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42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42B1
KR101396342B1 KR1020080002315A KR20080002315A KR101396342B1 KR 101396342 B1 KR101396342 B1 KR 101396342B1 KR 1020080002315 A KR1020080002315 A KR 1020080002315A KR 20080002315 A KR20080002315 A KR 20080002315A KR 101396342 B1 KR101396342 B1 KR 10139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value
automatic
sett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94A (ko
Inventor
곽진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42B1/ko
Priority to GB0820359A priority patent/GB2456361A/en
Priority to US12/291,418 priority patent/US8659674B2/en
Priority to CN200810187117.XA priority patent/CN101483717B/zh
Publication of KR2009007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변수를 외부에서 조작하여 설정하는 수동 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촬영 변수 설정 시와 이후 촬영 시의 촬영 조건이 변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원하는 촬영 변수에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 수동 모드, 촬영 변수, 화이트 밸런스, 설정, 알림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촬영 변수를 외부에서 조작 및 설정하는 수동 모드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 촬영을 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촬영 변수는 상기 영상의 화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태양광 아래에서 촬영을 하는지, 형광등 아래에서 촬영을 하는지 등의 조명의 종류에 따라서도 영상의 그 분위기가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는 기능이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화이트 밸런스를 맞춘다는 것은 디지털 촬영 장치가 현장에서 빛을 통해 느끼고 받아들이는 색을 기억시켜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색을 정확하게 표현시키기 위해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을 위한 조건을 조절하는 여러 가지 촬영 변수들이 있으며, 상기 촬영 변수를 바람직하게 설정해야지만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즉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피사체를 정확히 촬영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피사체를 정확히 촬영한 영상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임의 로 다양한 분위기의 영상을 얻기 위해 상기 촬영 변수들을 직접 입력하고 설정하는 수동 모드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수동 모드에서 촬영 변수를 설정한 시점과 실제 촬영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 촬영 변수 설정 시점과 촬영 시점이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사용자가 상기 설정을 잊어버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를 미처 확인하지 않고 프리뷰 모드 동안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영상만을 확인한 후 촬영하게 된다. LCD 창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으로는 조명의 종류에 따른 미묘한 차이를 거의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원하지 않는 영상을 얻게 된다.
물론, LCD 창으로 현재 설정된 조명 조건이 무엇인지 간단한 아이콘으로 표시되긴 하지만, LCD 창의 가장 자리에 조그마하게 표시되며 아이콘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변수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수동 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촬영 변수의 설정 시점과 촬영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한 경우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쵤영 변수에 대한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1 자동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2 자동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촬영 변수라 함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화질, 분위기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피사체의 밝기(노출 정도), 초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촬영 변수는 화이트 밸런스 값일 수 있다. 여기서, 화이트 밸런스 값은 색 온도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자동값은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Auto White Balance)를 수행하여 도출된 화이트 밸런스 값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은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조건은 구체적인 수치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는 백열등, 형광등, 태양광 등과 같은 조명의 종류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값이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촬영 변수가 외부 조도 또는 조명 방향에 따른 피사체의 밝기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자동값은 자동 노출(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측정된 피사체의 밝기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은 플래시를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은 제1 밝기와 제2 밝기가 동일한 밝기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밝기와 상기 제2 밝기가 동일한 밝기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하면, 플래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시 플래 시가 동작하도록 설정을 하고 상기 플래시 설정 당시의 피사체 밝기와 이후의 피사체 밝기를 판단하여, 이들이 동일한 밝기의 범위에 속한다면 상기 플래시에 관한 설정을 유지하고, 동일한 밝기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면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린 신호는 경고음, 아이콘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쵤영 변수에 대한 설정을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부와, 상기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1 자동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2 자동값을 도출하는 수행부와,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와,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촬영 변수는 화이트 밸런스 값으로, 상기 수행부는 화이트 밸런스 값을 자동으로 도출하는 AWB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는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의 설정을 유지하는 WB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촬영 변수는 피사체 밝기로, 상기 수행부가 자동 노출(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피사체의 밝기를 도출하는 AE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한 밝기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조작부는 플래시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플래시 설정을 유지하는 밝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모드에서 촬영 변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시점의 상기 촬영 변수를 자동으로 계산한 제1 자동값과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상기 촬영 변수를 자동으로 계산한 제2 자동값이 동일한 촬영 조건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촬영 변수로 실시간으로 도출하는 화이트 밸런스와 피사체의 밝기에 대하여 설정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 간의 촬영 조건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작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상부(110)의 광학계인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를 투과하고,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정된 후,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결상되는 상은 광전 변환 처리에 의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소자(117)로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리개(115)는 통상 상태 또는 릴리스 버튼을 반쯤 눌러 형성된 첫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고 행해지는 오토포커싱 알고리즘 실행시에는 개방 상태 가 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을 지그시 눌러 형성된 두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아 노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광각(wide angle)-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줌 렌즈(11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 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CPU(20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형성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촬상 소자(11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촬상 소자(1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에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억부(130)는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기억부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와 그 밖에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주기억부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작동하는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CPU(17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주기억부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기억부(14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주기억부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것과 별개로, 전원부(16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부팅을 빨리 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코드를 주기억부에 복사 및 실행가능한 코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재부팅하는 경우 상기 주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빨리 읽어 올 수 있다.
주기억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구동부(155)로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과 동시에 표시 출력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 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영상 신호는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되어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촬영 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 촬상 소자(117)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뷰 파인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5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되고, 이때 보조 기억부(140)에는 상기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 신호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영상 신호와 정보는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된다. 압축/신장부(1450)에서는 압축 회로에 의해 저장을 위한 최적의 형태로 압축 처리 즉, JPEG과 같은 부호화 처리가 행해져 이미지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보조 기억부(140)에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14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조 기억부(140)에 압축되어 기록된 이미지 파일은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되고 신장 회로에 의해 신장 처리, 즉 복호화 처리가 행해져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 후, 표시 구동부(155)를 통해 표시부(150)에서 소정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등의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70)로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7)를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플래시(181) 및 상기 플래시(181)를 구동하는 플래시 구동부(182)를 포함한다. 플래시(181)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피사체를 밝게 해주는 발광 장치이다.
스피커(183) 및 램프(185) 각각은 음성 신호 및 빛의 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 상태 등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변수를 설정한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상기 스피커(183) 또는 램프(185)를 통해 경고음, 또는 광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83)는 스피커 구동부(184)에 의해 음성의 종류, 음성 크기 등이 제어되며, 램프(185)는 램프 구동부(186)에 의해 발광 여부, 발광 시간, 발광 종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CPU(200)는 기억부(130)에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연 산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CPU(200)는 화이트 밸런스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조절하는 수동 모드에서 설정 시 자동으로 도출된 화이트 밸런스 값과 실제 촬영 시 자동으로 도출된 화이트 밸런스 값이 동일 조명 영역으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이를 알리는 WB 처리부(210)를 구비한다. WB 처리부(210) 및 이를 통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CPU(200)는 피사체의 밝기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수동 모드에서 설정 시 도출된 피사체의 밝기와 촬영하고자하는 시점의 피사체 밝기가 동일한 촬영 조건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이를 알리는 밝기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밝기 제어부(220)에 관하여는 이후 도 5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WB 처리부(210)에 대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WB 처리부(210)를 도시한 블럭도인 도 2를 참조하면, WB 처리부(210)는 화이트 밸런스 값을 자동으로 도출하는 AWB 수행부(211)를 포함한다.
자동 화이트 밸런스 값 도출은 R/G 이득값 및 B/G 이득값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R/G는 촬상 소자(117)에 결상된 영상의 녹색 성분의 휘도에 대한 적색 성분의 휘도 비율을 도출하여 R/G 이득값을 계산하고, 상기 영상의 청색 성분 의 휘도에 대해서도 녹색 성분 휘도 대비 청색 성분의 휘도를 계산하여 B/G 이득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R/G 이득값 및 B/G 이득값에 해당하는 영역의 색 온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모드에서는 상기 AWB 수행부(211)로부터 도출된 화이트 밸런스 값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화이트 밸런스 값을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이트 밸런스 값을 직접 입력하는 수동 모드임에도 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 값을 도출하는 AWB 수행부(211)가 동작한다.
상기 AWB 수행부(211)는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 및 설정한 시점에 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 값을 도출하고, 이후에도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화이트 밸런스 값을 도출한다. 편의상, 이하 본 명세서에서 화이트 밸런스 값을 WB로 표시한다. 이때, WB는 색 온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WB 처리부(210)는 사용자 설정 신호에 해당하는 (b) WB를 도출하는 (b) WB 도출부(21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통해 (b) WB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a) WB, (b) WB, (c) WB 는 WB 저장부(213)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a) WB, (b) WB, (c) WB 각각은 (a) WB 저장부(213a), (b) WB 저장부(213b), (c) WB 저장부(213c)로 출력되어 저장된다.
또한, WB 처리부(210)는 비교 판단부(214)를 포함하는데, 상기 비교 판단부(214)는 저장된 (a) WB와 (c) WB가 동일 조명 영역, 즉 동일 색 온도 범위에 속 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비교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a) WB와 (c) WB가 동일 조명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제어 신호를 WB 제어부(215)로 출력한다.
WB 제어부(215)는 알림 신호 생성부(215a)를 포함하는데, 상기 알림 신호 생성부(215a)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 값 설정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조명 조건이 변경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알림 신호는 경고음,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비교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a) WB와 (c) WB가 동일 조명 영역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WB 제어부(215)는 사용자가 설정한 (b) WB를 유지한다.
이하에서, 수동 모드에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순서도를 이용하여 다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수동 모드에서 화이트 밸런스 값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전자는 도 3a를 참조하고, 후자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WB를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11).
화이트 밸런스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는 수동 모드에서, 상기 WB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 제1 AWB를 수행하여 (a) WB를 도출 및 저장한다(S12).
또한, 상기 WB 설정 신호에 해당하는 (b) WB를 도출 및 저장한다(S13).
그리고, 도 3b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수동 모드에서도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를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상기 WB 설정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수행하는 제1 AWB와 구분하기 위하여, 촬영 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것을 제2 AWB라 한다.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촬영 전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제2 AWB를 동작한다(S14).
상기 제2 AWB를 수행하여 (c) WB를 도출 및 저장한다(S15).
그리고 상기 WB 설정 신호에 동기하여 도출 및 저장된 (a) WB와 상기 (c) WB가 동일한 조명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 상기 제2 AWB는 실시간으로 동작하여 (c) WB를 도출 및 저장하고, 도출된 (c) WB와 미리 저장된 (a) WB와 동일한 조명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도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설정된 (b) WB 값은 (b1) 또는 (b2)에 표시되고, 제1 AWB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1 자동값은 좌측 하단의 조명 영역에 표시되는 (a)에 표시된다. 이후 제2 AWB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2 자동값이 (c1)에 표시되는 경우, (c1) WB는 (a) WB와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한다. 또는, 제2 AWB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2 자동값이 (c2)인 경우에는 (a) WB와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이때, 동일한 조명 영역은 동일한 색 온도 값을 갖는 영역이다.
따라서, (a) WB와 (c) WB가 동일한 조명 영역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화이트 밸런스 값을 설정한 시점과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 조명 조건이 변경됨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S17).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b) WB 를 설정한다(S17). 사용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a) WB와 (c) WB가 동일한 조명 영역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b) WB를 설정한다(S18).
이렇게 화이트 밸런스 값이 설정되면, 제2 AWB 동작을 종료한다(S19).
이하에서는, 촬영 변수로서 피사체의 밝기를 이용하여 촬영 변수 설정 시점과 촬영 시점의 촬영 조건 변화를 판단 및 제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밝기 처리부(22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밝기 처리부(220)도 WB 처리부(210)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는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피사체 밝기가 변경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서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밝기 처리부(220)는 AE 수행부(221)를 포함한다. AE 수행부(221)는 릴리즈 신호, 특히 두 번째 릴리즈 신호를 입력하여 기록 및 재생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기 전, 피사체를 인식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신호의 휘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AE 수행부(221)는 사용자가 플래시를 설정하는 시점의 영상 신호로부터 피사체의 (a) 밝기를 도출하고,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 의 피사체 (b) 밝기를 도출한다. 이때, 플래시를 설정하는 시점 및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 모두 기록 및 재생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전, 즉 프리뷰 모드 기간에 속한다. 상기 플래시 설정은 조작부(170)를 통해 사용자 설정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도출된 (a) 밝기와 (b) 밝기는 밝기 저장부(223)에 저장된다. (a) 밝기와 (b) 밝기는 (a) 밝기 저장부(223a)와 (b) 밝기 저장부(223b) 각각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a) 밝기와 (b) 밝기를 비교 판단부(214)로 출력하고, 비교 판단부(214)에서 상기 밝기들이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동일한 범위는 동일한 피사체의 밝기 범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판단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밝기 제어부(22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밝기 제어부(225)의 알림 신호 생성부(225a)에서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알림 신호는 플래시 설정시 측정된 피사체의 (a) 밝기와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피사체(b) 밝기가 다른 범위에 속함을 알리는 신호이다.
또는 동일한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판단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밝기 제어부(225)에 출력하고, 밝기 제어부(225)는 사용자가 입력한 플래시 설정 신호에 따라 플래시를 설정한다.
도 6a와 6b는 플래시 설정 시점에 자동으로 도출된 피사체의 (a) 밝기와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 자동으로 도출된 피사체의 (b) 밝기를 비교 판단하여 동일한 밝기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촬영 조건이 변경됨을 알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사용자가 플래시를 설정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촬영 전 프리뷰 단계에서 AE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임의로 촬영 변수를 설정하는 수동 모드에서, 플래시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21).
상기 설정 시점의 영상 신호로부터 제1 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휘도를 계산함으로써, 자동으로 피사체의 (a) 밝기를 도출 및 저장한다(S22).
도 6b를 참조하면, 제2 AE 알고리즘을 동작한다(S23).
그리고 실시간으로 제2 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b) 밝기를 도출 및 저장한다(S24).
그리고 (a) 밝기와 (b) 밝기가 동일한 촬영 변수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5). 이와 같은 판단을 (b) 밝기-(a) 밝기 > α 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제2 AE 알고리즘을 촬영 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a) 밝기와 제2 AE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된 (b) 밝기가 동일한 촬영 변수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도 실시간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촬영 변수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면, 플래시 설정 시점의 피사체의 (a) 밝기와 촬영하고 하는 시점의 피사체의 (b) 밝기가 동일한 피사체의 밝기 범위에 속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S26). 예를 들어, 역광(逆光)의 촬영 조건에서 사용자가 플래시를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후 광(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역광(逆光)이 아닌 경우 피사체의 밝기는 변경될 수 있다. 즉 (b) 밝기는 (a) 밝기보다 클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의 밝기 차이의 허용값 α보다 큰 경우 피사체의 밝기가 상당히 변경된다. 이와 같은, 플래시 설정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사용자는 피사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를 오프(OFF)할 수 있다.
또는 (b) 밝기가 (a) 밝기와 동일한 촬영 변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최초 입력한 플래시 설정 신호에 따라 플래시를 설정할 수 있다(S27). 예를 들어 플래시 설정 시점에 역광(逆光)에서 피사체의 (a) 밝기로 측정되고,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서도 상기 역광(逆光)과 동일한 범위의 조명 조건 아래 피사체의 (b) 밝기로 측정되었다면, 상기 설정 신호에 따라 플래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피사체의 밝기를 이용한 노출 정도가 조절되었다면 제2 AE 알고리즘 동작을 종료한다(S28).
따라서, 수동 모드에서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를 자동으로 도출된 피사체의 밝기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WB 처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WB와 (c) WB가 동일한 조명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밝기 처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Claims (20)

  1. 쵤영 변수에 대한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1 자동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2 자동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는 화이트 밸런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값은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auto white balance)를 수행하여 도출된 화이트 밸런스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은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제1 화이트 밸런스 값과 제2 화이트 밸런스 값이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는 피사체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값은 자동 노출(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도출된 피사체 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촬영 변수에 대한 설정은 플래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은 피사체의 제1 밝기와 피사체의 제2 밝기가 동일한 밝기 범위 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제1 밝기와 피사체의 제2 밝기가 상기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하면, 플래시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쵤영 변수에 대한 설정을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부;
    상기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1 자동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 상기 촬영 변수에 대한 제2 자동값을 도출하는 수행부;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는 화이트 밸런스 값이고,
    상기 수행부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를 수행하여 화이트 밸런스 값을 AWB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 이 동일한 조명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외부 환경의 조명 조건의 설정을 유지하는 WB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변수는 피사체 밝기이고,
    상기 수행부는 자동 노출(AE)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피사체의 밝기를 도출하는 AE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동일한 피사체의 밝기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플래시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자동값과 상기 제2 자동값이 상기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플래시 설정을 유지하는 밝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80002315A 2008-01-08 2008-01-0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9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15A KR101396342B1 (ko) 2008-01-08 2008-01-0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GB0820359A GB2456361A (en) 2008-01-08 2008-11-06 Determining changes in photography variables between their setting and when the photo is taken
US12/291,418 US8659674B2 (en) 2008-01-08 2008-11-1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uring manual operation
CN200810187117.XA CN101483717B (zh) 2008-01-08 2008-12-12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15A KR101396342B1 (ko) 2008-01-08 2008-01-0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94A KR20090076394A (ko) 2009-07-13
KR101396342B1 true KR101396342B1 (ko) 2014-05-19

Family

ID=4013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15A KR101396342B1 (ko) 2008-01-08 2008-01-0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59674B2 (ko)
KR (1) KR101396342B1 (ko)
CN (1) CN101483717B (ko)
GB (1) GB24563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1162A1 (en) * 2014-09-17 2016-03-24 SZ DJI Technology Co., Ltd. Automatic white balancing system and method
KR101944868B1 (ko) * 2016-12-30 2019-04-17 (주)현대포멕스 피사체와 조명장치 간의 거리에 연동하여 조명장치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명용 자동제어장치
CN110022475B (zh) * 2018-01-10 2021-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影设备校准方法、摄影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511812B1 (en) 2018-01-15 2021-06-2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program
CN110351537B (zh) * 2019-07-31 2021-09-24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的白平衡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921A (ja) * 2001-07-25 2003-02-07 Canon Inc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197236A (ja) * 2005-01-13 2006-07-27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741A (ja) * 1984-10-04 1986-05-02 Nippon Kogaku Kk <Nikon> カメラの表示装置
JPH0937146A (ja) * 1995-07-14 1997-02-07 Canon Inc 撮像装置
JP4028358B2 (ja) * 2002-02-05 2007-12-2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590290B2 (en) * 2004-07-21 2009-09-15 Canon Kabushiki Kaisha Fail saf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921A (ja) * 2001-07-25 2003-02-07 Canon Inc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197236A (ja) * 2005-01-13 2006-07-27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4790A1 (en) 2009-07-09
KR20090076394A (ko) 2009-07-13
CN101483717B (zh) 2014-11-19
GB0820359D0 (en) 2008-12-17
GB2456361A (en) 2009-07-15
US8659674B2 (en) 2014-02-25
CN101483717A (zh)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91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7727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1245852B2 (en) Capturing apparatus for generating two types of images for display from an obtained captured image based on scene luminance and exposure
JP200731659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221710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963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434104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及记录介质
JP2008085581A (ja) 撮影装置
JP5569361B2 (ja) 撮像装置および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531692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288657A (ja) ストロボ撮影装置
JP2012163679A (ja) 撮像装置、ストロボ制御方法およびストロボ制御プログラム
JP2012124652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247900B2 (ja) 画像センサ補償
JP2016046610A (ja) 撮像装置
JP4722867B2 (ja) 撮影装置
US9723207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89493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07206405A (ja) 撮影装置用補助光照射装置
JP200926796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JP5370034B2 (ja) 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
JP2005303837A (ja) 電子カメラ
JP2014127770A (ja) 撮像装置
KR101442607B1 (ko) 색온도 조절 필터를 이용한 영상의 색온도 제어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