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756B1 -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756B1
KR100571756B1 KR1020040000402A KR20040000402A KR100571756B1 KR 100571756 B1 KR100571756 B1 KR 100571756B1 KR 1020040000402 A KR1020040000402 A KR 1020040000402A KR 20040000402 A KR20040000402 A KR 20040000402A KR 100571756 B1 KR100571756 B1 KR 10057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enu
menu screen
removable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85A (ko
Inventor
김용호
민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7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 B25B27/06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leeves or bearing race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이 제공된다. 본 휴대용 복합장치는, 복수의 기록매체, 기록매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메뉴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어, 별도의 기구적인 스위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현재 구비된 기록매체의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상 혼란을 방지할 수 있고, 메뉴들간의 표시위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익숙하고 기억하기 쉬운 메뉴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기록매체, HDD, 메모리카드, 메뉴

Description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selecing recording medium in use of menu formed according to recording medium state and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는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LCD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
243 : LCD 250 : 저장부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기록매체를 구비하며, 현재 구비된 기록매체의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록매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캠코더는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로서 카세트테이프와 착탈식 메모리카드를 사용한다. 이 때, 촬영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의 선택은 기구적인 스위치에 의하게 된다. 즉, 기구적인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촬영된 영상이 카세트테이프 또는 착탈식 메모리카드에 저장된다. 이는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메모리카드가 착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의 위치를 메모리카드로 선택하고 촬영버튼을 누르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에러메세지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테이프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초래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촬영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기록매체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으나, 기구적인 스위치가 사용되는 관계로 그 구현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기구적인 스위치의 위치를 자동으로 바꾸는 것은 그 구현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록매체 선택 스위치를 기구적인 스위치로 사용함으로서 소요되는 공간으로 인해 제품의 부피가 커져 제품의 소형화 경향에 역행하게 되며,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록매체를 구비하며, 현재 구비된 기록매체의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록매체를 선택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는, 복수의 기록매체;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표시된 상기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GUI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는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기록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다른 어느 하나는 내장형 기록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활성화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와 크기,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은, a)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b) 표시된 상기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선택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는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기록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다른 어느 하나는 내장형 기록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활성화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와 크기,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 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 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 록매체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장치에서 제공하는, 기록매체 선택기능에 대해, 도 3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중 기록매체 선택기능의 설명에 필요한 모듈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2에서 미도시되었던 모듈인 메모리카드 인식부(252)를 더 도시하였 다.
도 3은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고, 도 4는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며, 도 5a 내지 도 5f는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LCD(243)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사용자에게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기능선택 및 환경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사용자는 메뉴버튼(231e)을 눌러 메뉴화면을 호출하고, 메뉴다이얼(231f)을 상/하로 회전시켜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메뉴다이얼(231f)을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명령은 제2 제어부(233)를 통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고, 제1 제어부(360)는 전달받은 조작명령에 따라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GUI생성부(350)를 제어한다.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MUX(33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에 해당 메뉴화면을 조합하여, NTSC/PAL 인코더(241)에 인가하면, NTSC/PAL 인코더(241)는 메뉴화면이 조합된 영상을 LCD(243)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모드버튼(231g)를 눌러 메뉴화면을 호출하고, 되감기버튼(231h)/빨리감기버튼(231i)을 눌러 메뉴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재생버튼(231j)을 눌러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LCD패널(150)에 위치한 조작버튼만으로 GUI가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제1 제어부(360)로 전달되는 과정과 GUI생성부(350)가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을 영상에 조합하는 과정 및 NTSC/PAL 인코더(241)가 메뉴화면이 조합된 영상을 LCD(243)에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사용자가 조작부(231)를 통해 입력한 조작명령에 따라, LCD(243)에 해당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를 '저장'모드에 위치시키고, 메뉴버튼(231e)을 누르면, LCD(243)에 '저장'모드의 메뉴화면이 표시되는데, 도 5a에는 '저장'모드의 메뉴화면을 도시하였다.
이후에, 사용자가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250)에 저장하기 위한 메뉴인 '카메라'메뉴를 선택하면, '카메라'메뉴화면이 표시되는데, 도 5b에는 '카메라'메뉴화면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사용자가 '기록매체선택'메뉴를 선택하면(S610),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기록매체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S610단계에서 '기록매체선택'메뉴가 선택되면, 메모리카드 인식부(252)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카드(251)의 장착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제1 제어부(360)에 통보한다(S620).
S620단계의 구현을 위한 방법으로,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된 경우 메모리카드 인식부(252)에 구성된 회로에서 논리레벨 'Low'를 제1 제어부(360)의 메모리카드(251) 검출용 포트에 인가하고,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논리레벨 'High'를 인가하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다.
S620단계에서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S630), 제1 제어부(360)는 GUI생성부(350)를 제어하여, LCD(243)에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을 표시하는데, 이 메뉴화면은 첫째줄에 'HDD'메뉴, 둘째줄에 '메모리카드'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이다(S640). 이 때, LCD(243)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 5c에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표시된 '기록매체선택'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HDD'메뉴와 '메모리카드'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650).
S650단계에서 'HDD'메뉴가 선택되면(S660), 제1 제어부(36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되고, DSP(310) 및 시스템버스(380)를 거쳐 CODEC(340)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시스템 버스(380), CF 인터페이스부(373), TIC(253)를 통해 HDD(255)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670).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포토버튼(231a)이나 촬영버튼(231c)를 누르게 되면, 촬영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HDD(255)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S650단계에서 '메모리카드'메뉴가 선택되면(S660), 제1 제어부(36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되고, DSP(360) 및 시스템버스(380)를 거쳐 CODEC(340)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시스템 버스(380) 및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를 통해 메모리카드(251)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680).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포토버튼(231a)이나 촬영버튼(231c)를 누르게 되면, 촬영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메모리카드(251)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S620단계에서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630), 제1 제어부(360)는 GUI생성부(350)를 제어하여, LCD(243)에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을 표시하는데, 이 메뉴화면은 'HDD'메뉴만으로 구성된 메뉴화면이다(S690). 이 때, LCD(243)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도 5d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에 '메모리카드'메뉴가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록매체로서 메모리카드(251)를 선택할 수 없음'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만약,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에 '메모리카드'메뉴가 포함된다면, 사용자는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은 사실을 모르고, '메모리카드'메뉴의 선택을 시도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메뉴선택 실패로 인하여, 휴대용 복합영상장치가 고장난 것으로 오판할 여지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에 '메모리카드'메뉴가 포함되지 않도록 한 것은,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는, '메모리카드'메뉴를 포함시켜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메뉴를 'HDD'메뉴보다 작게 표시하거나,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메뉴의 휘도를 조절하여 'HDD'메뉴보다 흐리게 표시하여, '메모리카드'메뉴를 비활성화시킴으로서,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메뉴는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메뉴의 색상을 'HDD'메뉴와 달리 표시하거나, 커서가 '메모리카드'메뉴에 위치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일 예가 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한 방법으로 표시된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에서 선택가능한 메뉴인 'HDD'메뉴를 선택하면(S700), 제1 제어부(36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되고, DSP(360) 및 시스템 버스(380)를 거쳐 CODEC(340)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시스템 버스(380), CF 인터페이스부(373), TIC(253)를 통해 HDD(255)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710).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포토버튼(231a)이나 촬영버튼(231c)를 누르게 되면, 촬영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가 HDD(255)에 저장되게 된다.
도 5c, 도 5e 및 도 5f를 참조하면, 어떠한 메뉴화면의 경우도, 'HDD'메뉴가 '메모리카드'메뉴의 상부에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HDD(255)는 휴대용 복합장치에 내장되는 내장형 기록매체이기 때문에 항상 구비되어 있지만, 메모리카드(251)는 착탈식 기록매체이기 때문에 휴대용 복합장치에 구비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만약,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에서 '메모리카드'메뉴가 첫째줄에 표시되고, 'HDD'메뉴가 둘째줄에 표시된다고 가정하면, 메모리카드(251)가 장착되지 않아 '메모리카드'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HDD'메뉴가 첫째줄에 표시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HDD'메뉴의 표시위치 변동으로 인하여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익숙하고, 기억하기 쉬운 메뉴화면을 선호하는 경향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메뉴의 표시위치 변동은 사용자에게 반감을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익숙한 메뉴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메뉴화면상에 항상 표시되는 메뉴('HDD'메뉴)를 가변적으로 표시되는 메뉴('메모리카드'메뉴)의 상부에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메뉴화면에 표시되는 메뉴가 상하가 아닌 좌우로 배열되는 경우라면, 'HDD'메뉴가 '메모리카드'메뉴의 좌측에 표시되는 것으로 메뉴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의 시선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360)의 로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GUI생성부(350), 제2 제어부(233) 및 메모리카드 인식부(252)를 별도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처리속도가 높은 프로세서로 제1 제어부(36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GUI생성부(350), 제2 제어부(233) 및 메모리카드 인식부(252)의 역할을 제1 제어부(360)에 흡수시키고, 이들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250)에 저장하기 위한 메뉴인 '카메라'메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 5a의 메뉴화면에 도시된 메뉴들 중, TV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뉴인 '외부입력'메뉴, 마이크(27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인 '오디오'메뉴, 휴대용 복합장치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인 '설정'메뉴 및 저장부(250)에 저장된 파일의 관리를 위한 '파일브라우저'메뉴 등의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기록매체선택'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기록매체를 선택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 선택을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스위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현재 구비된 기록매체의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상 혼란을 방지할 수 있고, 메뉴화면을 구성하는 메뉴들간의 표시위치를 적절히 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익숙하고 기억하기 쉬운 메뉴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복수의 기록매체;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표시된 상기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메뉴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GUI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는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다른 어느 하나는 내장형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비활성화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와 크기,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11. 복수의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메뉴로 구성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b) 표시된 상기 메뉴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선택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에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는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착탈식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매체 중 다른 어느 하나는 내장형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가 분리된 경우,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비활성화된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와 크기, 색상 및 휘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내장형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는 상기 착탈식 기록매체에 대응되는 메뉴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록매체 선택방법.
KR1020040000402A 2004-01-05 2004-01-05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KR10057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2A KR100571756B1 (ko) 2004-01-05 2004-01-05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02A KR100571756B1 (ko) 2004-01-05 2004-01-05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85A KR20050071985A (ko) 2005-07-08
KR100571756B1 true KR100571756B1 (ko) 2006-04-18

Family

ID=3726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02A KR100571756B1 (ko) 2004-01-05 2004-01-05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7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85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4571B2 (ja) Osdメニューを表示する映像撮影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20050090804A (ko)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57776B1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5662B1 (ko)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EP1553766A2 (en)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US20050200709A1 (en) Compositio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ou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71756B1 (ko) 기록매체 현황에 기초하여 생성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기록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선택방법
KR100594796B1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053037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크기에 따라, 다른 개수의 파일들로이루어진 파일리스트화면을 생성하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파일리스트화면 생성방법
KR20050066308A (ko)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KR101024026B1 (ko)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 선택방법
KR20050069495A (ko) 단속적으로 입력되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해, 하나의동영상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동영상파일 생성방법
KR20050071995A (ko)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574513B1 (ko)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060012035A (ko) 크래들에 안착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복합장치 및 동작모드 자동전환방법
KR20050071994A (ko) 다양한 규격의 영상을 생성 및 재생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및 그 방법
KR20060003937A (ko) 영상촬상장치
KR20050069497A (ko) 자동 마이크 감도 조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그 방법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101156113B1 (ko) 편리한 통신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50090806A (ko) 하나의 줌스위치로 다양한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복합촬영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080071419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