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452A -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452A
KR20050073452A KR1020057004014A KR20057004014A KR20050073452A KR 20050073452 A KR20050073452 A KR 20050073452A KR 1020057004014 A KR1020057004014 A KR 1020057004014A KR 20057004014 A KR20057004014 A KR 20057004014A KR 20050073452 A KR20050073452 A KR 2005007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gas
transformation temperature
welding method
low trans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030B1 (ko
Inventor
아키히코 오타
나오유키 수주키
요시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쿠리츠교세이호징 붓시쯔 자이료 겐큐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2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981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2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7622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쿠리츠교세이호징 붓시쯔 자이료 겐큐키코 filed Critical 도쿠리츠교세이호징 붓시쯔 자이료 겐큐키코
Publication of KR2005007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4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making use of a mov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8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 B23K35/383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mainly containing noble gases or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23K9/044Built-up welding on three-dimensio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방법에 있어서, 피로강도와 함께 샤르피 값을 높게 하기 위해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만, 또는 희가스와 소량의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또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보강 용접에 있어서, 피로강도의 향상과 아울러 용접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선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로의 열이력을 억제하여 용접한다.

Description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WELDING METHOD USING WELDING MATERIAL OF LOW TRANSFORMATION TEMPERATURE}
본 출원의 발명은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제1로는, 용접 피로강도와 함께 샤르피 값을 높게 할 수 있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이용한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은 제2로는, 큰 용접부 피로강도를 필요로 하는 용접구조물의 보강 용접에 있어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용접균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접방법은 용접후의 냉각에 따른 열수축에 의해 용접부에 인장의 잔류응력이 유기되어 용접부의 피로강도가 저하해서 용접균열(Weld Crack)이 생긴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용접이 완료되는 실온 혹은 실온부근의 온도에서 마루텐사이트 변태팽창이 종료하는 용접재료와 탄산가스 함유 실드가스를 이용하여 피용접금속에 아크 용접을 행하는, 소위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새로운 「용접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이미 특허등록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3010211호).
그러나, 제안된 이 새로운 「용접방법」에 의하면 용접 피로강도는 현저하게 향상되지만, 샤르피 값(충격강도값)이 부족할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그 적용에는 제한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의 발명은,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에 있어서, 용접 피로강도향상과 아울러 샤르피 값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새로운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이 제안한, 상기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일본 특허 제3010211호)에 의하면, 용접구조물의 피로강도는 현저하게 개선되지만, 이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는, 보강 용접에 의해 용접부 근방에 의 압축잔류응력의 도입에 의해 피로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강 부위에 있어서, 반복 고온 가열되면 용접균열(Weld Crack)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일반적인 용접방법에서는 반복 가열되더라도 용접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용접재료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접된 후의 용접부의 형상에는 주의가 기울여져 있던 용접재료의 반복 가열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이 기울여져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용접 피로강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접방법은 종래의 용접방법과 동일하게 용접부재에 대해서 반복 가열하는 방법이 그대로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의 사용에 의해서, 용접 피로강도가 향상하는 것이 기대되는데도 불구하고, 용접부에 용접균열이 발생함으로써,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라는 사태가 생긴다.
그래서, 본 출원의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명자들의 제안에 의해 실제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의 특징을 살리고, 용접균열의 발생을 억제해서 용접부의 피로강도를 확실하게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보강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한 부가구조물을 용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한 보강 용접경로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법의 부가구조물을 용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법의 보강 용접경로를 정면으로부터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수직구조물 B … 수평 부가구조물
1 … 기존 용접부재 2 … 보강 용접부재
3 … 보강 용접의 용접선 4 … 부가구조물의 하측
5 … 부가구조물의 하측 단부
6 … 부가구조물의 측면 7 … 부가구조물의 상측 단부
8 … 부가구조물의 상측 9 … 용접균열
본 출원의 발명은, 우선 상기의 용접 피로강도와 함께 샤르피 값을 향상시킨다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위한 것으로서, 제1로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법으로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만을 사용하여 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은, 제2로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법으로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사용해서 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을 제공하고, 제3으로는, 상기 실드 가스로서 체적비가 8% 이하인 산소가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제4로는, TIG 용접인 용접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출원의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 용접에 있어서, 용접균열의 발생을 억제해서 용접부의 피로강도를 확실하게 향상시킨다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위한 것으로서, 제5로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에 용접온도에 의한 열이력을 회피하면서 보강 용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6으로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수평 부가구조물의 단부 용접멈춤 단부의 상측으로부터 측면을 경유하여 하측을 보강 용접하는 방법을, 제7로는, 용접선이 직선상으로 되도록 이동시키면서 보강 용접하는 방법을, 제8로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9로는, 상기 아크 보강용접을,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만을 이용하여 행하는 방법을, 제10으로는,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방법을, 제11로는, 산소가스의 체적비를 8% 이하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의 발명은, 발명자에 의한 예의 검토의 결과로서 얻어진, 예측할 수 없는, 우수한 작용 효과의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우선, 용접 피로강도와 함께 샤르피 값을 향상시키기 위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이용하는 본 출원의 발명의 아크 용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실드 가스로서는, 일반적으로 아르곤가스, 헬륨가스 등의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는 MIG 용접(Metal Inert-Gas 용접)이나 이산화탄소가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아르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에 산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와 같은 활성가스를 혼합한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MAG 용접(Metal Active-Gas 용접)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종래에는, 값싸고 취급이 용이한 이산화탄소가스가 실드 가스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이 의거하는 선행 발명인 「용접방법」(일본 특허 제30102l1호)에 있어서도 실드 가스로서는, 이산화탄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와 다른 가스의 혼합가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에 있어서는, 발명자들은 그 조성이나 용접온도 등 조건을 변경해서 검토를 여러번 하였지만, 높은 용접 피로강도와 함께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런데, 검토를 여러번 하는 과정에서, 실드 가스로서 이산화탄소가스 대신에 아르곤가스 또는 헬륨가스, 그들의 혼합가스 등의 희가스, 또는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피로강도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것은 전현 예상외의 것이며, 종래의 지식, 경험으로부터는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여기서 희가스, 그리고 이것에 혼합되는 산소가스에 대해서는, 그 각각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 성분의 존재가 허용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본 출원의 발명의 희가스만, 혹은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실드 가스로 하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아크 용접으로서 일반적인 가스 메탈 아크 용접법(Gas Metal Arc Welding)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텅스텐을 전극으로서 사용하고, 이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의 주위를 불활성가스로 실드하여, 별도 공급되는 용접재를 아크열로 용융하여 모재에 투여하는, 소위 TIG 용접법(Tungsten Inert-Gas welding법)도 사용가능하므로, 바람직한 것으로서 고려된다.
희가스에 혼합되는 산소가스에 대해서는, 그 혼합 비율은 체적비로 10% 이하가 바람직하며, 또는 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산화가스의 첨가는, 아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유효하다.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하면, 희가스 단독 또는 희가스에 소량의 산소가스를 혼합한 실드 가스를 사용한다는 간편한 방법으로 피로강도와 함께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그 사용용도가 제한되어 있던 적용범위의 확대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예컨대, 선행의 「용접방법」(일본 특허 제3010211호)에 의해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와 이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드 가스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에서는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이 24J이었던 것이, 본 출원의 발명의 일형태인 98%아르곤과 2%산소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지는 실드 가스를 이용하여 용접한 경우, 얻어지는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은 54J로 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동일 실드 가스를 사용해서 TIG 용접(Tungsten Inert-Gas welding법)을 행한 경우에는 72J로 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에 대해서는,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선행 발명(일본 특허 제3010211호)에 규정된 각종 조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의 보강 용접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용접재료에는, 용접이 완료되는 실온 또는 그 부근에서 마루텐사이트 변태팽창이 종료하는 것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용접재료로서는, Ni 및 Cr을 함유하는 합금재료가 보다 적당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일반적으로는, 화학조성(중량%)으로서, Ni:8~12%, Cr:8.5~14, 그리고 C(탄소):0.5이하, Si:0.8이하, Mn:2.0이하, Mo:0.5이하와 같은 철기(鐵基)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0.5% 이하의 Nb, Ti, Al, W, Ta, V, Hf, Zr 등을 첨가해도 좋다. 단, Ni 및 Cr을 제외한, 금속원소의 총비율은,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며, 더욱 상세하게 본 출원의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론 이하의 예에 의해서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은 용접와이어로서 사용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의 함유 조성(Fe 이외의)을 예시한 것이다.
종류 C Si Mn P S Ni Cr Mo
함유량(wt%) 0.02 0.75 1.93 0.013 0.006 9.42 9.31 0.13
표 2sms 실드 가스의 조성과 용접조건을 나타낸 일람표이다. 실험번호의 1 및 2로 나타낸 것이 표 1의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한 종래 발명의 방법이며, 실험번호 3 및 4로 나타낸 것이, 본 출원의 발명의 방법이다.
종래방법으로서는 이산화탄소가스 100%로 이루어지는 실드 가스(실험번호1)를 사용하는 것과 아르곤가스 80%와 이산화탄소가스20%의 혼합가스(실험번호2)로 이루어지는 2종류의 실드 가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출원의 발명의 실드 가스로서 아르곤가스 98%과 산소가스 2%(실험번호3)로 이루어지는 실드 가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TIG 용접에의 적응성을 조사하기 위해 아르곤가스 100%(실험번호4)의 실드 가스를 사용하였다.
용접법 실드 가스 전류(A) 전압(V) 용접속도(㎝/min) 입(入)열(MJ/m) 비 고
1 GMA※1 100% CO2 350 34 130 5.5 종래발명의 방법
2 MAG※2 80% Ar+20% CO2 350 32 130 5.2 종래발명의 방법
3 MAG 98% Ar+2% O2 350 31 130 5.0 본 발명의방법
4 TIG※3 100% Ar 350 13 55 5.0 본 발명의 방법
※1. 전극자신과 동심의 노즐로부터 불활성가스를 흘려서 아크를 외기로부터 실드하면서 용접하는 방법
※2. GMA 용접법에 있어서 불활성가스에 산소나 이산화탄소가스의 활성가스를 혼합시킨 실드 가스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3. 불활성가스 중에서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시켜 모재와 용접재를 용융하면서 용접하는 방법
그리고, 이와 같은 용접조건에서 용접한 후,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표 3이다. 표 3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실험번호(1) 및 (2)에서 나타내어지는 종래방법의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은 각각 20(J) 및 24(J)접금속의 샤르피 값은 현저하게 향상하고 있다. 또한, SM570Q강의 19㎜ 각봉(角棒) T이음매의 피로수명을 응력범위 350㎫에서 평가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또한, TIG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금속의 샤르피 값은 72(J)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TIG 용접에 적용하는 것이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용접조건 샤르피 값(J) 응력범위 350㎫에서의피로수명(일) 비 고
1 20 8.23×104 종래특허의 방법
2 24 7.83×104 종래특허의 방법
3 54 4.82×105 본 발명의 방법
4 72 3.02×105 본 발명의 방법
다음에, 본 출원의 발명의 보강 용접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우선 무엇보다도 특징적인 것은,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보강 용접을 행할 때에,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에 대해서 반복 가열하는, 소위 고온이력을 피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용접방법에서는, 수직의 구조체에 수평방향의 판형상체를 용접할 경우, 용락을 방지하고, 용접부의 용접 형상을 중시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판형상체의 하측으로부터 용접을 개시해서 용접선을 철도가 스위치백하도록 좌우로 흔들면서 상승시켜 판형상체의 상측까지 용접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용접방법에서는 용접선을 좌우로 흔들면서 하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용접재를 쌓아 올리도록 하여 용접하기 때문에, 일단 냉각되기 시작했던 하측의 용접재가 그 상측을 지나가는 용접선에 의해 가열이 반복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용접방법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용접재료로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종래의 용접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저변태온도 용접재료가 반복 가열을 받아 용접균열이 생기기 쉽고, 본래의 피로강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충분히 실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지만, 종래의 보강 용접방법으로 용접할 경우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수직구조물(A)에 부가구조물(B)이 용접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1)은 기존 용접부재이며, (2)는 보강 용접부재이다. 도 4는 도 3의 좌측으로부터 바라봤을 때의 모식도이고, 수평 부가구조물(B)의 주위는 기존 용접부재(1)로 용접되어 있고, 그 기존 용접부재(1)의 주위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용접부재(2)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용접의 궤적을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 용접방법에서는, 우선 수평 부가구조물(B)의 하측(4)을 용접한 후, 용접선(3)을 철도가 롤러 코스터의 언덕을 오를 때에 스위치백하는 경로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측면(6)을 용접하여 상측의 단부(7)에 도달한 후에 상측(8)을 용접하고 있다.
이 종래의 보강 용접방법에서는, 용접선(3)을 좌우로 흔들면서 상승하는 과정이므로, 일단 냉각되기 시작했던 하측의 용접부재가 그 상측을 지나가는 용접선(3)에 의해 열을 반복해서 받기 때문에, 이것이, 보강 용접부에 용접균열(9)이 생기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의 발명에서는, 용접에 있어서 열이력을 되도록이면 받지 않도록, 종래와는 반대로, 수평 부가구조물(B)의 용접부의 상측으로부터 용접을 개시해서 용접선이 직선상으로 되도록 하강시키면서 용접하여 최후에 하측을 용접하는 것이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서 나타내어진다.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용접하는 것은,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의 점성이 높고 용락하기 어려운 성질을 이용하는 것과, 이쪽이 조작도 간편하고 방열 효과도 양호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한 용접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수평 부가구조물(B)의 주위는 기존 용접부재(1)로 용접되어 있고, 그 기존 용접부재(1)의 주위는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용접부재(2)로 피복되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의 보강 용접방법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종래의 용접방법과는 반대로, 수평부가물(B)의 상측(8)을 용접한 후, 용접선(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가물건의 측면(6)을 따라 하향으로 직선상으로 용접하고, 용접선(3)이 부가물의 하측 단부(5)에 도달한 후에 하측(4)을 보강 용접한다.
즉, 본 출원의 발명의 용접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용접법과 같이 용접을 하측으로부터 시작해서 용접선을 철도의 스위치백과 같이 좌우로 흔들면서 상승시켜 순차적으로 용접재를 쌓아 올리도록 하여 용접하는 방법이 아니고,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일직선으로 용접하기 때문에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에 대한 열이력이 없고, 용접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용접부 근방에 유기되는 압축잔류응력의 효과로 피로강도의 향상이 실현된다.
예컨대 실제로, 수직구조물(A)로서 JIS:SM 570Q강, 수평 부가구조물(B)로서 이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용접재료 JIS:YGW21을 이용하여 용접한 경우의 것에,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해서, 보강 용접부재로서, 그 조성(wt%)이, C:0.025, Si:0.32, Mu:0.70, Ni:10.0, Cr:10.0, Mo:0.13, 나머지부 Fe의 것을 이용하여 보강 용접을 행하였다.
보강 용접에서는, 용접전압 28V, 용접전류 180~200A, 용접속도 50~60㎝/min이며, 아르곤가스 80% 및 탄산가스 20%의 것을 실드 가스로서 25l/min로 공급한 아크 용접을 행하였다.
이 결과, 보강 용접전의 피로 한계는 40㎫이었던 것이, 보강 용접후에는 85㎫가 되었다. 한편, 상기 종래방법에서 행한 경우에는, 균열이 생겨 버렸다.
물론 이상의 예에서는 실드 가스를 이용한 아크 용접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드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피복 아크 용접의 경우에도 본 출원의 방법에 의해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가 확인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측」 「하측」의 표현이 되어 있지만, 이것은 용접구조를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직구조물(A)에 대해서 수평 부가구조물(B)이 용접되어 있는 경우로 가정한 규정이다.
따라서, 이 도 1 및 도 3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회전해서 배치되어 있는 용접구조나, 또는 수평 부가구조물(B)이 직교하지 않고 경사지게 용접되어 있는 구조에 대해서도 도 1 및 도 3의 배치와 같이 생각함으로써 본 출원의 발명이 적용되어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방법에 있어서는, 용접 피로강도와 함께 샤르피 값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높은 용접강도를 필요로 하는 용접구조물의 보강 용접에 있어서, 피로강도가 향상함과 아울러 용접균열의 발생을 방지한 보강 용접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1)

  1.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법으로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만을 사용하여 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2.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법으로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사용해서 아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산소가스가 체적비로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IG 용접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5.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에 용접온도에 의한 열이력을 회피하면서 보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으로서, 수평 부가구조물의 단부의 용접멈춤 단부의 상측으로부터 측면을 경유하여 하측을 보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용접선이 직선상으로 되도록 이동시키면서 보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아크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실드 가스로서 희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산소가스의 체적비가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방법.
KR1020057004014A 2002-09-09 2003-09-09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KR100659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2235A JP2004098113A (ja) 2002-09-09 2002-09-09 低変態温度溶接材料を使用するアーク溶接方法
JP2002262236A JP3787622B2 (ja) 2002-09-09 2002-09-09 溶接割れを抑制する補強溶接方法
JPJP-P-2002-00262236 2002-09-09
JPJP-P-2002-00262235 2002-09-09
PCT/JP2003/011513 WO2004026519A1 (ja) 2002-09-09 2003-09-09 低変態温度溶接材料を使用する溶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452A true KR20050073452A (ko) 2005-07-13
KR100659030B1 KR100659030B1 (ko) 2006-12-21

Family

ID=3203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014A KR100659030B1 (ko) 2002-09-09 2003-09-09 저변태온도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용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50252888A1 (ko)
EP (1) EP1550526A4 (ko)
KR (1) KR100659030B1 (ko)
CN (1) CN100418689C (ko)
WO (1) WO20040265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707A (ko) * 2012-04-17 2014-11-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필릿 아크 용접 조인트 및 그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649B2 (ja) * 2002-10-08 2010-09-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回し溶接継手、回し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溶接構造物
CN101275227B (zh) * 2008-05-20 2011-06-08 天津工业大学 用于金属表面熔覆强化工艺的耐高温铁基合金粉末
JP5450293B2 (ja) * 2010-07-01 2014-03-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すみ肉溶接継手および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US9068462B2 (en) * 2011-09-16 2015-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of welding a turbine blade, a process of welding a non-uniform article, and a welded turbine blade
JP5881055B2 (ja) * 2011-11-09 2016-03-0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溶接方法および溶接継手
EP2926939B1 (en) * 2012-11-29 2017-11-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fillet arc welding joint and fillet arc welding joint
CN106425024B (zh) * 2016-11-21 2018-01-23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气保焊线能量的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3631A (en) * 1951-01-06 1964-08-04 Air Reduction Electric arc welding
GB791176A (en) * 1955-03-15 1958-02-26 Union Carbide Corp Alternating current arc-welding process
JPS54130451A (en) * 1978-03-31 1979-10-09 Sumitomo Metal Ind Ltd Reducing method for residual stress at welded joint of steel
JPS5838675A (ja) * 1981-08-28 1983-03-07 Nippon Kokan Kk <Nkk> 立向き終端まわし溶接方法
JPS5985378A (ja) * 1982-11-09 1984-05-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Tig溶接方法
JPH06277847A (ja) * 1993-03-29 1994-10-04 Japan Nuclear Fuel Co Ltd<Jnf> ステンレス鋼系のtig溶接方法
GB2316902B (en) * 1996-09-06 2000-11-29 Rolls Royce Plc Welding torch
JPH11285889A (ja) * 1998-04-01 1999-10-19 Nippon Steel Corp 高温クリープ強度と時効後靭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用tig溶接材料
JP3010211B1 (ja) * 1998-09-08 2000-02-21 科学技術庁金属材料技術研究所長 溶接方法
JP2002210557A (ja) * 2001-01-16 2002-07-30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マルテンサイト変態膨張利用の溶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707A (ko) * 2012-04-17 2014-11-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필릿 아크 용접 조인트 및 그 형성 방법
US9943922B2 (en) 2012-04-17 2018-04-1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Fillet arc welded joi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0526A1 (en) 2005-07-06
KR100659030B1 (ko) 2006-12-21
US20070181538A1 (en) 2007-08-09
EP1550526A4 (en) 2008-03-05
WO2004026519A1 (ja) 2004-04-01
CN100418689C (zh) 2008-09-17
US20050252888A1 (en) 2005-11-17
CN1681616A (zh) 2005-10-12
US20100089877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0195B1 (en) Pure Ar gas shielded welding MIG flux-cored wire and MIG arc welding method
JP2004058086A (ja) 低合金耐熱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2208029B1 (ko)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와이어,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및 용접 이음
US20100089877A1 (en) Welding method using welding material having low transformation temperature
US9492894B2 (en) Flux-cored arc welding wire for providing superior toughness and weldability to a welded joint at a low temperature, and welded joint using same
CN105499837A (zh) 一种自保护药芯焊丝以及焊接方法
JP2001001148A (ja) 900MPa以上級厚肉高張力鋼板の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JP3551136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KR20100059269A (ko) 고장력강용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3860437B2 (ja) 溶接継手部の疲労強度に優れた鉄系消耗溶接材料および溶接継手
JP3551140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EP3795709B1 (en) High chromium creep resistant weld metal for arc welding of thin walled steel members
JP3884363B2 (ja) レーザ溶接用鉄系溶加材
JPH09253886A (ja) 690MPa級高張力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01219291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部および溶接方法
KR102056637B1 (ko) 가스 쉴드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670740B1 (ko) 고전압 조건에서 내결함성이 우수한 전자세용 셀프실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3547282B2 (ja) 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JP5235008B2 (ja) 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JPH033555B2 (ko)
KR102144297B1 (ko) 고입열 용접에 따른 충격인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283346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58102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502572B1 (ko)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JPH03615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