * 2006-01-19 2010-12-15 株式会社エルモ社 資料提示装置用の撮像カメラヘッド
JP4597874B2 (ja) * 2006-01-19 2010-12-15 株式会社エルモ社 資料提示装置
JP2009159015A (ja) * 2007-12-25 2009-07-16 Elmo Co Ltd 撮像装置
TWM352703U (en) * 2008-09-04 2009-03-11 Quanta Comp Inc Document snapshot device
KR20130103548A (ko) * 2010-11-05 2013-09-23 가부시키가이샤 엑사마스티카 촬영장치 및 해당 촬영장치에 의해서 촬영한 화상의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촬영시스템
US9992453B2 (en) * 2012-07-20 2018-06-05 Freedom Scientific, Inc. Multiposition magnifier camera
JP6075756B2 (ja) * 2012-12-07 2017-02-08 株式会社Pfu 照明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997601B2 (ja) 2012-12-17 2016-09-28 株式会社Pfu 撮像システム
CN104298049B (zh) * 2013-07-16 2017-11-14 北京联合大学 自然形态连续花纹生成器
JP5698823B1 (ja) 2013-10-31 2015-04-08 株式会社Pfu 照明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US10376044B2 (en) * 2016-01-19 2019-08-13 Pathway Innovationa and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learning desk with document camera
EP3420397A4 (en) 2016-02-26 2019-12-04 Freedom Scientific, Inc. MAGNIFICATION DEVICE WITH ADJUSTABLE CAMERA
CN109084224A (zh) * 2018-08-31 2018-12-25 赛尔富电子有限公司 具有细长壳体的灯具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377A (ja) * 1993-10-04 1995-04-21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US5557663A (en) * 1995-02-15 1996-09-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grated and coherent audio-video user interface allowing flexible image input
US5594502A (en) * 1993-01-20 1997-01-14 Elmo Company, Limited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US5734417A (en) * 1995-12-05 1998-03-31 Yokogawa Precision Corporation Visual presentation equipment
KR19980060927U (ko) * 1997-03-19 1998-11-05 문상우 실물 화상기
KR200262243Y1 (ko) * 2001-10-15 2002-03-18 주식회사 토펙스 실물화상기
US20030202224A1 (en) * 2002-04-25 2003-10-30 Nec Viewtechnology, Ltd. Image pick-up device
KR20030088520A (ko) * 2002-05-11 200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989A (ja) 1993-08-31 1995-03-17 Elmo Co Ltd 撮像装置
US6317155B1 (en) * 1995-04-11 2001-11-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put apparatus with illumination devices stored away from camera image pickup
JP2881395B2 (ja) 1995-12-05 1999-04-12 横河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資料提示装置
US5863209A (en) * 1997-05-08 1999-01-26 L&K International Patent & Law Office Educat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0503167B1 (ko) 2000-08-04 2005-07-25 에이치. 김 리차드 다목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 시트 상자
TW472169B (en) 2001-02-06 2002-01-11 Avermedia Tech Inc Object projection device capable of demarcating the projecting position
AUPS143702A0 (en) * 2002-04-02 2002-05-09 van der Linden, Garrath Camera mount
USD495355S1 (en) * 2003-11-04 2004-08-31 Samsung Techwin Co., Ltd. Video present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502A (en) * 1993-01-20 1997-01-14 Elmo Company, Limited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JPH07107377A (ja) * 1993-10-04 1995-04-21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US5557663A (en) * 1995-02-15 1996-09-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grated and coherent audio-video user interface allowing flexible image input
US5734417A (en) * 1995-12-05 1998-03-31 Yokogawa Precision Corporation Visual presentation equipment
KR19980060927U (ko) * 1997-03-19 1998-11-05 문상우 실물 화상기
KR200262243Y1 (ko) * 2001-10-15 2002-03-18 주식회사 토펙스 실물화상기
US20030202224A1 (en) * 2002-04-25 2003-10-30 Nec Viewtechnology, Ltd. Image pick-up device
KR20030088520A (ko) * 2002-05-11 200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66B1 (ko) * 2008-07-31 2013-06-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412747D0 (en) 2004-07-07
US7409147B2 (en) 2008-08-05
GB2410641A (en) 2005-08-03
CN1649389A (zh) 2005-08-03
US20050168627A1 (en) 2005-08-04
GB2410641B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7715A (ko) 아치형 지지대를 구비한 실물 화상기
JP5964839B2 (ja) 電子拡大装置
EP0749034B1 (en) Image input apparatus having a suppor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amera head
WO2020258146A1 (zh) 云台
KR20030088520A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JP2005099708A (ja) カメラスタンド
JP6483824B2 (ja) 携帯端末類用回転端子装置及び電気スタンド
US7742102B2 (en) Extendable pivot shaft mechanism, and an extendable pivot shaft mechanism of a camera for pivoting a rotatable grip on a camera body
KR101012706B1 (ko) 외주가 곡선의 윤곽으로써 형성된 테이블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US7477316B2 (en) Pivot shaft mechanism, and a pivot shaft mechanism of a camera for pivoting a rotatable grip on a camera body
JP5187302B2 (ja) カメラスタンド
JP2005079732A (ja) 撮像表示装置
JPH09247506A (ja) 映像撮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4212583A (ja) 電子機器の角度調整装置
JP4535381B2 (ja) 資料提示装置
CN215569529U (zh) 支撑装置
JP2003315891A (ja) カメラ
KR200326585Y1 (ko) 흡착판이 있는 화상카메라
KR20100064552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286988Y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JPH07288728A (ja) ビデオ資料提示装置
KR200262243Y1 (ko) 실물화상기
JPH0965057A (ja) 画像入力装置
KR101279566B1 (ko) 실물 화상기
JP201018102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127

Effective date: 20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