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136A -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136A
KR20050075136A KR1020040002934A KR20040002934A KR20050075136A KR 20050075136 A KR20050075136 A KR 20050075136A KR 1020040002934 A KR1020040002934 A KR 1020040002934A KR 20040002934 A KR20040002934 A KR 20040002934A KR 20050075136 A KR20050075136 A KR 2005007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flange
bobbin case
sewing machin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898B1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0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898B1/ko
Priority to CNA2005800082585A priority patent/CN1950556A/zh
Priority to PCT/KR2005/000077 priority patent/WO2005068704A1/en
Publication of KR2005007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밑실 권취량을 현저히 늘려주며, 단사 및 엉킴이 방지되고, 재봉소재의 두께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단일모델의 깁을 갖는 후크보디로 양호한 재봉품질을 얻도록 하여 후크보디의 교체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부품비 및 교체설치에 따르는 인력과 수고가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하도록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스터드봉(31)이 구비되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과 권취축의 일측단인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바닥에 접하는 제1플랜지와 권취축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 있어서, 제1플랜지(430)의 일부가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 형성되는 경사부(431)가 구비된 보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플랜지(430)는 보빈케이스 베이스(30)측과 마찰되는 평바닥부(433)와 외연측으로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31)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봉틀의 회전북장치{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빈의 제1플랜지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밑실 권취량을 현저히 늘려주며, 단사 및 엉킴이 방지되고, 재봉소재의 두께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단일모델의 깁을 갖는 후크보디로 양호한 재봉품질을 얻도록 하여 후크보디의 교체가 불필요하게 됨으로 부품비 및 교체설치에 따르는 인력과 수고가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하도록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실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북장치(100)는 동력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10)에 장착되며 겉가마라고도 칭해지는 후크보디(Hook Body)(20)와, 후크보디(20)에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BC)와 밑실이 권취되는 보빈(Bobbin)(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케이스(BC)는 다시 후크보디(20)에 수용되며 속가마라고도 불리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40)외측에서 보빈을 수납하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에는 스터드(31)가 입설되어 있으며, 그 스터드(31)에는 보빈(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크보디(20)의 내측에는 궤도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훅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22)의 근처에는 밑실이 접촉되어 통과되도록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외측에는 후크보디(20)의 궤도홈(21)에 삽입되는 궤도(32)가 형성되어 있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후크보디(20)에 수용설치되되 후크보디(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는 것이다. 한편, 후크보디(20)의 외측의 절반부에는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또한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대체로 반원형의 깁(Gib)(25)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깁(25)에는 후크보디(20)의 본체에 형성된 후크(22)와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후크(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크보디(20)의 외측의 나머지 절반부에는 가드(Thread Guard)(26)가 상기 깁(25)에 연이어 후크보디(20)의 본체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밑실 가드(26)에는 역시 깁(25)의 후크(25a)와 마주하는 또 다른 하나의 후크(2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빈케이스 베이스(이하 "베이스"라 칭함)(30)와 보빈케이스 보디(이하 "보디"라 칭함)(2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C)는 일체로 결합되며 인접하여 재봉틀 몸체에 별도로 설치되는 브래킷(일명 '오사에'라고도 불려짐, 미도시)이 베이스(30)에 형성된 요홈(33)에 끼워져 위치를 잡아줌으로 보빈케이스(BC)는 유동이 저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요홈(33)에 인접하여 바늘 하강시 관통되기 위한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4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41)과 권취축(4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43), 타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45)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은 밑실의 권취량을 늘리는 한편, 벗겨짐이 방지되도록 권취축(41)을 연장형성하고 제1플랜지(43)와 제2플랜지(45) 사이에 구배를 가진 요부가 형성된 구획플랜지(47)가 구비된 확장형 보빈에 대한 기술을 기출원한바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른 회전북장치의 작동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재봉틀이 작동하면 후크보디(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윗실의 실채기(미도시)와 바늘이 승강 작동되는데 후크보디가 2회전 하는 동안 윗실 바늘은 1회 밑실을 걸어 올리며, 실채기 동작에 의하여 다음회의 밑실 걸어올림을 위하여 일정한 길이의 실을 당겨 놓는다.
도 2는 바늘(2)에 꿰어진 윗실(3)이 후크보디(20)에 걸어지는 모양을 보이기 위하여 보빈케이스(BC) 및 보빈(40)은 배제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바늘(2) 하강시, 도 2b는 후크보디(20)의 윗실 걸기 순간,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A ∼ 도 3F는 재봉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각 도의 a, b, c, d, e, f는 회전북장치의 정면상에서, a', b', c', d', e', f'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a, b. c. d. e. f의 회전북장치의 시점을 후크보디(20)의 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 입체적으로 보인 것이다.
재봉틀의 구동과 동시에 먼저 윗실(3)이 꿰어져 있는 바늘(2)이 하강함과 동시에 바늘의 하강에 맞추어 후크보디(20)가 회전하면서 그 후크(22)가 윗실을 걸어 내린다(도 2 및 도3A, 3B 참조). 이것은 바늘에 꿰어진 실을 회전보디(20)의 후크(22)가 걸어내릴 수 있도록 바늘(2)의 일측에 홈(2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가능하며, 이 때, 바늘(2)과 후크(22)의 간격이 멀어지면 윗실(3)이 후크(22)에 걸어지지 않아 재봉선이 건너띄거나 박음질이 안되고, 너무 가까우면 바늘이 후크(22)와 충돌되어 부러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후크보디(20)의 후크(22)에 의하여 걸어내려진 윗실(3)은 후크보디의 가드(26)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보빈케이스(BC: 30,50)를 감싸올리는 올가미로 되어 결국 밑실(4)을 걸어올리게 되며(도 3C ∼3F 참조), 이와 같이 윗실(3)이 보빈케이스(BC)를 휘감아 올가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직전의 행정에서 윗실부의 실채기가 일정한 길이를 당겨 놓았기 때문이다.
상기 실채기가 1회 왕복하면서 당겨놓은 윗실의 길이는 훅크보디(20)가 1회전 하면서 보빈케이스(BC)를 휘감는데 소요되는 길이와 일치된다. 만일 밑실의 부피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훅크보디(20)의 체적을 늘리게 되면 실채기에 의한 윗실의 길이가 모자라게 되어 단사가 발생되고, 길이가 남으면 밀실의 텐션을 잡지 못하게 되어 봉제선에 밑실이 늘어져 부풀거리는 루프현상(타올현상)이 발생된다.
재봉틀에서 밑실의 양이 많아지면 보빈교체가 줄어들게 되어 작업성을 증대시키게 되는데, 밑실의 양을 늘리지 못하는 것은 밀실이 늘어남에 따라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가 커지게 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윗실의 실채기 길이가 일정하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케이스를 휘감는데 필요한 윗실의 길이가 모자라게 되어, 다시 말하면 일정 길이를 갖는 윗실 올가미 안에 보빈케이스(BC)가 들어갈 수가 없어 단사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윗실의 실채기 길이를 늘려주는 것이지만, 그것은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호환 사용하고 있는 재봉틀의 근본적인 구성 설계를 변경하여야 됨으로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윗실의 단사가 발생되는 지점을 살펴보면, 후크보디(20)의 가드(26)에 의하여 윗실 올가미가 베이스(30)와 보디(50)의 양쪽으로 벌어졌다가(3D 참조) 베이스(30)로부터 벗겨져 나오는(3E 참조) 과정에서 최대 장력을 받게되는, 베이스에 형성된 상기 궤도(32)의 기점을 지난 직후 지점인 바닥면(37)과 입설면(35)이 접하는 윗실이 넘어가는 변곡부(36)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곡부(36)를 라운드 형성하며, 바닥면(37)의 일부를 파내어 천공부(38)로 형성하여 걸림을 최소화시키고 있으며, 상기 변곡부(36)에 가이드트랙(39)을 형성하여 걸림을 피하고자 한 구성의 보빈케이스 베이스(30')가 제안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밑실(4)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베이스(30)의 바닥면(37)을 외측으로 연장하여 수용공간을 확장시키게 됨으로 바닥면(37)과 입설면(35) 사이의 천공부(38) 틈새가 커지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천공부(38) 틈새로 보빈(40)의 제1플랜지(43)의 외연부가 노출되게 된다.
또한, 보빈(40)에 밑실의 권취량이 많을수록 실자체의 장력에 의하여 제1플랜지(43) 및 제2플랜지 또는 구획플랜지(37)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보빈의 제1플랜지(43)가 베이스(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천공부(38) 틈새로 노출되고 실의 장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 상기 보빈의 제1플랜지(43) 외연부와 베이스(30)의 입설면(35) 사이가 이격되어 고속회전시에는 상기 윗실 올가미가 벗겨지는 과정에서 베이스(30)의 입설면(35) 외측으로 벌어진 보빈의 제1플랜지(43)에 걸리게 되어 단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윗실이 베이스의 변곡부(36)를 잘 넘어갔을지라도 보빈의 제1플랜지(43)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으로 밑실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랜지(43)는 베이스(30)의 바닥면(37)과 불규칙한 마찰이 크게 발생되어 보빈(40)에 권취된 밑실이 불규칙하게 풀려 엉킴 또는 단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빈(40)의 스핀발생시 제1플랜지 외측으로 실이 벗겨져 나가는 한편, 상기 벌어짐이 발생된 구획플랜지(47)의 선단은 바이브레이션이 발생된 바늘이 충돌될 위험성이 있었다.
한편, 후크보디(20)에 장착된 상기 깁(25)의 후크(25a)는 이와 같이 넘어간 윗실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올가미 마지막 단계에서 윗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재봉선의 바람직한 형성모습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3)과 밑실(4)이 정확하게 박음질되는 두 소재((5a, 5b)의 중심부에서 걸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윗실과 밑실이 중심부에서 걸어질 경우, 재봉제품의 표면인 평면에서 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땀이 - 자 모양으로 똑바르게 배열형성되는데 이것은 윗실과 밑실의 장력이 정확히 일치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그러나, 윗실(3)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3)이 하방으로 처지게 되고, 반대로 윗실의 장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에는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실(3)이 위로 뜨고 밑실(4)에 루프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윗실의 장력을 잡아주는 것이 상기 후크보디(20) 깁(25)의 후크(25a)로서, 베이스(30) 반대쪽인 보디(50)를 넘어온 실을 잡아주며 재봉되는 소재의 두께 및 속도에 따라 윗실을 놓아주는 시점이 다르게 된다.
예컨대, 소재가 같은 두께일 경우에도 저속보다 고속박음질의 경우에는 좀더 오래 잡아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같은 속도라도 두꺼운 재질보다 얇은 재질의 경우에 좀더 오래 잡아 줄수 있어야 된다.
따라서, 장력조절을 위한 후크보디(20)의 깁(25)의 구성은 재봉소재와 재봉속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성됨으로 작업자는 수십 종류에 이르는 후크보디를 갖추어 놓고 재봉작업에 따라 후크보디(20)를 교체 장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이와 같은 깁 후크가 마지막 단계까지 윗실을 하방에서 잡아당기고 있음으로 장력이 편중되어 재봉선의 표면이 도 6f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직선상으로 되지 못하고 비뚫게 형성되어 재봉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의 제1플랜지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밑실 권취량을 현저히 늘려주며, 단사 및 엉킴이 방지되고, 재봉소재의 두께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단일모델의 후크보디 사용으로 양호한 재봉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봉소재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후크보디의 교체가 불필요함으로 부품비 및 교체설치에 따르는 인력과 수고가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하도록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 상기 후크보디에 수용되고 스터드봉이 구비되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 상기 보빈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과 권취축의 일측단인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바닥에 접하는 제1플랜지와 권취축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 있어서, 제1플랜지의 일부가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된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빈의 제1플랜지는 보빈케이스 베이스측과 마찰되는 평바닥부와 외연측으로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은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제1플랜지와, 권취축과,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가 연장형성되고 그 사이에 구획플랜지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플랜지는 그 외연부에 제1플랜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재봉틀의 회전북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재봉틀의 회전북장치(1)는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스터드봉(31)이 구비되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과 권취축의 일측단인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바닥에 접하는 제1플랜지와 권취축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플랜지(430)의 일부가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 형성되는 경사부(431)가 구비된 보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보빈(400)의 제1플랜지(430)는 보빈케이스 베이스(30)측과 마찰되는 평바닥부(433)와 외연측으로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3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의 경사부(431)가 형성된 제1플랜지(430)는 제1플랜지(430)와 제2플랜지(450) 사이가 연장형성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구획플랜지(470)가 구비되어 권취부가 2구역으로 이루어진 확장형 보빈(401), 또는 도 9에 사시도(a도) 및 단면도(b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축(410)의 양단부에 제1플랜지(430) 및 제2플랜지(450)가 형성되는 기본형 보빈(402)에 공히 적용된다.
상기 확장형 보빈(401)의 경우, 구획플랜지(470)는 그 외연에 제1플랜지(430)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7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7 및 도 8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회전북장치(1)의 작용상태를 그 결합상태를 도시한 10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보빈(400)의 제1플랜지(430)에 보빈케이스 베이스(30)측과 마찰되는 평바닥부(433)와 외연측으로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31)가 형성됨으로써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면(37)이 볼록하게 내부공간을 늘려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플랜지(430)의 외연 선단이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천공부(38)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빈(400)에 밑실이 많이 권취되어 실의 장력이 작용될지라도 제1플랜지(430)의 선단부와 보빈케이스 베이스(30) 입설면(35) 사이에 이격틈새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재봉동작 과정에서 윗실 올가미가 넘어가는 도중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윗실 올가미가 경사부(431)를 타고 넘게 되어 윗실(3)의 장력이 유지되면서 벗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의 경사부(431)를 타고 윗실 올가미가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넘어가게 됨으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상기 제1플랜지(430)의 경사부(431)로 인하여 외측으로 볼록형성되어, 바꾸어 말하면 제1플랜지(430) 평바닥부(433)가 깊어짐으로 제1플랜지(430)의 외연 선단을 기준으로 권취축(410)의 길이가 평바닥부(433)가 깊어지는 만큼 확장되어 보빈의 실 권취용량이 현저히 증대된다.
보빈에 있어서, 권취축의 길이 방향이 1㎜ 늘어날 경우 실의 권취용량은 15 내지 20% 증대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이 보빈의 제1플랜지(430)가 외측으로 볼록 형성되어 깊어짐으로 발생되는 권취용량 증가는 막대한 량이 된다.
둘째, 상기 경사부(431)가 형성되어 보빈케이스 베이스(30)의 바닥(37)측과 마찰되는 부분인 평바닥부(433)의 면적이 감축되어 마찰저항을 줄임으로 밑실이 균일하게 풀리고 제1플랜지(430)의 선단이 보빈케이스 베이스(30)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밑실이 제1플랜지(430) 밖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스핀발생시에도 단사 또는 엉킴이 방지된다.
셋째, 상기 경사부(431)를 윗실(3) 올가미가 부드럽게 타고 넘게 되어 윗실 올가미의 벗겨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단사발생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보빈케이스 보디(50)를 외측으로 볼록 돌출형성하여 보빈의 수용공간을 확장함으로 보빈의 권취축(410)의 길이를 연장, 밑실 권취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 보빈케이스 베이스측의 올가미 원활하게 넘어가게 됨으로 그 반대측인 보빈케이스 보디(50)측도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하여 내부공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빈케이스 보디(50)의 볼록돌출부(55)는 윗실 올가미가 벗겨져 나가기까지 장력을 유지하며 잡아줌으로 종래 기술에서의 장력유지를 위해 윗실을 최후까지 걸어주는 깁 후크(25a)의 역할이 불필요하게 되어 재봉소재의 두께나 재봉속도에 관계없이 상기 깁(25)의 구성이 하나의 모델로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도 10 참조).
따라서, 재봉소재의 두께나 재봉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었던 깁을 포함하는 다수 모델의 후크보디를 비치할 필요가 없음으로 재봉에 따르는 비품의 간소화를 가져오게 되며, 이와 같이 장력이 정확하게 유지됨으로 윗실(3)과 밑실(4)이 정확히 두 소재의 중간에서 걸어지도록 재봉되어(도 6a, 6b 참조) 양호한 재봉품질을 얻게 된다.
한편, 상기 구획플랜지(470)의 선단부에도 경사부(471)를 형성함으로써 권취된 실의 장력에 의하여 구획플랜지(470)가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에도 바늘(2)이 부딪힐 위험이 최소화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회전북장치는, 보빈의 제1플랜지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밑실 권취량을 현저히 늘려주며, 단사 및 엉킴이 방지되고, 재봉소재의 두께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단일모델의 후크보디 사용으로 양호한 재봉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봉소재 및 재봉속도와 무관하게 후크보디의 교체가 불필요함으로 부품비 및 교체설치에 따르는 인력과 수고가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관리가 간편하게 되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바늘에 꿰어진 윗실이 후크보디(20)에 걸어지는 모양도로서,
도 2a는 바늘 하강시,
도 2b는 후크보디의 윗실 걸기 순간,
도 2c는 도 2b의 측면도
도 3A ∼ 3F는 재봉동작 과정도
도 4는 종래 기술 일 실시예의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a는 바람직한 재봉상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 대비 블량상태도1
도 6d는 도 6a 대비 블량상태도2
도 6e는 도 6b 대비 블량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보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a도) 및 단면도(b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장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회전북장치 2: 바늘
3: 윗실 4: 밑실
10: 구동축 20: 후크보디
21: 궤도홈 22: 후크
23: 홈 25: 깁(Gib)
25a; 깁훅크 26: 가드
26a: 가드훅크 30: 보빈케이스 베이스
31: 스터드 32: 궤도
33: 요홈 37: 바닥면
38: 천공부 39: 가이드트랙
40: 보빈 41: 권취축
43: 제1플랜지 45: 제2플랜지
47: 구획플랜지 50: 보빈케이스 보디
51: 래치 400: 본 발명의 보빈
410: 권취축 430: 제1플랜지
431: 경사부 433: 평바닥부
450: 제2플랜지 470: 구획플랜지
471: 경사부 BC: 보빈케이스
100: 종래 기술의 회전북장치

Claims (5)

  1. 구동축(10)에 장착되는 후크보디(Hook Body)(20), 후크보디(20)에 수용되고 스터드봉(31)이 구비되는 보빈케이스 베이스(Bobbin Case Base)(30)와 보빈을 외측에서 잡아주기 위한 보빈케이스 보디(Bobbin Case Body)(50)로 이루어지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BC), 상기 보빈케이스(BC) 내에 설치되며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과 권취축의 일측단인 보빈케이스 베이스의 바닥에 접하는 제1플랜지와 권취축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봉틀의 회전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430)의 일부가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 형성되는 경사부(431)가 구비된 보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400)의 제1플랜지(430)는 보빈케이스 베이스측과 마찰되는 평바닥부(433)와 외연측으로 권취부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3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400)은 상기 경사부(431)가 형성된 제1플랜지(430)와, 권취축(410)과, 제2플랜지(450)와, 상기 제1플랜지(430)와 제2플랜지 사이가 연장형성되고 그 사이에 구획플랜지(4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경사부(431)가 형성된 제1플랜지(430)와 권취축(410)과 제2플랜지(4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랜지(470)는 그 외연부에 제1플랜지(430)를 향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4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40002934A 2004-01-15 2004-01-15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51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2934A KR100515898B1 (ko) 2004-01-15 2004-01-15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NA2005800082585A CN1950556A (zh) 2004-01-15 2005-01-11 用于缝纫机的旋梭装置
PCT/KR2005/000077 WO2005068704A1 (en) 2004-01-15 2005-01-11 Rotary shuttle device for sew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2934A KR100515898B1 (ko) 2004-01-15 2004-01-15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112U Division KR200348493Y1 (ko) 2004-01-15 2004-01-15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136A true KR20050075136A (ko) 2005-07-20
KR100515898B1 KR100515898B1 (ko) 2005-09-21

Family

ID=3479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2934A KR100515898B1 (ko) 2004-01-15 2004-01-15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15898B1 (ko)
CN (1) CN1950556A (ko)
WO (1) WO20050687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57B1 (ko) * 2007-08-24 2009-03-13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0978287B1 (ko) * 2007-09-20 2010-08-26 코베스트 주식회사 스터드 실 제거가 용이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및 그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5198A1 (de) * 2011-03-07 2012-09-13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JP6238571B2 (ja) 2013-05-24 2017-11-2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ボビン
CN106192242B (zh) * 2016-08-08 2022-02-11 东阳市太极精密制造有限公司 大容量缝纫机旋梭
CN109183296A (zh) * 2018-10-22 2019-01-11 向康城 一种分线器及具有该分线器的刺绣机
CN111379100B (zh) * 2020-04-11 2023-08-29 诸暨轻工时代机器人科技有限公司 多工位自动换梭壳去线绕线装配一体化系统及工艺方法
CN114467436B (zh) * 2022-02-12 2023-07-21 石家庄市薯大郎农业科技有限公司 排苗缝纫成卷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866A (en) * 1977-03-31 1978-07-18 Jonathan Temple Incorporated Core construction for a sewing machine bobbin
JPS6147114B2 (ko) * 1979-07-02 1986-10-17 Uein Ii Sutaa
JPS6399778U (ko) * 1986-12-19 1988-06-28
DE19510808C1 (de) * 1995-03-24 1996-06-05 Pfaff Ag G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r Restmenge des Greiferfadens bei einer Nähmaschine
JP2824251B2 (ja) * 1997-04-15 1998-11-11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57B1 (ko) * 2007-08-24 2009-03-13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0978287B1 (ko) * 2007-09-20 2010-08-26 코베스트 주식회사 스터드 실 제거가 용이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8704A1 (en) 2005-07-28
CN1950556A (zh) 2007-04-18
KR100515898B1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907B1 (ko) 밑실가드가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657607B1 (ko)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200348493Y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2018598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200219042Y1 (ko) 재봉틀용 보빈
JPS6052660A (ja) 編機の撚り糸供給案内装置
KR101276273B1 (ko)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KR100740523B1 (ko) 재봉틀의 밑실공급장치
KR870001525B1 (ko) 새로운 형(型)의 바늘땀과 그 형성방법 및 장치
KR20060083278A (ko) 재봉틀용 북
KR100961154B1 (ko) 단사 방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2018597B1 (ko) 단사방지수단을 구비한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
KR100521246B1 (ko) 밑실량을 늘린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0860774B1 (ko) 윗실 끼임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353718Y1 (ko) 밑실량을 늘린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JPS62133993A (ja) ミシン用糸制御装置
KR20170139409A (ko) 지그재그 재봉용 수직전회전북통, 이 수직전회전북통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치 및 스티치제조방법
KR101484936B1 (ko) 재봉틀 훅세트 고정구
CN115262111A (zh) 防止上线夹住的缝纫机和刺绣机的旋梭装置
KR101484935B1 (ko)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JP2010125092A (ja) ミシンの垂直回転釜
KR100819906B1 (ko) 바늘 부러짐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