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455A -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455A
KR20050076455A KR1020040004443A KR20040004443A KR20050076455A KR 20050076455 A KR20050076455 A KR 20050076455A KR 1020040004443 A KR1020040004443 A KR 1020040004443A KR 20040004443 A KR20040004443 A KR 20040004443A KR 20050076455 A KR20050076455 A KR 20050076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ight
macro
light emiss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750B1 (ko
Inventor
박명훈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750B1/ko
Priority to US11/034,019 priority patent/US7432976B2/en
Publication of KR2005007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접사용 광원장치를 별도로 부착하지 않고 접사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자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으로서, (a1)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 시에, 접사플래시가 1차 발광하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 자동 설정하여,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a2)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필요 발광량이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필요 발광량이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반모드에서 발광하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광량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A method for close-range and general-range photographing by digital stil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촬영 방법 및 일반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장된 일반플래시 및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 수동발광모드의 접사촬영 방법 및 일반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사(macro)촬영이란 피사체와의 거리가 30cm이하인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의 촬영을 말한다. 필름카메라에서는 접사렌즈라는 것을 따로 부착하여야 접사촬영이 가능하나,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일반 필름 카메라에 비하여 초점거리가 짧음으로 인하여, 렌즈의 교체 없이 근접한 거리상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사촬영시 통상 근접한 위치의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필요한 광량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는 미국특허 US4816854호에 기재된 종래의 접사플래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사플래시(2)는 카메라 본체와 별도로 렌즈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링 접사플래시(2)는 이를 제어하는 동시에 일반플래시(6)의 기능을 겸하는 제어부(5)와 커넥터(9)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는 결합부(7)를 구비하여 카메라 본체에 구비된 핫 슈(hot shoe)와 같은 플래시 동조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링 접사플래시(2)가 셔터버튼(미도시)와 동기되어 작동되며 조광센서 혹은 기타 방법들에 의해 광량이 조절된다.
그런데, 미국특허 US4816854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접사를 위하여 링 접사플래시와, 제어부, 및 핫 슈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함으로 인하여, 박형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사용하기가 부적절하며, 접사를 위한 장치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일반촬영시에 사용하는 스트로보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접사촬영시에 필요한 광량을 균일하게 조사(照射)시킬 수가 없으며, 발광량 또한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한 통상 일반촬영시에 사용되는 제논 램프형의 스트로보 광원은 최소 발광 조건이 10㎲ 이상이 되어야만 발광할 수 있다. 그런데 제논 램프 광원으로 10㎲이상으로 촬영할 경우 피사체의 광량이 포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접사촬영시에는 손떨림 방지를 위하여 1/30초 이내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트로보 광원을 접사촬영시의 플래시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도 2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일본 특개평8-82738호에 기재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0) 및 이에 채택된 접사촬영을 위한 가시광선 조사수단(22)이 도시된다.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10)는 렌즈(14)와, 수광창(15)과, 셔터버튼(18), 및 파인더 광학계(16)를 구비한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별도로 형성되는 가시광선 조사수단(22)은 한 쌍의 LED 또는 크세논과 같은 광원(24)을 가지며, 카메라 본체(12)에 형성된 렌즈(14)에 끼우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시광선 조사수단에 구비된 두개의 광원(24)의 광축(24a)과, 렌즈의 광축(14a)이 접사 포인트를 교차하도록 함으로써 파인더 광학계(16)의 파인더 광학계 광축(16a)이 렌즈 광축(14a)상의 접사 위치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촬영 화면의 중심인지의 여부가 렌즈의 광축(14a) 및 두 개의 가시광선의 광축(24a)의 일치 여부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도 접사촬영을 위해서 별도의 가시광선 조사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일본 특개2003-262900호 및 일본특개2002-099042호에는 접사촬영을 위한 장치들이 게재되어 있으나, 이들 모두 접사촬영을 위해서 별도의 가시광선 조사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접사용 광원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접사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촬영방법 및 일반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사촬영시 거리에 따라 밝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촬영방법 및 일반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자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으로서,
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접사플래시가 1차 발광하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 자동 설정하여,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결정하는 (a1)단계, 및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반모드에서 발광하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a2)단계를 포함하여 광량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a1)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의 1차 발광되는 시간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필요 발광량에 적합한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의 2차 발광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a2)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발광시간만큼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를 2차 발광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광량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를 계속 1차 발광상태에서 전자셔터 신호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필요 발광량에 적합한 전자셔터 신호값을 구하며, 상기 (a2)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를 2차 발광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전자셔터 신호값을 적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광량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수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으로서,
(b1)피사체의 필요 발광량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b2)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 및
(b3)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b2)단계는 상기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1)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의 설정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OSD에서 발광량의 설정메뉴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발광량의 크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 발광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더 다른 측면에 의하면,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자동발광모드 및 수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으로서,
(c1)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c2)상기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며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c3)상기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 및
(c4)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설정된 필요 발광량에 따라서 미발광하거나,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c4)단계는,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발광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미발광하고,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발광량과 최대 발광량 사이인 경우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3)단계에서 상기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 설정 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촬영 방법 및 일반촬영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00)는 본체(110)와, 렌즈부(112)와, 광전 변환부(140)와, 화상처리부(150)와, 셔터버튼(118), 및 플래시(123)를 구비한다.
본체(110)의 전방에는 렌즈부(112)가 내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렌즈부(112)는 포커스 렌즈(FL)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렌즈(FL)는 피사체(50)를 포커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렌즈부(112)로부터 본체(110) 쪽으로는 광전 변환부(140)가 배치된다. 상기 광전 변환부(14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lp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으로서 렌즈부(112)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광전 변환부(140)는 화상처리부(150)와 연결된다. 상기 화상처리부(1560)는 상기 광전 변환부(14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화상처리 하게 된다. 상기 화상처리부(150)에는 렌즈부(112) 및 광전 변환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셔터버튼(118)이 구비된다. 상기 셔터버튼(118)은 통상 본체(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부(112)의 조리개(미도시)를 여닫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부(112)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상기 셔터버튼(118)은 2단계로 작동한다. 셔터버튼이 1단계 작동 시, 즉 셔터버튼을 1단계로 누를 시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피사체(50)를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 노출량 설정은 사용자가 수동발광모드로 작업하거나, 자동발광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자동발광모드로 작업되는 경우에는 자동 노출(AE, Automatic Exposure) 모드가 수행되어 입사 휘도에 대한 노광량이 자동 계산되며, 자동 포커싱(AF, Automatic Focusing) 모드가 수행되어 포커스 렌즈(FL)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노출량과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서 실제 촬영시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 작동 시에는 상기 셔터버튼의 1단계 작동 시에 설정된 발광량 및 노출시간 등을 고려하여 피사체를 실제로 촬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필요 발광량의 크기에 따라 플래시의 작동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셔터버튼(118)은 플래시(123)와 연결된다. 상기 플래시(123)는 셔터버튼의 작동과 동기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스트로보 발광하는 일반플래시(125) 및 근접피사체에 사용되며, LED 발광 또는 고휘도광원 발광하는 접사플래시(12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사플래시(124) 및 일반플래시(125)가 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 시에 발광하여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을 설정할 수 있는 보조광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시에 주광원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더불어 화상처리부는 상기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발광량을 조절하며, 상기 발광량에 따라서 상기 접사플래시(124) 또는 일반플래시(125)의 발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접사플래시(124)는 전류, 및 전압의 변화에 의한 광량 제어가 미세하게 되는 광원, 예를 들면 고휘도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접사촬영시에 필요한 광량을 균일하게 조사(照射)시킬 수 있으며, 발광량 또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사플래시(124)는 상기 셔터버튼(118)이 1단계 작동 시에 발광되는 영역(S1)에 비하여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 작동 시에 발광하는 영역(S2)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사플래시가, 셔터버튼 1단계 작동 시에는 자동 포커싱 및 자동 광 노출량을 설정하기 위한 보조광원으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빛의 조사영역이 클 필요가 없으나, 셔터버튼 2단계 작동 시에는 피사체 전부 영역에서 발광하여야 피사체의 영상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사플래시는 그 조사 중심(O)이 상기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일치하도록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사되는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촬영 거리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셔터버튼 1단계 적용시의 보조광원의 기능을 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d1)가 큼으로 인하여, 상기 접사플래시의 광원(124a')의 조사 중심(O)이 상기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자동 포커싱(AF) 및 노광량 설정(AE)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접사촬영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부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작고, 셔터버튼 2단계 적용 시에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주광원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접사플래시의 광원(124a")의 조사 중심(O)이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2a)과 일치하여야 피사체의 영상이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피사체와의 거리(d2)가 짧은 접사촬영의 경우 그 조사되는 위치가 조절되지 않는다면, 상기 조사 중심이 상기 렌즈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광축과 크게 어긋나게 됨으로써, 이 경우에 촬영된 피사체는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촬영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피사체의 초점에 따라 상기 조사각(θ)이 변경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사플래시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접사플래시 구동부(1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화상처리부(150)의 신호를 받아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OSD(On Screen Display)기능을 하며, 적어도 접사수동모드에서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사용자는 미발광할지, 또는 접사플래시(124)가 발광할지, 또는 일반플래시(125)가 발광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OSD(On Screen Display)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대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알아야할 정보를 화면상에 직접 표시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정보 중에는 화면 밝기(brightness)와 대비(contrast), 튜닝, RGB 조정, 화면의 상하 좌우 크기 및 위치 조정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사촬영 방법 및 일반촬영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00)의 전체적 구성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본체로 들어오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은 렌즈부(112) 및 광전 변환부(OEC, 140)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처리된다. 상기 렌즈부(112)는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포커스 렌즈(FL), 줌 렌즈(Z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경우, 포커스 렌즈(FL)의 현재 위치는 피사체 거리에 대하여 변한다. 자동 포커싱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되어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가 포커싱된다.
피사체 포커싱의 하나의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FL)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위치 스텝 수가 설정되어 상기 피사체가 포커싱된다. 여기서, 줌 렌즈(ZL)는 피사체 위치에 대한 화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율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인 광전 변환부(OEC, 140)는 렌즈부(112)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광전변환부(140)는 화상처리부(150)와 연결된다.
상기 화상처리부(15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507)와, 상기 DSP와 함께 마이크로제어기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과,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와, LCD 구동부(514)와,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521a)와,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DSP(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 14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INP, 130)는 마이크로 제어기의 신호를 받아 작동상태를 표시하며, 적어도 접사모드에서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DSP(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DSP(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5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5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3)를 구동한다. 상기 플래시(123)는 스트로보 발광하는 일반 플래시(125) 및 셔터버튼이 1단계 작동할 때에 보조광원의 역할을 하고 셔터버튼이 2단계 작동 시에 접사촬영을 위하여 발광하는 접사플래시(124)를 구비한다. 한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조광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조광센서가 광전 변환부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 설정된 필요 발광량을 가지게 되는 경우에 접사플래시의 발광을 중지시킴으로써 접사플래시의 2차 발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에서 접사촬영 방법의 흐름도가 도 7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에서 접사촬영 방법은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자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접사모드 및 발광모드를 선택한다. 그 후 셔터버튼이 1단계 작동 시에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1차 발광하며, 피사체(50)를 자동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 자동 설정하여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결정하는 (a1)단계를 거친다. 그 후 상기 셔터버튼(118)이 2단계 작동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에 접사플래시(124)가 발광하고,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플래시(125)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a2)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a1)단계에서 접사플래시(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사플래시의 조사 중심(O)이 상기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일치하도록,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d1, d2)에 따라 조사되는 각도(θ)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접사촬영에 있어서 셔터버튼 2단계 적용 시에 주 광원 기능을 함으로써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조사 중심(O)이 일치하여야 피사체의 영상이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는 단계는 포커스 모터(MF)의 구동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FL)가 변경되며, 상기 변경된 포커스 렌즈(FL)에 대응항는 상기 포커스 모터(MF)의 위치 데이터를 연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는 방법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기능을 하는 포커스 렌즈(FL)의 현재 위치는 피사체 거리(d1, d2)에 대하여 변한다. 자동 포커싱 단계에 있어서,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하여 포커스 모터(MF)를 구동시킨다. 포커스 모터(MF)의 신호에 따라 포커스 렌즈(FL)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FL)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위치 스텝 수가 설정됨으로써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할 수 있다.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광 노출량을 자동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DSP(507)에서 분석하여 촬영지점의 조도환경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 포커싱단계와 광 노출량 설정단계를 거쳐서 설정된 광 노출량 및 피사체의 거리를 DSP(507)가 연산하게 된다. 상기 연산에 의하여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여 촬영시에 가장 적절한 광량을 발광시키게 함으로써, 최적의 영상이 획득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접사플래시의 2차 발광량의 조절은 접사플래시의 턴-온(turn on) 시간을 제어하거나, 접사플래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접사플래시(124)의 턴-온(turn on) 시간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 1단계 작동 시에 접사플래시의 2차 발광시간을 계산하여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고, 셔터버튼 2단계 작동 시에 상기 설정된 시간만큼 접사플래시가 2차 발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동기신호(VD, Vertical Driver)로 인하여 하나의 프레임이 설정된다.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접사플래시의 2차 발광 시에 필요 발광량을 얻기 위해서 (a1)단계에서 상기 셔터버튼의 발광시간을 스캔하면서 셔터버튼 2단계 작동 시에 적합한 발광시간을 설정한다. 그 후에, 셔터버튼 2단계 작동 시에 전사셔터의 신호를 일정 길이로 고정한 다음, 접사플래시를 설정된 시간만큼 발광시킨다. 상기 접사플래시 발광시에는 센서 노광량이 급속하도록 커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접사플래시의 턴온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접사플래시에서 2차 발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버튼(118) 1단계 작동 시에 CCD에 인가되는 전자셔터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접사플래시(124)의 필요 발광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셔터버튼 2단계 작동 시에 상기 셔터버튼 2차 작동 시에 접사플래시(124)를 계속 발광시킨 상태에서, 전자셔터버튼의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접사플래시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발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셔터는 광전 변환부에 인가되는 신호를 뜻하며 상기 전자셔터버튼이 작동 시에는 리셋과정이 되풀이 됨으로써 센서노광량이 없는 상태가 지속된다.
이 경우, 상기 (a2)단계 중 셔터버튼이 2단계 작동되는 때에는, 렌즈부를 여닫는 시간, 즉 노출시간이 길어도 1/30초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손떨림의 영향이 줄어들어서 선명한 영상이 획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DSP는 상기 필요 발광량(α)과 상기 접사플래시에서 발광할 수 있는 자체 발광량(β)을 비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플래시 발광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교에 의하여 상기 필요 발광량(α)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낼 수 있는 최대 자체 발광량(β1)보다 큰 경우(α>β1)에는 일반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한다(a21).
이와 달리 상기 필요 발광량(α)이 상기 접사플래시의 자체 발광량의 최대치(β1) 이하에 있는 경우(α<β1)에는 상기 접사플래시가 2차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a22).
이로 인하여 일반 플래시를 발광시키며 접사 촬영시에 포화가 되는 조건인 경우에 자동 포커싱용 보조광원을 접사플래시로서 활용함으로써 촬영이 가능하여 진다. 이 때, 피사체와의 거리(d) 뿐만 아니라 광 노출량(Lu)에 따라서도 발광되는 플래시의 종류가 달라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은 내장된 접사플래시(124) 및 일반플래시(125)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50)를 수동발광모드로 촬영하는 것으로서, 먼저 접사촬영 및 발광모드를 선택한다. 그 후 수동발광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단계가 시작된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은 피사체의 필요 발광량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b1)단계와,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b2)단계, 및 상기 셔터버튼(118)을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에 맞추어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b3)단계를 포함한다.
(b1)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의 설정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OSD에서는 발광량의 설정메뉴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발광량의 크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 발광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기능을 가진 사용자 입력부(130)가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신호를 받아 작동상태를 표시하며, 적어도 접사수동모드에서 필요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사용자가 접사촬영시 발광량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b2)단계는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단계에서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118)이 2단계로 작동된다. 즉, 상기 셔터버튼(118)이 1단계로 작동 시에 접사플래시(124)를 1차 발광시키면,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시킨다. 이 때에는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되면 접사플래시가 1차 작동하는 (b211)단계와,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b212)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와 달리 피사체를 수동으로 포커싱하는 (b22)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수동 포커싱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수동 포커싱 버튼(미도시)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거리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이루워질 수 있다.
그 후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에 맞추어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b2)단계는 상기 접사플래시(124)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접사플래시 구동부(134)로부터 이송된 위치 신호 데이터를 DSP(507)가 연산하여 포커스 렌즈(FL)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사플래시는 그 조사 중심(O)이 상기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일치하도록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사되는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사플래시(124)가 접사촬영에 있어서 셔터버튼 2단계 적용 시에 주 광원 기능을 함으로써 렌즈부의 광축(112a) 및 광전 변환부의 광축(140a)과 조사 중심(O)이 일치하여야 피사체의 영상이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b3)단계에서는 상기 필요 발광량(α)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낼 수 있는 최대 자체 발광량(β1)보다 큰 경우(α>β1)에는 일반 플래시가 발광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필요 발광량(α)이 상기 접사플래시의 자체 발광량의 최대치(β1)보다 작은 경우(α<β1)에는 상기 접사플래시가 2차 발광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일반 플래시를 발광시키며 접사 촬영시에 포화가 되는 조건인 경우에 자동 포커싱용 보조광원을 접사플래시로서 활용함으로써 촬영이 가능하여 진다. 이 때, 피사체와의 거리(d) 뿐만 아니라 광 노출량(Lu)에 따라서도 발광되는 플래시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3)단계에서는 상기 셔터버튼에 의하여 상기 렌즈부가 여닫는 시간이 커도 1/30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촬영시 손떨림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은 촬영 모드를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설정하는 (c1)단계와, 상기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포커싱하며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c2)단계와, 상기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수동으로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c3)단계, 및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에 따라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거나, 미발광하면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c4)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도 3 내지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접사촬영모드 및 발광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 입력부(130)에는 자동발광모드 및 수동발광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창이 뜨게 된다.
상기 자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c2)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c2)단계는 셔터버튼을 1단계로 작동시키고 접사플래시(124)를 1차 발광시키는 (c21)단계와,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광 노출량을 자동 설정하는 (c22)단계와, 상기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는 (c23)단계, 및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d1) 및 광 노출량의 정도에 따라서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자동 설정하는 (c24)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수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c3)단계를 거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필요 발광량을 수동으로 설정하면서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는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사체를 상기 (c3)단계에서 상기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 설정 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 경우 상기 OSD에서는 발광량의 설정메뉴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발광량의 크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 발광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된 필요발광량과 일반플래시 및 접사플래시의 자체발광량을 비교하여 플래시의 종류를 선택한다. 즉 상기 (c2)단계 또는 (c3)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필요 발광량(α)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발광량(β2)보다 작을 경우(α<β2) 미발광하며(c43),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β1)을 초과하는 경우 일반모드에서 발광하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며(c42), 최소 발광량(β2)과 최대 발광량(β1) 사이인 경우(β2<α<β1) 접사플래시가 2차 발광하게 된다(c41). 이 때, 피사체와의 거리(d) 뿐만 아니라 광 노출량(Lu)에 따라서도 발광되는 플래시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2)단계 또는 (c3)에서 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 작동 시에 상기 광을 1/30초 이하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접사플래시가 내장됨으로써 별도의 접사발광장치를 소지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접사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자동 포커싱 및 자동 노출 시에 사용되는 LED를 접사플래시로 사용함으로써, 광량을 균일하게 조사(照射)시킬 수 있으며, 발광량 또한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쉽게 되며, 통상 제논을 광원으로 하는 일반플래시에 의하여 광이 포화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광원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광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발광, 또는 접사플래시 발광, 또는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 발광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접사모드에서 적합한 광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하나의 예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구비된 접사플래시의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조사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채택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채택된 접사플래시의 광량 제어 방법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신호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도시한 신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에 채택된 거리 및 광 노출량에 따른 플래시의 2차 발광영역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지털 스틸 카메라 112: 렌즈부
112a: 렌즈부 광축 118: 셔터버튼
123: 플래시 124: 접사플래시
125: 일반플래시 130: 사용자 입력부
134: 접사플래시 구동부 140: 광전 변환부
140a: 광전 변환부 광축 150: 화상처리부
FL: 포커스 렌즈 α: 필요 발광량
β: 접사플래시 자체 발광량 β1: 접사플래시 자체 최대발광량
β2: 접사플래시 자체 최소발광량 θ: 조사각
O: 피사체 초점

Claims (10)

  1.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자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으로서,
    (a1)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접사플래시가 1차 발광하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고 광 노출량 자동 설정하여,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a2)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반모드에서 발광하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광량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의 1차 발광되는 시간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필요 발광량에 적합한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의 2차 발광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a2)단계에서는 상기 설정된 발광시간만큼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를 2차 발광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를 계속 1차 발광상태에서 전자셔터 신호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필요 발광량에 적합한 전자셔터 신호값을 구하며, 상기 (a2)단계에서는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를 2차 발광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전자셔터 신호값을 적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광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자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4.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근접거리의 피사체를 수동발광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으로서,
    (b1)피사체의 필요 발광량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b2)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 및
    (b3)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 이하인 경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는 상기 접사플래시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의 설정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OSD에서 발광량의 설정메뉴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발광량의 크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 발광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수동발광모드 접사촬영 방법.
  8.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되며, 내장된 접사플래시 및 일반플래시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으로서,
    (c1)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c2)상기 자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버튼이 1단계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여, 상기 피사체를 자동 포커싱하며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단계;
    (c3)상기 수동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촬영에 필요한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단계; 및
    (c4)상기 셔터버튼이 2단계로 작동 시에, 상기 설정된 필요 발광량에 따라서 미발광하거나, 상기 접사플래시 또는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면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4)단계에서는: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발광량보다 작을 경우에는 미발광하고,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발광량과 최대 발광량 사이인 경우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하며, 상기 필요 발광량이 상기 접사플래시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 발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반플래시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3)단계에서 상기 필요 발광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OSD(On Screen Display)에서 상기 발광량 설정 메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촬영 방법.
KR10-2004-0004443A 2004-01-20 2004-01-20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KR10053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443A KR100530750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US11/034,019 US7432976B2 (en) 2004-01-20 2005-01-12 Method for close-range and general-range photographing by digita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443A KR100530750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455A true KR20050076455A (ko) 2005-07-26
KR100530750B1 KR100530750B1 (ko) 2005-11-23

Family

ID=3474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443A KR100530750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32976B2 (ko)
KR (1) KR100530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69B1 (ko) * 2006-09-14 2007-10-29 유닉스정밀(주) 탐조등의 램프위치 변화에 따른 줌렌즈 줌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9264A (ja) * 2004-10-20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4604644B2 (ja) * 2004-10-21 2011-01-05 株式会社ニコン 撮影用照明装置およびカメラ
US7463825B2 (en) * 2005-10-10 2008-12-0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mera flash with improved color balance
JP2008070844A (ja) * 2006-09-15 2008-03-27 Ricoh Co Ltd 撮像装置
JP5223185B2 (ja) * 2006-11-06 2013-06-26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01373308B (zh) * 2007-08-23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及其闪光灯控制方法
WO2009066788A1 (ja) * 2007-11-22 2009-05-28 Nec Corporation 撮影機器、情報処理端末、携帯電話、プログラム、及び、発光制御方法
KR101544033B1 (ko) * 2008-12-31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5947507B2 (ja) * 2011-09-01 2016-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I502272B (zh) * 2013-09-24 2015-10-01 Wistron Corp 手持式通訊裝置與用於手持式通訊裝置之閃光模組的調整方法
CN107846550B (zh) * 2016-09-21 2020-05-08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照范围调节方法、系统及补光设备和电子设备
JP7051613B2 (ja) 2017-11-06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0228A (ko) * 1972-02-28 1973-11-24
US4897684A (en) * 1985-07-06 1990-01-30 Ricoh Company, Ltd. Auto-flash photographing system
US4816854A (en) * 1986-08-13 1989-03-2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lose-range lighting flash device
JPH0342644A (ja) * 1989-07-10 1991-02-22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装置
KR940019628U (ko) * 1993-01-28 1994-08-22 권오수 카메라의 보조 조명장치
KR960002678U (ko) * 1994-06-30 1996-01-22 카메라 보조 플래쉬 발광장치
JPH0882738A (ja) 1994-09-12 1996-03-26 Canon Inc 接写カメラ
KR200170178Y1 (ko) * 1996-12-27 2000-03-02 유무성 보조광을 이용한 카메라의 패시브 방식의 자동 측거 장치
JP3544103B2 (ja) * 1997-08-20 2004-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自動焦点調節方法
US6707485B1 (en) * 1998-02-27 2004-03-16 Fuji Photo Optical Co., Ltd. Light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endoscopes
JP2970903B1 (ja) * 1998-07-14 1999-11-0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610291B2 (ja) * 2000-08-21 2005-01-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2002099042A (ja) 2000-09-22 2002-04-0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接写用レンズアダプタ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3800052B2 (ja) * 2001-08-20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静止画像撮像装置及び方法
US6684028B2 (en) * 2002-01-08 2004-01-27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03262900A (ja) 2002-03-07 2003-09-19 Sigma Corp ストロボ接写撮影カメラシステムとそのアクセサリー
KR20050053163A (ko) * 2003-12-02 2005-06-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화면조명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69B1 (ko) * 2006-09-14 2007-10-29 유닉스정밀(주) 탐조등의 램프위치 변화에 따른 줌렌즈 줌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2976B2 (en) 2008-10-07
US20050157208A1 (en) 2005-07-21
KR100530750B1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2976B2 (en) Method for close-range and general-range photographing by digital camera
JP4115467B2 (ja) 撮影装置
JP4615458B2 (ja) 露出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
TWI594629B (zh) 具有照明補充調整功能之攝影裝置及應用於其上之照明補充調整方法
JP2008275732A (ja) 撮像装置
KR100562404B1 (ko)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US20070019097A1 (en) Image-pickup apparatus
JP2008092071A (ja) 撮影装置
JP2008085581A (ja) 撮影装置
JP2015034850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1013963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264167B2 (en) Imaging apparatus
JP20013589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9288657A (ja) ストロボ撮影装置
JP3832291B2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515344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6181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9329A (ja) 撮像装置
JP2011015199A (ja) 電子カメラ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KR10060431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JP5217290B2 (ja) 照明装置、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1323731B1 (ko) 노출 영역 표시 방법
US20040196402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KR10105801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플래시 충전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