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585A -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585A
KR20050074585A KR1020057008374A KR20057008374A KR20050074585A KR 20050074585 A KR20050074585 A KR 20050074585A KR 1020057008374 A KR1020057008374 A KR 1020057008374A KR 20057008374 A KR20057008374 A KR 20057008374A KR 20050074585 A KR20050074585 A KR 2005007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optical film
particles
radiation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리둘라 네이어
타마라 케이 존스
브래들리 엠 호탈링
조셉 에스 세디타
개리 에이 레이크스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filed Critical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7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5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430/106Binder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방사선 경화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결합제 및 바람직하게는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탁월한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LCD 및 CRT 패널 같은 선명도가 높은 화상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하는 광학 필름 및 필름이 눈부심 방지(antiglare) 특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특정 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 및 CRT는 텔레비젼 세트, 컴퓨터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소자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핵심 문제는 화상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유지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자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특히 휴대전화 등에 의해 대표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을 비롯한 멀티미디어의 출현으로,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람과 기계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관심사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내마모성의 개선이다. 미국 특허 제 5,914,073 호에서는, UV 경화된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위에 코팅된(overcoated) 투명 수지의, 접착제에 의해 도포된 적층체가 제안된다. 미국 특허 제 6,329,041 호에서는 반사 방지 코팅이 위에 코팅된 중간 완충 층을 갖는 3층 경질 코팅을 제안한다. 미국 특허 제 6,376,060 호는 경질 코팅 필름에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LCD는 중량이 가볍고 많은 유형의 디스플레이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시장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휴대용 단말기는 흔히 옥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눈부심 또는 거울 반사를 가능한한 완벽하게 억제함으로써 밝은 태양광에서도 화상을 우수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외부 광을 발산시키고 거울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필름을 디스플레이의 표면상에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 5,998,013 호는 응집된 이산화규소 같은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를 투명한 기판 필름의 표면상에 코팅함으로써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을 개시한다. 이를 달성하는 다른 방법은 기판의 표면을 텍스쳐화시키거나 거칠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래 뿜기 또는 엠보싱 등에 의해, 또는 기판의 표면에 다공성 필름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판의 표면을 직접 거칠게 만들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008,940 호에는 거친 입자 및 미세 입자를 갖고 1.4 내지 1.6의 굴절률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눈부심-방지 층이 기재되어 있다. 미세 입자는 친수성이고, 0.5%보다 큰 수분 함량을 갖는다. 미국 특허 제 6217176 호에는 층의 굴절률을 조절하기 위하여 2가지 유형의 광-투명성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074741 호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광 양성자성 중합 개시제 및 2가지 상이한 수지 비드 군으로부터 유도되는 거칠어진 표면 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물질을 기재한다. 미국 특허 제 6347871 호에는 상부 층이 바닥 층보다 크기가 더 작은 입자를 함유하는 2개의 수지 코팅된 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층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343865 호는 굴절률이 낮은 필름이 적층되어 콘트라스트 및 백화의 열화가 억제되는, 눈부시지 않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눈부심 방지 특성을 제공하면서 일반적으로 내마모성 및 취급 결손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눈부심 방지 코팅에 수지 비드 및 입자를 사용함을 기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입자의 형태에 대한 교시내용은 없다. 구형의 대칭 중합체 입자는 목적하는 눈부심 방지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이들의 매우 구부러진 표면이 시스템에 불리한 조건을 부과할 수 있다. 마모될 때, 이러한 구형 입자는 입자/결합제 계면에서의 불량한 접착력 때문에 코팅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표면에서 분진이 발생하고 극히 작은 구멍이 생겨, 투과 헤이즈가 증가하고 화상 콘트라스트 및 명확성이 감소된다. 또한, 눈부심 방지 코팅 및 경질 코팅이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 같은 가요성 기판상에 코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가요성 기판이 종종 감긴 롤 형태로 취급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기판으로의 접착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당해 산업 부문에서는 코팅에 응집된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여 눈부심 방지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입자는 조절된 헤이즈 및 광택을 제공하는 반면, 이러한 가요성 기판의 감긴 롤에서 확실히 마모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산업 부문에서는 방사선 경화성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내마모성 코팅에 사용함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대부분은 유기 용매로부터 코팅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제 물질에 대한 코팅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용매를 기술하고 있지만, 나열된 용매중 일부에 의해 최종 코팅의 내마모 특성에 대해 생기는 불리한 효과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기제 지지체 물질 및 그에 존재하는 릴리이스 첨가제(예: 가소화제)에 침투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의 모듈러스가 악화되어 덜 탁월한 내마모성 및 연필 경도가 얻어진다. 따라서, 경질 코팅을 선택된 기판에 도포하는 용매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스크린 분야에서의 교시내용에도 불구하고, 상기 논의된 이유로, LCD의 편광기의 최외곽 표면에 눈부심 방지 필름이 코팅된 이후, 태양, 형광 램프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외부 광의 거울 반사를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특징 또는 탁월한 내마모성 또는 둘 다를 갖는 강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리한 방사선 경화된 (메트)아크릴레이트 결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눈부심 방지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합제는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내마모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합제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작용화된 지방족 우레탄을 입자와 함께 또는 입자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용한 분산액,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필름을 혼입하는 LCD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탁월한 내마모성 또는 눈부심 방지 특성, 바람직하게는 둘 다를 나타내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일반적으로 기재되었다.
입자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불규칙적인"은 표면이 매끈하지 않은 입자를 의미한다. 용어 "비대칭"은 입자가 평면 주위에서 대칭이 아님을 의미한다. 용어 "저분자량"은 1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화합물은 5,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은 탁월한 눈부심 방지 특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 취급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LCD 또는 CRT 패널 같은 선명도가 높은 화상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눈부심 방지 층으로서도 작용하는 내마모성 층을 함유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층은, 우수한 필름 형성, 탁월한 눈부심 방지 특성, 낮은 헤이즈, 우수한 손자국 저항성, 내마모성, 인성, 경도 및 내구성 같은 유리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가요성 투명 지지체상에 코팅된 불규칙한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함유하는 올리고머 또는 단량체의 화학선 경화성 분산액으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선의 예는 자외선(UV) 및 전자빔 선을 포함한다. 이들중에서 UV가 바람직하다.
2가지의 주요한 경화 유형, 즉 자유 라디칼 경화 및 양이온성 경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층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UV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반응성 희석제) 및 올리고머(반응성 수지 및 래커)가 자유 라디칼계 배합물의 주요 성분이어서, 경화된 코팅에 그의 물리적 특징의 대부분을 부여한다. UV 광 에너지를 흡수하고 분해시켜 자유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아크릴레이트기 C=C 이중 결합을 공격하여 중합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광 개시제가 필요하다. 양이온성 경화 유형에서는 주 성분으로서 지환족 에폭시 수지 및 비닐 에터 단량체를 사용한다. 광 개시제는 UV 광을 흡수하여 루이스산을 형성하고, 이 루이스산이 에폭시 고리를 공격하여 중합을 개시시킨다. UV 경화란 자외선 경화를 의미하고, 280 내지 420nm,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410nm의 파장을 갖는 UV 선을 사용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층에 사용될 수 있는 UV 선 경화성 수지 및 래커의 예는 다가 알콜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갖는 그의 유도체(예: 에톡실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다작용성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일컬음); 저분자량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뷰타다이엔 수지 및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같은 광 중합성 단량체 및 올리고머로부터 유도되는 것; 및 비교적 다량의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이온화 방사선-경화성 수지이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반응성 희석제는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비닐톨루엔 및 N-비닐피롤리돈 같은 일작용성 단량체, 및 다작용성 단량체, 예컨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헥세인다이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 방사선 경화성 래커는 특히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이들은 올리고(폴리)에스터 또는 올리고(폴리)에터 폴리올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종결된 우레탄을 생성시킴으로써 유도된다. 이어, 하이드록시 종결된 아크릴레이트를 말단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킨다. 이 아크릴화에 의해 올리고머의 말단에 불포화를 제공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특성은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톨루엔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같은 방향족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생성시킨다.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또는 헥실 메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같은 지방족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선택함으로써,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생성된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선택 외에, 폴리올 주쇄가 최종 올리고머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폴리올은 통상 에스터, 에터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분류된다. 올리고머 주쇄는 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에 의해 종결되며, 이들 단위는 자유 라디칼 개시되는 중합에 대한 반응성 부위로서의 역할을 한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올 및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종결 단위의 선택에 따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개발에 상당한 융통성이 허용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같은 대부분의 올리고머는 전형적으로 분자량 및 점도가 높다. 이들 올리고머는 다작용성이고 다중 반응성 부위를 함유한다. 반응성 부위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경화 속도가 개선되고 최종 생성물이 가교결합된다. 올리고머 작용기는 2 내지 6개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편리하게 사용되는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다가 알콜 및 이들의 유도체(예: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아크릴레이트 작용화된 지방족 우레탄 같은 펜타에리트리톨의 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다작용성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판중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몇몇 예는 사토머 캄파니(Sartomer Company)(펜실바니아주 엑스턴 소재)로부터의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되는 수지의 예는 사토머 캄파니로부터의 CN 968이다.
아세토페논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마이클러(Michler's) 벤조일 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 에스터, 또는 티오잔톤 화합물 같은 광 중합 개시제, 및 n-뷰틸 아민,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트라이-n-뷰틸 포스핀 같은 감광제(photosensitiz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혼입시킨다. 본 발명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온-1이다.
본 발명의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2H 이상, 바람직하게는 2H 내지 8H의 연필 경도를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눈부심 방지 특성을 제공하는 입자는 상기 기재된 방사선 경화성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층 조성물에 분산되며,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유기 입자이다. 또한, 입자의 표면 불규칙성으로 인해 입자는 2 내지 40m2/g의 비표면적 값을 나타낸다.
이들의 불규칙적인 구조 때문에, 이들 입자는 UV 경화된 매트릭스와 기계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표면의 마모 동안 눈부심 방지 층의 표면으로부터 입자가 제거되고 분진이 발생되어 표면 헤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구형 입자는 표면 층에 접착시키기가 힘들고, 취급하는 동안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기회가 더 많아서, 표면에 구멍을 생성시켜 결과적으로 헤이즈를 증가시킨다.
미분화된(micronized) 불규칙적인 폴리아마이드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층에 눈부심 방지 특성을 제공하는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의 예는 2 내지 20㎛, 적합하게는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들은 2중량% 이상 50중량% 미만, 적합하게는 2 내지 40중량%, 전형적으로는 2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층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층을 코팅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뷰탄올, 사이클로헥세인, 헵테인, 톨루엔 및 자일렌, 에스터(예: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필름으로부터의 가소화제 및 다른 첨가제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필름과 코팅 수지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시켜, 눈부심 방지 층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TAC 같은 지지체에 적합한 용매는 톨루엔 및 프로필 아세테이트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에스터 용매이다.
코팅 조성물은 또한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의 농도는 전체 코팅 조성물의 1 내지 99중량%이다.
이들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함유하는 자외선 중합성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투명한 가요성 지지체에 도포한 다음 UV 선에 노출시켜, 광학적으로 투명한 가교결합된 내마모성 층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UV 경화 흡수 에너지는 50 내지 1000mJ/cm2이다.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층의 두께는 통상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층은 내긁힘성, 내마모성 및 내블록킹성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수 침투, 손자국, 퇴색 및 황변에 대한 탁월한 저항성, 월등한 투명성 및 인성을 비롯한 우수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눈부심 방지 층은 바람직하게는 무색이다. 그러나, 상부 코팅(overcoat)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거나 보는데 유해하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면, 이 층이 색상 보정을 위해, 또는 특수 효과를 위해 몇몇 색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특별히 고려된다. 따라서, 색상을 부여하는 염료를 중합체에 혼입시킬 수 있다. 또한, 층에 목적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첨가제를 중합체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특정 층의 기능에 따라, 계면활성제, 유화제, 코팅 보조제, 윤활제, 무광택 입자, 레올로지 개질제, 가교결합제, 무적제(antifoggant), 무기 충전제(예: 전도성 및 비전도성 금속 산화물 입자), 안료, 자기 입자, 살생물제 등을 비롯한 다른 추가적인 화합물을 코팅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침지 코팅, 봉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및 역회전 롤 코팅, 슬롯 코팅, 압출 코팅, 슬라이드 코팅, 커튼 코팅 등과 같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기법중 임의의 기법에 의해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층을 도포할 수 있다. 코팅한 다음, 통상 단순히 증발시킴으로써 층을 건조시키는데, 이는 대류 가열 같은 공지 기법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공지의 코팅 및 건조 방법은 문헌[Research Disclosure No. 308119, 1989년 12월 출판, 페이지 1007 내지 1008]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무광택 입자를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광택제는 문헌[Research Disclosure No. 308119, 1989년 12월 출판, 페이지 1008 내지 1009]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 무광택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 중합체는 코팅된 층에 대한 무광택 입자의 접착력 개선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분자간 가교결합에 의해 또는 가교결합제와의 반응에 의해 결합제 중합체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미끄럼 마찰을 감소시키고, 또한 코팅의 내긁힘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UV 경화된 중합체는 플루오르화된 성분 또는 실록세인계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코팅 조성물은 또한 윤활제 또는 윤활제의 혼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윤활제는 예컨대 (1) 카나우바 왁스, 천연 및 합성 왁스, 석유 왁스, 미네랄 왁스 등과 같은 액체 파라핀 및 파라핀 또는 왁스 유사 물질; (2) 미국 특허 제 2,454,043 호, 제 2,732,305 호, 제 2,976,148 호, 제 3,206,311 호, 제 3,933,516 호, 제 2,588,765 호, 제 3,121,060 호, 제 3,502,473 호, 제 3,042,222 호 및 제 4,427,964 호, 영국 특허 제 1,263,722 호, 제 1,198,387 호, 제 1,430,997 호, 제 1,466,304 호, 제 1,320,757 호, 제 1,320,565 호 및 제 1,320,756 호, 및 독일 특허 제 1,284,295 호 및 제 1,284,294 호에 개시되어 있는 고급 지방산 및 유도체, 고급 알콜 및 유도체, 고급 지방산의 금속 염, 고급 지방산 에스터, 고급 지방산 아마이드, 고급 지방산의 다가 알콜 에스터 등; (3) 퍼플루오로알킬 측기를 함유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트라이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트라이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코-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비롯한 퍼플루오로- 또는 플루오로- 또는 플루오로클로로-함유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UV 경화된 눈부심 방지 층의 윤활성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어디티브(Additive) 31, 즉 메타크릴옥시-작용성 실리콘 폴리에터 공중합체(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 제품) 같은 중합성 윤활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질을 성공적으로 수송하기 위해서는, 전 제조 공정에 걸쳐 웹 수송에 의해 야기되는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층은 롤러 및 구동 닙 같은 운송 설비 위로 이동할 때 웹에 의해 축적되는 정전기적 방전으로부터 하전될 수 있기 때문에, 분진 및 먼지를 끌어당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전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투명한 중합체 지지체 물질은 수송되는 동안 기계 구성요소와 접촉할 때 정전하를 축적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대전방지 물질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웹 물질에 축적된 전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웹 물질상에 대전방지 물질을 코팅시킬 수 있으며, 이들 대전방지 물질은 투명한 웹 물질상에 코팅되어 감광지의 수송 동안 정전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대전방지 코팅의 예는 전도성 염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체 물질의 바람직한 대전방지 특성은 또한 중합체 층의 구성요소인 대전방지 첨가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중합체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첨가제의 혼입은 지방 4급 암모늄 화합물, 지방 아민 및 포스페이트 에스터를 포함한다. 대전방지 첨가제의 다른 유형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같은 흡습성 화합물, 및 웹 물질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소수성 미끄럼 첨가제이다. 지지체의 어느 한쪽 면상에 대전방지 코팅을 혼입시킬 수 있다. 50% RH에서 대전방지 코팅의 바람직한 표면 비저항은 1013Ω/스퀘어이다. 또한, 눈부심 방지 층(들)과 동일한 지지체 면상에 또는 지지체의 양쪽 면상에 추가의 전도성 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체 물질은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즈(TA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다이아세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 셀룰로즈, 폴리에터 설폰, 폴리아크릴계 수지(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카본에이트,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폴리설폰, 폴리에터, 폴리노보넨,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터 케톤,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유리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필름 같은 다양한 투명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50밀로 변화될 수 있다.
이들 투명 기판의 광 투과율이 가능한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비와이케이 가드너 헤이즈-가드 플러스(BYK Gardner Haze-Gard Plus) 설비를 이용하여 JIS K7105 및 ASTM D-1003에 따라 결정되는 광 투과율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이어야 한다. 작고 경량인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에 장착된 눈부심 방지 물질에 대해 투명한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 투명한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는 투명한 기판의 두께가 가능한한 얇은 것이 바람직한 조건이지만, 이 두께는 눈부심 방지 물질의 생산성 및 다른 인자를 고려하여 1 내지 50밀이어야 한다.
투명한 지지체 물질 중에서, TAC, 폴리카본에이트 및 폴리에스터가 전체적인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로 인해 바람직하다. 또한, TAC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에 대해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TAC가 충분히 낮은 복굴절률을 갖고, 눈부시지 않은 필름과 편광 소자를 서로에 대해 적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부심 방지 필름을 사용하는 탁월한 디스플레이 품질의 디스프레이 소자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TAC 필름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필름일 수 있다.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의 아세틸 값은 35% 내지 70%, 특히 55% 내지 65%이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70,000 내지 200,000, 특히 80,000 내지 190,000이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의 다분산 지수(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중량 평균 분자량)는 2 내지 7, 특히 2.5 내지 4이다. 목재 펄프 또는 면 린터로부터 유도되는 셀룰로즈 출발 물질로부터 셀룰로즈 아세테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아세틸 값이 목적하는 범위를 충족시키는 한, 프로피온산 또는 뷰티르산 같은 지방산을 사용하여 셀룰로즈 아세테이트를 에스터화시킬 수 있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필름은 통상 가소화제를 함유한다. 가소화제의 예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바이페닐릴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실 포스페이트, 크레실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옥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옥틸 포스페이트 및 트라이뷰틸 포스페이트 같은 포스페이트 에스터;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다이메톡시에틸 프탈레이트, 다이메틸 프탈레이트 및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같은 프탈레이트 에스터를 포함한다. 글라이콜산 에스터의 바람직한 예는 트라이아세틴, 트라이뷰티린, 뷰틸 프탈릴 뷰틸 글라이콜레이트, 에틸 프탈릴 에틸 글라이콜레이트 및 메틸 프탈릴 에틸 글라이콜레이트이다. 상기 기재된 둘 이상의 가소화제를 조합할 수 있다. 가소화제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특히 5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필름에 함유된다.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 외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필름도 상기 가소화제를 적절하게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AC는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의 입자를 함유하여 표면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의 예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탄산칼슘, 활석, 점토, 하소된 카올린, 하소된 규산칼슘, 수화된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을 포함한다.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및 산화지르코늄, 특히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중합체)의 예는 실리콘 수지, 플루오로 수지 및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용매 캐스팅(casting)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TAC 필름을 바람직하게 제조한다. 더욱 상세하게, 용매 캐스팅 방법은 용액 공급 장치(다이)의 슬릿으로부터 공급되는 중합체 용액을 지지체상에 캐스팅시키는 단계 및 캐스트 층을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규모 생산시에는, 예컨대 중합체 용액(예를 들어,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의 도프(dope))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밴드 컨베이어(예컨대, 순환 벨트)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드럼상에 캐스팅하는 단계, 이어 캐스트 층의 용매를 기화시키는 단계에 의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체가 그 위에 형성된 필름을 그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면, 임의의 지지체를 용매 캐스팅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가 상기 특성을 갖는 한, 금속 및 유리판 외의 지지체(예컨대, 플라스틱 필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이가 용액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할 수 있다면, 임의의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액을 다이로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펌프를 사용하여 용액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소규모 생산시에는, 적절한 양의 용액을 보유할 수 있는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 캐스팅 방법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용매에 용해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합체로 제조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광학 제품에 사용하기 위하여 높은 투명성을 가져야 하고 광학 이방성을 거의 갖지 않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흡수제와 상용성을 갖는다. 용매 캐스팅 방법에 사용되는 중합체로서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다른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로서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의 혼합된 용매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가 침전되지 않는다면(예컨대, 도프를 제조하는 절차 동안 또는 도프에 입자를 첨가하는 절차 동안), 아이소프로필 알콜 및 N-뷰틸 알콜 같은 다른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도프중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와 용매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중량 기준으로 10:90 내지 30:70(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용매)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카본에이트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의 면에서 방향족 카본에이트이며, 특히 비스페놀 A 유형의 폴리카본에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벤젠 고리, 사이클로헥세인 고리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페놀 A 잔기에 도입된 비스페놀 A 유형의 유도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기중 하나 이상이 중심 탄소원자에 대해 비대칭으로 도입된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카본에이트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심 탄소원자에 대해 비대칭으로, 비스페놀 A의 중심 탄소원자에 부착된 2개의 메틸기가 페닐기로 대체되거나 비스페놀 A의 각 벤젠 고리의 수소원자가 메틸 또는 페닐기 같은 치환기로 대체되도록, 카본에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폴리카본에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메테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테인 또는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뷰테인 같은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알케인 또는 그의 할로겐 치환된 유도체로부터 포스겐 방법을 통해 또는 에스터 교환 방법을 통해 이들을 수득한다.
폴리스타이렌 유형의 수지,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유형의 수지 또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유형의 수지 같은 다른 투명한 수지와의 혼합물 형태로 폴리카본에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유형의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폴리카본에이트 수지를 적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카본에이트 유형의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압출 방법, 용매-캐스팅 방법 및 캘린더링 방법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1축 연신 필름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탁월한 표면의 미세함 및 광학 등방성의 관점에서 용매-캐스팅 필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본에이트 수지 필름은 110℃ 이상(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 및 0.3% 이하(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의 흡수율을 가지며, 이 때 수분 함량은 23℃에서 24시간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 측정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코팅 방법에 의해 눈부시지 않은 층을 코팅하는 경우, 내열성, 내용매성, 피삭성(machinability), 기계적 강도 등의 관점에서 투명한 지지체 물질에 바람직한 다른 물질은 PET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코팅을 상기 기재된 투명한 중합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코팅시킨다. 이러한 실시태양의 눈부심 방지 필름은 편광 요소의 보호 필름으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편광 요소는 편광판을 포함하고, 보호 필름은 편광판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같은 디스플레이에서의 본 발명의 필름의 용도까지 확장된다. 편광기 요소는 본 발명의 내마모성 눈부심 방지 필름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마모성 및 눈부심 방지 둘 다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트에 중요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60°K에서 130 미만의 광택 값, 90% 이상의 투과율 및 50 미만의 투과 헤이즈 값이 요구되는, 선명도가 높은 용도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서 유용하도록, 투과 헤이즈, 광택 및 높은 투명성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를 예시한다.
물질
사토머로부터 UV 선 경화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N 968을 입수하였다. 개시제인 어가큐어(Irgacure) 184를 시바-가이기(Ciba-Geigy)로부터 수득하였다. 사용된 경화 램프는 퓨전 유브이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Fusion UV Systems, Inc.)로부터의 H 전구였다. 현탁 중합을 통해 구형의 가교결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P1, 평균 입자 크기 5㎛)를 합성하였다. 아토피나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ATOFINA Chemicals, Inc.)로부터 폴리아마이드 입자, 즉 오가솔(Orgasol) 2001 UD NAT 2(P2, 평균 입자 크기 5㎛) 및 오가솔 3501 EX D NAT 1(P3, 평균 입자 크기 10㎛)을 수득하였다. 다우 코닝으로부터 UV 경화성 윤활제인 어디티브 31을 수득하였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모든 코팅을 4밀 TAC상에 코팅하였다.
연필 경도 측정
코팅의 연필 경도 값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을 측정하기 전에 73F/50% RH에서 18시간 이상동안 컨디셔닝시켰다. 이 컨디셔닝 기간 후, 눈에 보이는 마킹에 대한 저항성을 ASTM D3363("연필 시험에 의한 필름 경도의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이 절차에서는, 선단을 원통형으로 샌딩(sanding)함으로써 다양한 경도의 연필을 준비하였다. 이어, 500g 하중을 이용하여 납 선단을 코팅 표면과 접촉시키고 코팅의 평면에 대해 45° 각도로 유지시키고, 코팅의 표면을 가로질러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켰다. 육안 검사를 이용하여 코팅에 가시적인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은 가장 단단한 납을 결정하였다.
인덴테이션(indentation) 모듈러스 측정
코팅의 인덴테이션 모듈러스를 다음과 같이 특정하였다. 모든 샘플을 측정하기 전에 23℃(73℉)/50% RH에서 18시간 이상동안 컨디셔닝시켰다. 이 컨디셔닝 기간 후, 반경 2㎛의 60° 원뿔형 다이아몬드 인덴터가 설치된 하이시트론(Hysitron) 나노인덴터를 사용하여 물질의 하중-이동 특성을 결정하였다. 모든 경우에 300μN 표적 하중을 이용하였다. 각 코팅에 대해 환산 모듈러스를 계산하기 위한 올리버(Oliver) 및 파(Pharr) 관계를 이용하여, 수득된 하중-이동 곡선을 분석하였다.
미소긁힘(microscratch) 측정
선택된 코팅의 미소긁힘 균열 개시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을 측정하기 전에 23℃(73℉)/50% RH에서 18시간 이상동안 컨디셔닝시켰다. 이 컨디셔닝 기간 후, 반경 3.5㎛의 원뿔형 다이아몬드 첨필이 설치된 CSEM 나노스크래치 테스터(Nanoscratch Tester)를 이용하여, 0.1 내지 100mN 하중 범위에서 경사진 하중 긁힘을 생성시켰다. 이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는 시각적 검사에 의해, 코팅에서 균열을 개시시키는데 필요한 하중을 결정하였다.
헤이즈 및 광택 측정
ASTM D-1003 및 JIS K-7105 방법에 따라 비와이케이 가드너 헤이즈-가드 플러스 장치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결정하였다. ASTM D523, ASTM D2457, ISO 2813 및 JIS Z 8741 방법에 따라 비와이케이 가드너 마이크로 트라이 광택계(BYK Gardner micro Tri gloss meter)를 이용하여 광택(60°)을 결정하였다. 상기 표의 헤이즈 및 광택 데이터는 각 샘플에서 이루어진 여러번의 판독시 얻어진 평균 값이다.
실시예 1 내지 4(내마모성 상부 코팅)
UV 경화성 올리고머 CN 968(12.6g)을 n-프로필 아세테이트(13.14g) 또는 메탄올(13.14g)에 용해시켰다. 이들 용액 각각에 어가큐어 184 0.36g 및 어디티브 31 0.18g을 첨가하였다. 이들 용액을 TAC상에 코팅하고 0.75j/cm2에서 경화시켜, 공칭 적용율(nominal coverage) 7g/m2의 CN 968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경화된 코팅을 수득하였다. 또한, n-프로필 아세테이트중의 용액을 TAC상에 코팅하여, 공칭 적용율 14g/m2의 다른 경화된 코팅을 수득하였다. 표 1은 연필 경도, 나노 인덴테이션 및 미소긁힘 시험 절차에 의해 측정된 이들 코팅의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보여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매는 TAC 같은 지지체상에서 우수한 내마모성을 수득하는데 일익을 담당한다. 메탄올로부터 코팅된 상부 코팅(실시예 3)은 프로필 아세테이트로부터 유도된 코팅(실시예 2)보다 코팅 파쇄("균열")를 개시시키는데 더 낮은 첨필 하중이 필요하였다. 실시예 2 및 3은 둘 다 유사한 연필 경도 등급을 가졌지만, 미소긁힘 개시 데이터는 메탄올로부터 제조된 코팅이 여전히 프로필 아세테이트로부터 제조된 상응하는 코팅보다 특정 유형의 작고 꺼칠꺼칠한 긁힘 손상에 대해 더욱 감수성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모든 코팅은 코팅이 없는 TAC(실시예 1)보다 더 높은 연필 경도 등급을 가졌다. 14g/m2으로 코팅된 상부 코팅(실시예 4)은 7g/m2으로 코팅된 상부 코팅보다 더 높은 연필 경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내지 14(눈부심 방지 코팅)
실시예 4에 기재된 n-프로필 아세테이트중 CN968의 용액을, 눈부심 방지 기능용 입자를 포함하도록 개질시켰다. 실시예 5 내지 9는 구형 입자 P1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4는 비대칭의 불규칙적인 입자 P2를 함유하였다. 모든 코팅은 14g/m2의 공칭 적용율을 가졌다. 표 2는 코팅의 조성을 기재하고 있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대칭의 불규칙적인 입자는 구형 입자에 비해 상응하는 입자 부하량에서 헤이즈 값이 보다 낮은 이점을 갖는다. 이는, 구형 입자가 표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되어 헤이즈를 증가시키는 구멍난 표면을 생성시키기 때문이다.
실시예 15 내지 19
사용된 입자가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체에 대해 2 내지 10중량%의 부하량의 P3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 내지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팅을 제조하였다.
표 3은 눈부심 방지 내마모성 코팅에 탁월한 연필 경도, 목적하는 광택 및 헤이즈를 부여하는, UV 경화된 중합체중 비대칭의 불규칙적인 입자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티슈로 닦아냄으로써 24시간동안 샘플상에 남겨진 손자국이 제거되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코팅의 손자국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탁월한 손자국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입자가 층의 50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실시태양; 광학 필름이 메타크릴옥시-작용성 실리콘 폴리에터 공중합체 같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윤활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실시태양; 필름이 2H 내지 8H의 경도를 갖는 실시태양;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다이아세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 셀룰로즈, 폴리에터 설폰,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카본에이트,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 비닐 클로라이드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 폴리비닐 알콜, 폴리설폰, 폴리에터, 폴리노보넨,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터 케톤 및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특히 트라이아세틸 셀룰로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한 중합체 지지체상에서 필름을 벗겨내는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투과 헤이즈가 50 미만이거나, 60° 광택이 130 미만이거나, 총 광 투과율이 90%보다 큰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층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작용화된 지방족 우레탄 같은 펜타에리트리톨 작용화된 지방족 우레탄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를 함유하는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 방사선 민감성 경화제(예: UV 민감성 경화 개시제), 및 유기 용매(예: 에스터 용매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코팅 분산액을 고려한다. 이러한 필름을 사용하는 LCD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고려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요성 투명 중합체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유기 용매중 다작용성 아크릴 화합물,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포함하는 방사선 경화성 결합제의 코팅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을 방사선 경화시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도 고려한다.
본원에 언급된 특허 및 다른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Claims (12)

  1.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체중에 불규칙적인 반결정질 비대칭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다가 알콜로부터 유도되는 다작용성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에톡실화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반복 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제 2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반복 기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저분자량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터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부터 유도되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되는 결합제가 지방족 폴리에스터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입자가 미분화된(micronized) 불규칙적인 폴리아마이드 또는 코폴리아마이드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입자가 2 내지 20㎛의 평균 크기를 갖는 광학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층의 2중량% 이상으로 존재하는 광학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2H보다 큰 연필 경도를 갖는 광학 필름.
KR1020057008374A 2002-11-12 2003-10-29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 KR20050074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2,353 US7252864B2 (en) 2002-11-12 2002-11-12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US10/292,353 2002-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585A true KR20050074585A (ko) 2005-07-18

Family

ID=3222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374A KR20050074585A (ko) 2002-11-12 2003-10-29 디스플레이 소자용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2864B2 (ko)
EP (1) EP1563340A1 (ko)
JP (1) JP2006506666A (ko)
KR (1) KR20050074585A (ko)
CN (1) CN1711496A (ko)
TW (1) TWI291579B (ko)
WO (1) WO2004044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1386B2 (en) * 2004-08-26 2007-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glare coating and articles
US7294405B2 (en) * 2004-08-26 2007-1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glare coating and articles
US20060246233A1 (en) * 2005-04-28 2006-11-02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diffusion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70026089A1 (en) * 2005-07-29 2007-02-01 Trendon Touch Technology Corp. Touch screen with bacteria inhibi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6002596A1 (de) * 2006-01-18 2007-07-19 Tesa Ag Verbundfolie
JP2008032763A (ja) * 2006-07-26 2008-02-14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1930381B1 (en) * 2006-12-05 2009-02-18 DSMIP Assets B.V. Radiation-curable coating composition
US20090104370A1 (en) * 2007-10-17 2009-04-23 National Applied Research Laboratories, National Center For High-Performance Micro-structural film manufacturing process
JP5306635B2 (ja) * 2007-11-27 2013-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TW200928931A (en) * 2007-12-25 2009-07-01 Cando Corp Capacitive overcoat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JP4638954B2 (ja) * 2008-09-16 2011-02-2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耐指紋性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耐指紋性コーティング層が設けられた塗装物
KR101191117B1 (ko) * 2009-09-28 2012-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
US20110319531A1 (en) 2010-06-29 2011-12-29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US9273195B2 (en) 2010-06-29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Tires comprising cellulose ester/elastomer compositions
CN103052895B (zh) * 2010-08-02 2015-10-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US9708472B2 (en) 2011-12-07 2017-07-18 Eastman Chemical Company Cellulose esters in highly-filled elastomeric systems
KR101860935B1 (ko) * 2012-03-15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7186B1 (ko) * 2013-01-09 2015-10-05 (주)엘지하우시스 투명 수지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79200B1 (ko) * 2014-10-16 2019-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US9557841B2 (en) * 2015-01-22 2017-01-31 Eastman Kodak Company Devices with protected electrically-conductive metal grids
JP2016170269A (ja) * 2015-03-12 2016-09-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10077342B2 (en) 2016-01-21 2018-09-18 Eastman Chemical Company Elasto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cellulose ester additives
JP6880557B2 (ja) * 2016-03-11 2021-06-02 株式会社リコー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2次元又は3次元の像の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並びに硬化物
MX2019006002A (es) * 2016-11-23 2019-08-14 Covestro Deutschland Ag Peliculas de polimero antirreflejo conformables.
JP6556812B2 (ja)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CN111492023A (zh) * 2017-12-18 2020-08-04 佳能化成株式会社 防表面反射涂料和防表面反射涂膜
JP7082810B2 (ja) * 2018-07-19 2022-06-09 十条ケミカル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紫外線硬化樹脂成形品、及び紫外線硬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973155B1 (ko) * 2018-12-10 2019-04-26 (주)딥스원에듀 도트필름, 다층광학시트 및 스마트 전자칠판
US20220267198A1 (en) * 2019-08-07 2022-08-25 Corning Incorporated Thin flexible glass cover with a fragment retention hard coat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451A (en) 1970-02-13 1972-07-25 Marks Polarized Corp Nonglare coating for surfaces of tv tubes and the like and such coated surfaces
DE3415104A1 (de) * 1984-04-21 1985-10-31 Bayer Ag, 5090 Leverkusen Beschichtete kunststoffolie
US4734295A (en) 1985-01-07 1988-03-29 Liu P Dong Guang Glare control
GB2174710B (en) * 1985-04-22 1989-04-19 Tdk Corp Coating type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um for digital recording
US5491009A (en) * 1990-08-03 1996-02-13 W. R. Grace & Co.-Conn. Amorphous nylon composition and films
DE4104270A1 (de) * 1991-02-13 1992-08-20 Goldschmidt Ag Th Organopolysiloxane mit an einer gemeinsamen spacergruppe gebundenen polyether- und ester-gruppen
EP0582685B1 (en) * 1991-04-03 1999-03-03 RED SPOT PAINT & VARNISH CO., INC. Uv 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US6123877A (en) * 1994-12-28 2000-09-26 Nashua Corporation Asymmetric light diffusing material
JPH09251101A (ja) 1996-03-15 1997-09-2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US6010747A (en) * 1996-12-02 2000-01-04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making optical structures for diffusing light
US6424786B1 (en) * 1996-12-02 2002-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llumination assembly
JPH10180950A (ja) * 1996-12-25 1998-07-07 Lintec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967474B2 (ja) 1997-03-27 1999-10-2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FR2766493B1 (fr) * 1997-07-25 2003-10-03 Atohaas Holding Cv Composition thermoplastique a base de (co)polymere thermoplastique transparent contenant des particules de polyamide utilisable pour des articles faconnes diffusant la lumiere
US6343865B1 (en) 1998-02-17 2002-02-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Non-glare film, polariz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3515401B2 (ja) 1998-12-1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表示装置
JP2001281403A (ja) * 2000-03-29 2001-10-10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イ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1305314A (ja) 2000-04-19 2001-10-31 Nitto Denko Corp アンチグレア層、アンチグレアフィルムおよび光学素子
JP2002169001A (ja) 2000-09-22 2002-06-14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6426034B1 (en) * 2000-10-31 2002-07-30 Lilly Industries, Inc. Radiation curable coating for thermoplastic substrates
DE10114815B4 (de) 2001-03-26 2005-12-08 Wolf-Gernot Dr. Drost Farbige dichroitische Polarisator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869675B2 (en) * 2002-11-12 2005-03-22 Eastman Kodak Company Durable overcoa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3340A1 (en) 2005-08-17
US20040091643A1 (en) 2004-05-13
WO2004044649A1 (en) 2004-05-27
JP2006506666A (ja) 2006-02-23
TWI291579B (en) 2007-12-21
TW200420977A (en) 2004-10-16
US7252864B2 (en) 2007-08-07
CN1711496A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864B2 (en)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US20070243339A1 (en) Anti-glare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KR2006011389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광학 필름
TWI259909B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tiglare antireflective film
EP2147073B1 (en)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KR101235451B1 (ko) 광학 필름 및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1204597B1 (ko) 내긁힘성 박막 필름
CN106680912B (zh) 一种高雾度光学扩散膜
TWI294041B (en)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13174888A (ja) アンチグレアフィルム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したアンチグレアフィルム
US20070058250A1 (en) Optical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02311204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31609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WO2006080456A1 (ja) 塗布組成物、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9207381A (ja) 防眩性積層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H1134243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623184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9225130A1 (ja) 防眩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CN112485853B (zh) 粉笔可书写防眩光膜
JP4924861B2 (ja) 光拡散フィルム
KR100246036B1 (ko) 대전 방지 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아크릴계 피복조성물
JP2005193514A (ja) 表面改質複合シート
JP4277936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20160104248A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