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308A -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66308A KR20050066308A KR1020030097575A KR20030097575A KR20050066308A KR 20050066308 A KR20050066308 A KR 20050066308A KR 1020030097575 A KR1020030097575 A KR 1020030097575A KR 20030097575 A KR20030097575 A KR 20030097575A KR 20050066308 A KR20050066308 A KR 200500663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video
- additional information
- fi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frame, i.e. a subunit of a sector containing user data, e.g. a sync fram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입력되는 동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는 버퍼메모리,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및 버퍼메모리로부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독출하여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고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한 축소영상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리스트를 제공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케 수 있게 하고, 축소영상의 생성과정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가해지는 로드를 최소화함으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처리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파일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원하는 동영상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동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케하는 축소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동영상파일의 리스트에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한 영상이나, 수신한 방송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는데, 촬영된 영상데이터과 수신된 방송프로그램 데이터는 파일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한편, 휴대용 복합장치는 하드디스크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하드디스크에는 많은 개수의 영상파일을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중 재생을 원하는 영상파일을 검색/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파일검색을 할 수 있도록 파일리스트 화면이 제공되는데, 파일리스트는 파일명, 확장자, 용량, 저장일자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일리스트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파일을 검색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파일명, 확장자, 용량, 저장일자 등만으로는 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할 수 있는 요소를 파일리스트에 표시할 것이 요청된다. 또한, 프로세서가 상기 요소를 별도로 생성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이의 생성과정 때문에 프로세서에 부가적인 로드가 가하여 질 수 있는 바, 프로세서에 이러한 로드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영상파일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원하는 동영상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동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케하는 축소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하여 동영상파일의 리스트에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입력되는 동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는 버퍼메모리; 상기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및 상기 버퍼메모리로부터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독출하여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독출된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 및 상기 동영상파일의 상기 기록매체상 어드레스가 포함된 부가정보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파일은, 상기 동영상파일과 다른 종류의 파일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영상파일은, 소정 포맷으로 압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부가정보영상 생성방법은, a) 입력되는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동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독출하는 단계; 및 d) 독출된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이용하여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 및 상기 동영상파일이 저장된 어드레스가 포함된 부가정보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파일은, 상기 동영상파일과 다른 종류의 파일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영상파일은, 소정 포맷으로 압축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생성기능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중 축소영상 생성기능의 설명에 필요한 모듈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2에서 미도시되었던 모듈인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를 더 도시하였다. 그리고, 축소영상으로서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생성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조작부(231)에 마련된 촬영버튼(231c)를 누르면, 촬영이 시작된다(S610).
촬영이 시작되면, 촬영부(21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에 대해, 메인 제어블럭(300)이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하는데(S620), 이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영부(210)에서 촬영되어 생성되는 동영상신호는 DSP(310)에서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치고, 시스템 버스(380) 및 DMA(375)를 통해 SDRAM(263)에 임시저장된다. 이때, 동영상신호는 프레임단위로 처리되기 때문에, SDRAM(263)에 임시저장되는 동영상 역시 프레임단위로 저장된다.
CODEC(340)은 DMA(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SDRAM(263)에 임시저장된 동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인가받아, MPEG4 포맷의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된 MPEG4 파일은 시스템 버스(380), CF 인터페이스부(373) 및 TIC(253)를 통해 HDD(255)에 저장된다.
상기한 촬영과 저장동작이 계속되는 중에,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로부터 '촬영중지'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630).
사용자는 '촬영시작'명령에 사용된 촬영버튼(231c)을 눌러 '촬영중지'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버튼(231c)을 누르면,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촬영중인 경우에는 이를 '촬영중지'명령으로, 촬영대기중인 경우에는 이를 '촬영시작'명령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하나의 촬영버튼(231c)으로 두가지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S630단계에서, '촬영중지'명령이 입력되면, 제2 제어부(233)는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고, 제1 제어부(360)는 촬영부(210)와 저장부(250)을 제어하여, 촬영동작과 저장동작이 중지되도록 한다(S640).
그리고,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SDRAM(263)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DMA(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인가 받아, 이를 축소하여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한다(S650).
S650단계에서는, 동영상의 마지막프레임을 축소하여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는 제1 제어부(360)와 CODEC(340)의 로드를 줄이기 위함니다. 즉,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는 제1 제어부(360)와 CODEC(340)이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압축 및 저장작업을 마친후에 SDRAM(263)에 남아 있는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1 제어부(360)와 CODEC(340)의 로드가 줄어드는 것이다.
만약,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가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이 아닌, 동영상의 최초프레임으로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면, 제1 제어부(360)는 HDD(255)에 기저장된 동영상파일을 독출하고, CODEC(340)은 이를 신장하여, 제1 제어부(360)가 다시 최초프레임을 추출하여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에 인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 제어부(360)와 CODEC(340)에는 부가적인 로드가 가하여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 제어부(360)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에, 제1 제어부(360)는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에서 생성된 썸네일이미지를 시스템 버스(380), CF 인터페이스부(373) 및 TIC(253)를 통해, HDD(255)에 저장한다(S660).
썸네일이미지는 동영상파일과 달리 압축되어 저장되지 않는다. 이는, 휴대용 복합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파일리스트 표시명령이 있을때, 동영상파일 저장일자 이외에 썸네일이미지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할 수 있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압축된 이미지을 신장하는 과정을 생략하므로써, 보다 빠르게 동영상파일 리스트 화면을 제공하여 주기 위함이다. 썸네일이미지는 하나의 프레임을 축소하여 구성한 영상이어서, 그 용량이 작기 때문에 HDD(255)의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것도, 압축저장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CODEC(340)의 압축/신장속도가 빠른 경우라면, 썸네일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썸네일이미지는 HDD(255)에 저장될때, 동영상파일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고, 동영상파일과 별개의 부가정보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별개의 부가정보파일에는 썸네일이미지 외에 동영상파일의 HDD상 어드레스를 나태내는 포인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확장자를 'thm'으로 사용하여 동영상파일과 구별지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HDD(255)에 저장된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파일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영상파일을 선택 및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축소영상으로 구성되는 동영상파일 리스트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를 '재생'모드에 위치시키고, 메뉴버튼(231e)을 눌러 입력한 메뉴표시명령은 제2 제어부(233)를 통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생성한 '재생'모드의 메뉴화면을 표시부(240)에 인가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표시되는 '재생'모드의 메뉴화면을 도 5a에 도시하였다.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화면에서, HDD(255)에 저장된 동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메뉴를 선택하면, 제1 제어부(360)는 HDD(255)에 저장된 썸네일이미지들을 GUI생성부(350)로 인가하여, 표시부(240)에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파일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표시되는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파일리스트를 도 5b에 도시하였다.
이후에, 사용자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파일리스트에 표시된 썸네일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1 제어부(360)는 선택된 썸네일이미지에 대응되는 동영상파일이 HDD(255)에서 CODEC(340)으로 인가되어 신장된 후, 표시부(240)에 풀스크린으로 재생되게 한다. 도 5d에는 선택된 썸네일이미지에 대응되는 동영상파일이 풀스크린으로 재생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360)의 로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GUI생성부(350),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 및 제2 제어부(233)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높은 프로세서로 제1 제어부(36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GUI생성부(350), 썸네일이미지 생성부(365) 및 제2 제어부(233)의 역할을 제1 제어부(360)에 흡수시키고,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파일과 썸네일이미지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HDD(255)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동영상파일과 썸네일이미지가 메모리카드(251)에 저장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동영상파일은 HDD(255)에 썸네일이미지는 메모리카드(251)에 저장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210)애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NTSC/PAL 디코더(220)를 통해 TV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한 축소영상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파일의 내용을 직감케 수 있게 하고, 축소영상의 생성과정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가해지는 로드를 최소화함으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처리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 생성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는 축소영상으로 구성되는 동영상파일 리스트를 이용하여 동영상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
243 : LCD 250 : 저장부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
Claims (6)
- 입력되는 동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는 버퍼메모리;상기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기록매체; 및상기 버퍼메모리로부터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독출하여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독출된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 및 상기 동영상파일의 상기 기록매체상 어드레스가 포함된 부가정보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 a) 입력되는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b) 상기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동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c)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독출하는 단계; 및d) 독출된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이용하여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부가정보영상 생성방법.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을 축소하여 상기 부가정보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부가정보영상 생성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d) 단계는,생성된 상기 부가정보영상 및 상기 동영상파일이 저장된 어드레스가 포함된 부가정보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부가정보영상 생성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7575A KR20050066308A (ko) | 2003-12-26 | 2003-12-26 |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7575A KR20050066308A (ko) | 2003-12-26 | 2003-12-26 |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6308A true KR20050066308A (ko) | 2005-06-30 |
Family
ID=3725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7575A KR20050066308A (ko) | 2003-12-26 | 2003-12-26 |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6630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740B1 (ko) * | 2006-02-01 | 2007-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387684B1 (ko) * | 2008-11-13 | 2014-04-21 | 주식회사 케이티 | 썸네일 이미지 출력방법 및 그 이미지 출력장치 |
-
2003
- 2003-12-26 KR KR1020030097575A patent/KR200500663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740B1 (ko) * | 2006-02-01 | 2007-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387684B1 (ko) * | 2008-11-13 | 2014-04-21 | 주식회사 케이티 | 썸네일 이미지 출력방법 및 그 이미지 출력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75277A1 (en) | Camcorder | |
US10334336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0555662B1 (ko) |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 |
KR20080095617A (ko) |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EP1553766A2 (en) |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 |
EP1575286A2 (en) | Combined camcorder and stills camera | |
KR20050066308A (ko) |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 |
KR100571756B1 (ko) |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 |
KR100530376B1 (ko) |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 |
KR100594796B1 (ko) |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 |
KR20050069495A (ko) |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 |
KR101024026B1 (ko) |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 |
KR20050071994A (ko) | 다양한 규격의 영상을 생성 및 재생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그 방법 | |
KR100574513B1 (ko) |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 |
KR20050071995A (ko) |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 | |
US20060023083A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KR20060003937A (ko) | 영상촬상장치 | |
KR101105849B1 (ko) |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 |
KR20050069497A (ko) | 자동 마이크 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그 방법 | |
KR20060012035A (ko) |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 |
JP2007221271A (ja) |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20060111088A (ko) |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 |
KR20050090806A (ko) | 하나의 줌스위치로 다양한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복합촬영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 |
KR20080071419A (ko)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