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989A -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 Google Patents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989A
KR20050071989A KR1020040000407A KR20040000407A KR20050071989A KR 20050071989 A KR20050071989 A KR 20050071989A KR 1020040000407 A KR1020040000407 A KR 1020040000407A KR 20040000407 A KR20040000407 A KR 20040000407A KR 20050071989 A KR20050071989 A KR 2005007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radle
operation mode
portable
portabl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796B1 (ko
Inventor
민병욱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 및 연결부가 외부장치에 연결되면, 동작모드가 기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 안착시,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작모드인 재생모드로 자동전환할 수 있어, 원치 않는 영상의 촬영/기록으로 인한, 기록매체의 저장공간 및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를 촬영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휴대용 복합장치를 크래들로부터 분리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시 크래들에 안착시켜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hanging mode automatically on the occasion laid on crad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래들에 안착하여 충전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크래들에 안착되면,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작모드로 자동전환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충전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데, 충전용 배터리를 별도로 분리하여 충전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충전용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로 충전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함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크래들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에 안착되면, 배터리가 충전된다. 크래들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뿐만 아니라, TV와 같은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단자도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용 복합장치는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TV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모드 이외에,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촬영모드 또는 재생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전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휴대용 복합장치는 동작모드 선택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촬영모드, 재새모드 및 파워오프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촬영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재생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동작모드 선택스위치를 촬영모드에 위치시키고 크래들에 안착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원치 않는 영상이 촬영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저장공간 및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만약, 동작모드 선택스위치가 크래들과의 접촉면에 위치하고 있다면,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에 안착된 경우, 동작모드 선택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려면, 휴대용 복합장치를 크래들로부터 분리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시 크래들에 안착시켜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래들에 안착하여 충전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크래들에 안착되면,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작모드로 자동전환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기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는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의 선택과 무관하게, 상기 동작모드가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크래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는 상기 재생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은, 외부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동작모드를 기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크래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는 상기 재생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크래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전면에는 본체에 해당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410), 본체의 파워온/오프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버튼(421), 본체의 LCD(243)에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423),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425), 본체의 크래들 연결단자(133)와 연결되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본체 연결단자(427)를 구비된다.
지지대(410)는 투명아크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명아크릴의 한쪽 측면에는 LED(미도시)가 접촉되어 있어, LED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명아크릴로 투사된다. LED는 현재의 모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 빛을,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청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후면에는 배터리만을 충전하는 경우에 배터리를 안착하기 위한 배터리 슬롯(430),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 케이블 연결단자(441), AV 출력단자(443), 슈퍼비디오영상 출력단자(445), AV 입력단자(447) 및 슈퍼비디오영상 입력단자(447)가 구비된다.
한편, 도 3c에는, 크래들(400)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크래들 안착시 동작모드 자동전환기능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중 동작모드 자동전환기능의 설명에 필요한 모듈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2에서 미도시되었던 모듈인 크래들 연결단자(133) 및 크래들(400)을 더 도시하였으며, 조작부(231)에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와 모드버튼(231g)을 더 도시하였다.
도 4는 크래들 안착시 동작모드 자동전환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고, 도 5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크래들 안착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며, 도 6은 크래들 안착시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조작부(231)의 동작모드 선택스위치(131d)를 이용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명령은 제2 제어부(233)를 통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된다(S610).
제1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20).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는 저장모드, 재생모드 및 파워오프모드가 있는데, 저장모드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한 영상이나, NTSC/PAL 디코더(220) 또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는 모드이며, 재생모드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240)를 통해 재생하는 모드이다.
이후에,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 즉, 휴대용 복합장치에 마련된 크래들 연결단자(133)와 크래들(400)에 마련된 본체 연결단자(427)가 상호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S630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는 제2 제어부(233) 소정의 포트(도 5에서는, 'c'포트)가 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연결단자(427)와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상호 연결되지 않으면, 제2 제어부(233)의 'c'포트에는 직류전원 Vcc에서 저항 R에서의 전압강하치를 뺀 전압이 인가되는데, 결과적으로 논리레벨 'High'가 인가된다.
그러나, 본체 연결단자(427)와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상호 연결되면(즉, 접점'a'와 접점'b'가 연결), 제2 제어부(233)의 'c'포트는 접지되어, 결과적으로 논리레벨 'Low'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2 제어부(233)는 'c'포트에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는 경우,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S63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제어부(233)는 판단결과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S61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어떤 동작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40).
S64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가 저장모드로 판단된 경우(S650), 제2 제어부(233)는 그 판단결과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제1 제어부(360)는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수행되는 저장모드와 관련된 동작을 모두 종료시킨다(S660). 예를 들면, 촬영부(210)에서 촬영동작이 수행되고, 저장부(250)에서 영상데이터의 저장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던 경우라면, 제1 제어부(360)는 촬영부(210)와 저장부(250)에서 이루어지는 촬영동작과 저장동작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280)를 통해, GUI생성부(350)를 제어함으로서, '촬영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한다는 메세지를 NTSC/PAL 인코더(241)를 통해 LCD(243)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S670).
이후에, 제1 제어부(360)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를 저장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시킨다(S680).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가 재생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포토버튼(231a)이나 촬영버튼(231c)을 눌러도, 제2 제어부(233)가 이를 무시하고, 그 조작명령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촬영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메뉴버튼(231e)이나 모드버튼(231g)을 누르게 되면, 재생모드와 관련된 메뉴화면이 LCD(243)에 표시된다.
한편, S64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가 재생모드로 판단된 경우(S650), 제2 제어부(233)는 그 판단결과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제1 제어부(360)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재생모드와 관련된 모든 동작을 그대로 유지시킨다(S690). 예를 들면,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이 표시부(240)에 재생중이었던 경우라면, 제1 제어부(360)는 저장부(250)와 표시부(240)간에 이루어지는 재생동작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제2 제어부(233)가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모드를 검출하여,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면, 제1 제어부(360)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선택된 동작모드의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된 경우, 휴대용 복합장치는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의 위치에 관계없이, 즉 선택된 동작모드에 관계없이 재생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재생모드의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가 재생모드로 동작중에 크래들에 안착되면 재생모드를 계속 유지하지만, 저장모드로 동작중에 크래들에 안착되면 재생모드로 전환된다. 이는 휴대용 복합장치는 크래들에 안착된 경우,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것은 부적합하며,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360)의 로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높은 프로세서로 제1 제어부(36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의 역할을 제1 제어부(360)에 흡수시키고,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래들에 안착하여 충전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크래들 안착시, 크래들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동작모드인 재생모드로 자동전환할 수 있어, 원치 않는 영상의 촬영/기록으로 인한, 기록매체의 저장공간 및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를 촬영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휴대용 복합장치를 크래들로부터 분리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시 크래들에 안착시켜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크래들 안착시 동작모드 자동전환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도 5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크래들 안착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안착시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
243 : LCD 250 : 저장부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

Claims (7)

  1. 복수의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동작모드가 기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의 선택과 무관하게, 상기 동작모드가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크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는 상기 재생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5. 복수의 동작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동작모드를 기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크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포함하며,
    기설정된 상기 소정의 동작모드는 상기 재생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20040000407A 2004-01-05 2004-01-05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594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7A KR100594796B1 (ko) 2004-01-05 2004-01-05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7A KR100594796B1 (ko) 2004-01-05 2004-01-05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77A Division KR20060012035A (ko) 2006-01-02 2006-01-02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89A true KR20050071989A (ko) 2005-07-08
KR100594796B1 KR100594796B1 (ko) 2006-07-03

Family

ID=3726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07A KR100594796B1 (ko) 2004-01-05 2004-01-05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47B1 (ko) * 2005-08-04 2007-10-1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통신단말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0804791B1 (ko) * 2006-10-13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촬영모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47B1 (ko) * 2005-08-04 2007-10-1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통신단말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0804791B1 (ko) * 2006-10-13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촬영모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796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6188B2 (ja) オーディオ機能搭載デジタルカメラ
JP2002374447A (ja) 情報機器用クレードル、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3018441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50090804A (ko)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55662B1 (ko)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EP1553766A2 (en)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US7394495B2 (en) Display changeover control in image sensing apparatus
JP4122508B2 (ja) 電子カメラ
JPH09219806A (ja) 撮影装置
KR100594796B1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846449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웹 카메라 모드 설정방법
JP2010187200A (ja) 画像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2010188A (ja) 画像自動伝送デジタルカメラ
JP48104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42000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20060012035A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574513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10053037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100571756B1 (ko)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KR20050071995A (ko)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6308A (ko)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KR20050069495A (ko)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JP4388687B2 (ja) 画像撮像装置および方法
KR101024026B1 (ko)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