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376B1 -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376B1
KR100530376B1 KR10-2004-0000411A KR20040000411A KR100530376B1 KR 100530376 B1 KR100530376 B1 KR 100530376B1 KR 20040000411 A KR20040000411 A KR 20040000411A KR 100530376 B1 KR100530376 B1 KR 10053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list
list screen
file
scree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93A (ko
Inventor
민병욱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37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복수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된 복수의 영상파일 중 소정 m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1 파일리스트화면 및 소정 n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큰 경우에는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영상파일의 개수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검색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작은 경우에는 개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판독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영상파일의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making filelist composed of different number of file according to size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장치 및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영상파일의 목록인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영상파일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영상장치에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LCD가 구비되어 있다. 휴대용 영상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하기에, 구비되는 LCD의 크기도 소형으로 제작될 수 밖에 없다.
LCD에는 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영상을 축소하여 생성한 썸네일(Thumbnail)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LCD에 표시된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를 보고, 현재 기록매체에 어떠한 영상파일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풀스크린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파일을 검색/선택할 수 있다.
이 때, 파일리스트화면에 표시되는 파일의 개수 즉,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는 정해져 있으며, 보통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파일리스트화면이 구성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만약, 파일리스트화면을 6개 보다 많은 썸네일이미지로 구성한다면, LCD의 크기상 제한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썸네일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판독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휴대용 영상장치를 TV에 연결하여, 휴대용 영상장치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파일의 파일리스트화면을 TV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파일리스트화면은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되게 된다. 휴대용 영상장치는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만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화면크기가 작은 휴대용 영상장치의 LCD에 파일리스트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나, 화면크기가 큰 TV와 같은 외부장치에 파일리스트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모두 같은 개수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TV는 화면크기가 크기 때문에, 파일리스트화면에 6개보다 많은 썸네일이미지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의 판독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파일리스트화면에는 가급적 많은 썸네일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익한데, 이는 영상파일의 검색/선택에 있어서 편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에 차이를 두는 것이 요청된다.
또한, 전자제품의 인공지능화 추세에 부합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파일리스트화면이 LCD와 TV 중 어느 곳에 표시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나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영상파일의 목록인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함에 있어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영상파일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복수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파일 중 소정 m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1 파일리스트화면 및 소정 n개에 대한 상기 파일리스트화면인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는,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마련된 소정 포트의 논리레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크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m은 상기 소정의 n 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n은 상기 소정의 m 보다 큰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파일은 정지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파일은 동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소정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의 최초 프레임 및 최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며,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은, a)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파일 중 소정 m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1 파일리스트화면 및 소정 n개에 대한 상기 파일리스트화면인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c) 단계는, 생성된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외부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장치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c) 단계는, 생성된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마련된 제어부의 소정 포트의 논리레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생성된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크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m은 상기 소정의 n 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n은 상기 소정의 m 보다 큰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파일은 정지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파일은 동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소정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정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의 최초 프레임 및 최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영상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크래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전면에는 본체에 해당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410), 본체의 파워온/오프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버튼(421), 본체의 LCD(243)에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423),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425), 본체의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와 연결되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본체 연결단자(427)를 구비된다.
지지대(410)는 투명아크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명아크릴의 한쪽 측면에는 LED(미도시)가 접촉되어 있어, LED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명아크릴로 투사된다. LED는 현재의 모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 빛을,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청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후면에는 배터리만을 충전하는 경우에 배터리를 안착하기 위한 배터리 슬롯(430),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 케이블 연결단자(441), AV 출력단자(443), 슈퍼비디오영상 출력단자(445), AV 입력단자(447) 및 슈퍼비디오영상 입력단자(447)가 구비된다.
한편, 도 3c에는, 크래들(400)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파일리스트화면 생성기능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중 파일리스트화면 생성기능의 설명에 필요한 모듈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2에서 미도시되었던 모듈인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 크래들(400) 및 TV(500)을 더 도시하였으며, 조작부(231)에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및 메뉴다이얼(231f)을 더 도시하였다. 또한, 저장부 인터페이스부(370)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와 CF 인터페이스부(373)를 의미한다.
먼저, 사용자가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를 '재생'모드에 위치시키고, 메뉴버튼(231e)을 눌러 입력한 메뉴표시명령은 제2 제어부(233)를 통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생성한 '재생'모드의 메뉴화면을 표시부(240)에 인가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재생'모드의 메뉴화면에는 '동영상'메뉴, '포토'메뉴, 'MP3'메뉴, '오디오'메뉴, '설정'메뉴, '파일브라우저'메뉴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화면에서,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지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포토'메뉴를 선택함으로서, '포토재생'명령을 입력하면(S610),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 즉, 휴대용 복합장치에 마련된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와 크래들(400)에 마련된 본체 연결단자(427)가 상호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S620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크래들 안착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는 제2 제어부(233) 소정의 포트(도 6에서는, 포트'e')가 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연결단자(427)와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상호 연결되지 않으면, 제2 제어부(233)의 포트'e'에는 직류전원 Vcc에서 저항 R에서의 전압강하치를 뺀 전압이 인가되는데, 결과적으로 논리레벨 'High'가 인가된다.
그러나, 본체 연결단자(427)와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상호 연결되면(즉, 접점'a'와 접점'b'가 연결되고, 접점'c'와 접점'd'가 연결), 제2 제어부(233)의 포트'e'는 접지되어, 결과적으로 논리레벨 'Low'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2 제어부(233)는 포트'e'에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는 경우,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S62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S630), 제2 제어부(233)는 그 판단결과와 S610단계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포토재생' 명령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이를 전달받은 제1 제어부(360)는 12개의 썸네일(Thumbnail)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한다(S640).
S640단계에서, 제1 제어부(360)가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제어부(36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JPEG포맷으로 압축된 정지영상파일들 중 12개를 선별하여 CODEC(340)으로 인가하고, CODEC(340)은 인가받은 12개의 JPEG포맷으로 압축된 정지영상파일들을 신장시킨다. 이때, 제1 제어부(360)는 파일명, 파일저장일자, 파일용량, 최근재생일자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12개의 정지영상을 선별한다. 즉, 파일명순, 저장일자순, 최근재생일자순이 앞서거나, 용량이 큰 순서에 따라 12개의 정지영상파일을 선별할 수 있으며, 그 역순으로 선별할 수도 있는데, 그 선별기준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에서 신장된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축소하여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360)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한 12개의 썸네일이미지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하나의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제1 제어부(360)는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썸네일이미지를 미리 생성하여, 정지영상파일과 동일한 파일명 및 다른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서 저장부(250)에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저장부(250)에 썸네일이미지파일이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2 제어부(360)는 보다 빠르게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압축된 정지영상파일을 신장하고, 정지영상을 축소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썸네일이미지파일은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저장부(250)의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이후에, 제1 제어부(360)는 생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시스템 버스(380) 및 GUI생성부(350)를 통해 NTSC/PAL 인코더(241)로 인가하며, NTSC/PAL 인코더(241)는 인가받은 파일리스트화면에 대해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 및 크래들(400)을 통해 TV(500)로 인가하면, TV(500)는 인가받은 파일리스트화면을 TV화면상에 표시한다(S650). 도 7a에는 TV(500)에 표시된 파일리스트화면을 도시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리스트화면은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파일리스트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재생하고자하는 썸네일이미지에 위치시키고 선택하면, 선택된 썸네일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이 TV(500)의 화면에 풀스크린으로 재생된다.
한편, S62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과 분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S630),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TV(500)와 직접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60). 즉, 제2 제어부(2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에 마련된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와 TV(500)에 마련된 AV입력단자(510)가 AV케이블(520)을 통해, 상호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가 TV(500)에 직접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제2 제어부(233)의 소정 포트가 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V(500)의 AV입력단자(510)와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제어부(233)의 소정 포트에 논리레벨 'High'가 인가되고, TV(500)의 AV입력단자(510)와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AV케이블(520)을 통해 상호 연결되면, 제2 제어부(233)의 소정 포트에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게 함으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와 TV(500)의 연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6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AV케이블(520)을 통해, TV(500)와 직접 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S670), S640단계와 S650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TV(500)의 화면에는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S660단계에서 휴대용 복합장치가 TV(500)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670), 제2 제어부(233)는 그 판단결과와 S610단계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포토재생' 명령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하며, 이를 전달받은 제1 제어부(360)는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한다(S680).
S680단계에서, 제1 제어부(360)가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은 S640단계와 동일하다. 즉, 제1 제어부(36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지영상파일들 중 6개를 선별하여 CODEC(340)을 통해 신장시키며, 신장된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축소하여 생성한 6개의 썸네일이미지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하나의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한다.
이후에, 제1 제어부(360)는 생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시스템 버스(380) 및 GUI생성부(350)를 통해 NTSC/PAL 인코더(241)로 인가하며, NTSC/PAL 인코더(241)는 인가받은 파일리스트화면에 대해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에 표시한다(S690). 도 7b에는 LCD(243)에 표시된 파일리스트화면을 도시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리스트화면은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파일리스트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재생하고자 하는 썸네일이미지에 위치시키고 선택하면, 선택된 썸네일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이 LCD(243)에 풀스크린으로 재생된다.
한편, 도 4와 도 8을 비교하면, 휴대용 복합장치는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를 통해, TV(500)와 직접 연결(도 8의 경우)되거나, 크래들(400)을 통해 TV(500)와 연결(도 4의 경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크래들(400) 또는 TV(500)에 연결되는 단자로서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가 공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용 복합장치에 크래들(400) 또는 TV(500)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제2 제어부(233)의 포트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크래들/AV케이블 연결단자(133)에 크래들(400) 또는 TV(500)가 연결되면, 제2 제어부(233) 소정의 포트(도 5에서 포트'e')에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게 함으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외부장치인 크래들(400) 또는 TV(500)가 연결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제2 제어부(233)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크래들(40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620단계와, 휴대용 복합장치가 TV(50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660단계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휴대용 복합장치에 크래들(400) 또는 TV(500)가 연결된 경우에는 S640단계 및 S650단계를 수행하고,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S680단계 및 S690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S620 및 S630단계와 S660 및 S670단계를 구분지어 도시하였을 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파일리스트화면 생성기능에 의하면, 제1 제어부(360)는 화면크기가 비교적 작은 LCD(243)(대략, 1∼2인치)에는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화면크기가 비교적 큰 TV(500)(대략, 15∼50인치)에는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수동으로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항상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설정하면, LCD(243)에도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TV(500)에도 6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GUI생성부(350)에서 제공하는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화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종류에 따라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메뉴인 '자동설정'메뉴를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실시예에서, 6개 또는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구성되는 썸네일이미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6/12개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썸네일이미지로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썸네일이미지의 개수를 6/12개가 아닌 임의의 개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지영상파일의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저장부(250)에 저장된 동영상파일의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동영상재생'명령을 입력하면, 제1 제어부(360)가 저장부(250)에 저장된 동영상파일에 대해, 6개 또는 12개의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된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썸네일이미지는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최초프레임이나 최후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된 이미지이다.
썸네일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제어부(36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MPEG4포맷으로 압축된 동영상파일을 CODEC(340)으로 인가하여 신장시키고, 신장된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최초프레임 또는 최후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의 크기를 축소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썸네일이미지를 미리 생성하여, 동영상파일과 동일한 파일명 및 다른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서 저장부(250)에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저장부(250)에 썸네일이미지파일이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2 제어부(360)는 보다 빠르게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동영상파일을 신장하고, 소정의 프레임을 추출하고, 이를 축소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썸네일이미지파일은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저장부(250)의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360)의 로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높은 프로세서로 제1 제어부(36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GUI생성부(350) 및 제2 제어부(233)의 역할을 제1 제어부(360)에 흡수시키고,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파일리스트화면은 썸네일이미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파일리스트화면은 파일명, 저장일자, 파일용량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과 썸네일이미지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영상파일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큰 경우에는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영상파일의 개수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검색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영상파일의 개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판독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파일리스트화면을 구성하는 영상파일의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 생성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 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크래들 안착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a는 TV에 표시된 파일리스트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b는 LCD에 표시된 파일리스트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TV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
243 : LCD 250 : 저장부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파일 중 소정 m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1 파일리스트화면 및 소정 n개에 대한 상기 파일리스트화면인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마련된 소정 포트의 논리레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m은 상기 소정의 n 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표시부의 화면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n은 상기 소정의 m 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파일은 정지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파일은 동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소정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의 최초 프레임 및 최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11. 복수의 영상파일이 저장되며, 외부장치와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파일 중 소정 m개에 대한 파일리스트화면인 제1 파일리스트화면 및 소정 n개에 대한 상기 파일리스트화면인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c) 단계는, 생성된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외부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장치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c) 단계는, 생성된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에 마련된 제어부의 소정 포트의 논리레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생성된 상기 제1 파일리스트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m은 상기 소정의 n 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휴대용 복합장치의 화면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소정의 n은 상기 소정의 m 보다 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파일은 정지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정지영상파일에 대응되는 정지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파일은 동영상파일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파일리스트화면은 상기 동영상파일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소정 프레임을 축소하여 생성된 축소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프레임은 상기 동영상의 최초 프레임 및 최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10-2004-0000411A 2004-01-05 2004-01-05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10053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1A KR100530376B1 (ko) 2004-01-05 2004-01-05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1A KR100530376B1 (ko) 2004-01-05 2004-01-05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93A KR20050071993A (ko) 2005-07-08
KR100530376B1 true KR100530376B1 (ko) 2005-11-22

Family

ID=3726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11A KR100530376B1 (ko) 2004-01-05 2004-01-05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3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93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20200757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834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80095617A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5662B1 (ko)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EP1553766A2 (en)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KR10053037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100594796B1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571756B1 (ko)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KR20050066308A (ko)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KR100574513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060062723A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20050071995A (ko)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9495A (ko)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KR20060102887A (ko) 촬영 위치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24026B1 (ko)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KR20060012035A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20050071994A (ko) 다양한 규격의 영상을 생성 및 재생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그 방법
KR20060003937A (ko) 영상촬상장치
KR101156113B1 (ko) 편리한 통신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50069497A (ko) 자동 마이크 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그 방법
JP2006014217A (ja) 撮像装置
KR20090001345A (ko) 동영상 촬영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