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573A - 미끄럼 베어링 재료 - Google Patents

미끄럼 베어링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573A
KR20050071573A KR1020057006385A KR20057006385A KR20050071573A KR 20050071573 A KR20050071573 A KR 20050071573A KR 1020057006385 A KR1020057006385 A KR 1020057006385A KR 20057006385 A KR20057006385 A KR 20057006385A KR 20050071573 A KR20050071573 A KR 2005007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reinforcing material
metal
support
over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뵐키
프리드리히 하리히
하인츠 하르트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팜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팜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팜푸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7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8Brasses; Bushes; Linings with embedded reinforcements shaped as frames or mesh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79Porous [e.g., foamed, spongy, crack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56Organic component
    • Y10T428/12569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베어링에 사용되고 금속 지지체(1)와 개방 구조(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체(1)와 보강 재료(2)는 금속 접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보강 재료(2) 상에는 부가적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PE) 기반의 층인 오버레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끄럼 베어링 재료{SLIDIING BEARING MATERIAL}
본 발명은 미끄럼 베어링에 사용되는 복합 재료로서, 금속 지지체와 개방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체와 보강 재료는 금속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복합 재료 상에는 부가적인 층으로서 오버레이(overlay) 층이 제공된다.
금속 지지체, 보강 재료 및 플라스틱 오버레이로 이루어진 미끄럼 베어링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금속 지지체와 보강 재료는 이 경우에 통상 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머(perfluoroalkoxy polymer, PFA)와 같은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하는 적층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공지의 미끄럼 베어링 복합 재료 내의 보강 재료는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와이어 메시(wire mesh),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또는 천공 판일 수 있다.
공지의 미끄럼 베어링의 오버레이는, 미끄럼 특성이 양호하고 동시에 높은 기계적 응력에 저항성이 있고 특히 온도 저항성이 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또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적층 복합 재료와는 달리, 금속 지지체와 보강 재료가 금속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합 재료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공보 제5,229,198호에는, 금속 지지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코팅되고 용접에 의해 지지체에 연결된 와이어 메시로 이루어진 미끄럼 베어링 복합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복합 재료는 유극이 없는 베어링 및 베어링의 향상된 하중 지지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와 같은 복합 재료는 적층 재료에 비하여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부하 능력이 높고 온도 저항성이 있는 PTFE와 같은 공지의 불화 플라스틱이 미끄럼 베어링의 오버레이에 사용될 경우에, 제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PTFE는 비교적 고가의 소결에 의하여 주형 성형이 가능할 뿐이다. 또한, PTFE 대신에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금속 지지체 2: 보강 재료
3: 금속 중간층 4: 오버레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특히 한편으로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제조와 폐기가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계적으로 강하고 온도 저항성이 있는 미끄럼 베어링용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오버레이가 폴리에틸렌 기반의 층으로 구성된 미끄럼 베어링용 복합 재료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의 바람직한 실시예, 그에 상응하는 제조 방법 및 특정 용도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경이롭게도, 금속 지지체와 보강 재료가 금속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경우에, 폴리에틸렌(PE)-기반 오버레이를 구비한 복합 재료는 매우 강하고 온도 저항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동시에, 폴리에틸렌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제조 및 폐기는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복합 재료의 오버레이 내에 함유된 폴리에틸렌은, 마모 저항성이 높고 미끄럼 특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재료이다.
미끄럼 베어링용 복합 재료의 제조에 있어서 오버레이로서 이제까지 사용되어 왔던 공지의 플라스틱(PTFE, PEF 또는 PEEK)과 비교하면, 폴리에틸렌은 실질적으로 보다 좁은 온도 범위, 즉 -150℃ 내지 최대 +90℃의 범위 내에서 열 저항의 내성이 있을 뿐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PTFE는 -200℃까지 저온 저항성이 있고 +260℃까지 열 저항의 내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대적으로 온도 저항성이 비교적 작은 폴리에틸렌을 미끄럼 베어링 내의 오버레이용 재료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지지체가 금속적 방법으로 보강 재료에 접합된다면, 부정적으로 여겨졌던 전술한 특성은 단점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금속 접합의 결과, 마찰로 인해 오버레이 내에 발생한 열은 최적으로 지지체로 방산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재료의 개방 구조에 의하여, 이러한 개방 구조가 폴리에틸렌과 서로 결합되면 오버레이의 강도 및 그에 따른 최대 부하 능력이 부가적으로 증가하고, 따라서 오버레이 재료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계적 강도와 온도 저항성과 관련하여, 지지체와 보강 재료 사이에 금속 접합이 이용되면, 폴리에틸렌은 이제까지 사용되었던 플라스틱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등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경우에 중요한 장점은 경제적인 생산성 및 양호한 환경 친화성이다. 미끄럼 베어링은 높은 빈도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특히 환경적인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폐기 폴리에틸렌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분 및 질산화물만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산, 소각 및 폐기와 관련하여 유해 물질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다면,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PTFE보다 실질적으로 문제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은, 다양한 밀도, 경도 및 조성의 모든 유형의 폴리에틸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오버레이가 고분자 폴리에틸렌(HMW PE),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HMW PE) 또는 폴리에틸렌 화합물에 기초한 층일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HMW PE 및/또는 UHMW PE는 200,000g/mol ~ 5,000,000g/mol 및/또는 3,000,000g/mol ~ 6,000,000g/mol의 고분자량 및/또는 초고분자량에 의하여 구분된다. 이 경우에, 특히 강성이고 경질인 폴리에틸렌은 양호한 미끄럼 및 마모 특성을 갖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버레이를 이루는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을 5% ~ 100%의 중량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50% ~ 100%의 중량 비율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100%의 중량 비율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 100%의 중량 비율로 함유한다.
또한, 오버레이는 충전제(filler)(예를 들면, 글라스 섬유, 탄류, 흑연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뿐만 아니라 글라스 섬유, 탄류, 흑연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또한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기반의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화합물(PE 화합물)이라고 불린다.
전술한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또는 폴리에틸렌과 다른 폴리머, 특히 PTFE, PFA, MFA 및/또는 FEP와 같은 불화 폴리머의 혼합물을 오버레이의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중량%으로 10% ~ 99.9%, 바람직하게는 40% ~ 99.9%,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9.9%의 폴리에틸렌 및 불화 폴리머 또는 폴리에테르 케톤으로 구성된 잔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가능하다면 통상의 첨가제, 혼합제 및 충진제(예를 들면 글라스 섬유, 탄류, 흑연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버레이에 대한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polymer alloy)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버레이의 재료가 보강 재료의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버레이는 보다 강해지고 보다 파손 저항성이 있게 된다. 보강 재료 상방으로 측정된 오버레이는 두께가 1㎛ ~ 1.5mm, 특히 5㎛ ~ 250㎛이어야 한다. 금속 지지체와 보강 재료가 소결, 용접, 납땜 및/또는 갈바나이징(galvanizing)에 의해 서로 연결될 경우에, 양호한 강도 및 그와 동시에 최적의 열 전달 특성이 달성된다. 연결은 소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지지체는 소정 금속 특히 강,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청동, 황동, 티타늄 및/또는 동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정 두께 특히 0.05mm ~ 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는 0.2mm와 3mm 사이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구조를 갖는 보강 재료는 직조체(fabric) 특히 와이어 메시, 익스팬디드 메탈, 플리스(fleece) 특히 금속 플리스, 금속 발포체 및/또는 천공 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직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재료는 금속, 특히 청동, 동, 은, 크롬, 니켈, 아연, 아연-철 합금, 아연-니켈 합금 및/또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금속으로 이루어진 혼합 직조체 예를 들면 전술한 금속들로 혼합된 직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보강 재료의 두께는 0.1mm ~ 6mm의 범위, 특히 0.1 ~ 2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다수의 중간층들 특히 금속 중간층들이 금속 지지체와 보강 재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 중간층은 개방 구조를 갖는 금속 보강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으로서 특히 적합한 재료는 동 및/또는 청동이다. 금속 중간층은 갈바나이징(galvanizing) 및/또는 도금(plating)에 의하여 지지체 또는 보강 재료에 부착될 수 있다. 중간층은 두께가 1㎛ ~ 1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미끄럼 베어링 특히 보수가 필요없는 미끄럼 베어링의 지지 재료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미끄럼 베어링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하나 또는 여러 특징들을 갖는 복합 재료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소결, 용접, 납땜 및/또는 갈바나이징에 의하여 지지체와 보강 재료 사이의 금속 접합이 형성된다. 중간층은 도금 및/또는 갈바나이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오버레이는 캘린더 가공(calendering), 도장 및/또는 적층 성형(laminating)에 의하여 보강 재료 내에 도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금속 지지체(1), 금속 중간층(3), 보강 재료(2)로서 와이어 메시 및 오버레이(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나타낸다. 금속 지지체(1)는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 또는 청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중간층(3)은 예를 들면 갈바나이징 또는 도금에 의하여 금속 지지체(1) 상에 부착된다. 보강 재료(2)로서의 역할을 하는 와이어 메시는 청동 또는 동으로 이루어지고 소결에 의하여 부착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보강 재료(2)의 개구부들을 또한 충전하는 오버레이는 캘린더 가공 또는 적층 성형에 의하여 보강 재료(2) 상에 부착된다. 그와 같은 복합 재료는 적절한 성형 후에 미끄럼 베어링 내의 지지 재료로서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보강 재료(2)가 소결에 의하여 하부 금속층(1, 3)과 연결되면, 베어링의 양호한 하중 지지 능력이 달성된다. 아래의 표들은 배치 프레스(압력 4.1MPa, 380℃에서 유지 시간 2분, 40℃까지 냉각) 조건으로 소결 청동(CuSn6) 직조체를 이용한 몇몇 압축 시험을 나타낸다. 시험 3.3과 시험 3.4에 있어서는, 가는 와이어의 직조체(fine fabric)(폭 0.112mm, 와이어 직경 0.08mm)와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coarse fabric)(폭 0.4mm, 와이어 직경 0.25mm)가 사용되었다.
시험 재료 구조 두께[mm] 크기[㎠] 압력[bar] 적층 두께[mm] 정압 시험[N/㎟]
2.1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 - 청동 도금 (캘린더 가공) 0.676 13.17×2.56 7 0.705 200 - 220
2.2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 -청동 도금 (캘린더 가공 미실시) 0.936 10.11×2.56 6 0.934 100 - 150
3.3 가는 와이어의 직조체,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 청동 도금 0.995 11.67×2.53 7 1.008
3.4 가는 와이어의 직조체,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 청동 도금 1.011 14.91×2.54 8 1.007
3.6 굵은 와이어의 직조체 미처리 판(bare plate) 0.891 9.38×2.51 6 0.887
시험 결과
2.1 홈(undercut)과 함께 공동 및 소결 선(sinter line) 형성
2.2 고착 가능성이 큰 중공형 조직 및 소결 점(sinter point) 형성
3.3 고착 가능성이 큰 중공형 조직 및 소결 점 형성
3.4 고착 가능성이 큰 중공형 조직 및 소결 점 형성
3.6 고착 가능성이 큰 중공형 조직 및 소결 점 형성
전술한 실시예에는 예시적인 작용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며, 본 발명이 예로서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법률적 균등물에 의하여 규정된다.

Claims (19)

  1. 미끄럼 베어링 내에 사용되고, 금속 지지체(1)와 개방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재료(2)를 구비하는 복합 재료로서, 상기 지지체(1)와 상기 보강 재료(2)는 금속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보강 재료(2) 상에는 부가적인 층으로서 오버레이(4)가 제공되어 있는 복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4)는 폴리에틸렌(PE)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4)는 고분자 폴리에틸렌,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4)의 재료가 보강 재료(2)의 개구부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재료(2)의 상방으로 측정된 상기 오버레이(4)는 두께가 5㎛ 내지 1.5mm, 특히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와 상기 보강 재료는 소결, 용접, 납땜 및/또는 갈바나이징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는 강,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청동, 황동, 티타늄 및/또는 동 또는 이들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7.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는 두께가 0.05mm 내지 10mm, 특히 0.2mm 내지 3mm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8.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구조를 갖는 상기 보강 재료(2)는 직조체(fabric) 특히 와이어 메시, 익스팬디드 메탈, 플리스(fleece) 특히 금속 플리스, 금속 발포체 및/또는 천공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9.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재료(2)는 금속, 특히 청동, 동, 크롬, 니켈, 아연, 아연-철 합금, 아연-니켈 합금 및/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0.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재료(2)는 두께가 0.1mm 내지 6mm, 특히 0.2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와 상기 보강 재료(2) 사이에 부가적인 층으로서 금속 중간층(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2)은 갈바나이징 및/또는 도금에 의하여 지지체(1) 또는 보강 재료(2)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3)은 제9항에 규정된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3)은 두께가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를 미끄럼 베어링 내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용도.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지지체(1)와 보강 재료(2) 사이의 금속 접합을 소결, 용접, 납땜 및/또는 갈바나이징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중간층(3)을 도금 및/또는 갈바나이징에 의하여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제조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오버레이(4)를 캘린더 가공(calendering), 도금 및/또는 적층 성형(laminating)에 의하여 보강 재료 내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제조 방법.
KR1020057006385A 2002-10-14 2003-10-08 미끄럼 베어링 재료 KR200500715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7830.9 2002-10-14
DE10247830 2002-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573A true KR20050071573A (ko) 2005-07-07

Family

ID=3210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85A KR20050071573A (ko) 2002-10-14 2003-10-08 미끄럼 베어링 재료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118808B2 (ko)
EP (1) EP1552172B1 (ko)
JP (1) JP2006503238A (ko)
KR (1) KR20050071573A (ko)
CN (1) CN100394047C (ko)
AT (1) ATE382801T1 (ko)
AU (1) AU2003276073A1 (ko)
BR (1) BRPI0315290B1 (ko)
CA (1) CA2501639A1 (ko)
DE (1) DE50308941D1 (ko)
HK (1) HK1082286A1 (ko)
MX (1) MXPA05004005A (ko)
PL (1) PL210302B1 (ko)
WO (1) WO200403606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01B1 (ko) * 2008-03-06 2009-03-27 주식회사 에네스코 유압엑츄에이터 부싱
KR101227473B1 (ko) * 2006-11-16 2013-01-30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미끄럼이동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8024A (ko) * 2014-09-02 2016-03-11 (주)엘지하우시스 섬유보강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08957D0 (en) * 2003-04-17 2003-05-28 Lillishall Plastics And Engine Tolerance ring assembly
EP1748109A1 (en) * 2005-07-25 2007-01-31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Pile driver
CN100402198C (zh) * 2006-03-06 2008-07-16 胡长安 多层金属轴瓦瓦片展开材料的生产工艺
DE102006021132B3 (de) * 2006-05-04 2007-11-1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Verbundmaterial zum Einsatz in Gleitlagern
DE102006030228A1 (de) 2006-06-30 2008-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reät und Auszugs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DE102007016713B4 (de) 2007-04-04 2011-07-14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47877 Gelenklager
JP5456960B2 (ja) * 2007-09-25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DE102008049747A1 (de) * 2008-09-30 2010-04-0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Schwingungsdämpfendes Gleitlager-Verbundmaterial und Gleitlagerbuchse und Gleitlageranordnung
US8944690B2 (en) 2009-08-28 2015-02-0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Corrosion resistant bushing
US20110076096A1 (en) * 2009-09-25 2011-03-3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lerance ring control of slip interface sliding forces
CN102695887B (zh) * 2010-01-19 2015-07-15 圣戈班性能塑料帕姆普斯有限公司 带有对抗磨损和偏差的公差补偿特性的免维护轴承
DE102010016315A1 (de) * 2010-04-01 2011-10-06 Paul Hettich Gmbh & Co. Kg Beschlag und Haushaltsgerät
US8647752B2 (en) * 2010-06-16 2014-02-11 Laird Technologies, Inc. Thermal interface materi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5579106B2 (ja) * 2011-03-03 2014-08-27 Tpr株式会社 支持部材
CN103502665B (zh) * 2011-04-29 2016-11-02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在粘结剂层中具有fep或pfa的免维护滑动轴承
CN103182808A (zh) 2011-12-28 2013-07-03 圣戈班高功能塑料集团 一种包括含氟聚合物表面层以及非氟聚合物过渡层的多层复合物
FR2985215B1 (fr) 2011-12-28 2014-09-19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Revetements polymeres deposes sur des substrats par des techniques de projection thermique
CN102848634B (zh) * 2012-03-22 2015-07-08 福州联其铜铅钢带制造有限公司 一种易成型环保铍青铜-钢双金属轴承材料及其制造方法
EP2867019B1 (en) 2012-06-29 2023-01-1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Slide bearing comprising a primer system as adhesion promoter
CN104641133B (zh) 2012-09-28 2018-11-06 圣戈班性能塑料帕姆普斯有限公司 具有组合的粘合剂滑动层的免维护滑动轴承
BR112015011468A2 (pt) * 2012-11-20 2017-07-11 Federal Mogul Corp material projetado de baixo atrito e alta resistência para mancais e outras aplicações
CN104141689B (zh) * 2013-05-08 2018-07-27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一种由层压制件制成的轴承及其制作方法
DE102013109025A1 (de) * 2013-08-21 2015-02-26 Mag Ias Gmbh Gleitfläche
CN104089097A (zh) * 2014-06-30 2014-10-08 江苏大力城电气有限公司 一种加强的恒力弹簧支吊架
JP6488385B2 (ja) * 2014-09-02 2019-03-20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チックス パンプ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耐食性ブッシング
US10428874B2 (en) 2014-12-19 2019-10-0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Sliding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160133237A (ko) * 2015-05-12 2016-11-22 창원금속공업(주) 복합 소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딩층을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05163A (zh) * 2016-06-08 2016-07-27 嘉兴奥菲思机械有限公司 一种双金属衬套
DE102016110858B4 (de) 2016-06-14 2018-03-08 Renk Aktiengesellschaft Gleitlag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EP3276191B1 (en) 2016-07-28 2020-11-11 GE Renewable Technologies Hydrodynamic bearing pad construction
AT519938B1 (de) * 2017-04-26 2019-02-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leitlagerbüchse
WO2019106404A1 (en) 2017-12-01 2019-06-06 Ge Renewable Technologies Bearing pad for a hydro-generating unit and hydro-generating unit with such a bearing pad
WO2019115750A1 (en) 2017-12-15 2019-06-2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Annular member, method, and assembly for component displacement control
DE102018131022A1 (de) * 2018-12-05 2020-06-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leitla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gerelementes für ein Gleitlager
WO2022074517A1 (en) * 2020-10-05 2022-04-14 Eurobearings S.R.L. Shoe for hydrodynamic bearing and relevant manufactur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7080A (en) 1949-01-11 1951-09-12 Glaci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in bearings or the like
GB821472A (en) 1957-02-14 1959-10-07 Sidney Low Improvements in wear-resistant elements for bearing surfaces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2863025A (en) * 1957-05-03 1958-12-02 Metals & Controls Corp Thermostats
US3158526A (en) * 1961-11-20 1964-11-24 Farnam Co F D Reinforced gasket products
US3652409A (en) * 1968-09-12 1972-03-28 Dixon Corp Bearing compositions
FR2292587A1 (fr) 1974-11-29 1976-06-25 Snecma Piece metallique revetue d'un materiau de garniture
US4116499A (en) * 1977-08-12 1978-09-26 The Fluorocarbon Company High temperature slide bearing
DE3304141C2 (de) 1983-02-08 1985-02-21 Pampus GmbH, 4156 Willi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agermaterials
DE3500061A1 (de) * 1985-01-03 1986-07-10 Norton Pampus GmbH, 4156 Willi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rkstoffes
DE3534242A1 (de) 1985-09-26 1987-03-26 Kolbenschmidt Ag Wartungsfreier mehrschicht-gleitlagerwerkstoff
US4670089A (en) * 1986-02-27 1987-06-02 Dixon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 of bonding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ion to metal substrates
DE3736292A1 (de) 1987-10-27 1989-05-11 Norton Pampus Gmbh Wartungsfreies gleitlager
US4862789A (en) * 1988-02-01 1989-09-05 Vickers, Incorporated Positive displacement pump or motor utilizing a self-lubricated bearing
CN1035871A (zh) * 1989-01-26 1989-09-27 何生荣 一种推力滑动轴承及其制造方法
US5024670A (en) * 1989-10-02 1991-06-18 Depuy, Division Of Boehringer Mannheim Corporation Polymeric bearing component
CN2086822U (zh) * 1990-07-27 1991-10-16 水利部能源部地质勘探机电研究所 有弹性金属层的塑料瓦
US5229198A (en) * 1992-05-18 1993-07-20 Pacific Bearing Co. Bearing material having a matrix impregnated with polymeric resin
DE4430474C1 (de) * 1994-08-27 1996-03-28 Glyco Metall Werke Gleitlagerwerkstoff und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schichtwerkstoffes
DE19507045C2 (de) * 1995-03-01 1998-10-15 Glyco Metall 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materials für Gleitlager mit einer Kunststoffgleitschicht sowie eine hierfür geeignete Paste
GB9804774D0 (en) * 1998-03-07 1998-04-29 Glacier Metal Co Ltd Plain bearing
US6289640B1 (en) * 1999-07-09 2001-09-1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Seismic isolation sliding support bearing system
JP2001323115A (ja) * 2000-05-17 2001-11-20 Oiles Ind Co Ltd 摺動部材用樹脂組成物および摺動部材
JP2004144232A (ja) * 2002-10-25 2004-05-20 Daido Metal Co Ltd 軸受の内面の加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73B1 (ko) * 2006-11-16 2013-01-30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미끄럼이동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90601B1 (ko) * 2008-03-06 2009-03-27 주식회사 에네스코 유압엑츄에이터 부싱
KR20160028024A (ko) * 2014-09-02 2016-03-11 (주)엘지하우시스 섬유보강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5830A (zh) 2005-12-07
BR0315290A (pt) 2005-08-30
MXPA05004005A (es) 2005-06-22
DE50308941D1 (de) 2008-02-14
EP1552172A2 (de) 2005-07-13
US7118808B2 (en) 2006-10-10
AU2003276073A8 (en) 2004-05-04
PL210302B1 (pl) 2011-12-30
EP1552172B1 (de) 2008-01-02
PL375470A1 (en) 2005-11-28
CA2501639A1 (en) 2004-04-29
WO2004036066A3 (de) 2004-09-02
AU2003276073A1 (en) 2004-05-04
WO2004036066A2 (de) 2004-04-29
HK1082286A1 (en) 2006-06-02
JP2006503238A (ja) 2006-01-26
US20050260431A1 (en) 2005-11-24
CN100394047C (zh) 2008-06-11
ATE382801T1 (de) 2008-01-15
BRPI0315290B1 (pt)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1573A (ko) 미끄럼 베어링 재료
RU2438877C2 (ru) Подшипник сколь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0991700B1 (en) Manufacture of plain bearings
US5998339A (en) Wet type sliding apparatus comprising radial bearing
EP1192193B1 (en) Melt-processible poly(tetrafluoroethylene)
KR100583031B1 (ko) 오버레이 재료 및 다층 복합 재료
JP5342883B2 (ja) 複層軸受
CA2420843A1 (en)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thereof, and use thereof
JPH08225661A (ja) 軸受材料および複合層状材料
EP3848194B1 (en) Thin-wall bonded self-lubricating plate
US20050181194A1 (en) Plain bearing composite material
KR20100068259A (ko) 금속 배면을 가진 플레인 베어링
KR20090089334A (ko) 복층 미끄럼이동 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08313A1 (en) Plain bearing composite material
JP2022008840A (ja) 金属メッシュを含む耐腐食性ブッシュ
EP1584655B1 (en) Fluororesin composition
TW201730404A (zh) 複合物及製備方法
JP2002327750A (ja) 複層軸受
JPH06228329A (ja) 複層摺動材
EP2136091B1 (en) Sliding flange bearing
JPS63286458A (ja) 四フツ化エチレン樹脂組成物
WO2024047337A1 (en) Assembly for handling, transporting and storing hydrogen, wherein the assembly comprises a component comprising a polyaryletherketone polymer, use of such material and method employing such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