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740B1 -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740B1
KR100755740B1 KR1020060009747A KR20060009747A KR100755740B1 KR 100755740 B1 KR100755740 B1 KR 100755740B1 KR 1020060009747 A KR1020060009747 A KR 1020060009747A KR 20060009747 A KR20060009747 A KR 20060009747A KR 100755740 B1 KR100755740 B1 KR 10075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enu
storage space
file managemen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208A (ko
Inventor
김홍국
현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7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는 파일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관리 모듈과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삭제 또는 축소 대상인 파일의 리스트 및 파일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을 포함하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은 우선 순위에 따라 추출된다.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카드, 저장 공간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in digital camera}
도 1은 종래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여부 메뉴 및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종류 메뉴 및 정렬 기준 메뉴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종류 메뉴 및 작업 전 확인 메뉴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제어 모듈
220: 관리 모듈
230: 출력 모듈
240: 실행 모듈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의 저장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파일을 축소 또는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보편화 되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고성능의 내장 플래시와 메모리 스틱 듀오 슬롯 등이 탑재된 장비의 첨단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를 통한 고화질의 영상 촬영, CMOS 센서와 고속화된 영상 처리 속도를 통해 역동적 촬영을 위한 와이드 앵글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이미지가 LCD 창에 디스플레이 될 경우 휘도 분포 그래프를 통해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여 노출을 최적화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경우 저장 매체(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지우거나 메모리 카드를 포맷하여 메모리의 용량을 생성한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촬영 모드로 설정하고 이미지 촬영을 완료하면, 촬영한 이미지의 저장 여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린다(S11, S21, S31). 이때,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는다면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
만약,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고자 할 경우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의 저장 공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41).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충분하다면 현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중요도 레벨을 지정한 후 저장하고,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S81, S91).
만약,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만한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면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린다(S51). 자동 정리 기능은 사용자의 동의없이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므로 자동 정리 기능의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 뒤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S61, S81).
만약, 사용자가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한다면 중요도 레벨이 낮은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이후 촬영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중요도 레벨을 지정한 후 저장하고,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S71, S81, S91).
중요도 레벨은 사용자가 각각의 이미지 파일에 따라 다르게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4단계(A, B, C, D)로 나눌 수 있다. A레벨은 최상위의 중요도 레벨로 본인 외에는 삭제할 수 없도록 암호 설정이 가능하며, 자동 정리 기능 사용 시에도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는다. 다만, 암호 설정 없이 이미지 파일을 보는 것은 가능하다. B레벨은 A레벨 다음 위치의 중요도 레벨로 자동 정리 기능을 통해 삭제할 경우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물어본 뒤 삭제한다. C레벨은 B레벨 다음 위치의 중요도 레벨로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하여 시간 순서상 오래된 이미지 파일부터 자동으로 삭제하며, 잘못 촬영한 이미지나 중복된 이미지, PC에 이미 백업시켜 놓은 이미지를 C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D레벨은 사용자가 이미 삭제한 파일을 의미하며,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삭제된다. 다만, 컴퓨터의 휴지통 기능과 같이 사용자가 복구를 원할 경우를 대비해서 사용하는 최하위 레벨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용량으로 저장 공간을 생성(확보)하고,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파일에 중요도 레벨을 부여하여 파일을 관리하고,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도 저장 공간을 생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는 파일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관리 모듈과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삭제 또는 축소 대상인 파일의 리스트 및 파일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을 포함하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은 우선 순위에 따라 추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은 파일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삭제 또는 축소 대상인 파일의 리스트 및 파일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은 우선 순위에 따라 추출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주요 용어>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컬러 또는 그레이 레벨 이미지의 정밀성을 측정한 값으로 보다 많은 비트수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보다 선명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200)는 제어 모듈(210), 관리 모듈(220), 출력 모듈(230) 및 실행 모듈(240)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할 경우, 저장 매체에 저장 공간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관리 모듈(220)을 구동시킨다.
관리 모듈(220)은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설정 메뉴{파일 관리 메뉴(400)}를 제공한다. 이때, 이미 기존에 파일 관리 메뉴(400)의 설정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 모듈(240)을 통해 진행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설정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거나 최초 관리 모듈(220)을 통해 파일 관리 메뉴(400)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일 관리 메뉴(400)를 통해 복 수개의 설정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외에도 관리 모듈(22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 공간이 부족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디지털 카메라의 소정의 버튼을 통해 관리 모듈(220)을 동작시켜 파일 관리를 통한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모듈(230)은 삭제/축소 대상 파일의 용량(또는 삭제/축소 후 총 가용 가능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삭제/축소 대상 파일 리스트(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의 썸 네일 등)를 화면에 배열하여 출력한다. 이때, 관리 모듈(220)에서 설정한 저장 공간 용량에 따라 우선 순위가 낮은 파일(삭제/축소 대상 파일)이 추출될 수 있다.
실행 모듈(240)은 관리 모듈(220)을 통해 제공되는 파일 관리 메뉴(400) 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출력 모듈(230)을 통해 화면에 출력된 파일들을 확인한 후 소정의 버튼(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바람직하게는 확인과 취소 버튼으로 이루어진 하위 메뉴가 팝업(popup) 창으로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파일 관리 메뉴(400)는 사용 여부(412), 생성 메모리 용량(414), 파일 종류(416), 정렬 기준(418), 작업 종류(420) 및 작업 전 확인(422) 등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용 여부 메뉴(412) 및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도 4에서 설명한다. 또한 파일 종류 메뉴(416) 및 정렬 기준 메뉴(418)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도 5에서 설명한다. 또한 작업 종류 메뉴(420) 및 작업 전 확인 메뉴(422)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미지 촬영을 완료하면 해당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S301).
이때,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고자 할 경우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의 저장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를 제어 모듈(210)을 통해 판별한다(S321). 저장 공간이 충분할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저장 매체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S322).
만약,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관리 모듈(220)을 동작시킨다(S331).
관리 모듈(220)이 동작하면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메시지(〃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한 설정 작업을 시작합니다〃)를 화면에 표시하고, 하위 메뉴들의 설정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인 사용 여부 메뉴(412)의 설정 사항이 바람직하게는 디폴트로 사용으로 설정되어 이하의 하위 메뉴들의 설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단계들은 모두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단계별로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하위 메뉴 중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서 소정의 값(예를 들어 5MB)을 설정하여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에 생성할 저장 공간의 용량을 설정한다(S351).
다음 단계에서, 사용자가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적용할 파일에 대해 파일 종류 메뉴(416)를 설정한다(S361). 예를 들어 파일 종류에는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메모 파일’ 등이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파일의 정렬 기준에 대해 정렬 기준 메뉴(418)를 설정한다(S371). 예를 들어 정렬 기준 메뉴(418)에는 ‘날짜, 크기, 폴더, 휘도’ 등이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정렬 기준에 따라 대상 파일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파일(삭제/축소 대상 파일)을 사용자가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서 설정한 저장 공간 용량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해 파일의 처리 방법에 대해 작업 종류 메뉴(420)를 설정한다(S381). 예를 들어 작업 종류 메뉴(420)에는 ‘삭제, 축소’ 가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는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저장 공간을 생 성하게 되고, 이미지 파일의 경우 해당 파일을 축소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자동 작업으로 상기 단계들의 설정 사항을 반영하여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진행시킬지 또는 확인 후 작업으로 진행시킬지 여부에 대해 작업 전 확인 메뉴(422)를 설정한다(S391). 예를 들어 작업 전 확인 메뉴(422)에는 ‘자동 작업, 확인 후 작업’ 등이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자동 작업으로 설정된 경우 삭제/축소 대상 파일의 용량(또는 삭제/축소 후 총 가용 가능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출력 모듈(230)을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확인 후 작업으로 설정된 경우 삭제/축소 대상 파일 리스트(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의 썸 네일 등)를 출력 모듈(230)을 통해 화면에 배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 파일 확인 후 소정의 버튼(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바람직하게는 확인과 취소 버튼으로 이루어진 하위 메뉴가 팝업(popup) 창으로 나타난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의 설정 사항을 반영한 저장 공간 생성 작업(삭제/축소)을 실행 모듈(240)을 통해 진행시킨다(S39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여부 메뉴 및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를 도시한다.
파일 관리 메뉴(400)는 사용 여부(412), 생성 메모리 용량(414), 파일 종류(416), 정렬 기준(418), 작업 종류(420) 및 작업 전 확인(422) 등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파일 관리 메뉴(400)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진행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메모리 카드)의 저장 공간의 잔여용량이 0(zero)일 경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메시지(예를 들어 〃저장 매체의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한 설정 작업을 시작합니다〃)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후의 하위 메뉴들의 설정 작업을 진행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사용 여부 메뉴(412)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 여부 메뉴(412)는 파일 관리 메뉴(400)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 및 사용 안함’을 설정 메뉴로 제공한다. 사용이 설정된 경우는 파일 관리 메뉴(400)의 메뉴 설정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한 경우(활성)를 의미하며, 사용 안함이 설정된 경우는 파일 관리 메뉴(400)의 메뉴 설정을 사용 불가능하도록 설정한 경우(비활성)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디폴트 값으로 사용을 설정한다. 사용 안함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하위 메뉴를 설정할 수 없도록 비활성 처리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는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통해 생성할 저장 공간의 용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5MB, 10MB, 20MB, 30MB’가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폴트 값으로 5MB를 설정한다. 따라서 설정된 용량에 따라 파일을 삭제/축소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종류 메뉴 및 정렬 기준 메뉴를 도 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파일 종류 메뉴(416)에 대해 설명한다.
파일 종류 메뉴(416)는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적용할 파일의 종류를 설정한다. 파일 종류에는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메모 파일’ 이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파일은 저장 공간 생성 작업 진행시 삭제/축소 대상 파일로서 처리된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 발명들이 촬영 이미지 파일에만 적용했던 범위를 음성 메모 파일에도 적용하여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이 적용되는 범위를 확대시켰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정렬 기준 메뉴(418)에 대해 설명한다.
정렬 기준 메뉴(418)는 파일 종류 메뉴(416)에서 설정된 파일에 정렬 기준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날짜, 크기, 폴더, 휘도’ 가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날짜를 선택하면 ‘내림차순 및 오름차순’ 등의 하위 메뉴가 제공될 수 있고, 파일을 날짜 순에 따라 정렬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 기준의 설정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내림차순), 크기 메뉴 순으로 정렬 기준이 차례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날짜 및 크기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경우, 현재 최우선 순위인 날짜에 따라 내림차순(최근 파일부터 오래된 파일 순서)으로 파일들이 정렬되고 그에 따라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낮은 오래된 파일부터 설정된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의 용량을 확보할 때까지 추출된다.
이외에도 파일 종류 메뉴(416)의 설정에 따라 정렬 기준 메뉴(418)를 다르게 구성하거나, 일부 메뉴를 활성 또는 비활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종류 메뉴(416)에서 동영상 파일/음성 메모 파일을 설정한 경우 정렬 기준 메뉴(418)에서 휘도를 제외한 날짜, 크기, 폴더가 활성된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고, 이미지 파일의 경우 휘도를 포함하여 활성된 설정 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휘도의 경우, 각 JPEG 이미지 파일의 휘도 분포 그래프(히스토그램)를 통해 이미지 파일의 휘도 정보를 추출해 내고, 상기 휘도 정보를 통해 카메라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이미지(즉 장면(scene))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충분히 커버하는 지의 정도를 판별하여 그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삭제/축소 대상 이미지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분히 커버할 경우의 우선 순위를 0(zero)으로 부여하고,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는 최악의 경우를 10으로 부여하여 각각 단계별로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종류 메뉴 및 작업 전 확인 메뉴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작업 종류 메뉴(420)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 종류 메뉴(420)는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해 파일의 처리 방법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삭제, 축소’ 가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는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저장 공간을 생성하게 되고, 축소는 이미지 파일의 경우 해당 파 일을 축소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종류 메뉴(416)에서 이미지 파일을 설정하고 작업 종류 메뉴(420)에서 축소를 설정한 경우 이미지 축소 사이즈 및 단계 설정의 하위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축소 사이즈 설정은 예를 들어 ‘2048×1536, 1600×1200, 1024×768, 640×480’ 등이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별로 설정할 경우 ‘1단계 아래, 2단계 아래, 3단계 아래, 최소’ 등이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아래는 현재 파일 사이즈보다 1단계 아래 파일 사이즈로 축소하는 것으로 현재 1600×120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1024×768로 축소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발명들이 파일을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도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리 메뉴(400)의 하위 메뉴 중 작업 전 확인 메뉴(422)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 전 확인 메뉴(422)는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해 자동 작업으로 처리할지 또는 확인 후 작업으로 처리할지 여부에 대해 설정한다. 예를 들어 ‘자동 작업, 확인 후 작업’ 가 설정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자동 작업으로 설정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삭제/축소 대상 파일의 용량(또는 삭제/축소 후 총 가용 가능한 저장 공간의 용량)을 화면에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확인 후 작업으로 설정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삭제/축소 대상 파일 리스트(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의 썸 네일(thumb nail) 등)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저장 공간 생성을 위한 삭제/축소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 파일은 회색으로 쉐도우(shadow) 처리할 수 있다. 음성 메모(파일)일 경우 음성 메모의 파일 이름을 텍스트(예를 들어 1.mpeg)로 출력하고, 작업 대상이 되는 음성 메모 파일은 바탕색을 회색으로 쉐도우 처리할 수 있다. 쉐도우 처리된 파일은 메뉴의 소정의 버튼(OK버튼)을 통해 쉐도우 처리가 해제될 수 있다.
파일 확인 후 소정의 버튼(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바람직하게는 확인과 취소 버튼으로 이루어진 하위 메뉴가 팝업(popup) 창으로 나타난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의 설정 사항을 반영한 저장 공간 생성 작업(삭제/축소)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서 5MB, 파일 종류 메뉴(416)에서 이미지 파일, 정렬 기준 메뉴(418)에서 날짜(내림차순), 작업 종류 메뉴(420)에서 삭제/축소를 설정한 경우,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진행시키면 저장 매체에 저장된 JPEG 이미지의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헤더에서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파일을 날짜 순으로 우선 순위가 낮은 파일을 대상으로 5MB가 될 때 까지 파일을 추출하여 정렬한 후,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생성 메모리 용량 메뉴(414)에서 설정한 크기(5MB)가 될 때까지 삭제/축소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 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도 단계별로 이미지 파일을 축소하여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이 적용되는 범위를 음성 메모 파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사용자가 설정한 용량에 따라 저장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파일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관리 모듈;
    상기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의 리스트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및 음성 메모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의 헤더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되거나 휘도 분포 그래프의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파일 관리 메뉴에서 설정된 저장 공간 용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이 추출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은 썸 네일(thumb nail) 형태로 상기 화면에 배열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4. 파일 관리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의 리스트 및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메뉴의 설정 사항에 따라 저장 공간 생성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을 포함하며,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및 음성 메모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의 헤더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되거나 휘도 분포 그래프의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가 부여되고,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파일 관리 메뉴에서 설정된 저장 공간 용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삭제 또는 축소 대상 파일이 추출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 또는 상기 동영상 파일은 썸 네일(thumb nail) 형태로 상기 화면에 배열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방법.
KR1020060009747A 2006-02-01 2006-02-01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5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47A KR100755740B1 (ko) 2006-02-01 2006-02-01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47A KR100755740B1 (ko) 2006-02-01 2006-02-01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08A KR20070079208A (ko) 2007-08-06
KR100755740B1 true KR100755740B1 (ko) 2007-09-05

Family

ID=3859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47A KR100755740B1 (ko) 2006-02-01 2006-02-01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106A (ko)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452A (ja) * 2001-10-31 2003-05-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66308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452A (ja) * 2001-10-31 2003-05-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66308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208A (ko) 200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4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 categories in a digital camera to enhance performance of a high-capacity image storage media
TWI234119B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mage selection
US778399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management program
US64454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utilizing file attributes with digital images
US8836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tegorizing images in a digital camera
US200201863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view and instant review in an image capture device
US850288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105519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334651A (ja) 画像検索方法およびその画像検索方法で画像検索を実行する画像検索装置が搭載されている撮像装置
JP4835356B2 (ja) 撮像装置、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6222973A (ja) 撮像装置初期化中のストリングテーブルロードの最適化方法および装置
US65642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storage capacity in a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CN105760226B (zh) 一种快速启动移动终端相机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060446B (zh) 图像选取方法及装置
KR10075574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US7650578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2369125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画像の削除方法
JP200328154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なら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72701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30461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036581A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4830395B2 (ja) 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502902B1 (ko) 콤팩트 디스크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20170868A1 (en) Image management method of digital photography device
CN115514894B (zh)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