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05A -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 Google Patents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05A
KR20050073505A KR1020040049364A KR20040049364A KR20050073505A KR 20050073505 A KR20050073505 A KR 20050073505A KR 1020040049364 A KR1020040049364 A KR 1020040049364A KR 20040049364 A KR20040049364 A KR 20040049364A KR 20050073505 A KR20050073505 A KR 2005007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elastic member
opening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635B1 (ko
Inventor
송영우
서윤원
Original Assignee
송영우
서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우, 서윤원 filed Critical 송영우
Publication of KR2005007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전면프레임 및 고정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전면프레임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는 후방에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전방에 인쇄물과 받침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에 회전돌기와 힌지 결합되는 만곡부, 만곡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쇄물을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 및 만곡부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전면프레임과, 일단은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간에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될 때 스프링지지부를 가압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는 금속판재가 만곡성형되어 변형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2단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FRONT-OPENABLE PICTURE FRAME AND ELASTIC MEMBER FOR A FRONT-OPENABLE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전면개폐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이 전면프레임 및 고정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전면프레임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전면개폐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인쇄물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가압고정 및 고정프레임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개폐상태유지에 필용한 절절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자나 사진틀의 내용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액자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 또는 체결구 등을 해체한 다음 후면의 받침판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교체하고 다시 받침판을 안착시켜 나사 또는 체결구를 재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 액자의 내용물 교체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자주 교체하는 경우에는 나사 또는 체결구 및 액자의 프레임이 손상되어 액자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종래 액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액자의 전면프레임이 개폐되는 방식의 액자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에는 돌기와 홈 등을 이용한 결합방식, 자석을 이용한 개폐방식,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 개폐방식 및 판스프링을 이용한 방식 등이 있다.
돌기와 홈을 이용한 결합방식 가운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26880호에서는 경첩을 이용하여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연결하고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해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 및 액자 내에 설치되는 내용물을 고정함으로써 개폐가 용이한 액자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이 경첩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어서 전면프레임을 개방하였을 때 개방 상태에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동작상태가 불안정한 면이 있으며,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한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693945호에서도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각각에 결합홈 및 결합돌기를 설치하고, 전면프레임의 외측에는 고정프레임과 접촉되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전면프레임이 소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액자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액자 내부에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자석을 이용한 개폐 방식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21호에는 전면프레임에 회전돌기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프레임에는 회전홈을 형성함으로써 회전홈에 회전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전면프레임이 회전하며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자석을 이용하여 전면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면프레임의 작동 상태가 불량하고 프레임 사이의 고정이 자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고정력이 약하여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66076호에 개시된 액자는 고정프레임에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전면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회전돌기와 회전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프레임이 회전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며, 자석에 의해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 상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정력이 약하여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 개폐방식의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24465호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액자 전면프레임의 상측과 고정프레임을 힌지에 의해 결합하고, 전면프레임의 하측에는 걸림편을 설치하고 고정프레임에는 이 걸림편과 결합되는 고정핀을 설치하고, 누름버튼을 누르면 압축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고정핀이 작동되어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내용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력이 부족하고 액자가 벽에 걸린 상태에서 내용물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고정력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스프링을 이용한 개폐방식의 액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7374호에는 전면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홈과 고정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홈 사이에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과 접촉하여 내용물을 고정하는 닫힘위치와 고정프레임에 대해 대략 직각 상태의 개방위치 사이에서 작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액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길이와 두께 및 가공상태에 따라 탄성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해 대략 직각의 상태로 완전 개방되기 때문에 교체를 목적으로 내용물을 취급하는 중에 떨어뜨릴 염려가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59862호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02708에는 전면프레임이 U자형 판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액자가 개시되지만, 판스프링이 고정프레임 상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된 상태로 전면프레임의 후측면과 고정프레임 공간부 사이에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설치 상태 및 전면프레임의 동작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이 개폐됨으로써 내용물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내용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물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가압고정 및 고정프레임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개폐상태유지에 필용한 절절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이 전면프레임 및 고정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전면프레임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는 후방에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전방에 인쇄물과 받침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과, 일단에 회전돌기와 힌지 결합되는 만곡부, 만곡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쇄물을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 및 만곡부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전면프레임과, 일단은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간에 전면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 스프링지지부를 가압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탄성부재의 일단 절곡부는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부재의 타단 절곡부는 그 선단에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어 고정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는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의 일단 절곡부와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와 스프링지지부 사이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다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프레임은 그 외측면에 장식용 몰딩이 결합되는 몰딩홈부와, 가압부 상측에 외관장식을 위한 모양이 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는 금속판재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성형되어 변형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2단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에는 고정프레임의 지지홈 내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1)는 사진, 그림 등의 인쇄물(4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10)이 상하좌우에 배치되어 인쇄물(4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하좌우에 설치되는 각각의 전면프레임(10)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전면프레임(10)이 개폐된 상태에서 인쇄물(41)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1)에 있어서, 전면프레임(10)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고, 도 3은 전면프레임(1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1)에 설치되는 판스프링(30)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판스프링(30)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개폐식 액자(1)는 전면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 그리고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20)은 상하좌우에 배치되어 액자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각각의 고정프레임(20)은 고정브라켓(50)과 볼트(5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의 액자형상을 구성한다.
고정프레임(20)은 전방에 받침판(42)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7)와, 인쇄물(41) 및 투명판(40) 등의 내용물이 안착되는 장착부(18)가 형성된다. 고정프레임(20) 후방에는 회전돌기(21)가 형성된다. 회전돌기(21)는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1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프레임(10)은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고정프레임(20)에 결합되는데, 일단에 상기 고정프레임(20)의 회전돌기(21)와 힌지 결합되는 만곡부(11)가 형성된다. 만곡부(11)는 회전돌기(21)와 결합된 상태로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축 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 만곡부(11)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판스프링(30)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12)가 연장되고 외측으로는 가압부(14)가 연장형성된다.
전면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 사이에는 탄성부재로서 작용하는 판스프링(30)이 설치된다. 판스프링(30)의 일단은 상기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20)에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30)의 양단에는 절곡부(32, 33)가 형성되어, 일단 절곡부(32)는 상기 스프링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 절곡부(33)의 단부에는 다수의 톱니형 돌기(33a)가 형성되어 고정프레임(20)에 형성된 고정홈(23)에 고정된다. 톱니형 돌기(33a)는 판스프링(30)이 전면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 사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판스프링(30)의 중간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지지부(12)를 가압지지하여 전면프레임(10)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30)의 일단 절곡부(32)가 스프링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 절곡부(33)는 고정홈(23)에 고정되며, 걸림턱(31)이 스프링지지부(12)를 지지하므로 판스프링(30)이 세 지점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면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20)의 결합 및 작동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전면프레임(10)에는 액자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몰딩홈부(15)와 장식부(16)가 더 포함된다. 몰딩홈부(15)는 전면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으로서, 이 몰딩홈부(15)에는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몰딩(43)이 결합됨으로써 액자의 미려한 외관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4) 상측에 외관장식을 위한 모양이 형성되는 장식부(16)가 설치된다. 따라서 액자의 용도 및 사용목적에 따라 전면프레임(10)을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액자 전체의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개폐식 액자(1)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자의 인쇄물(41)을 교체하기 위해 전면프레임(10)을 액자의 전방으로 당기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에 놓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가 걸림턱(3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전면프레임(10)이 안정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프레임(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인쇄물(41)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액자의 인쇄물(41)을 교체한 후에 전면프레임(10)을 액자 방향으로 가압하면 판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프레임(10)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닫힘 위치로 복귀되고, 전면프레임(10)의 가압부(14)가 투명판(40)과 인쇄물(41)을 고정프레임(20)의 장착부(18)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인쇄물(41)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1)에 설치되는 판스프링(30)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판스프링(30)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0)에는 스프링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는 일단 절곡부(32)와 걸림턱(31) 사이에 다수의 지지돌기(37)가 형성되어, 판스프링(30)과 스프링지지부(12) 사이에 지지력을 부여함으로써 전면프레임(10)의 개방 상태 및 닫힘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는 고정프레임(20)과 이 고정프레임(20)에 힌지결합된 전면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물(41)에 대한 가압고정 및 개폐상태유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금속판재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성형되어 변형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일측을 2단 절곡시켜 형성되고, 전면프레임(10)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절곡부(120)와, 몸체부(110)의 타측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되는 제 2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금속판재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성형됨으로써 전면프레임(10)의 회동에 따른 변형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인쇄물(41)에 대한 가압고정력을 전면프레임(10)에 제공하고 전면프레임(10)의 개폐시에는 전면프레임(10)의 개폐상태를 유지시키키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제 1 절곡부(120)가 형성되는데, 이 제 1 절곡부(120)는 몸체부(110)의 일측을 2단 절곡하여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프레임(10)의 개폐동작시에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가 곡면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적절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의 단부에 항상 2개의 접점으로 지지되어 인쇄물(41)에 대한 전면프레임(10)의 가압고정 및 고정프레임(10)에 대한 전면프레임(20)의 개폐상태유지에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0)의 타측에는 제 2 절곡부(130)가 형성되는데, 이 제 2 절곡부(130)는 고정프레임(20)의 고정홈(23)에 끼워져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제 1 절곡부(120)와 달리 몸체부(110)의 타측을 1단 절곡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 2 절곡부(130)에는 톱니형 돌기(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톱니형 돌기(131)는 고정프레임(20)의 지지홈(23) 내에서 제 2 절곡부(13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자체탄성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면프레임(10)에 비교적 균일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 2 절곡부(130)가 고정프레임(20)의 고정홈(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전면프레임(10)의 개폐동작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와 고정프레임(20)의 고정홈(23) 사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가 설치되어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10)에 대해 인쇄물(41)을 가압고정하고 있는 상태(점선으로 도시)에서, 인쇄물(41)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면프레임(10)을 액자의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전면프레임(10)이 고정프레임(20)에 대하여 개방되는 상태(실선으로 도시)로 된다. 이와 같은 전면프레임(10)의 개방상태에서는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가 제 1 절곡부(120)에 대해 항상 2개의 접점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전면프레임(10)은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안정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전면프레임(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인쇄물(41)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인쇄물(41)을 교체한 후에, 전면프레임(10)을 밀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프레임(10)이 닫혀지는 상태(점선으로 도시)로 복귀되고, 따라서, 전면프레임(10)의 가압부(14)는 인쇄물(41)을 고정프레임(2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인쇄물(41)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도 전면프레임(10)의 스프링지지부(12)는 제 1 절곡부(120)에 대해 항상 2개의 접점을 통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100)의 탄성에 의해 전면프레임(10)의 개방이 방지되므로 전면프레임(10)에 의한 인쇄물(41)의 가압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는, 전면프레임이 용이하게 개폐되어 내용물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전면프레임 및 고정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전면프레임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내용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조에 의한 전면개폐식 액자의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면프레임에 몰딩홈부 및 장식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미려한 외관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는 인쇄물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가압고정 및 고정프레임에 대한 전면프레임의 개폐상태유지에 필용한 절절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설치되는 판스프링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판스프링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설치되는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판스프링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개폐식 액자
10 : 전면프레임 11 : 만곡부
12 : 스프링지지부 14 : 가압부
15 : 몰딩홈부 16 : 장식부
17 : 수용부 18 : 장착부
20 : 고정프레임 21 : 회전돌기
23 : 고정홈 30 : 판스프링
31 : 걸림턱 32, 33 : 양단 절곡부
33a : 톱니형 돌기 37 : 지지돌기
40 : 투명판 41 : 인쇄물
42 : 받침판 43 : 몰딩
50 : 고정브라켓 51 : 볼트
100 :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Claims (6)

  1. 후방에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전방에 인쇄물과 받침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
    일단에 상기 회전돌기와 힌지 결합되는 만곡부, 상기 만곡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쇄물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만곡부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전면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간에 상기 전면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지지부를 가압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 절곡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 절곡부는 그 선단에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의 일단 절곡부와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부재와 스프링지지부 사이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다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그 외측면에 장식용 몰딩이 결합되는 몰딩홈부와, 가압부 상측에 외관장식을 위한 모양이 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5.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전면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물에 대한 가압고정 및 개폐상태유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에 있어서,
    금속판재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성형되어 변형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2단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끼워져 지지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곡부에는 고정프레임의 지지홈 내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톱니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KR1020040049364A 2004-01-08 2004-06-29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KR100602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41 2004-01-08
KR1020040001041A KR20050117623A (ko) 2004-01-08 2004-01-08 프레임 개폐식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05A true KR20050073505A (ko) 2005-07-14
KR100602635B1 KR100602635B1 (ko) 2006-07-19

Family

ID=372625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41A KR20050117623A (ko) 2004-01-08 2004-01-08 프레임 개폐식 액자
KR1020040049364A KR100602635B1 (ko) 2004-01-08 2004-06-29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41A KR20050117623A (ko) 2004-01-08 2004-01-08 프레임 개폐식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762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81B1 (ko) * 2007-01-12 2007-03-29 박병천 개폐식 액자 및 조립용 공구
WO2013142677A1 (en) * 2012-03-21 2013-09-26 Marketing Displays, Inc. Display frame with inserts
KR200475897Y1 (ko) * 2013-10-22 2015-01-21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0477333Y1 (ko) * 2014-09-30 2015-06-01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101532080B1 (ko) * 2013-10-31 2015-06-30 주식회사 사인테크 대형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한 광고용 프레임 장치
KR20210002329U (ko) 2020-04-10 2021-10-20 김도엽 전시 게재물 교체가 용이한 클립보드형 액자
KR20220051951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인클락 살균 소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60B1 (ko) * 2006-12-04 2008-02-20 임종원 액자
KR100956744B1 (ko) * 2008-04-01 2010-05-12 이승근 에이치빔을 이용한 광고판
KR101142920B1 (ko) 2008-09-02 2012-05-10 (주)바우랜드 개방형 커버판을 갖는 광고액자
KR101028568B1 (ko) * 2009-05-18 2011-04-11 조재연 액자
CN103479142A (zh) * 2013-09-25 2014-01-01 林健 易于更换画面的画框
EP3292801B1 (en) 2015-05-04 2019-08-28 Hudeco Co., Ltd. Structure of non-interference front-surface opening/closing-type frame
KR101957392B1 (ko) 2018-05-18 2019-03-12 방승현 개폐식 액자
KR20190132194A (ko) 2019-01-08 2019-11-27 유지열 개폐식 액자
KR102145226B1 (ko) * 2019-12-04 2020-08-18 서현승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설치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81B1 (ko) * 2007-01-12 2007-03-29 박병천 개폐식 액자 및 조립용 공구
WO2013142677A1 (en) * 2012-03-21 2013-09-26 Marketing Displays, Inc. Display frame with inserts
KR200475897Y1 (ko) * 2013-10-22 2015-01-21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101532080B1 (ko) * 2013-10-31 2015-06-30 주식회사 사인테크 대형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한 광고용 프레임 장치
KR200477333Y1 (ko) * 2014-09-30 2015-06-01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210002329U (ko) 2020-04-10 2021-10-20 김도엽 전시 게재물 교체가 용이한 클립보드형 액자
KR20220051951A (ko) *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인클락 살균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635B1 (ko) 2006-07-19
KR20050117623A (ko)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635B1 (ko)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TWI294478B (en) Hinge with spring for furniture
JP2981744B1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KR19990015197U (ko) 냉장고의 하부힌지어셈블리
KR200347146Y1 (ko) 프레임 개폐식 액자
JP3175933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取付装置
KR101246043B1 (ko) 처마 장식을 가진 가구 유니트의 개방중에 미는 힘을발휘하는 힌지
JP3211178B2 (ja) 額縁の裏板ホルダー
KR20030051124A (ko) 액자
JP2006263066A (ja) ネクタイピン
CN211422213U (zh) 定位机构以及撑档
KR20010048286A (ko) 전기밥솥의 뚜껑개폐장치
KR940005945Y1 (ko) 걸이구
JP3387467B2 (ja) 枠体取付構造
JPS6135103Y2 (ko)
JP3867240B2 (ja) 扉錠の台座取付装置
JP3063728U (ja) 懐中鏡
KR200250181Y1 (ko) 매립형 휴지걸이
KR200245985Y1 (ko) 액자
JPH0646428Y2 (ja) 笛付き湯沸かし器の把手取付け構造
JPH046615Y2 (ko)
JPH03111006A (ja) 額縁用枠材の開閉機構
JP3439339B2 (ja) 前面開閉式の額縁
JP3842514B2 (ja) 間仕切りパネル
KR200242494Y1 (ko) 장식품 케이스의 경첩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