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572B1 -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572B1
KR100502572B1 KR10-2000-0043615A KR20000043615A KR100502572B1 KR 100502572 B1 KR100502572 B1 KR 100502572B1 KR 20000043615 A KR20000043615 A KR 20000043615A KR 100502572 B1 KR100502572 B1 KR 10050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welding
wire
fill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936A (ko
Inventor
김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572B1/ko
Priority to CNB011237309A priority patent/CN1191912C/zh
Publication of KR2002000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8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of core materials either alone or conjoint with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bstract

가스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강재외피내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강재외피내,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C: 0.01~0.15%, Mn :0.5~1.5%, Si: 0.3~1.0%, Cr: 1.0~5.0%, Mo: 0.4~1.5%, Ti: 0.01~0.1%, Fe: 10~20% 및 N: 0.004~0.02%로 이루어진 금속분말, K2O, Na2O, Li2CO3 및 TiO2중 선택된 2종이상의 아크 안정제의 합: 0.05~0.2%, F: 0.05~0.30%,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충전된 플럭스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분말 함량의 합이 95~98%로 제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강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용접시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Composite Wire for gas shield arc welding for heat resistant steel}
본 발명은 내열강용 강재의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성이 우수하고 다층용접이 가능한 내열강 강재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루타일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Cr, Mo, Al, C, Si, S, P, B, Nb등의 금속에 의한 경화와 슬라그 형성제에 의해 용접시 다량의 균열이 발생하였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루타일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슬라그 형성을 위하여 다량의 슬라그 형성제를 첨가하였으나, 이 슬라그 형성제중 일부가 용접금속으로 이행되어 용접시 균열을 발생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열이나 용접입열을 줄여 시공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의 치유책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루타일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는 고온에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저온 충격인성을 요구하지 않았으나, 현재의 구조물의 거대화 및 고온, 고압 분위기등에 따라 용접에 의해 얻어지는 용접금속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그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루타일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의 단점인 저온 충격인성특성을 개선하고 용접효율 및 생산성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용접시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내열강 강재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재외피내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강재외피내,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C: 0.01~0.15%, Mn :0.5~1.5%, Si: 0.3~1.0%, Cr: 1.0~5.0%, Mo: 0.4~1.5%, Ti: 0.01~0.1%, Fe: 10~20% 및 N: 0.004~0.02%로 이루어진 금속분말, K2O, Na2O, Li2CO3 및 TiO2중 선택된 2종이상의 아크 안정제의 합: 0.05~0.2%, F: 0.05~0.30%,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된 플럭스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분말의 함량의 합이 95~98%로 제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강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에 있어서, 용접시 발생하는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건전한 용접금속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외피내 충전되는 플럭스의 성분중 금속분말을 최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해 용접금속의 확산성 수소가스량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0℃에서 40J이상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질화물 형성을 위한 질소의 함유량을 제어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를 구성하는 플럭스의 구성성분인 금속분말을 먼저 설명한다.
C는 용접 후열처리시에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 및 연성을 부여하는 성분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01%미만이면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고온에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기 어렵고 충격인성이 급감하며, 0.15%를 초과하면 인장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신율도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의 함유량을 0.01~0.1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Mn은 본 발명에서 그 함유량을 0.5~1.5%로 제한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함량이 0.5%미만에서는 탈산부족으로 충격인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수준의 강도확보가 곤란하며, 1.5%를 초과하면 열처리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Si는 본 발명에서 그 함유량을 0.3~1.0%로 제한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함량이 0.3%미만이면 탈산 부족으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낮아지며, 특히 고온강도를 확보하기 곤란하다. 또한, 그 함량이 1.0%를 초과하면 템퍼(Temper)취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충격인성이 저하되고 용접시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Cr은 고온에서 안정성이 우수하고 크리프(creep)강도를 증가시키며, 열처리시에는 C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 향상에 유효한 원소로서, 그 함유량을 1.0~5.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함유량이 1.0%미만이면 그 함유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를 초과하면 용접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Mo은 상술한 Cr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소량으로 고온 크리프강도 향상에 효과적이며 인강강도를 향상시킴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열처리시 C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함유량을 0.4~1.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함유량이 0.4%미만이면 그 함유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5%를 초과하면 균열발생 및 충격인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Ti는 탈산제로 사용되며, 충격인성 및 강도를 향상시킴에 유용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0.01%미만에서는 그 함유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0.1%를 초과하면 용접 아크가 불안해지고 스파터 발생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슬라그량도 급격히 증가한다. 이런 연유로, 본 발명에서는 Ti의 함유량을 0.01~0.1%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Fe는 용착효율의 증가와 아크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함유량을 10~2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함유량이 10%미만이면 용착효율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슬라그의 증가와 박리성이 열악해져 비드 외관을 해치며, 20%를 초과하면 Fe외의 금속분말과 아크 안정제가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되어 아크 불안정으로 용접작업성이 열악해지며 용접금속의 결함발생의 위험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성계에 의해 용접금속의 산소함유량을 1000ppm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내열강 용접재료의 충격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20℃에서의 저온인성을 확보함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0℃에서 40J이상의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질소의 함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질화물을 형성시켜 후열처리시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을 향상시킴에 그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질소는 열처리시 템퍼취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양의 적절한 제어가 긴요하다. 즉, 적정량의 질소는 용접후 열처리에 의해 Cr, Ti등과 결합하여 질화물을 형성하여 조직을 미세화시키고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질소(N)의 함유량을 0.004~0.02%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함량이 0.004%미만에서는 적정량의 질화물을 형성하지 못하여 우수한 충격인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0.02%를 초과하면 용접금속의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질소에 의한 기공 결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장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연신율이 급감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이 조성된 금속분말의 총함량이 플럭스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95~98%로 제어됨을 요하는데, 이는 95%미만에서는 슬라그 형성이 과도하여 비드 외관이 조악해 지고, 98%를 초과하면 스파터 발생이 과도해 지고 비드 외관이 거칠어질 뿐만 아니라 결함발생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구성하는 플럭스는 또한, K2O, Na2O, Li2CO3, TiO2와 같은 아크 안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K2O, Na2O, Li2CO3, TiO2로 이루어진 아크 안정제 그룹중 선택된 2종이상의 성분의 합을 0.05~0.2%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합이 0.05%미만에서는 아크 안정성이 떨어지고 스파터 발생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며, 0.2%를 초과하면 슬라그 발생량이 과도하게 많아지게 되고 그 박리가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비드 외관이 조악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한 F를 포함한다.
플루오르(F)는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질소 및 산소로부터 용접금속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용접금속의 내결함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그 함량이 0.05%미만에서는 상술한 함유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0.30%를 초과하면 아크가 불안정해지고 슬라그 발생량이 과도하게 많아져 그 박리가 불량해지고 비드 외관도 조악해지기 때문이다 .
한편, 상기와 같이 마련된 조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플럭스는 와이어 전체중량에 대하여 15~25%가 바람직한데, 이는 그 량이 15%미만이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없으며, 25%를 초과하면 슬라그를 과다하게 형성하여 용접비드가 조악해지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플럭스 조성을 가진 플럭스를 각각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플럭스들을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의 강외피에 충전시켜 직경 1.2mm의 내열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각각 마련하였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 1과 같은 형상의 약 150℃정도로 예열된 용접모재(ASTM A387 Gr.11)에 용접을 행하였으며, 이때 구체적인 용접조건은 하기 표 3과 같다. 그런 연후, 얻어진 용접금속을 160℃/hr의 속도로 가열하여 620℃에서 약 60분간 유지한후, 약 60℃/hr의 냉각속도로 300℃까지 냉각하였으며, 이후 공냉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용접결과 얻어진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접금속 시편을 각각 채취하고, 채취된 시편들에 대하여 인장시험 및 샤르피 충격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그 용접시 아크성, 비드 외관, 스파터성 및 슬라그 박리성과 같은 용접작업성을 육안으로 비교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양호(◎), 우수(○), 보통(△) 및 불량(x)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술한 인장시험결과 얻어지는 파단면을 관찰하여 결함발생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치를 또한, 양호(◎), 우수(○), 보통(△) 및 불량(x)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플럭스의 조성(중량%) M*(%)
금속분말 성분 아크안정제 F 잔여분
C Si Mn Cr Mo Ti N Fe
발명예 1 0.05 0.5 1.2 1.1 0.54 0.02 0.006 13.05 0.08 0.22 0.234 96.7
2 0.04 0.6 1.4 1.2 0.40 0.03 0.004 12.73 0.10 0.09 0.406 96.3
3 0.10 0.6 0.7 1.4 0.40 0.08 0.010 13.12 0.15 0.15 0.290 96.1
4 0.14 0.8 1.1 1.3 0.51 0.01 0.020 12.58 0.05 0.10 0.390 96.8
5 0.02 1.0 1.3 1.1 0.52 0.05 0.015 12.58 0.08 0.05 0.285 97.3
6 0.01 0.8 0.5 1.0 0.53 0.04 0.008 13.36 0.20 0.28 0.272 95.3
7 0.015 0.9 1.3 1.4 0.58 0.01 0.009 12.24 0.18 0.07 0.296 96.7
8 0.08 0.4 0.8 1.5 0.45 0.05 0.018 12.93 0.07 0.30 0.402 95.2
비교예 1 0.11 0.3 1.5 1.3 0.44 0.10 0.015 12.97 0.08 0.01 0.175 97.9
2 0.15 0.9 0.6 1.2 0.45 0.09 0.014 12.90 0.15 0.41 0.136 95.4
3 0.07 1.0 1.2 1.0 0.45 0.04 0.005 12.86 0.03 0.10 0.245 97.6
4 0.05 0.8 1.1 1.4 0.46 0.02 0.010 12.51 0.24 0.15 0.260 96.1
5 0.04 0.7 0.8 1.2 0.48 0.06 0.001 13.30 0.09 0.07 0.259 97.2
6 0.08 0.8 0.6 1.1 0.46 0.05 0.025 13.14 0.12 0.08 0.545 95.3
7 0.03 0.3 0.7 1.3 0.45 0.03 0.015 12.58 0.17 0.27 1.155 90.4
8 0.13 0.4 1.5 1.4 0.46 0.09 0.014 12.87 0.06 0.06 0.016 98.7
* 상기 표에서 아크 안정제는 K2O,Na2O,Li2CO3,TiO2 그룹중 선택된 2종이상의 합이며, M*는 플럭스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금속분말의 중량(%)이다.
C Si Mn P S
0.01-0.08 0.01-0.05 0.1-1.0 0.02이하 0.02이하
용접전류/전압 사용가스 가스 유량 용접 속도
270~290Amp/28~31Volt Ar(80%) + CO2(20%) 20~25 ℓ/min 25~40cm/min
구 분 용접 작업성 내결함성 기계적 성질
아크성 비드외관 스파터성 슬라그박리성 인장강도(N/mm2) 충격강도(-20℃,J)
발명예 1 598 55
2 610 44
3 659 64
4 632 41
5 645 58
6 591 60
7 608 63
8 587 48
비교예 1 X 592 58
2 X X X 604 60
3 X X 612 50
4 X 603 64
5 584 34
6 X 652 30
7 X 646 58
8 X X X 630 60
상기 표 1 및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럭스의 조성 및 플럭스중 금속분말 함량의 총합이 최적으로 제어된 본 발명예(1~8)의 경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었으며, 아울러 용접 작업성 및 내결함성 또한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F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밖인 비교예(1~2)는 내결함성 내지 용접 작업성이 좋지 않았으며, 아크 안정제의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밖인 비교예(3~4)의 경우에는 용접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질소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5~6)은 모두 충격강도가 40J이하로 좋지 않았으며, 플럭스중 함유된 금속분말의 총합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7~8)은 용접 작업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조성 및 금속분말 함량이 최적으로 제어된 플럭스가 충전된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를 제시함으로써 용접시 균열발생 및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용접모재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

Claims (1)

  1. 강재외피내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강재외피내,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C: 0.01~0.15%, Mn :0.5~1.5%, Si: 0.3~1.0%, Cr: 1.0~5.0%, Mo: 0.4~1.5%, Ti: 0.01~0.1%, Fe: 10~20% 및 N: 0.004~0.02%로 이루어진 금속분말, K2O, Na2O, Li2CO3 및 TiO2중 선택된 2종이상의 아크 안정제의 합: 0.05~0.2%, F: 0.05~0.30%,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된 플럭스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분말 함량의 합이 95~98%로 제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강 용접을 위한 가스 보호형 플럭스 충전 복합 와이어
KR10-2000-0043615A 2000-07-28 2000-07-28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KR10050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15A KR100502572B1 (ko) 2000-07-28 2000-07-28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CNB011237309A CN1191912C (zh) 2000-07-28 2001-07-26 含有气体保护的耐热钢用焊剂的复合焊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15A KR100502572B1 (ko) 2000-07-28 2000-07-28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936A KR20020009936A (ko) 2002-02-02
KR100502572B1 true KR100502572B1 (ko) 2005-07-22

Family

ID=1968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615A KR100502572B1 (ko) 2000-07-28 2000-07-28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2572B1 (ko)
CN (1) CN1191912C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092A (ja) * 1991-03-28 1992-10-23 Kobe Steel Ltd Cr−Mo鋼用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6285672A (ja) * 1993-03-31 1994-10-11 Kobe Steel Ltd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チタニヤ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8108296A (ja) * 1994-10-06 1996-04-30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Cr−Mo系低合金耐熱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0189298B1 (ko) * 1996-12-24 1999-06-01 홍상복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와이어
KR100294454B1 (ko) * 1997-03-27 2002-11-18 가부시키 가이샤 고베세이코쇼 일렉트로가스아크용접용플럭스충전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092A (ja) * 1991-03-28 1992-10-23 Kobe Steel Ltd Cr−Mo鋼用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6285672A (ja) * 1993-03-31 1994-10-11 Kobe Steel Ltd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チタニヤ系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8108296A (ja) * 1994-10-06 1996-04-30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Cr−Mo系低合金耐熱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0189298B1 (ko) * 1996-12-24 1999-06-01 홍상복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와이어
KR100294454B1 (ko) * 1997-03-27 2002-11-18 가부시키 가이샤 고베세이코쇼 일렉트로가스아크용접용플럭스충전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1912C (zh) 2005-03-09
KR20020009936A (ko) 2002-02-02
CN1336264A (zh)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272B2 (en) Super high-strength flux cored arc welded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welding wire for manufacturing same
JP3758040B2 (ja) 低合金耐熱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20130127943A (ko) Ni기 합금 용접 금속, 대상 전극 및 용접 방법
KR20100059936A (ko)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1035723B1 (ko) 고장력강용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2004042116A (ja)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溶接ワイヤ
WO2020203336A1 (ja) 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および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方法
KR100502571B1 (ko) 탄산가스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와이어
KR101568517B1 (ko)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0502572B1 (ko) 가스 보호형 내열강용 플럭스 충전 복합와이어
KR20160083355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
KR102197132B1 (ko)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H09253886A (ja) 690MPa級高張力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309172B2 (ja) 低合金耐熱鋼用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KR20170082304A (ko) 내 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EP4066981A1 (en) Stainless steel welding wire for use in lng tank manufacturing
JPH08174275A (ja) 高張力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1264606B1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283346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2000061687A (ja) 高靭性溶接金属
KR102056637B1 (ko) 가스 쉴드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80109130A (ko)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이음부
EP4275834A1 (en) Flux-cored wire
JPH0542390A (ja) 9Cr系鋼溶接用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KR20220123363A (ko) 9%Ni강 LNG 탱크 제작용 스테인리스강 용접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