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495A -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495A
KR20050069495A KR1020030101637A KR20030101637A KR20050069495A KR 20050069495 A KR20050069495 A KR 20050069495A KR 1020030101637 A KR1020030101637 A KR 1020030101637A KR 20030101637 A KR20030101637 A KR 20030101637A KR 20050069495 A KR20050069495 A KR 2005006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intermittently
video fil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9495A/ko
Publication of KR2005006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4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영상파일 생성방법가 제공된다.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제1 및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입력부,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각각 엠펙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압축부,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어, 기록매체에 생성되는 파일개수의 감소로 인해, 파일검색 및 파일관리가 보다 편리해지며, 단속적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복수의 동영상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소장하기 위한 별도의 편집작업을 행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영상파일 생성방법{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reating one file composed of moving-image data inputted intermittently}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영상파일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를 MPEG4 포맷으로 압축하여 생성한 동영상파일을 저장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서도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영상파일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 캠코더는 사용자가 'Rec'버튼을 누르는 순간부터 'Stop'버튼을 누르는 순간까지 촬상되는 동영상을 기록매체에 저장하는데, 촬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로서 카세트테이프와 메모리카드가 사용됨이 일반적이다.
촬상된 동영상이 카세트테이프에 저장되는 경우는, 촬상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카세트테이프에 자화된 데이터로 저장된다. 그러나,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경우는, 촬상된 동영상에 대해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 때, 하나의 파일에 기록되는 동영상은 'Rec'버튼이 눌러진 순간부터 'Stop'버튼이 눌러진 순간까지 촬상된 동영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이 따르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촬영을 하는 경우는 드물며, 단속적으로 중요한 장면/순간만을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종래 기술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많은 개수의 파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같은 날짜에 같은 장소에서 촬영된 동영상임에도 불구하고, 단속적으로 촬영되었기 때문에 별개의 파일들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되면, 사용자는 파일관리에 있어서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많은 개수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검색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도 배가 된다.
뿐만 아니라, 단속적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동영상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소장하려면, 별도로 파일들을 합치는 편집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를 MPEG4 포맷으로 압축하여 생성한 동영상파일을 저장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서도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동영상파일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제1 및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입력부;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각각 엠펙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압축부;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엠펙 포맷은 엠펙-4 포맷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축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임시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2 압축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상기 제2 압축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을 갱신한 후, 갱신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자기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 버퍼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동영상파일은 상기 자기기록매체 및 반도체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촬영부 및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디코딩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파일 생성방법은, a) 제1 및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단계; b)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각각 엠펙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생성된 상기 동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엠펙 포맷은 엠펙-4 포맷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압축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임시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압축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상기 제2 압축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을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제1 및 제2 오디오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입력부;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오디오데이터를 각각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압축부;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오디오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오디오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에 대해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사용자에게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기능선택 및 환경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사용자는 메뉴버튼(231e)을 눌러 메뉴화면을 호출하고, 메뉴다이얼(231f)을 상/하로 회전시켜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메뉴다이얼(231f)을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명령은 제2 제어부(233)를 통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고, 제1 제어부(360)는 전달받은 조작명령에 따라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GUI생성부(350)를 제어한다.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MUX(33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에 해당 메뉴화면을 조합하여, NTSC/PAL 인코더(241)에 인가하면, NTSC/PAL 인코더(241)는 메뉴화면이 조합된 영상을 LCD(243)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는 과정과 GUI생성부(350)가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을 영상에 조합하는 과정 및 NTSC/PAL 인코더(241)가 메뉴화면이 조합된 영상을 LCD(243)에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사용자가 조작부(231)를 통해 입력한 조작명령에 따라, LCD(243)에 해당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를 '저장'모드에 위치시키고, 메뉴버튼(231e)을 누르면, LCD(243)에 '저장'모드의 메뉴화면이 표시되는데, 도 4a에 '저장'모드의 메뉴화면을 도시하였다.
이후에, 사용자가 촬영부(21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저장부(250)에 저장하기 위한 메뉴인 '카메라'메뉴를 선택하여, '카메라저장'모드를 설정하면(S610), 촬영부(210)에서 촬상되는 영상신호가 DSP(310)에서 신호처리되고(S620), MUX(330), GUI생성부(350) 및 NTSC/PAL 인코더(241)를 거쳐 LCD(243)에 디스플레이된다(S630). 이후에, 사용자는 LCD(243)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주시하다가, 저장을 원하는 시점에 촬영버튼(231c)을 눌러 '촬영시작'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촬상되는 동영상을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촬상된 동영상에 대해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제어부(233)는 사용자로부터 '촬영시작'명령을 입력받으면(S640),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고, '촬영시작'명령을 전달받은 제1 제어부(360)는 DSP(31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데이터가 CODEC(340)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며, CODEC(340)은 인가받은 동영상데이터를 MPEG4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한다(S650).
S650단계에서 압축된 데이터는 시스템 버스(380) 및 DMA(375)를 통해 SDRAM(263)에 저장된다(S660).
이후에, 제2 제어부(233)는 사용자로부터 '촬영중지'명령을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S670), '촬영중지'명령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촬상/신호처리단계(S720), 디스플레이단계(S730), 압축단계(S650)단계, 저장단계(S670)를 반복한다.
사용자는 '촬영시작'명령에 사용되는 촬영버튼(231c)을 눌러 '촬영중지'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버튼(231c)을 누르면,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촬영중인 경우에는 이를 '촬영중지'명령으로, 촬영대기중인 경우에는 이를 '촬영시작'명령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하나의 촬영버튼(231c)으로 두가지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S670단계에서, '촬영중지'명령이 입력되면, 제2 제어부(233)는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촬영중지'명령을 전달받은 제1 제어부(360)는 SDRAM(263)에 임시동영상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80). 여기서, 임시동영상파일이란 SDRAM(263)에 저장된 압축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임시적으로 생성한 동영상파일을 의미한다.
현재로서는, SDRAM(263)에 이미 생성된 임시동영상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제어부(360)는 SDRAM(263)에 저장된 MPEG4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임시동영상파일을 생성한다(S740).
S740단계에서 생성된 임시동영상파일은 SDRAM(263)에 저장된다(S700).
이후에, 제1 제어부(360)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단속적으로 촬상되는 동영상에 대해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모드인 '연속촬영'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연속촬영'모드는 촬영이 시작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데, 사용자는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연속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복합장치가 '카메라저장'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버튼(231e)을 누르면, LCD(243)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저장'모드의 메뉴화면이 표시되는데, 도 4b에 표시된 메뉴들 중 '연속촬영'메뉴를 이용하여, '연속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b에 표시된 메뉴들 중 '연속촬영'메뉴를 선택하면, LCD(243)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촬영'메뉴화면이 표시되는데, 도 4c에 표시된 메뉴들 중 '설정'을 선택하면, '연속촬영'모드가 설정된다.
S710단계에서, '연속촬영'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S620단계에서 S670단계까지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SDRAM(263)에는 이전에 이미 생성되어 저장된 임시동영상파일과, 새로이 촬상/신호처리되고 MPEG4 포맷으로 압축된 동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S670단계에서 촬영중지명령이 입력되면, S680단계에서 제1 제어부(360)는 SDRAM(263)에 임시동영상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S680단계에서 임시동영상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제1 제어부(360)는 SDRAM(263)에 저장되어 있는 MPEG4 포맷으로 압축된 동영상데이터를 기저장되어 있는 임시동영상파일에 부가함으로서 임시동영상파일을 갱신한다(S690).
S690단계에서 갱신된 임시동영상파일은 SDRAM(263)에 저장된다(S700).
이에 따라, SDRAM(263)에 저장된 임시동영상파일에는 2번에 걸쳐서 촬상된 동영상이 기록되게 된다.
이후에, S710단계에서, '연속촬영'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들을 반복하게 되며, 따라서, SDRAM(263)에 저장된 임시동영상파일에는 3번, 4번,....에 걸쳐서 촬상된 동영상이 기록되게 된다.
만약, S710단계에서 '연속촬영'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부(360)는 SDRAM(263)에 저장된 임시동영상파일을 HDD(255)에 동영상파일로 저장한다(S750).
그리고, 이후에 촬상되는 동영상에 대해서는 별도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사용자는 도 4c에 도시된 '연속촬영'메뉴를 호출하고, '해제'메뉴를 선택함으로서 '연속촬영'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촬영버튼(231c)을 길게 눌러, '연속촬영모드해제'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촬영버튼(231c)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동안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제2 제어부(233)는 이를 '연속촬영모드해제'명령으로 인식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에 전달하면, 제1 제어부(360)는 S750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촬영버튼(231c) 하나로 각기 다른 3가지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제어부(233)는 촬영버튼(231c)이 촬영대기중에 눌러지면 '촬영시작'명령으로, 촬영중에 눌러지면 '촬영중지'명령으로, 길게 눌러지면 '연속촬영모드해제'명령으로 인식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동영상파일이 HDD(255)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메모리카드(251)에 최종적으로 생성된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S650단계에서 MPEG4 포맷으로 압축된 동영상데이터, S690단계에서 갱신된 임시동영상파일 및 S740단계에서 생성된 임시동영상파일은 SDRAM(263)에 임시저장(S660단계, S700단계)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그러나, SDRAM(263)의 용량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생성/갱신된 임시동영상파일이 HDD(255)나 메모리카드(251)에 임시저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MPEG4 포맷으로 압축된 동영상데이터가 임시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HDD(255)나 메모리카드(251)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210)에서 단속적으로 촬상된 동영상이 저장부(250)에 하나의 동영상파일로 저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TV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를 NTSC/PAL 디코더(220)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부(250)에 녹화(도 3a에서 '외부입력'메뉴 선택)함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녹화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71)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CODEC(273)에서 소정의 포맷으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녹음(도 3a에서 '오디오'메뉴 선택)함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녹음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360)의 로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CODEC(340),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높은 프로세서로 제1 제어부(36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CODEC(340),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의 역할을 제1 제어부(360)에 흡수시키고,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서도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에 생성되는 파일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사용자의 파일검색이 보다 용이해지며, 파일관리에 있어서도 보다 편리해진다. 또한, 단속적으로 촬영되어 생성된 동영상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소장하기 위한 별도의 편집작업을 행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
243 : LCD 250 : 저장부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

Claims (12)

  1. 제1 및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입력부;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각각 엠펙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압축부;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동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펙 포맷은 엠펙-4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축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임시동영상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2 압축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상기 제2 압축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을 갱신한 후, 갱신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자기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 버퍼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동영상파일은 상기 자기기록매체 및 반도체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촬영부 및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디코딩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7. a) 제1 및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단계;
    b)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각각 엠펙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생성된 상기 동영상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엠펙 포맷은 엠펙-4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압축데이터에 대해 하나의 임시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압축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상기 제2 압축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을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된 상기 임시동영상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동영상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12. 제1 및 제2 오디오데이터를 단속적으로 인가하는 입력부;
    단속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오디오데이터를 각각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제1 및 제2 압축데이터를 생성하는 압축부;
    단속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압축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의 오디오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오디오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KR1020030101637A 2003-12-31 2003-12-31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KR20050069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37A KR20050069495A (ko) 2003-12-31 2003-12-31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37A KR20050069495A (ko) 2003-12-31 2003-12-31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495A true KR20050069495A (ko) 2005-07-05

Family

ID=3725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637A KR20050069495A (ko) 2003-12-31 2003-12-31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94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97B1 (ko) * 2005-08-25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0755849B1 (ko) * 2005-08-29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른 형식의 복수개의 압축 포맷 데이터를 저장하는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97B1 (ko) * 2005-08-25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0755849B1 (ko) * 2005-08-29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른 형식의 복수개의 압축 포맷 데이터를 저장하는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50090804A (ko)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KR100555662B1 (ko)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EP1553766A2 (en)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EP1575286A2 (en) Combined camcorder and stills camera
JP48104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69495A (ko)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KR100594796B1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20050066308A (ko)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KR100571756B1 (ko)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KR10053037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101024026B1 (ko)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JP463703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3978522B2 (ja) 電子カメラ
KR20050071994A (ko) 다양한 규격의 영상을 생성 및 재생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그 방법
KR20050069497A (ko) 자동 마이크 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그 방법
JP2004088717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574513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US759583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nient reproduction
KR20050071995A (ko)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2035A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JP2005020191A (ja) 撮像装置
KR20050090806A (ko) 하나의 줌스위치로 다양한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복합촬영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