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35B1 -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 Google Patents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35B1
KR101484935B1 KR1020140000846A KR20140000846A KR101484935B1 KR 101484935 B1 KR101484935 B1 KR 101484935B1 KR 1020140000846 A KR1020140000846 A KR 1020140000846A KR 20140000846 A KR20140000846 A KR 20140000846A KR 101484935 B1 KR101484935 B1 KR 10148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sewing machine
loop
nee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면희
김태선
이효형
Original Assignee
(주)신진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스틸 filed Critical (주)신진스틸
Priority to KR102014000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재봉틀 박음질시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가마촉에 보다 가깝고, 보다 크고, 항상 일정위치에 꼬이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마촉이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실패 없이 채고돌 수 있도록 안출한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지주(110)와;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하고 상기 지주(110) 상단부에서 가마(210)방향으로 절곡형성 된 판형의 절곡부(120);가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용접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의하면, 재봉틀 박음질시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바늘에서부터 더 멀리 떨어져 가마촉에 보다 가깝고, 보다 넓고 크며, 항상 일정위치에 꼬이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마촉이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실패 없이 채고돌 수 있도록 하여 비봉을 방지함으로써 재봉의 불량을 막고, 가마촉과 바늘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부러짐 등 손상을 막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Loop expansion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재봉틀 박음질시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바늘에서부터 더 멀리 떨어져 가마촉에 보다 가깝고, 보다 넓고 크며, 항상 일정위치에 꼬이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마촉이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실패 없이 채고돌 수 있도록 안출한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의 박음질은 재봉틀 상부의 몸체부분에서 바늘에 의해 윗실을 공급하고 재봉틀 하부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북장치로부터 밑실을 공급하여 두 실이 침판위에 놓인 천의 중간에서 엮여 풀리지 않게 하는 작업이다.
오늘날 공업용 봉재의 재봉틀 박음질은 대부분 이와 같은 Lockstitch 원리의 박음질 방법을 사용한다.
즉 Lockstitch 원리의 박음질 방법이란 윗실과 밑실의 두 줄 실을 천의 중간에서 엮이도록 하여 풀리지 않게 하는 재봉 방법인 것이다.
첨부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종래의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구조 및 작용과 Lockstitch 원리의 박음질 방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 재봉틀의 회전북장치(200)는, 가마(210)와; 상기 가마(210)에 수납되는 보빈홈(220)과; 상기 보빈홈(220)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빈커버(220')와; 상기 보빈홈(220) 내부 바닥 중앙부에 돌출형성 된 스터드(221)에 회전가능하게 안치되는 보빈(2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재봉틀 하부 동력장치(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240)에 장착된다.
상기 보빈홈(220) 개구부 일측에 형성되는 요홈(222)에는 재봉틀몸체(미도시)에 별도로 설치된 도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가 삽입되어 보빈홈(220)의 유동을 저지한다.
상기 요홈(222)의 인접부에는 하강하는 바늘이 관통되기 위한 바늘통공(2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230)은 밑실이 권취되는 권취축(231) 양단에 플랜지(2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5에서 보듯이 상기 요홈(222)은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가 삽입되는 키홈으로 기능하는 한편 윗실이 빠져나갈 때 지장을 받지 않도록 그 폭이 돌조(310)의 폭에 더하여 윗실의 통로 간극을 확보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재봉틀의 박음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재봉틀 회전북장치(200)의 가마(210)가 구동되면, 보빈홈(220)은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에 의해 따라도는 것이 저지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윗실 한가닥은 가마(210)의 가마촉(211)에 걸리어 내부에 보빈(230)을 수용한 보빈홈일체(220)(220')를 휘돌아 밑실을 걸고 상기 요홈(222), 정확히는 상기 요홈(222) 내에서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와 요홈(222)의 측벽 사이로 빠져나가 봉제물인 천에 땀을 형성함으로써 박음질이 되는 것이다.
즉, 도3의 바늘통공(223)으로 바늘대에 고정된 바늘이 바늘구멍에 윗실을 꿰고 팽팽하게 당기며 봉제물을 뚫고 도4와 같이 하강하면, 바늘구멍에 꿰어져 팽팽하게 당겨져 내려오던 윗실은 하강한 바늘의 최하점에서는 장력이 "0"이 되어 윗실은 본디 가지고 있던 자체 관성에 의한 탄성력으로 바늘구멍 양쪽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되게 되는데 이때 일측의 윗실은 외측에 형성된 벽의 압력에 밀려 바늘구멍을 통해 반대쪽 즉 가마촉(211) 쪽으로 불거지게 됨과 동시에 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상승하려는 순간 윗실을 끌어 올리려는 힘에 의해 윗실은 약간 위로 밀리게 되어,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마촉(211)쪽으로 순간적인 루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가마(210)의 가마촉(211)이 루프의 윗실 한가닥을 걸고 돌게 되면 윗실은 내부에 보빈(230)을 수용한 보빈홈일체(220)(220')를 휘돌아 밑실을 걸고 상기 요홈(222)을 빠져나가 천에 땀을 형성하여 박음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루프는 구조적으로 아주 좁게 형성된다. 아니, 루프라기 보다는 침판 아래로부터 바늘의 바늘구멍 양쪽까지 바늘을 따라 좁고 길게 늘어져 있는 틈새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욱 가까울 것이다.
더우기 윗실은 얇은 가닥을 꼬아 형성된 것이므로 바늘이 윗실을 꿰고 하강하여 봉제물의 올을 통과할 때에는 마찰에 의해 윗실 자체에 미미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루프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윗실 자체 회전력의 누적으로 루프가 꼬이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루프의 위치가 이동되므로 가마촉이 채고 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루프가 좁게 형성되면 가마촉이 루프를 채기가 어렵고 또한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루프의 꼬임현상이 일어나 루프의 위치가 이동되어 가마촉이 루프를 채기가 어려워 비봉에 의한 재봉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바늘과 윗실과의 틈새가 지나치게 좁은 탓에 가마촉을 가능한 한 바늘 가까이에 근접시킬 수밖에 없는바 가마촉과 바늘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심지어 부러짐 등 손상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재봉틀 박음질시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바늘에서부터 더 멀리 떨어져 가마촉에 보다 가깝고, 보다 넓고 크며, 항상 일정위치에 꼬이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마촉이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실패 없이 채고돌 수 있도록 하여 비봉에 의한 재봉의 불량을 막고, 가마촉과 바늘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부러짐 등 손상을 막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지주(110)와;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하고 상기 지주(110) 상단부에서 가마(210)방향으로 절곡형성 된 판형의 절곡부(120);가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용접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에 의하면, 재봉틀 박음질시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바늘에서부터 더 멀리 떨어져 가마촉에 보다 가깝고, 보다 넓고 크며, 항상 일정위치에 꼬이지 않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마촉이 재봉실 윗실이 형성하는 루프를 실패 없이 채고돌 수 있도록 하여 비봉을 방지함으로써 재봉의 불량을 막고, 가마촉과 바늘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부러짐 등 손상을 막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재봉틀 회전북장치에 있어서 바늘통공의 벽면에 의해 윗실이 반대쪽으로 밀려나가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가마촉이 윗실을 채고 보빈홈결합체를 휘돌아 밑실을 걸고 보빈홈의 요홈을 빠져나와 천에 땀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의 사시도이다.
도7은 종래의 보빈홈잡이(일명 가마잡이) 사시도이다.
도8은 종래의 보빈홈잡이의 돌조 상단에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용접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9는 종래의 보빈홈잡이의 돌조 상단에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용접결합하고 재봉틀 하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0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의 윗실가이드홀의 고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장착하여 형성되는 루프 형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는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부호)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6은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의 사시도이고, 도7은 종래의 보빈홈잡이(일명 가마잡이) 사시도이고, 도8은 종래의 보빈홈잡이의 돌조 상단에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용접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9는 종래의 보빈홈잡이의 돌조 상단에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용접결합하고 재봉틀 하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0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의 윗실가이드홀의 고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11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를 장착하여 형성되는 루프 형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지주(110)와;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하고 상기 지주(110) 상단부에서 가마(210)방향으로 절곡형성 된 판형의 절곡부(120);가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용접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보빈홈잡이(300) 돌조(310)의 상단을 상부로 연장하여 가마(210) 방향으로 절곡 형성한 절곡부(120)의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한 형상이다.
이하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ㄱ" 자 형상의 일체로써 주물 성형된다.
참고로 도7은 종래의 보빈홈잡이(300. 일명 가마잡이)의 사시도이다. 도9는 종래의 보빈홈잡이의 돌조 상단에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를 용접결합하고 재봉틀 하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보빈홈잡이(300)는 재봉틀몸체(미도시)에 별도로 설치되어 도5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가 보빈홈(220) 개구부 일측에 형성된 요홈(222)에 삽입되어 보빈홈(220)의 유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상단에 일체로써 용접결합된다.
도10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윗실가이드홀의 고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절곡부(120)는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침판(400) 하부와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 하부와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일체로써 용접결합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는,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재봉틀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상단과 일체로써 주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 하부와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위치되도록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지주(110) 하단과 상기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상단을 일체로써 주물성형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절곡부(120)는 침판(400) 하부와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위치므로, 상기 지주(110)의 길이는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 하면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형성 모양에는 크게 구애되지 아니하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루프의 꼬임현상을 서로 대응하는 내벽면(122)에 의해 자연스럽게 잡아줄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크기는 윗실을 꿰고 있는 재봉바늘이 저항 없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족하다. 본 발명자는 오랜 시행착오 끝에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은 가로세로 2~3㎜ 크기일 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내벽면(122)은 윗실과의 마찰을 줄여줄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은 윗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침판(400)의 바늘구멍(미도시) 및 보빈홈(220)의 바늘통공(223)과 동일 선상에 위치 된다.
다음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지주(110)와;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하고 상기 지주(110) 상단부에서 가마(210)방향으로 절곡형성 된 판형의 절곡부(120);를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과 가마촉회전동선(c) 사이영역에 위치되고 침판(400) 바늘구멍(미도시)과 절곡부(120)의 윗실가이드홀(121)과 보빈홈(220)의 바늘통공(223)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용접결합하여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설치를 완성한다.
도11은 본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를 장착하여 형성되는 루프 형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재봉틀의 바늘대에 고정된 바늘이 바늘구멍에 윗실을 꿰고 팽팽하게 당기며 봉제물을 뚫고 하강하면, 바늘구멍에 꿰어져 팽팽하게 당겨져 내려오던 윗실은 하강한 바늘의 최하점에 이르러 윗실의 장력이 "0"이 되며 본디 가지고 있던 자체 관성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바늘구멍 양쪽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됨과 동시에, 윗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상승하려는 순간 윗실을 끌고 올라가려는 힘에 의해 윗실은 약간 위로 밀리게 되어 침판 하부로부터 최하점의 바늘구멍까지 걸려있는 윗실은 순간적인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절곡부(120)가, 재봉틀의 침판(400) 하면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절곡부(120)의 윗실가이드홀(121) 내벽면(122)에 의해 바늘구멍 양쪽으로 벌어지려는 윗실을 잡아 줌과 동시에, 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상승하려는 순간 윗실을 끌어 올리려는 힘에 의해 약간 위로 밀리게 되는 윗실을 잡아주게 되어 윗실가이드홀(121)의 하부영역에서 동그란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즉, 재봉틀의 침판(400) 하면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에 상기 절곡부(120)의 윗실가이드홀(121)을 위치시켜 이 위치에서 상기 절곡부(120)의 윗실가이드홀(121) 내벽면(122)에 의해 윗실에 인위적으로 병목현상을 조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아래부분의 윗실이 부풀며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침판(400) 하부영역에서 형성되던 루프가 상기 윗실가이드홀(121) 하부영역으로 하향이동되어 보다 크고 동그란 루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루프는, 도11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빈홈(220) 개구부쪽으로 하강한 윗실이 바늘통공(223) 내벽(124)의 압력을 받아 더 이상 벌어지지 못하고 바늘구멍을 통해 반대쪽 즉 가마촉(211)쪽으로 밀려나가 가마촉(211)쪽으로 루프를 불거지게 하고 또한 가마촉(211)쪽 바늘몸통에 형성된 스카프(Scarf)에 의해 루프공간보조작용이 더해져 결과적으로 가마촉(211)이 윗실을 채고돌기에 더더욱 유리하게 되므로 비봉에 의한 재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윗실은 얇은 가닥을 꼬아 형성된 것이므로 바늘이 윗실을 꿰고 하강하며 봉제물인 천의 올과 올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마찰에 의해 윗실 자체에 미미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루프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윗실은 미미한 회전력의 누적으로 루프의 꼬임현상이 일어나 루프형성위치가 이동되므로 가마촉이 채고 돌 수 없게 되나, 본 발명인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의 윗실가이드홀(121)의 내벽면(122)에 의해 회전을 막아주는 한편 루프형성위치가 침판 하면으로부터 하향이동하여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하부영역에서 형성되게 되므로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지 않아 루프의 꼬임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높이는 루프가 꼬임현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위치를 그 상한선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루프는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의 내벽면(122)에 의해 회전을 저지해주므로 루프꼬임현상에 의한 루프의 위치이동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일정위치에 루프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그 효과는 배가 될 수 있다.
이상 비록 본 발명인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1)에 대하여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해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출원시점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언제나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1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a 윗실 b 밑실 n 바늘
s 침판하부와 가마촉회전동선 상부의 사이영역
110 지주
120 절곡부 121 윗실가이드홀 122 내벽면
200 회전북장치
210 가마(겉가마) 211 가마촉 c 가마촉회전동선
220 보빈홈(속가마) 220‘ 보빈커버 221 스터드 222 요홈 223 바늘통공 224 벽
230 보빈 231 권취축 232 플랜지
240 구동축
300 보빈홈잡이 310 돌조
400 침판

Claims (4)

  1.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된 일정길이의 지주(110)와; 중앙부에 윗실가이드홀(121)을 통공하고 상기 지주(110) 상단부에서 가마(210)방향으로 절곡형성 된 판형의 절곡부(120);가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110) 하단을 상기 돌조(310) 상단에 용접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는 보빈홈잡이(300)의 돌조(310) 상단에 일체로써 주물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의 길이는 “ㄱ”자 형상의 일체로써 형성된 상기 절곡부(120)가 침판(400) 하면과 가마촉회전동선(c) 상부의 사이영역(s)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가이드홀(121)은 윗실을 꿰고 있는 바늘이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침판(400)의 바늘구멍(미도시) 및 보빈홈(220)의 바늘통공(223)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KR1020140000846A 2014-01-03 2014-01-03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KR10148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46A KR101484935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46A KR101484935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935B1 true KR101484935B1 (ko) 2015-01-22

Family

ID=5259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846A KR101484935B1 (ko) 2014-01-03 2014-01-03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9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74B1 (ko) * 1994-02-24 1997-11-18 도쿠죠 히로세 봉제 미싱용 북
JP2972965B2 (ja) * 1991-03-31 1999-11-08 ブラザー工業 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かま
KR20090020861A (ko) * 2007-08-24 2009-02-27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018827B1 (ko) * 2008-09-24 2011-03-04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965B2 (ja) * 1991-03-31 1999-11-08 ブラザー工業 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かま
KR0121874B1 (ko) * 1994-02-24 1997-11-18 도쿠죠 히로세 봉제 미싱용 북
KR20090020861A (ko) * 2007-08-24 2009-02-27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KR101018827B1 (ko) * 2008-09-24 2011-03-04 코베스트 주식회사 고속 재봉틀용 회전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907B1 (ko) 밑실가드가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484935B1 (ko) 재봉틀 윗실 루프형성촉진구
KR100515898B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N109371584B (zh) 一种缝制送线装置
US3347064A (en) Thread guide for knitting machine
KR101276273B1 (ko) 재봉기의 실 절단장치
US2496117A (en) Thread controll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2011147759A (ja)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の構造
KR200348493Y1 (ko)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CN106087297B (zh) 一种缝纫机的自动穿线机构
CN207567430U (zh) 一种剪线机构
JP6176781B2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CN112251931A (zh) 一种挑线装置及刺绣机
CN210420446U (zh) 一种家用缝纫机用梭心套
CN201121248Y (zh) 无梭芯底线提供装置
KR200339538Y1 (ko) 재봉틀의 자수용 회전북 장치
CN210314769U (zh) 一种缝纫机的线架结构
CN101368320A (zh) 无梭芯底线提供装置
JP4919872B2 (ja) 刺繍方法
KR100500826B1 (ko) 재봉틀의 자수용 회전북 장치
CN117966378A (zh) 包缝机的上、下弯针送线装置、送线方法及包缝机
JP2022110999A (ja) 下糸連続供給装置
CN111379089A (zh) 打线装置及具有其的缝纫机
US572090A (en) borton
KR200416364Y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