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604A -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604A
KR20050071604A KR1020057006906A KR20057006906A KR20050071604A KR 20050071604 A KR20050071604 A KR 20050071604A KR 1020057006906 A KR1020057006906 A KR 1020057006906A KR 20057006906 A KR20057006906 A KR 20057006906A KR 20050071604 A KR20050071604 A KR 2005007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numerical
tap
numerical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고야나기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뉴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뉴로솔루션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뉴로솔루션
Publication of KR2005007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23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19Compensation of undesirable effects, e.g. quantisation noise, overflow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83Filters characterised by the filter structure
    • H03H17/0286Combinations of filt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소정의 비대칭형의 수치열을 필터 계수 H1 ~ h3로 하는 유닛 필터 L10', H10'를 임의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유닛 필터의 조합만으로 구하는 디지털 필터의 계수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 H1 ~ h3으로서, 대칭형의 수치열{-1, 0, 9, 16, 9, 0, -1}/32를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에 대응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설계되는 디지털 필터에 필요한 탭수가 적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창함수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얻어지는 필터 특성에 중단 오차가 생기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 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DIGITAL FILTER DESIGN METHOD AND DEVICE, DIGITAL FILTER DESIGN PROGRAM, AND DIGITAL FILTER}
본 발명은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 프로그램, 디지털 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각각 수배로 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FIR 필터 및 그 설계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계측, 음성·화상 신호 처리, 의료, 지진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되어 있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서 어떠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의 가장 중요한 기본 조작에, 각종의 신호나 잡음이 혼재하고 있는 입력 신호 중, 필요한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꺼내는 필터링 처리가 있다. 이 때문에,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는 전자 기기에서는, 디지털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많다.
디지털 필터로서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나 FIR(Finite Impulse Response: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가 많이 사용된다. 이 중 FIR 필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제1에, FIR 필터의 전달 함수의 극은 z 평면의 원점에만 있으므로, 회로는 항상 안정한다. 제2에, 필터 계수가 대칭형이면, 완전하게 정확한 직선 위상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필터를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의 배치로부터 분류하면, 주로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대역 통과 필터, 대역 소거 필터의 4개로 나눌 수 있다. IIR 필터나 FIR 필터로 기본이 되는 것은 로우 패스 필터이며, 그 외의 하이 패스 필터, 대역 통과 필터, 대역 소거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부터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안내된다.
그런데, FIR 필터는, 유한 시간 길이로 표현되는 임펄스 응답이 그대로 필터의 계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FIR 필터를 설계한다는 것은, 희망의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필터 계수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종래, 기본으로 되는 로우 패스 필터를 설계할 때는, 샘플링 주파수와 컷 오프 주파수와의 비율을 기초로, 창함수나 체비세브 근사법 등을 사용한 컨벌루션 연산 등을 행함으로써, FIR 필터의 각 탭에 대한 필터 계수를 구한다. 그리고, 그 구한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면서, 계수치를 적당히 수정하고, 소요 특성의 로우 패스 필터를 얻고 있었다.
또, 하이 패스 필터, 대역 통과 필터, 대역 소거 필터 등의 다른 필터를 설계할 때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순에서 기본으로 되는 로우 패스 필터를 복수개 설계한다. 그리고, 이들을 조합시켜 주파수 변환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필터를 설계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설계법으로 얻어지는 필터의 주파수 특성은, 창함수나 체비세브 근사식에 의존하므로, 이들을 잘 설정하지 않으면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창함수나 근사식을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즉, 상기 종래의 필터 설계법에서는, 숙련된 기술자가 시간과 수고를 들여 설계할 필요가 있고, 원하는 특성의 FIR 필터를 용이하게는 설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만일 원하는 특성에 가까운 FIR 필터를 설계할 수 있었다고 해도, 설계된 필터의 탭수는 방대해져, 또한 그 계수치는 매우 복잡하며 랜덤인 값으로 된다. 그러므로, 그 탭수 및 계수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회로 구성(가산기, 승산기)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설계된 FIR 필터를 실제로 사용할 때, 그 연산량이 매우 많게 되어, 처리 부하가 무거워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디지털 필터를 간이적으로 설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희망하는 주파수 특성을 작은 회로 규모로 고정밀도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FIR 디지털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회로 구성 및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의 생성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의 필터 계수의 생성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 L11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의 필터 계수의 생성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 H11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m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m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주파수 대역의 빼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주파수 대역의 다른 빼돌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필터 설계법으로 가장 기본으로 되는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의 회로 구성 및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단순한 수치열{8, -9, 0, 1}/16을 필터 계수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필터 계수 H3만을 조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필터 계수 H2, H3를 조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밴드 패스 필터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밴드 패스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닛 필터 L10", H10"의 회로 구성 및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5 탭 유닛 2차 필터 L20, H20의 필터 계수의 생성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은,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기본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제1 유닛 필터와,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기본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제2 유닛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를 임의로 종속 접속함으로써 필터 설계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1 유닛 필터와,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2 유닛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를 임의로 종속 접속함으로써 필터 설계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 필터를 구성하는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함으로써 필터의 통과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필터는,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청구의 범위 제1항 ~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설계법에 의해 구해진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하기 위한 지연 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준 클록의 1/n 배의 주기를 가지는 제2 클록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유지하여 출력하는 지연 회로를 구비하여 지연 수단을 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비대칭형의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 하는 1이상의 유닛 필터를 임의로 조합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도록 했으므로, 유닛 필터의 조합만으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디지털 필터의 계수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고,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어도 필터의 설계를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비대칭형의 수치열은,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에 대응하는 것이므로, 설계되는 디지털 필터에 필요한 탭수는 매우 적어지고, 또한 각 탭 출력에 대하여 필요한 필터 계수의 종류도 매우 적어지게 된다. 또한, 창함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얻어지는 필터 계수에 중단 오차가 생기는 것도 없다. 따라서, 회로 소자수(특히 승산기)를 대폭 삭감하여 회로 규모를 삭감, 소비 전력의 저감, 연산 부하의 경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디지털 필터의 희망하는 주파수 특성을 고정밀도로 실현될 수가 있다. 또, 설계되는 디지털 필터는, 유닛 필터라는 동일 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극히 단순한 구성이므로, 집적화에 즈음하여 공정수를 단축할 수 있고, IC화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필터는,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출력 신호를 소여의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타입의 FIR 필터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의한 필터 설계법은, 이하로 설명한다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 L1n', H1n'를 만들어, 이들 조합만으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필터를 설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유닛 필터를 나타내는 부호의 뒤에 붙인 "n"의 문자는, 각 탭 사이에 삽입하는 지연의 클록 수, 즉,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삽입하는 "0"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먼저, 상기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 L1n', H1n'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되는 2 종류의 5 탭 유닛 필터 L1n, H1n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그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b)는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유닛 필터 L10, H10에서는, 종속 접속된 6개의 D형 플립플롭 1-1 ~ 1-6에 의해 입력 신호를 1클록 CK씩 순차적으로 지연시킨다. 그리고, 각 D형 플립플롭 1-1 ~ 1-6의 소정의 탭으로부터 인출한 신호에 대하여, 도 1b에 나타낸 필터 계수 h1 ~ h5를 5개의 계수기 2-1 ~ 2-5로 각각 곱셈하고,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모두 4개의 가산기 3-1 ~ 3-4로 가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2 종류의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회로 구성은, 어느 쪽도 도 1a와 같이 되어 있고, 필터 계수(계수기 2-1 ~ 2-5의 승수치 h1 ~ h5)만이 도 1b와 같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는, 극히 단순한 수치열{-1, 0, 9, 16, 9, 0, -1}/32로 이루어지는(단, 값이 "0"의 부분은 도 1a와 같이 탭 출력이 없고, 필터 계수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대칭형이며,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9+9-1=16, 0+16+0=16).
또,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는, 극히 단순한 수치열{1, 0, -9, 16, -9, 0, 1}/32로 이루어지는(단, 값이 "0"의 부분은 탭 출력이 없고, 필터 계수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대칭형이며,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9-9+1=-16, 0+16+0=16).
여기서, 이들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의 의미에 대하여, 도 2~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의 생성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은, 1클록 CK마다 데이터 값이{-1, 1, 8, 8, 1, -1}/16으로 변화하는 소정의 디지털 기본 함수를 1회 이동평균 연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또,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은, 1클록 CK마다 데이터 값이{1, -1, -8, 8, -1, 1}/16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기본 함수와 1클록 CK마다 데이터 값이{1, -1, 8, -8, -1, 1}/16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기본 함수를 이동평균 연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도 3은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에 대하여, 4배의 오버 샘플링과 컨벌루션 연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래의 수치열을 32배가 된 정수의 수치열{-1, 0, 9, 16, 9, 0, -1}에 대하여 오버 샘플링과 컨벌루션 연산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있어서, 가장 좌측의 열에 나타내는 일련의 수치열은, 원래의 수치열{-1, 0, 9, 16, 9, 0, -1}에 대하여 4배의 오버 샘플링을 행한 값이다. 또, 가장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해 4 열분의 수치열은, 가장 좌측의 열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1개씩 하방향으로 시프트한 것이다. 도 3a의 열 방향은 시간축을 나타내고, 수치열을 하방향으로 시프트한다는 것은, 가장 좌측의 열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서서히 지연시켜 가는 것에 대응한다.
즉,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수치열은, 가장 좌측의 열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4배 주파수의 클록 4CK의 1/4위상 분만큼 어긋나게 한 수치열인 것을 나타낸다. 또, 좌측으로부터 3번째의 수치열은, 좌측으로부터 2번째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4배 주파수의 클록 4CK의 1/4위상 분만큼 어긋나게 한 수치열, 좌측으로부터 4번째의 수치열은, 좌측으로부터 3번째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4배 주파수의 클록 4CK의 1/4위상 분만큼 또한 어긋나게 한 수치열인 것을 나타낸다.
또, 좌측으로부터 5번째의 수치열은, 1 ~ 4번째의 각 수치열을 대응하는 행끼리로 가산한 값이다. 이 좌측으로부터 5번째까지의 처리에 의하여, 4 상의 컨벌루션 연산을 따른 4배의 오버 샘플링이 디지털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5번째로부터 우측으로 향해 4 열분의 수치열은, 5번째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1개씩 하방향으로 시프트한 것이다. 또, 좌측으로부터 9번째의 수치열은, 5 ~ 8번째의 각 수치열을 대응하는 행끼리로 가산한 값이다. 이 좌측으로부터 9번째까지의 처리에 의하여, 4 상의 컨벌루션 연산을 따른 4배의 오버 샘플링이 디지털적으로 2회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또, 좌측으로부터 10번째의 수치열은, 9번째에 나타내는 수치열을 1개 하방향으로 시프트 한 것이다. 또, 좌측으로부터 11번째(가장 우측의 열)의 수치열은, 9번째의 수치열과 10번째의 수치열을 대응하는 행끼리로 가산한 값이다.
이 도 3a의 가장 우측의 열에 나타내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수치열을 그래프한 것이, 도 3b이다. 이 도 3b에 나타낸 파형을 가지는 함수는, 가로축에 따른 표본 위치가 t1로부터 t4의 사이에 있을 때에만 "0" 이외의 유한한 값을 가지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값이 모두 "0"으로 되는 함수, 즉 표본 위치 t1, t4에 있어서 값이 "0"에 수속하는 함수이다. 이와 같이 함수의 값이 국소적인 영역에서 "0" 이외의 유한의 값을 가지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 "0"으로 되는 경우를 「유한대」라 칭한다.
또, 이 도 3b에 나타낸 함수는, 중앙의 표본 위치 t5에 있어서만 극대값을 받아, t1, t2, t3, t4의 4개의 표본 위치에 있어서 값이 "0"으로 된다는 특징을 가지는 표본화 함수이며, 스무스한 파형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필요한 샘플점은 모두 통과한다.
이어서, 도 4는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에 대하여, 4배의 오버 샘플링과 컨벌루션 연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래의 수치열을 32배가 된 정수의 수치열{1, 0, -9, 16, -9, 0, 1}에 대하여 오버 샘플링과 컨벌루션 연산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상기 도 3a와 마찬가지의 연산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4a의 가장 우측의 열에 나타내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수치열을 그래프화하면, 도 4b와 같이된다. 이 도 4b에 나타낸 함수도, 중앙의 표본 위치 t7'에 있어서만 극대값을 받는 표본화 함수로서, 전역에 있어서 1회 미분 가능하고, 또한 표본 위치 t1', t6'에 있어서 0에 수속하는 유한대의 함수이다.
다음에, 각 탭 사이에 삽입하는 지연의 클록 수 n을 n≥1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n=1의 경우)의 필터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의 필터 계수는, 상기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1개씩 삽입함으로써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n(n=2, 3, ···)의 필터 계수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n개씩 삽입함으로써 생성한다.
도 6은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 L11의 수치열을 FFT(Fast Fourier Transfer: 고속 푸리에 변환)한 결과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 L11에서는,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게인이 0.5가 되고, 또한 저주파 영역에서의 오버 슈트나 고주파 영역에서의 링잉도 존재하지 않는 양호한 로우 패스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삽입하는 "0"의 수를 n으로 하면, 그 주파수-게인 특성의 주파수축(주파수 방향에 대한 주기)은 1/n으로 된다.
이와 같은 로우 패스 필터 특성을 실현하는 근원으로 되는 상기 도 2a의 수치열은, 도 3b에 나타낸 유한대의 표본화 함수의 기초로 되는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이던 표본화 함수는 t=±∞의 표본 위치에서 "0"에 수속하는 것에 대하여, 도 3b에 나타낸 표본화 함수는, t=t1, t4의 유한의 표본 위치에서 "0"에 수속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 2a의 수치열을 FFT 변환한 경우, t=t1 ~ t4의 범위 내에 상당하는 데이터만이 의미를 가진다. t=t1 ~ t4의 범위외에 상당하는 데이터에 대하여는, 본래 이것을 고려해야 하는데 무시하는 것은 것은 아니고, 이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단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2a에 나타낸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서 이용하면, 창함수를 사용하여 계수의 중단을 행할 필요도 없고, 양호한 로우 패스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의 필터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의 필터 계수는, 상기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1개씩 삽입함으로써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n(n=2, 3, ···)의 필터 계수는,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n개씩 삽입함으로써 생성한다.
도 8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 H11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 H11에서는, 중심 주파수에 있어서 게인이 0.5가 되고, 또한 고주파 영역에서의 오버 슈트나 저주파 영역에서의 링잉도 존재하지 않는 양호한 하이 패스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필터 계수의 사이에 삽입하는 "0"의 수를 n으로 하면, 그 주파수-게인 특성의 주파수축(주파수 방향에 대한 주기)은 1/n으로 된다.
이와 같은 하이 패스 필터 특성을 실현하는 근원으로 되는 상기 도 2b의 수치열도,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한대의 표본화 함수의 기초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서 사용함으로써, 창함수를 사용하여 계수의 중단을 행할 필요도 없고, 양호한 하이 패스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5 탭 유닛 필터의 종속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5 탭 유닛 필터를 종속 접속함으로써, 각 유닛 필터의 계수 끼리가 곱셈·가산되어 새로운 필터 계수가 만들어진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종속수를 m로 할 때, 이것을 (L10)m이라고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 L102, L104, L108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9에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가 1개만인 경우, 진폭이 0.5로 되는 위치의 클록은 0.25이다. 이에 대하여 종속수 m이 많아지면, 필터의 통과 대역폭이 좁아진다. 예를 들면 m=8의 경우, 진폭이 0.5로 되는 위치의 클록은 0.125로 된다.
도 10은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 H102, H104, H108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0에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가 1개만인 경우, 진폭이 0.5로 되는 위치의 클록은 0.25이다. 이에 대하여 종속수 m이 많아지면, 필터의 통과 대역폭이 좁아진다. 예를 들면 m=8의 경우, 진폭이 0.5로 되는 위치의 클록은 0.375로 된다.
다음에,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추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주파수 대역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파수 대역의 추출은, 전술한 유닛 필터를 4개 이상 종속 접속한 것을 사용하여 행한다. 도 11a는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4, L114, L134, L174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1개의 그래프 상에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1a에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들 복수개 종의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4, L114, L134, L174를 조합시키면, 각 특성치 끼리가 서로 상쇄해 주파수 대역의 빼돌림을 한다. 또, 이들 파형을 기본으로서 조합, 필요에 따라 반전 주파수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 만이 통과 대역으로 되는 필터를 만들 수가 있다.
도 11b는 이들 4 종류의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4, L114, L13, L174를 종속 접속했을 때 얻어지는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따르면, 저주파의 극히 좁은 영역이 통과 대역으로 되는, 대략 양호한 감쇠 특성을 가지는 로우 패스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조금 링잉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 링잉은 -106dB 이상 낙장된 부분에서 생겨 있으므로, 대략 무시할 수 있다.
도 12는 주파수 대역의 다른 빼돌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8과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8, L138, L178을 조합시켜 이들을 종속 접속하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이 통과 대역으로 되는 하이 패스 필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4, L118, L134를 조합시켜 이들을 종속 접속하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이 통과 대역으로 되는 로우 패스 필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8과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34, L174, L1158을 조합시켜 이들을 종속 접속하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이 통과 대역으로 되는 밴드 패스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소정의 기본적인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 한다5 탭 유닛 필터를 사용하여 이들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유닛 필터의 조합만으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필터의 필터 계수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설계법이 단순해 생각하기 쉽고,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어도 필터 설계를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되는 필터 회로에 필요한 탭수는 매우 불과로 끝나, 또한 각 탭 출력에 대하여 필요한 필터 계수의 종류도 불과로 끝나므로, 필터 회로의 연산부의 구성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소자수(특히 승산기)를 대폭 삭감하여 필터 회로의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비 전력의 저감, 연산 부하의 경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되는 필터 회로는, 동일 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 극히 단순한 구성이므로, 집적화에 즈음하여 공정수를 단축할 수 있고, IC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가진다. 또, 특성면에서는 차단 특성의 극히 큰 개선이 가능해져, 위상 특성도 직선으로 우수한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 에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이미 특허 출원이 끝난 상태이다(특원 2001-321321호). 본 실시예는, 이 기출원의 내용을 또한 개량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 L1n', H1n'의 조합만으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필터를 설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3 탭 유닛 필터 L1n', H1n'의 필터 계수는, 전술한 5 탭 유닛 필터 L1n, H1n의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을 또한 조정한 것이다.
도 13은 3 탭 유닛 필터 L10', H10'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그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b)는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탭 유닛 필터 L10', H10'에서는, 종속 접속된 3개의 D형 플립플롭 11-1 ~ 11-3에 의해 입력 신호를 1클록 CK씩 순차적으로 지연시킨다. 그리고, 각 D형 플립플롭 11-1 ~ 11-3의 소정의 탭으로부터 인출한 신호에 대하여, 도 13b에 나타낸 필터 계수 H1 ~ h3를 3개의 계수기 12-1 ~ 12-3로 각각 곱셈하고,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모두 2개의 가산기 13-1 ~ 13-3으로 가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회로 구성은, 어느 쪽도 도 13a과 같이 되어 있고, 필터 계수(계수기 12-1 ~ 12-3의 승수치 H1 ~ h3)만이 도 13b와 같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된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들 3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는, 비대칭형인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5 탭 유닛 필터 L10, H10와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단,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에 비해 다소 복잡한 값이 되어 있다. 이하로, 이 이유를 설명한다.
도 14는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1, 0, -9, 16, -9, 0, 1}/32를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의 한쪽에 상당하는 단순한 수치열{8, -9, 0, 1}/16을 필터 계수로 한 경우(단, 값이 "0"의 부분은 탭 출력이 없고, 필터 계수로서 이용하지 않는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수치열을 단순하게 반으로 나누었을 뿐의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서 사용하면 그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 통과 대역으로 되는 부분의 피크가 물결쳐 복수의 극대치를 생기고, 또한 그 극대치가 "1"을 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유닛 필터는, 이것을 복수개 종속 접속하여 원하는 FIR 필터를 설계하는 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상기 단순한 수치열{8, -9, 0, 1}/16을 조정한다. 먼저, 고역 측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짓는 필터 계수 H3의 절대치를 작게 한다. 즉, 그 계수치를 "1"에서 "1-N/8"(N=1, 2, ···8 중 어느 것)로 변경하여 고역의 성분을 적게 함으로써, 통과 대역의 정확히 중앙 만이 게인의 최대치로 되도록 한다.
도 15는 필터 계수 H3에 대하여 N=3으로 한 경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통과 대역의 물결 치는 것은 개선되어 중앙 부분만이 게인의 최대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최대치는 여전히 "1"을 넘고 있다. 그래서 다음에, 이 게인의 최대치가 정확히 "1"로 되도록 계수치를 또한 조정한다.
최대치의 조정은, 고역성분의 조정을 위해사용한 필터 계수 H3과 역부호의 필터 계수 H2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필터 계수 H2의 값을 "-9"로부터 "-(9-N/8)"(N=1, 2, ···8 중 어느 것)와 같이 절대치를 작게 한다.
이 때, 게인 조정용의 N의 값(필터 계수 H2의 N의 값)을, 전술한 고역조정용의 N의 값(필터 계수 H3의 N의 값)과 마찬가지로 함으로써, 조정 후의 수치열의 합계가, 조정전의 수치열의 합계와 같은 값로 되도록 한다(조정전: 8-9+0+1=0, 조정 후: 8-(9-N/8)+0+(1-N/8)=0). 또,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도 조정 전후로 변함없게 한다.
도 16은 필터 계수 H2, H3에 대하여 N=3으로 한 경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게인을 직선 눈금으로 나타내고, (b)는 게인을 대수 눈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6에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 도 1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필터 계수 H2, H3를 조정한 경우는, 통과 대역에서의 물결 치는 것이 없고 중앙 부분만이 게인의 최대치로 되어 있고, 또한 그 최대치가 정확히 "1"이 되어 있다. 또, 약 -55dB의 양호한 감쇠량도 얻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는, 이것을 종속 접속하여 원하는 FIR 필터를 설계하는 방식에 적절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n(n=1, 2, ···)와 마찬가지로,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n개씩 삽입함으로써,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n'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와 마찬가지로 하여,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즉,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수치열을 단순하게 반으로 나누었을 뿐의 수치열{8, 9, 0, -1}/16에 대하여, 고역 측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짓는 필터 계수 H3의 값을 "-1"으로부터 "- 1-N/8"와 같이 절대치를 작게 한다.
또, 이 필터 계수 H3과 역부호의 필터 계수 H2에 의해 게인의 최대치를 조정한다. 즉, 필터 계수 H2의 값을 "9"에서 "9-N/8"과 같이 작게 한다. 이 때, 고역조정용의 N의 값과 게인 조정용의 N의 값을 같게 하는 것으로, 조정 후의 수치열의 합계가, 조정전의 수치열의 합계와 같은 값로 되도록 한다(조정전: 8+9+0-1=16, 조정 후: 8+(9-N/8)+ 0-(1-N/8=16). 또,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도 조정 전후로 변함없게 한다.
이와 같이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치를 조정한 경우도, 통과 대역에서의 물결 치는 것이 없고 중앙 부분만이 게인의 최대치가 되고, 또한 그 최대치가 정확히 "1"이 되는 것 같은 로우 패스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도, 이것을 종속 접속하여 원하는 FIR 필터를 설계하는 방식에 적절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n(n=1, 2, ···)와 마찬가지로,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각 필터 계수의 사이에 "0"을 n개씩 삽입함으로써,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n'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3과 같이 구성한 2 종류의 3 탭 유닛 필터 L10', H10'를 적당히 조합시켜 종속 접속함으로써,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을 조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FIR 필터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3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는,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의 편측의 수치열{-1, 0, 9, 8}/16, {1, 0, -9, 8}/16을 조정하여 생성해도 된다.
다음에, 전술한 3 탭 유닛 필터 L10', H10'를 사용한 밴드 패스 필터의 설계예를 나타낸다. 설계할 밴드 패스 필터의 목표 규격은, 다음의 같이 한다. 즉, 밴드 패스 필터의 중심 주파수 Fc가 675KHz,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Fs가 2.7MHz(Fs=4*Fc), -3dB의 대역폭이 100KHz, -80dB의 대역폭이 200KHz, 대역외 감쇠량은 -80dB 이상이다.
도 17은 이 목표 규격을 실현하는 밴드 패스 필터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회로는,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를 6개,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3'를 4개,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5'를 3개,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7'를 3개,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9를 2개, 이 순번으로 종속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밴드 패스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게인을 직선 눈금으로 나타내고, (b)는 게인을 대수 눈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7에 나타낸 밴드 패스 필터는 전술한 목표 규격을 만족하고 있다. 그리고, 3 탭 유닛 필터 L1n', H1n'는 그 필터 계수의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므로, 이것 단독으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의 직선성이 보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을 다수 모은 도 17과 같이 종속 접속하면, 위상의 불균일이 서로 지워져, 도 18과 같이 위상 특성이 다소 개선된다.
이들 도 17 및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 설계법에 의하면, 보다 탭수의 적은 3 탭 유닛 필터 L1n', H1n'를 기본으로 하고, 이것을 종속 접속한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원하는 특성의 밴드 패스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전체적으로 필요한 탭수는, 1 비트 당 불과 51 탭이다.
즉, 이 밴드 패스 필터의 필터 계수는 전술한 유한대의 함수에 따라 생성되고 것이며, 종속 접속의 양사이드 부근에서는 계수치를 무시할 수 있는 만큼 작게 된다. 유한대의 성질상, 이 부분을 무시해도 중단 오차는 생기지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제외한다.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이, 목표 규격을 만족하는 밴드 패스 필터에 대하여 구하는 최종적인 필터 계수로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이 필터 계수를 하드웨어으로서 구성하면 되고, 거기에 필요한 탭은 51개로 끝난다. 이로써, 5 탭 유닛 필터 L1n, H1n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필요한 탭수를 적게 할 수 있고, 필터 회로의 구성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3 탭 유닛 필터 L1n', H1n'를 사용하여 밴드 패스 필터를 설계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이,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하이 패스 필터, 로우 패스 필터,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 등을 설계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로서,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1, 0, 9, 16, 9, 0, -1}/32를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8, 9, 0, -1}/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로서,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1, 0, -9, 16, -9, 0, 1}/32를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8, -9, 0, 1}/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 3 탭 유닛 필터 L10', H10'의 필터 계수는 함께 비대칭형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의 직선성은 보증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예는, 탭수를 줄일 수 있는 3 탭 유닛 필터를 이용하면서도, 직선 위상 특성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닛 필터 L10", H10"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그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b)는 필터 계수의 수치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닛 필터 L10", H10"는 함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는, 2개의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1L10, 2L10을 종속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는, 2개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1H10, 2H10을 종속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를 구성하는 한쪽의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2L10는, 상기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필터 계수의 수치열{-1, 0, 9, 16, 9, 0, -1}/32를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8, 9, 0, -1}/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필터 계수 H4 ~ h6로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1 실시예로 설명한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와 같은 것이다. 또, 다른 쪽의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1L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으로 나눈 것의 편측의 수치열{-1, 0, 9, 8}/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필터 계수 H1 ~ h3로 하는 것이다.
또,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 를 구성하는 한쪽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2H10는, 상기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필터 계수의 수치열{1, 0, -9, 16, -9, 0, 1}/32를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8, -9, 0, 1}/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필터 계수 H4 ~ h6로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1 실시예로 설명한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와 같은 것이다. 또, 다른 쪽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1H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으로 나눈 것의 편측의 수치열{1, 0, -9, 8}/16을 또한 조정한 것을 필터 계수 H1 ~ h3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개의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1L10, 2L10의 접속 관계나, 상기 2개의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1H10, 2H10의 접속 관계는, 도 19(a)에 나타낸 것과 좌우 반대로도 된다.
이상과 같이 유닛 필터 L10", H10"를 구성하면, 필터 계수는 대칭형으로 되므로, 위상 특성은 직선으로 된다. 도 20은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0"의 주파수 특성, 도 21은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0"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게인을 대수 눈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0 및 도 21에도, 게인 및 주파수를 "1"로 기준화하고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게인 특성에서는 통과 대역에서의 물결 치는 것이 없고, 또한 최대치가 정확히 "1"이 되어 있다. 또, 약 -55dB의 양호한 감쇠량도 얻어지고 있다. 또한, 주파수-위상 특성에서는 매우 예쁜 직선 위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유닛 필터 L1n", H1n"를, 제1 실시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속 접속함으로써, 매우 적은 탭수로, 계수가 대칭인 직선 위상 필터를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 19에 나타낸 유닛 필터 L10", H10"는 전체로 6 탭을 구비하고 있고, 5 탭 유닛 L10, H10보다도 탭수가 많이 되어 있다. 그러나, 5 탭 유닛 L10, H10는 1단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유닛 필터 L10", H10"는 2개의 3 탭 유닛 필터를 종속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밴드 폭은 이미 5 탭 유닛 L10, H10보다도 좁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는 밴드 폭의 좁은 FIR 필터를 설계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즉, 원하는 좁은 밴드 폭을 실현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필요한 유닛 필터의 종속수를, 5 탭 유닛 필터 L10, H10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대폭 적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보면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DSP, 소프트 웨어의 어느 쪽에 의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필터 설계 장치는 컴퓨터의 CPU 또는 MPU, RAM, ROM 등으로 구성되며, RAM나 ROM 또는 하드 디스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동작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상기 본 실시예의 기능을 다하도록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CD-ROM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는, CD-ROM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DVD, 불휘발성 성 메모리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함으로써서도 실현할 수 있다.
즉, 각종의 유닛 필터에 관한 필터 계수를 정보로서 RAM 또는 ROM 등의 메모리로 유지해 두어 사용자가 유닛 필터에 관한 임의의 조합을 지시하면, CPU가, 상기 메모리에 유지되어 있는 필터 계수의 정보를 사용하여, 지시된 조합에 대응하는 필터 계수를 연산하여 FIR 필터를 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의 유닛 필터를 아이콘화하여 두고(각 아이콘에 대응하여 필터 계수를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임의로 조합시켜 배치함으로써, CPU가 그 배열에 대응하는 필터 계수를 자동적으로 연산하여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 구한 필터 계수를 자동적으로 FFT 변환하고, 그 결과를 주파수-게인 특성도으로서 표시하도록 하면, 설계한 필터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필터 설계를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가 공급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뿐만이 아니라, 그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있어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 등과 공동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나, 공급된 프로그램의 처리의 모두 또는 일부가 컴퓨터의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의해 행해지고라고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이러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그 외의 실시예)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2b에 나타낸 대칭형의 수치열을 반으로 나누어 비대칭형의 3 탭 유닛 필터의 필터 계수로 하였으나, 원래의 대칭형의 수치열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한 5 탭 로우 패스 유닛 2차 필터 L20이나,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한 5 탭 하이 패스 유닛 2차 필터 H20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5 탭 유닛 2차 필터 L20, H20의 주파수-게인 특성에서는, 컷 오프 특성은 급격하지만, 어깨의 부분(통과 대역)에 다소의 고조가 생긴다. 따라서, 이들 5 탭 유닛 2차 필터 L20, H20는, 종속 접속하는 필터 블록의 최종단에 있어서, 파형 조정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5 탭 유닛 2차 필터 L2n, H2n의 필터 계수를 구성하는 수치열을 반으로 나누어, 그 한쪽을 또한 조정하여 3 탭 유닛 2차 필터 L2n', H2n'의 필터 계수로 할 수 있다. 또, 이 3 탭 유닛 2차 필터 L2n', H2n'를 대칭형으로 되도록 미러 접속함으로써, 직선 위상 특성을 실현하는 유닛 2차 필터 L2n", H2n"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도 2 및 도 22에 나타낸 것 이외에도, 절대치가 "1"과 "8"의 수치를 사용하여 전술한 수치열과 다른 수치열을 5 탭 유닛 필터의 필터 계수로 하고, 그 수치열을 반으로 나누어 3 탭 유닛 필터의 필터 계수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 종류의 유닛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각 특성치끼리의 상쇄에 의해 주파수 대역의 추출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밴드 패스 필터의 중심 주파수 Fc 또는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Fs의 어느 한 쪽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을 때는, 주파수 추출의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필터의 구성을 더 간소화할 수 있다.
지금, 밴드 패스 필터의 중심 주파수 Fc와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Fs와의 관계가,
Fs=4*Fc
인 것으로 한다. Fc=450KHz 때, Fs=1.8MHz이다. 이와 같은 설정의 경우에는, 로우 패스 유닛 필터와 하이 패스 유닛 필터를 조합된 특성치끼리의 상쇄에 의해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픽업하도록 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하이 패스 유닛 필터의 종속 접속 만으로 밴드 패스 필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의 종속 접속 만에 의해 FM용 밴드 패스 필터를 구성할 수 있어 그 접속 수 m에 의해 밴드 폭(통과 대역폭)을 조정한다. 이것을, 3 탭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 또는 하이 패스 유닛 필터 H11"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한 FM용 밴드 패스 필터의 후단에 5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n)m를 종속 접속함으로써, AM용 밴드 패스 필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3 탭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 또는 로우 패스 유닛 필터 L11"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유닛 필터를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로우 패스 필터를 설계하고, 그 통과 대역을 주파수축 방향으로 시프트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는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 등을 설계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로우 패스 필터의 계수 H0, H1, H-1, H2, H-2, ···(계수 H0가 중앙에서 대칭형이 되어 있다)에 2cos(mω0)를 걸면 밴드 패스 필터의 계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ω0=2πFc/Fs(Fc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 Fs는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m=0, 1, -1, 2, -2, ···이다.
그 외, 상기 실시예는, 어느 쪽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구체화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는 되지 않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타입의 FIR 디지털 필터에 유용하다.

Claims (30)

  1.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기본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제1 유닛 필터와,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기본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제2 유닛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를 임의로 종속 접속함으로써 필터 설계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2.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1 유닛 필터와,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제2 유닛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를 임의로 종속 접속함으로써 필터 설계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필터를 구성하는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을 더 조정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은, 그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이 -1, 0, 9, 16, 9, 0, -1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1-N/8), 0, (9-N/8), 8, 또는, 8, (9-N/8), 0, -(1-N/8)의 비율로 이루어지는(단, N은 0≤N≤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필터를 구성하는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을 더 조정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은, 그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이 1, 0, -9, 16, -9, 0, 1의 비율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1-N/8), 0, -(9-N/8), 8, 또는, 8, -(9-N/8), 0, (1-N/8)의 비율로 이루어지는(단, N은 0≤N≤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필터를 구성하는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함으로써 필터의 통과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8.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필터 계수를 가지고,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상기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제1 유닛 필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1 유닛 필터 유지 수단과,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필터 계수를 가지고,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상기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제2 유닛 필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2 유닛 필터 유지 수단과,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와의 임의의 조합을 지시하는 조합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유닛 필터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조합 수단에 의해 지시된 조합에 대응하는 필터 계수를 구하는 필터 계수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장치.
  9.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필터 계수를 가지고,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상기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제1 유닛 필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1 유닛 필터 유지 수단과,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필터 계수를 가지고,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에서의 각 탭의 신호를 상기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이것들의 곱셈 결과를 가산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제2 유닛 필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제2 유닛 필터 유지 수단과,
    0개 이상의 상기 제1 유닛 필터와 0개 이상의 상기 제2 유닛 필터와의 임의의 조합을 지시하는 조합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유닛 필터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조합 수단에 의해 지시된 조합에 대응하는 필터 계수를 구하는 필터 계수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닛 필터를 구성하는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함으로써 필터의 통과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설계 장치.
  11.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설계법에 의해 구해진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2.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3.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에 있어서,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을 더 조정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은, 그 수치열의 합계치가 비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동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이 -1, 0, 9, 16, 9, 0, -1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1-N/8), 0, (9-N/8), 8, 또는, 8, (9-N/8), 0, -(1-N/8)의 비율로 이루어지는(단, N은 0≤N≤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7.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비대칭형이며, 상기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8. 복수의 지연기로 이루어지는 탭 부착 지연선을 구비하고, 각 탭의 신호를, 주어지는 필터 계수에 의해 각각 수배한 후, 가산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에 있어서,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이 설정된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 필터를, 전체로서의 수치열이 대칭형으로 되도록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그 중앙에서 반으로 나눈 것 중 편측의 수치열을 더 조정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은, 그 수치열의 합계치가 제로로, 상기 수치열의 하나 건너 뛴 것의 합계치가 역부호로 서로 동등하게 되도록 값을 설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이 1, 0, -9, 16, -9, 0, 1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는, 그 수치열이 (1-N/8), 0, -(9-N/8), 8, 또는, 8, -(9-N/8), 0, (1-N/8)의 비율로 이루어지는(단, N은 0≤N≤8)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하기 위한 지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3. 제12항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기본적인 유닛 필터로 하여, 상기 유닛 필터를 복수단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4.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기본적인 유닛 필터로 하여, 상기 유닛 필터를 복수단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기본적인 로우 패스 유닛 필터로 하는 동시에,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비대칭형의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기본적인 하이 패스 유닛 필터로 하여, 1이상의 상기 로우 패스 유닛 필터 및 1이상의 상기 하이 패스 유닛 필터를 임의로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4항에 기재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 하는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로 이루어지는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제2 로우 패스 유닛 필터로 하여, 상기 제2 로우 패스 유닛 필터를 또한 임의로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7. 제25항에 있어서,
    제19항에 기재한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을 필터 계수로 하는 디지털 필터, 또는, 상기 소정의 대칭형의 수치열로 이루어지는 필터 계수에 대응하는 각 탭의 사이에 n 클록 분의 지연을 삽입한 디지털 필터를 제2 하이 패스 유닛 필터로 하여, 상기 제2 하이 패스 유닛 필터를 또한 임의로 종속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기준 클록의 1/n 배의 주기를 가지는 제2 클록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유지하여 출력하는 지연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필터.
  2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설계 방법에 관한 처리 수순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디지털 필터 설계용 프로그램.
  30.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디지털 필터 설계용 프로그램.
KR1020057006906A 2002-10-21 2003-10-20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KR20050071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6315 2002-10-21
JP2002306315 200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604A true KR20050071604A (ko) 2005-07-07

Family

ID=3210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906A KR20050071604A (ko) 2002-10-21 2003-10-20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57946A1 (ko)
JP (1) JPWO2004036746A1 (ko)
KR (1) KR20050071604A (ko)
CN (1) CN1706100A (ko)
TW (1) TW200408813A (ko)
WO (1) WO2004036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480A (ko) * 2009-02-18 2014-02-14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3739B (zh) 2005-09-13 2012-06-20 Srs实验室有限公司 用于音频处理的系统和方法
US7720240B2 (en) * 2006-04-03 2010-05-18 Srs Labs, Inc. Audio signal processing
DE112007003246B4 (de) 2007-02-07 2011-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Insassenschutzvorrichtung
CN101968964B (zh) * 2010-08-20 2015-09-02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去除语音信号中直流分量的方法及装置
WO2022087388A1 (en) * 2020-10-23 2022-04-28 Marvell Asia Pte Ltd Equalization in high-speed data channel having sparse impulse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7680B (sv) * 1990-12-19 1992-08-24 Johan Hellgren Digital filterbank med minskad effektfoerbrukning
JPH05243908A (ja) * 1991-12-06 1993-09-21 Nec Corp ろ波器
JPH05235701A (ja) * 1992-02-25 1993-09-10 Nippon Steel Corp 環状畳み込みによるディジタルフィルタバンク処理方法及び装置
GB9226536D0 (en) * 1992-12-21 1993-02-17 Unilever Plc Foodstuffs and other compositions
JPH1079686A (ja) * 1996-09-02 1998-03-24 Ricoh Co Ltd ディジタル相関器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480A (ko) * 2009-02-18 2014-02-14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KR20150101474A (ko) * 2009-02-18 2015-09-03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KR20150101473A (ko) * 2009-02-18 2015-09-03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US9318118B2 (en) 2009-02-18 2016-04-19 Dolby International Ab Low delay modulated filter bank
US9349382B2 (en) 2009-02-18 2016-05-24 Dolby International Ab Low delay modulated filter bank
KR20160106209A (ko) * 2009-02-18 2016-09-09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US9449608B2 (en) 2009-02-18 2016-09-20 Dolby International Ab Low delay modulated filter bank
KR20160121609A (ko) * 2009-02-18 2016-10-19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저 지연 변조 필터 뱅크
US9583118B1 (en) 2009-02-18 2017-02-28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US9634647B2 (en) 2009-02-18 2017-04-25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valued synthesis filter bank with phase shift
US9653090B1 (en) 2009-02-18 2017-05-16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US9667229B1 (en) 2009-02-18 2017-05-30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US9715881B1 (en) 2009-02-18 2017-07-25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16486B1 (en) 2009-02-18 2017-07-25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21577B1 (en) 2009-02-18 2017-08-01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22578B2 (en) 2009-02-18 2017-08-01 Dolby International Ab Low delay modulated filter bank
US9743183B1 (en) 2009-02-18 2017-08-22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60535B1 (en) 2009-02-18 2017-09-12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62210B1 (en) 2009-02-18 2017-09-12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779748B2 (en) 2009-02-18 2017-10-03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valued filter bank with phase shift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9865275B2 (en) 2009-02-18 2018-01-09 Dolby International Ab Low delay modulated filter bank
US9918164B2 (en) 2009-02-18 2018-03-13 Dolby International Ab Complex exponential modulated filter bank for high frequency reconstruction or parametric stereo
US10460742B2 (en) 2009-02-18 2019-10-29 Dolby International Ab Digital filterbank for spectral envelope adjustment
US11107487B2 (en) 2009-02-18 2021-08-31 Dolby International Ab Digital filterbank for spectral envelope adjustment
US11735198B2 (en) 2009-02-18 2023-08-22 Dolby International Ab Digital filterbank for spectral envelope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6100A (zh) 2005-12-07
WO2004036746A1 (ja) 2004-04-29
TWI292044B (ko) 2008-01-01
EP1557946A1 (en) 2005-07-27
TW200408813A (en) 2004-06-01
JPWO2004036746A1 (ja)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9788B2 (en) Digital filter design method and device, digital filter design program, and digital filter
JPWO2006048958A1 (ja) デジタルフィルタおよびその設計方法、設計装置、デジタルフィルタ設計用プログラム
JP4300272B2 (ja) デジタルフィルタおよびその設計方法
KR20050075365A (ko)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US20050289206A1 (en) Digital filter design method and device, digital filter design program, digital filter
KR20050071604A (ko)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방법 및 장치, 디지털 필터 설계용프로그램, 디지털 필터
JPWO2005078925A1 (ja) デジタルフィルタの設計方法および装置、デジタルフィルタ設計用プログラム、デジタルフィルタ
EP1533898A1 (en) Digital filter designing method, digital filter designing program, digital filter
US7590675B2 (en) Digital filter, design method thereof, design device, and digital filter design program
WO2003047097A1 (fr) Procede de conception d'un filtre numerique, appareil de projet, programme de projet pour la realisation d'un tel filtre, et filtre numerique y relatif
US6486813B1 (en) Oversampling circuit digital/analog converter
JP4265119B2 (ja) デジタルフィルタ
US20050171988A1 (en) Digital filter design method and device, digital filter design program, and digital filter
US6486814B2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using different multiplicator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a data holding period
JP2005020554A (ja) デジタルフィルタ
US20050120067A1 (en) Digital filter designing method, digital filter designing program, digital filter
JP4300273B2 (ja) 音質調整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フィルタ装置、音質調整方法、フィルタの設計方法
US7190751B1 (en) Multi-stage filter circuit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circuit employing the same
KR0133403B1 (ko) 대칭계수를 갖는 일차원 유한충격응답(fir) 필터
TW200303648A (en) Design method and design apparatus of digital filter, program for design of digital filter, and digital filter
JPS63300616A (ja) ディジタル補間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