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407A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71407A KR20050071407A KR1020050049403A KR20050049403A KR20050071407A KR 20050071407 A KR20050071407 A KR 20050071407A KR 1020050049403 A KR1020050049403 A KR 1020050049403A KR 20050049403 A KR20050049403 A KR 20050049403A KR 20050071407 A KR20050071407 A KR 200500714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
- temperature
- meat
- burning
- fi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숯불구이와 같이 고기를 석쇠로 직접 불에 구울 때 화덕의 공기구멍을 줄여도 불꽃이 신속히 줄어들지 않아서 불에 탄 고기를 먹게 되는 것이 건강상 풀어야 할 과제이다. 종래의 숯불구이와 고기구이와 같은 고기를 직접 화덕의 불로 굽는 방식은 화덕의 공기구멍을 줄이는 방법과 손잡이를 돌려서 화덕을 석쇠의 밑으로 내려서 화기를 줄이는 방법, 그리고 가스불의 경우, 손잡이를 돌려서 가스불의 세기를 줄이는 방법 등이 있으나, 석쇠 위에 놓은 고기의 하부를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가 없으므로 타는 것을 막으려면 타는 연기로 식별해야 하는 데, 연기가 난다는 것은 이미 고기의 하부가 탔음을 뜻하므로 타는 것을 막는 용도에 효과를 주지 못한다.
굽는다. 의 개념은 고기 표면의 수분과 기름이 빠지고 나서 노릿 노릿하거나 황토 빛으로 변하게 익는 과정을 말함이고, 탄다. 의 개념은 고기 표면이 새까맣게 숯처럼 되면서 점차 고기 속 까지 진행하는 과정을 말 한다.
타는 온도와 굽는 온도는 구분된다. 사람의 눈은 온도를 측정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런데 아직도 사람들은 고기가 타는 것을 줄이는 데 사람의 눈을 사용하고 있다. 오래 구우면 탄다. 라는 말의 뜻은 온도는 굽는 온도에서 머무르지 않고 점점 상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고기를 석쇠(18)로 구울 때 타는 것을 줄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석쇠(18)를 온도 센서(22)가 결합된 납작 도너츠 모양의 석쇠승강기(1) 위에 올려놓고 이 승강기(1)의 복수개의 기둥(2)하부에 결합된 래크기어(9, 10)와 기어 모터(12)가 석쇠(18)에 가열된 화덕(17)불의 온도가 과열 상승하여 굽는 온도의 고온 측 한계치에 도달하면 석쇠(18)를 화덕(17)불의 근접거리에서 위로 밀어 올려서, 오래 가열해도 타지 않고, 서서히 구워지는 거리만큼 상승한 후, 상한 리미트 스위치(5)에 의하여 정지되였다가 화덕(17)불의 화력이 소진되어 석쇠(18)의 온도가 설정 온도의 하한치에 도달하면 온도조절장치(26)의 출력이 기아 모터(12)에 역회전동작을 명령하여 석쇠(18)는 다시 승강기(1)를 타고 원위치로 하강하는 것을 되풀이 하면서 고기는 타는 것을 줄이고, 노릿 노릿하거나 황토색으로 알맞게 구워지며, 이 자동 화기조절장치로 구워지는 상태가 자신의 취향에 만족치 못하여 약간 태우고 싶다거나 약간 덜 익게 굽고 싶다면 전기오븐기처럼 자동온도조절장치(26)의 설정온도를 바꾸면 되고, 굽는 속도를 조정하고 싶다면 승강기(1)의 상하운동을 수동조작 버튼(29, 30)으로 조금씩 내리거나 올리거나를 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석쇠승강기(1)를 하강하여도 굽는 온도의 고온 측 설정한계치에 도달하면, 석쇠승강기(1)는 석쇠(18)를 태운 채 다시 자동으로 상승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줄이면서 구워지는데 효과를 제공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숯불구이와 같이 고기를 직접 불에 구울 때 불에 타는 것을 줄이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고기를 석쇠로 직접 불에 구울 때 화덕의 공기구멍을 줄여도 불꽃이 신속히 줄어들지 않아서 불에 탄 고기를 먹게 된다. 종래의 숯불구이기나 고기구이기들은 고기를 불에 타는 것을 줄이는 데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 이유로서, 석쇠 위에 놓은 고기의 하부를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타는 것을 연기로 식별하여야 하는데 연기를 냄새로 느끼든, 색깔로 느끼든, 연기가 날 땐 이미 탔다는 신호이다. 아무리 안태우고 고기를 구워 먹으려고 젓가락을 손으로 빨리 움직여도 익히려 뒤집다보면 얼마 먹기도 전에 고기의 밑 부분이 다 타버려서 버리는 첫 번째 원인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음식점에서는 불에 타서 새까맣게 탄 고기재가 붙은 석쇠를 새것으로 바꿔주느라 정신없이 바쁠 뿐, 고기를 태우는 것을 줄이는 방안에 대해서는 사람이 눈으로 보고 공기유입구멍을 줄이는 기술과, 손으로 핸들을 돌려서 화덕을 하부로 내리는 즉 사람의 감각으로 판단해서 수동으로 화덕 불을 조절해서, 타는 것을 줄이는 방법이 종래의 기술이다. 불이 세면 탄다는 뜻은 온도가 높으면 탄다. 라는 말과 같다. 그런데 사람의 눈이 온도쎈서 역할을 하고 사람의 손이 타는 것을 줄이는 기계역할을 하는 기술의 모순은, 사람의 눈은 온도 측정 능력이 없는 감각기관이라는 점이다. 고기가 불에 타는 것을 타는 연기를 보고서야 깨닫고 허둥지둥 손으로 불의 세기를 줄이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데 불의 세기를 줄인다고 숯불같은 경우에는 금방 효과가 나오는 것도 아니며, 가스 불의 경우도 줄이는 동작을 취하는 순간에도 고기는 탈 만큼 타버리는, 눈에서 바로 손으로 명령해도 타는 불과의 대결은 속도 면에서 뒤지는데, 이것도 못되고 눈에서 연기라고 하는 매개체를 통해서만이 손에게 명령을 전달한다는 즉 한 다리 거쳐서 명령을 내린다는 것은 시대적으로 뒤 떨어진 기술이고 이것이 종래의 기술인 것이다.
화덕불은 점차 화력이 높아지고, 고기는 굽다보면 타는 건 정상이고, 안태우려고 노력해도 시간이 가면 먼저 석쇠가 과열되어서 석쇠에 들어붙은 고기가 먼저 석쇠무니 모양으로 새까맣게 타 들어가는데 석쇠교환이라는 불필요한 인력소모부터 없애기 위해서는 석쇠창살이 고기를 태우는 문제부터 해결하면서 고기가 타는 것을 줄이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불에 탄 고기는 발암성 물질이 생성되어서 먹지 않도록 하려면 태우는 것을 줄이는 만큼 발암성물질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가급적 최대한 많이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고기가 타는 것을 타기 직전에 알아차리고 이 피해를 줄이는 것을 사람의 감각기관을 빌리지 않고 기계가 직접, 스스로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굽는다의 개념은 고기표면의 수분과 기름이 빠지고 나서 노릿 노릿하거나 황토 빛으로 변하게 익는 과정을 말함이고, 탄다의 개념은 고기표면이 새까맣게 숯처럼 되면서 점차 고기 속 까지 타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타는 온도와 굽는 온도는 구분된다. 오래 구우면 탄다. 라는 말의 뜻은 온도는 굽는 온도에서 머무르지 않고 점점 상승하기 때문이고 또 다른 경우는 처음부터 타는 온도인데 굽는 물체가 크거나 수분에 젖었을 때 이것이 열이 퍼지는 시간과 물기가 건조 되는 시간만큼 기다렸다가 탄다는 경우이다.
익는 온도는 섭씨100도에서도 충분히 익지만 노랗게 구워지는 온도는 섭씨130도에서 섭씨140도는 되어야 구워진다. 황토 빛으로 구워지는 온도는 섭씨150도에서 섭씨160도 정도이다.. 타는 온도는 섭씨160도 이상 섭씨170도에서 이다.
실험대상에 이용한 물질은 건조하고 얇은 종이같은 물질을 사용한다. 물론 이 데이터는 본 발명을 위한 실험에서 얻은 수치일 뿐, 학술적으로 정리된 수치는 아니다. 주위 온도와 고기의 부위에 따른 성분 및 실험방법에 따라서 수치상에 변화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굽는 것은 대략 섭씨140도 내외와 섭씨150도 내외의 범위 내에서 온도를 유지하면 타지 않고 잘 구워진다. 이렇게 유지된 온도로 계속 오래 구우면 타지는 않고 고기가 과자처럼 수분 없이 될 것이다. 라는 논리가 선다. 그러나 불의 온도는 점점 가열 할수록 온도는 상승하지 멈춰 있어주질 않는다. 그랬다가 화력의 정점을 지나면 점차 온도는 하강한다. 타던 불을 끄거나 줄인다고 상승하던 온도가 갑자기 상승을 멈추는 것은 아니다. 이미 상승하던 열은 조금 더 상승 쪽으로 진행한 후 서서히 하강한다. 고기가 타는 온도를 실험하려면 위에서 설명했듯이 물체가 적고 건조할수록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불꽃은 수시로 변화하여 그 온도 역시 상승 하강을 함은 물론이고 숯불과 같은 경우 한쪽은 불꽃이 세고 한쪽은 약하다든가,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위에 온도실험은 참고상항 일 뿐이다. 전자레인지처럼 밀폐 형으로 된 전기 오븐의 경우, 어떤 종류의 고기는 오븐의 온도조절기의 눈금을 섭씨230도 눈금에 맞추고 조절 타이머로 가열시간을 30분에 맞추라든가, 어떤 고기는 가열온도를 섭씨200도 눈금에 맞추고 가열시간을 60분에 맞추라든가, 어떤 고기는 가열온도를 섭씨180도에 맞추고 가열시간을 15분에 맞추라는 등의 실제 해당 고기의 육류나 생선에서 고기의 기름과 수분의 함량과 고기의 부피(크기), 두께, 건조 상태, 등을 고려해서 고기를 굽는 적정온도와 가열시간이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오븐은 밀폐된 좁은 공간에서 천장과 바닥에 가열히터를 설치하고 중간층의 석쇠에 고기를 놓고 가열하므로 예컨대 섭씨230도로 가열하면 위의 본 발명에서의 설명대로 라면 섭씨170도 이상에서는 탄다고 하였는데 그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30분간 굽는다는 설명과는 크게 다르다. 어느 하나가 거짓말이라는 결과가 되고 만다. 그러나 두 가지 설명의 굽는 온도차이가 나는 이유는 밀폐 형의 전기오븐이 설명하는 온도는 가열기 자체 즉 전기히터의 가열온도를 설정함을 말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온도는 가열하는 화덕의 온도가 아니라 가열 받는 고기가 닿아 있는 온도 즉 석쇠의 온도를 말하는 것이다. 밀폐 형의 전기오븐은 밀폐된 공간의 상, 하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섭씨200도 내외의 뜨거운 열기를 내뿜어서 밀폐된 공간내의 공기가, 주어진 타이머의 설정시간동안 점점 가열온도가 상승하다가 고기의 상, 하 표피가 배출되는 기름이 타는 온도에서 타지 않으려고 대항하다가 불에 져서 타는 방향으로 가면서 노란 빛을 띠우거나 황토 빛을 띠우는 엷은 막을 형성하면 굽기를 끝내는 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정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시간을 주면 고기는 폭발, 비산하면서 탄다. 그 원인은 고기의 내부 수분이 증발하기 전에 고기표면을 구워서 노랗게 엷은 막을 형성함으로서 고기 속의 수분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남은채로 익혀지는 것이다. 결국 고기는 겉은 구워지고 속은 찐 것이다. 이 밀폐 형 전기오븐기처럼 생선도 겉은 구워지고 속은 쪄지는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고기를 화덕 불에 직접 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갈비 같은 고기부위는 직불구이 즉 직접 불에 구워야 더 맛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직물구이는 밀폐 형의 전기오븐이나 전자레인지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고기를 뜨거운 열기를 상,하 좌,우에서 가하여 찌다가 심하면 태우는 방식의 단점인 고기의 상부를 다 구워지기도 전에 엷은 막으로 습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공기구멍을 막는 일이 없이, 고기의 하부에서만 열을 가열하기 때문에 굽는 동안 기름은 하부로 빠지고 고기가 갖고 있던 늑기한 수분은 상부로 배출구멍을 만들며 증발시키다가 고기를 석쇠 위에서 뒤집으면 반대로 상부에 뚫린 수분배출구멍은 공기의 흡입구가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고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뚫려졌던 공기구멍이 역시 반대로 고기의 남은 수분을 위로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태우는 것을 최소화 하고 노릿 노릿하거나 황토 빛으로 구워서 고기자체의 수분과 기름을 적절히 배출시키고 난 후의 고기 맛은 분명코 밀폐 형의 전기오븐이나 전자레인지에서의 익힌 고기의 맛과는 서로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직불구이란 뜻은 전기든, 가스든, 숯불이든지 간에 고기를 얹혀 놓은 석쇠의 하부에서 직접 화력을 가하는 것을 말하며, 화기가 위로만 올라가게 불을 담은 그릇을 화덕이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단지 본 발명을 하기위한 위 실험에서 얻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가열해도 익거나 타지 않는 온도가 있고, 그 위에 익는 온도가 있고, 굽는 온도가 있고, 타는 온도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몇 도에서 몇 도까지는 익는 온도이고 몇 도에서 몇 도까지는 굽는 온도이며, 몇 도 이상은 타는 온도라는 경계의 획은 그을 수 없지만 대충 이러한 단계적 과정이 있으며, 직불구이의 타는 단계의 발견을 연기로 식별하고 있는 것을, 연기로 관찰하는 대신, 고기가 타기 직전의 굽는 온도의 고온 한계점에서의 온도를 채택하여 고기를 불로부터 멀리 이동 시키되, 굽는 온도의 최저 온도는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했다가 온도가 하강하면 원위치로 환원시켜 이를 반복하면서 고기를 태우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을, 사람이 신경 쓰지 않아도 기계장치가 자동으로 해결해주는 것이다. 발암성 물질을 줄인다는 것은 국민 보건상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고기를 석쇠(18)로 구울 때 태우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화덕(17)불의 온도를 무시한다는 것. 그 대신 석쇠(18)의 온도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석쇠(18)의 온도가 굽는 온도의 한계를 벗어나서 타는 온도 쪽으로 상승하려하면 석쇠(18)를 화덕(17) 불에서 위로 올려서 굽는 온도의 최저 한계점까지 이동 정지시켰다가 화덕(17)불의 세기가 약해지면 다시 석쇠(18)를 원래의 위치로 내려 보내는 것을 자동으로 되풀이 하면서, 고기가 위로는 수분을 빼고 아래로는 기름이 빠지면서 먹기 좋게 노릿 노릿하게 구워질 때 까지 뒤집기만 하면 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기를 석쇠(18)로 구울 때 석쇠(18)의 온도를 공지의 시판되는 자동온도조절기(22)의 입력단자까지 전달시키며 석쇠(18)를 화덕(17)불에서 위로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기 위하여 석쇠(18)는 가급적으로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일수록 더 효과적이다. 효과적이라는 말은 열의 전도율이 높을수록 감응 속도가 빨라서 타는 것을 줄이는데 기계의 동작이 더욱 민첩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전도율이 높으면 열감소율이 작아서 석쇠가 열을 직접 불로부터 받아서 석쇠둘레에 까지 열을 운반하여 온도센서에 열을 전달하는 속도가 감응속도이고, 예컨대 석쇠가 불로부터 받은 온도는 100도C이고 온도센서에 전달한 온도는 90도C였다면 열전도율은 90%이고 열감소율은 10%가되며 감소계수는 0.1이 된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는 백금, 은, 구리, 알루미늄 및 기타 합금 등을 꼽을 수 있겠지만 내열 즉 불에서의 용해온도는 각기 다르다. 구리의 용해온도는 1000도C 내외이고 주석은 650도C, 스테인리스 SUS는 1600도C 등등 대략 기억에 남는 상식이지만, 불 자체의 온도는 1000도C 이상이라도 석쇠(18)는 직접 화덕(17) 불 속에 넣는 것이 아니고 일정거리이상 거리를 두고 있으면서 고기가 타는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불에서 멀어지므로 석쇠(18)가 어떤 성분이 많은 합금이든 용해될 염려는 없다. 단지 고기를 타지 않게 기계가 민첩하게 동작하는 데는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감응속도가 빨라서 타는 것을 줄이는데 더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석쇠(18)에서 떨어지는 고기의 분비물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석쇠승강기에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면서 석쇠(18) 전체의 가열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석쇠둘레받침대(1A)를 역시 가급적이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하며 이 형태는 납작 도너츠와 같이 되고 안쪽 지름둘레 하부에 분비물 차단막(1A')과 밖앝쪽 둘레 하부에는 이탈방지 막(1A")이 접합되고, 이 둘레받침대(1A)의 하부에 이 받침대가 덮개처럼 씨 워 질수 있게끔 이 석쇠둘레받침대(1A)의 외경과 내경보다 약간 씩 작으면서 온도감지센서(20)가 장착되고, 석쇠(18)를 받치면서 화덕(17)에서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는 복수 개(표준 4개)의 기둥(2)이 하부로 달린 석쇠승강기(1)를 형성하고, 이 승강기(1)에 달린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보호관(20B)과 복수개의 기둥(2)이 관통 할 수 있는 관통 구(20A, 2A))가 뚫리고 내경은 석쇠승강기의 지름과 같고 외경은 1.5배이상 큰 납작 도너츠 판 모양의 외통 상판(7)을 형성하고, 이 상판(7)을 관통하여 하부로 내려온 복수 개의 기둥(2)의 하부에 이 기둥(2)을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래크기어(9, 10)의 수직측 기어(9)의 상단과 결합하고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보호관(20B)의 하부에서 인출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20D)이 상, 하운동을 잘 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봉(4)에 스프링처럼 3-4회 이상 감어서 외통 하판(8)의 전선인출 구(8A) 밖으로 인출하고, 위 기둥(2)중에서 하나는 하부에 수직기어(9)의 상단과 결합할 때, 사이에 상한정지 기능의 리미트 스위치(5)가 장착된 부라킷(6)을 착설한다. 래크기어(9, )를 밀어 올리기 위한 회전 측 기어(10)의 연결축(10A) 홈(소킷)에 기어모터(12)의 회전축(12A)을 접속 결합하고 기어모터(12)에 달린 부라킷(14)을 외통 하판(8)에 고정하며, 래크기어의 수직 측 기어(9)의 상부 기어 뒤편에 로울러(11)가 수직궤도를 이루게 장착된 부라킷(14)을 밀착 하고 하부를 외통 하판(8)에 고정한 다음에 복수 개의 수직 측 기어(9)중에서 하나의 하부에는 하한정지 기능의 리미트스위치(5')를 장착한 부라킷(6')를 착설한 다음에, 수직기어(9)의 상단 리미트스위치(5)가 달린 부라킷(6)의 상부에 이 리미트스위치(5)의 눌름버튼소자를 누를수 있는 위치에 눌름소자 작동판(6B)이 장착된 승강기(1)의 상승폭을 조정하는 가변 형의 부라킷(14A)을 외통 하판(8)에 수직되게 고정한 다음,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5A)을 이탈방지용 봉(5B)에 3-4회 이상 스프링처럼 감아서 외통 하판(8)에서 하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5'A) 및 복수개의 기어모터의 인출선(12B)과 함께 외통 하판(8)의 전선인출 구(8A)로 인출하여, 미리 인출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20D)과 함께 공지의 범용 자동온도조절기(22)의 외부단자와 기어모터 조작부(24)에 결선한다. 결선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범용 전기기호로 도6과 같이 표기하였고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서 설명한 대로 온도감지센서(20)로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기어모터(12)가 작동하는데 여기에 상, 하한 정지 리미트 스위치(5, 5')의 명령에 의하여 정지선에서 정지되게 하는 기능과 정역으로 한번 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 동작은 반대로 돌아오는 기능을 가진 이해하기 쉬운 회로이다.
도1의 "가"는 공지의 석쇠(18)가 본 발명장치의 석쇠둘레 받침대(1A) 위에 놓이고, 석쇠(18)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점선은 식탁을 가상한 가상도이고 석쇠둘레 받침대(1A)의 밑에 있는 석쇠 승강기(1)는 노출되지 않으며 그 밑에 위치한 외통 상판(7)이 노출되고, 석쇠(18)의 틈새 하부로 화덕(17)의 상부가 점선으로 표시 되어 있다. 이 공지의 화덕(17)의 입출은 석쇠(18)를 들어내고 위에서 행한다. 가상식탁 하부에는 공기 흡입구(15C)가 도시 되여 있다. 이것은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하는데 쓰이는 공지의 범용 조절구이다.
도1의 "나"는 석쇠(18)를 받치고 있는 석쇠 승강기(1)에 의하여 석쇠(18)가 화덕(17)으로부터 위로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가"의 사시도에서는 노출되지 않은 석쇠승강기(1)의 기둥(2)과 이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2A)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2는 석쇠 승강기(1)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석쇠(18)와 석쇠둘레 받침대(1A)를 석쇠 승강기(1)에서 분리한 형태의 사시도이다. 석쇠둘레 받침대(1A)의 안쪽 둘레에 고기의 분비물이 석쇠 승강기(1)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화덕(17)위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분비물 차단막(1A')이 접합제조된 것이 표시되고, 석쇠둘레 받침대(1A)의 밖앝 쪽 에는 역시 이물질 유입방지 및 석쇠 승강기(1)의 덮개로서의 위치 이탈방지 역할을 하는 이탈방지 막(1A")이 접합제조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석쇠승강기(1)의 상부둘레에는 복수개의 기둥(2)의 상부측 결합용 나사볼트(3)가 석쇠승강기(1)의 관통 구(3A)를 통하여 기둥(2)의 상부와 결합되고 다시 외통 상판(7)의 관통 구(2A)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부의 외통(15)으로 진입한 형상을 나타내고, 온도감지센서(20)의 연결볼트(20C)가 석쇠승강기(1)의 상부관통 구(19A)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삽입한 것과 온도감지센서 결합너트(19)로 결합착설된 것의 하부 온도감지센서 인출선(20D)은 온도감지센서 결합너트(19)와 결합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보호관(20B)을 통과하여 하부의 외통 상판(7)의 관통 구(2A)를 관통한 후 외통(15) 속으로 진입된 것과, 외통의 상판(7)과 외통(15)을 결합하는 외통 상부 고정용 부라킷(15A)과, 이 외통(15) 하부 고정용 부라킷(15B)이 외통(15)과 외통 하판(8)을 받히는 받침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고, 외통(15)에 표시된 문짝(15D)은 내부의 승강기의 승강 폭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이 문짝을 열고 눌름소자 작동판(6B)의 높이 가변형 부라킷(14A)의 장공(14B)에서 가변형 부라킷의 조임볼트(13A)를 조금 풀고 가변형 부라킷(14A)을 사이에 두고 결합한 눌름소자 작동판(6B)을 상, 하로 옮겨서 원하는 만큼 승강 폭을 조정한 후, 가변형 부라킷의 조임볼트(13A)를 꽉 조이기 위한 것이다.
도3의 "가"와 "나"는 석쇠승강기(1) 위에 놓이는 석쇠둘레 받침대(1A)와 석쇠(18)를 들어내고 석쇠승강기(1)가 상승하지 않고 원 위치에 있을 때의 내부 투시도이다. "가"는 온도감지센서(20)가 있는 쪽이고, "나"는 "가"의 이면 즉 반대쪽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기둥(2) 밑에 결합된 래크기어(9, 10)와 이 래크기어의 회전 측 기어(10)의 연결홈(10A)과 기어모터(12)의 연결축(12A)이 결합되고 이 래크기어의 수직 측(9)과 회전 측(10)의 고정용 부라킷(14)이 직각의 형상을 이루고 외통(15)의 내부 화덕 받침대(17A)의 외부 둘레로 외통의 하판(8) 위에 부라킷 고정용 나사볼트(13)로 고정되는 것과 복수개의 기어모터(12)와, 기둥(2)과 이를 연결하는 래크기어(9, 10)와의 연결형상을 나타낸 투시도이며 석쇠 승강기(1)의 상부 둘레에는 복수개의 기둥(2)의 상부 결합용 나사볼트(3)와 온도감지센서 결합 너트(19)가 표시되고 상부의 중앙 내부에는 점선으로 화덕(17)이 삽입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4는 석쇠승강기(1)의 구성설명을 상세히 하기 위하여 부품을 분리하여 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상부 중앙은 석쇠승강기(1)에 하부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기둥(2)중에서 그 중 하나를 좌측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기둥(2)의 상하 연결부위를 상부는 안쪽 나사(암나사)를 하고 하부는 외부쪽 나사(숫나사)를 표시하였다. 상,하 양측이 외부나사로 하든 내부나사로 하든 이것은 연결 하면 되는 것이다. 온도감지센서의 결합너트(19) 역시 열이 잘 하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결합방식의 특별한 의미는 없다. 도면 우측에 온도감지센서(20)가 승강기(1)의 온도감지센서 관통구(19A)를 통하여 승강기(1)의 위에서 온도감지센서 결합너트(19)와 온도감지센서 연결관(20C)으로 결합되고 이를 연결관(20C) 하부 볼트나사로서 온도감지센서(20)의 인출선 보호관(20B)의 상부 안쪽 나사와 결합하고 온도감지센서(20B)의 인출선(20D)이 석쇠승강기(1)의 승강시에 함께 움직여야 하므로 이탈방지용 수직봉(4)을 외통 하판(8)에 착설하고 도시한바와 같이 스프링식으로 3-4회 이상감아서 외통 하판(8)의 전선관통구(8A)로 인출한다. 래크기어의 수직기어(9) 상단의 안쪽 나사에 리미트 스위치(5)가 장착된 고정용 부라킷(6)의 관통 구(6A)를 통하여 석쇠승강기(1)에서 수직으로 내려온 기둥(2)의 하부 나사볼트와 결합한다. 래크기어의 수직 측(9)의 하부 안쪽나사에 하한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5')가 장착된 고정용 부라킷(6')를 결합한다. 래크기어의 회전기어(10)의 연결홈(10A)에 기어모터(12)의 연결축(12A)과 결합하고, 래크기어의 회전기어(10)가 수직기어(9)의 상단 위치에서 기어끼리 물리도록 고정용 부라킷(14)을 외통 하판(8)에 나사볼트(13)로 고정한 다음, 수직기어(9)의 뒤편에 로울러(11)가 장착된 고정용 부라킷(14)을 밀착하여 수직기어(9)의 뒤편과 궤도를 이루도록 외통 하판(8)에 고정한다. 이 로울러(11)의 역할은 수직기어(9)가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할 때 궤도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과 상,하 운동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규격화가 되면 기어모타(12)의 고정용 부라킷(14)과 로울러(11)고정용 부라킷(14)은 "ㄱ"자형태로 된 사실상 하나의 부라킷이 되는 것이다. 상한 정지 리미트 스위치(5)의 인출선(5A) 역시 상,하 운동을 되풀이해야 하므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20D)에서와 마찬가지로 이탈방지용 봉(5B)을 수직으로 외통 하판(8)에 착설한 다음 스프링 식으로 적당한 회수로 감어서 외통의 하판(8)의 전선 인출구(8A)로 인출한다. 석쇠승강기(1)에 달린 복수개의 기둥(2)과 온도감지센서(20)의 인출선 보호관(20B)만 석쇠승강기(1)가 상승, 하강운동을 할 때, 외통 상판(7) 위로 상승 노출했다가 다시 하강하면 외통 상판(7) 속으로 은폐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은 상한정지 리미트스위치(5)에 의하여 작동된다. 석쇠(18)를 화덕(17)불에서 조금만 위로 올려도 화력은 현저하게 약해진다. 열은 수직 상승하지만 통과하는 공기층이 두꺼워 질수록 열이 식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기조절장치를 사용중에 상승길이가 높다고 판단되면 석쇠승강기(1)의 하부 외통(15)둘레의 조정용 문짝을 열고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5)의 눌름소자 바로 위에 장착된 눌름소자 작동판(6B)이 장착된, 가변형 부라킷(14A)의 장공(14B)에서 조임볼트(13A)를 약간 풀고 눌름소자 작동판(6B)을 상하로 이동하여 조임볼트(13A)를 다시 조이면 된다.
도5의 "가"는 위에 설명과 같이 외통 하판(8)의 전선 인출구(8A)로 인출된 상하한 정지용의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5A, 5'A)과 온도감지센서 인출선(20D)과 복수개의 기어모터의 인출선(12B)을 도6의 연결 회로도에 의하여 자동온도조절기 부(22)와 기어모터 조작부(24)가 하나의 4각외함에 조립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의 "나"는 석쇠승강기(1)의 하부 외통(15)둘레의 분리도이며 이것은 석쇠 승강기(1)에서 외통 상판(7)을 관통하여 하판(8)에 내장되는 수직 상하운동의 부품과, 하판(8)에 착설하는 모든 부품이 고정된 후, 이 외통(15)둘레를 하부로부터 삽입하고 조정용 문짝(15D)의 위치가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5)가 있는 쪽으로 오도록 외통(15)둘레를 돌려서 맞춘 후, 볼트조임구멍(15')에 외통 상부고정용 부라킷(15A)과 외통 하부 고정용 부라킷(15B)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6의 도면에서는 기어모터(12)를 직류12볼트용으로 도시하였지만 24볼트용이나 다른 종류도 가능하다. 온도감지센서(20)는 C.A 형을 도시한 것은 다른 센서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최대 사용온도가 섭씨600도로서 다른 일반 센서보다 높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다른 종류의 온도감지센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실제 사용온도는 섭씨200도 이내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불 속의 온도는 섭씨1000도를 넘어 서지만 본 발명은 이 고열인 화덕(17)의 온도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와는 멀리 떨어진 석쇠(18)의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승강기 기둥(2)을 승강기(1)와 결합시킨 상부 결합용 나사볼트(3)의 머리가 석쇠(18)의 열을 전달하는 석쇠둘레 받침대(1A)와 접촉되는 부분은 최소 접점에 불과하여 이것을 통하여 하부로 전달되는 열이 기어모터(12)등을 파괴하거나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시중에 시판되는 자동온도조절기(22) 중에서 도면에서는 출력접점이 고온설정출력과 저온설정출력의 두 가지 기능이 있어서 고온설정은 타기 직전의 온도에 맞추고 저온설정온도는 고기가 구워지는 최저설정 온도에 맞추는 것의 온도 폭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출력접점이 하나인 것을 사용하여 즉 설정온도를 타기 직전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하여도 사용상 다른 장점이 있으므로 선택해도 무방하다. 전자는 예컨대 석쇠(18)의 상승하는 온도를 섭씨160도로 하고 하강하는 온도를 섭씨130도로 한다던가 했을 때 온도 폭은 30도이다. 후자는 석쇠(18)의 상승하는 온도를 섭씨150도로 했다면 상승 후에 3-4도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석쇠(18)가 하강하는 경우이다. 석쇠(18)와 석쇠둘레받침대(1A)에 가열된 온도는 식는 속도가 완만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빈번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승강하는 빈도는 후자가 더 많다고 보는 것이고 사용하는 데는 각기 장점이 있다 하겠다. 후자의 방식을 채택할 경우엔 도6에서 자동온도조절기(22)의 LOW측 출력단자에 연결된 C단자선을 떼어서 HIGH측 출력단자C에 함께 연결하고, LOW측 L단자에 연결된 선을 떼어서 HIGH측 출력단자의 L단자에 연결하면 된다.
도1에서와 같이 석쇠승강기(1)가 상승했을 때 석쇠(18), 석쇠둘레받침대(1A)가, 외통 상판(7)을 떠나 위로 상승한다. 이 때 함께 상승하는 래크기어의 수직 측(9)과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5) 측은 외통 상판(7)과 하판(8) 내에서만 상하운동을 하며 외통 상판(7) 위로 나올 수 없다. 위에 설명 했듯이 외통 상판(7) 위로 올라오는 것은 복수 개의 승강기 기둥(2)과 온도감지센서(20)의 인출선 보호관(20B)뿐이다. 이것의 길이는 화덕(17)의 크기에 따른 화력에 좌우되며 사용 선택된 화덕(17)에 석쇠(18)를 얹혀 놓았을 때와 화력이 가장 강력할 때 고기가 타지 않고 구워지는 최고 높이가 기둥(20)과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보호관(20B)의 길이가 되며 래크기어의 수직측(9) 길이와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이탈방지봉(4) 및 상한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 이탈방지봉(5B)의 길이는 기둥(2)의 길이와 같거나 2-3센치미터 짧은 정도가 적당한 길이가 된다.
다음은 석쇠(18)의 상승온도 설정과 하강온도설정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맨 먼저 기어모터 동작스위치(SW1)를 끄고 기어모터(12)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조정한다. 본 설정은 한번 하면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재 조정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섭씨 몇도, 몇 도로 온도에 맞추어 설정해야 하는 것처럼 설명한 것은 실제 고기를 굽지 않고 대략적으로 맞추는 방법이고, 더 좋고 정확한 방법은 고기를 구우면서 하강위치에서 고기가 타기 직전에 자동온도조절기(22)의 "HIGH S" 손잡이를 돌리면 램프(L1)가 켜졌다 꺼졌다 하는 교차점에서 켜질 때 손을 떼면 상승 온도가 설정 되었고, 석쇠승강기(1)가 상승하여 고기가 구워지다가 석쇠(18)의 온도가 구워지지 않는 온도로 내려간다고 판단될 때의 온도이며 이 온도는 석쇠둘레받침대의 온도표시눈금(S1)에 나타나며 조정은 자동온도조절기(22)의 "LOW S" 손잡이를 좌우로 돌려서 램프(L1)가 깜박이는 교차점의 램프(L1)가 꺼진 점이(도6의 도시된 도면의 출력점점 위치근거) 하강온도인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석쇠(18)가 불로부터 받은 온도와 석쇠둘레받침대(1A)에서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0)에서의 온도가 열감소율에 의하여 차이가 져도 본 발명장치의 효과에는 지장이 없다. 이유는 열감소계수에 의하여 온도의 상승하강은 비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장치의 상한설정 온도 조절기로서 고기의 타기 직전의 온도표시눈금(S1)의 온도를 타기 직전의 상한 온도로 하면 본 발명장치를 사용함에 지장이 없는 것이다(도5의 "가"). 다음에 기어모터(12) 동작 스위치(SW1)를 켠다. 고기를 굽다가 석쇠승강기(1)가 너무 높게 상승했다고 생각되면 도5의 "가"에 명시된 기어모터 조작부(24)의 눌름버튼스위치(PB1)를 짧게 눌렀다 놓으면 조금 하강 한다. 상한설정 온도에 석쇠온도감지센서(20)의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석쇠승강기(1)는 상승한다. 반대로 하강한 위치보다 조금 위로 올리고 싶으면 눌른버튼스위치(PB2)를 짧게 눌렀다 놓으면 상승한다. 마음먹은 대로 자유자재로 원하는 화력으로 즉시 조절하면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다. 그러면서도 석쇠(18)의 온도감지센서(20)는 지속적으로 온도를 감지하고 있으면서, 감지한 온도가 이미 설정된, 타기 직전 온도에 도달하면 눌름버튼 스위치(PB1, PB2)의 동작을 무시하고 석쇠승강기(1)는 자동으로 상승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줄여주는 것이다. 만일에 상승폭이 너무 크다(높다)고 판단되면 위에서 설명했듯이 외통(15)의 조정용 문짝을 열고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가변형 부라킷의 조임볼트(13A)를 약간 풀고 이와 결합된 리미트 스위치의 눌름소자 작동판(6B)의 높이를 조금 낮추고 다시 조임볼트(13A)를 조이면 석쇠승강기(1)의 상승폭은 작아진다. 기둥(2)과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보호관(20B) 및 래크기어(9, 10)의 수직길이, 이탈방지봉(4, 5B)의 길이 들은 대, 중, 소로 규격화하여 화덕(17)에 맞는 규격을 선택하게 된다.
기어모터(12)의 회전속도는 너무 빨라도 안 좋고 너무 느려도 민첩하지 못하여 고기가 더 탈 수 있다. 1분에 20RPM내지 30RPM정도가 적절하다.
이상의 긴 설명을 단축하면 다음과 같다. 건오징어를 불에 구울 때 급한 마음으로 불에 가까이 대고 구우면 많이 탄 상태로 구워짐에 반하여 오징어를 불에서 너무 가까이 하지 말고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천천히 구우면 태우지 않고 노릿 노릿하게 맛있게 구워진다. 이것을 눈으로 식별하다가는 앗차 순간에 태운다. 오징어의 밑이 눈에 안 보이기 때문이다. 극히 조심조심 구워야 태우지 않고 굽는다. 이것은 사람의 눈은 온도를 측정하는 기관이 아니기 때문이다. 타는 연기를 보고 화력을 조절하려는 현재의 행동방식은 잘 못된 것이다, 특히 석쇠 위에서 굽는 고기의 하부는 시야에 안 들어오기 때문에 태운 다음에 뒤집기가 일수다. 그리고 왜 하필이면 석쇠(18)의 온도를 측정하느냐 하는 뜻은 타는 온도로 과열되면 고기가 제일먼저 석쇠(18)와 맞닿는 부분이 재일 먼저 타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부터 막아야 석쇠를 계속 바꿔치기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고, 고기가 타는 것이지 화덕이 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덕(17)의 온도보다는 석쇠(18)의 온도를 재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과 직불에서는 온도감지센서(20)도 용해되거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석쇠(18)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효과적이라는 판단에 이른 것이다.
고기를 불에 태우면 발암성 물질이 생성된다. 많이 태우면 더 많아진다. 구운 고기는 옛 부터 내려오는 음식이므로 버릴 수는 없는 것이고 사랑의 눈을 센서로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은 고기를 불에 구울 때 고기 밑바닥 면이 안 보이므로 더 태우고, 불에 타기 직전의 고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능력이 사람의 눈에는 없기 때문에 고기를 직불구이로 구울 때 미리 타는 온도로 열이 상승하기 전에 불을 피하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했다. 본 발명은 사람이 석쇠(18)위의 고기를 뒤집기만 하면서 기다리면 석쇠(18)는 고기가 불에 타려면 불에서 고기를 멀리 떨어지게 하고 불의 화기가 약해져서 고기가 구워지는 온도이하로 내려가려 하면 석쇠(18)는 다시 불로 가까이 접근하면서 고기의 타는 것을 줄여주면서, 고기가 타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고기를 진하게 굽거나 연하게 굽는 것을 수동으로 석쇠(18)의 높낮이를 눌름버튼 스위치로 눌렀다 놓았다하면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고기를 직접 불에 구울 때 타는 온도를 피하면서 화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타는 고기로부터 발암성 물질 생성을 줄여서 국민 건강을 해치는 위암 발생 예방에 기여하고, 고기를 적게 태움으로서 타서 버리는 고기의 낭비를 줄이고, 타서 쓴 고기를 먹는 피해를 줄이며, 사람이 고기를 구울 때 고기를 안 태우려고 허둥지둥 바쁘던 일손을 줄여 주어서 편한 자세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고, 고기를 굽는 동안 고기가 석쇠(18)에 들어붙어 탔기 때문에 석쇠(18)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고생스런 인력낭비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가"는 석쇠승강기의 원 위치(하강) 상태도이고 "나"는 석쇠승강기가 상승했을 때의 상태도.
도2는 석쇠승강기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석쇠, 석쇠둘레받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3은 석쇠승강기의 내부 투시 사시도로서 "가"는 온도센서가 있는 쪽 면이고 "나"는 "가"의 반대쪽 면임. "가" "나" 모두 석쇠승강기의 하강 상태도임.
도4는 복수개의 동일한 규격의 기둥 중 한쪽 기둥의 분해 사시도 및 각 부분별 확대 표시도와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보호관과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및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 상하운동 분리 설명도.
도5의 "가"는 본 장치의 승강기의 조작반과 공지의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조작반을 표시하기 위한 외함 사시도.
"나"는 본 장치의 보호용 외통둘레의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장치의 자동 및 수동조작을 겸한 석쇠승강기 조작반의 전기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쇠승강기 1A : 석쇠둘레 받침대 1A' : 분비물 차단막
1A" : 이탈방지막 2 : 승강기 기둥
2A : 기둥 관통 구 3 : 기둥의 상부 결합용 나사볼트
3A : 기둥의 상부 결합볼트 관통 구 4 :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이탈방지 봉
4A : 이탈방지봉의 하부 고정용 볼트 5 :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
5A :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
5B :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 이탈방지 봉
5' : 하한정지 리미트 스위치 5'A : 하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
6, 6' : 리미트 스위치 장착용 부라킷 6A, 6'A : 부라킷 관통구
6B : 리미트 스위치의 눌름소자 작동판
7 : 외통의 상판 8 : 외통의 하판 8A : 전선 인출 구
9 : 래크기어의 수직 측 기어 9A : 래크기어의 수직 측 상부 안쪽나사
9B : 래크기어의 수직 측 하부 안쪽나사 10 : 래크기어의 회전 측 기어
10A : 래크기어의 회전 측 기어의 연결 홈 11 : 로울러(일명: 도르레)
12 : 기어모터 12A : 기어모터의 연결 축 12B : 기어모터의 인출선
13 : 부라킷 연결용 나사볼트 13A : 가변형 부라킷의 조임볼트
14 : 기어모타 및 래크기어 고정용 부라킷 14A : 눌름소자 작동판의 가변형 부라킷
14B : 가변형 부라킷의 장공 15 : 외통 15' : 볼트조임 구
15A : 외통 상부 고정용 부라킷 15B : 외통 하부 고정용 부라킷
15C : 외통 공기 흡입 조절구 15D : 석쇠승강기 조정 시 개봉 문짝
16 : 로울러의 볼트구멍 17 : 화덕 17A : 화덕 받침대
17B : 화덕받침대 고정용 볼트구멍 18 : 석쇠 19 : 열전도용 나사볼트
20 : 온도감지센서 20A :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보호관 관통 구
20B :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보호관 20C : 온도감지센서 결합용 연결관
20D :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21 : 온도감지센서 부
22 : 자동온도조절기 부 23 : 교류/직류 전압변환기
24 : 기어모터 조작 부 SW1 : 절환스위치 GM : 기어모터 (12)
R, R1 : 릴레이 PB1, PB2 : 눌름버튼 스위치 LS : 리미트 스위치(5)
L1 : 동작표시램프 LOW S : 저온 하한 설정 가변손잡이
HIGH S : 고온 상한 설정 가변손잡이 S1 : 석쇠둘레받침대의 온도 표시 눈금
Claims (1)
- 석쇠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하부가 타는 것을 줄이기 위한,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에 있어서,인출선 보호관이 달린 온도감지쎈서와, 복수의 기둥이 달린 석쇠승강기 및 이 승강기의 상부를 덮는 석쇠둘레받침대를 화덕둘레에 형성되게 하고, 온도감지쎈서의 인출선 보호관과 복수개의 기둥이 외통의 상판 위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복수의 기둥은 래크기어의 수직 측 상단과 결합하며, 기둥중의 한 개는 결합 전에 하단에 상한정지 리미트스위치를 장착하며, 수직기어의 하부에는 하한정지 리미트 스위치를 장착하고, 상한정지 리미트스위치의 눌름버튼 위치 상부에 눌름소자 작동판이 달린 높낮이 가변형의 부라킷을 외통내부 하판에 착설하며, 래크기어의 수직 측 기어 뒤편에는 로울러가 수직기어의 뒤편과 궤도를 이루게 하고 래크기어의 회전 축 연결홈에는 기어모터의 회전축을 삽입 결합하도록 고정용 부라킷을 외통내 하판에 착설하며,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및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의 이탈방지봉을 외통 내 하판에 수직으로 착설하는 것과, 각 상호간의 연결수단; 및상기 복수개의 기어모터의 인출선 및 상, 하한 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과 온도잠지센서의 인출선을 외통 내 하판의 전선인출구로 인출하여 공지의 자동온도조절기 및 기어모터의 구동회로로 연결한 후, 석쇠승강기가 상한설정온도에서 상승하고 하한설정온도에서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되, 복수개의 기둥과 온도감지센서의 보호관만이 외통의 상판 밖으로 상승 할 수 있고, 래크기어의 수직측 기어 및 이탈방지봉에 감긴 온도감지센서 및 상한정지 리미트 스위치의 인출선은 외통 내 상판과 하판 내에서만 상, 하 운동을 반복하는 것과, 눌름소자 작동판이 달린 가변형 부라킷에 의하여 기둥의 상승 높이를 조정하며, 조정된 기둥의 상승 높이 이내에서는 눌름버튼 스위치로서 높낮이 수동조절이 되다가도 석쇠의 온도가 상한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석쇠는 상한설정 위치로 상승하는 각각의 구동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직불구이의 화기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9403A KR100676069B1 (ko) | 2005-06-09 | 2005-06-09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9403A KR100676069B1 (ko) | 2005-06-09 | 2005-06-09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1407A true KR20050071407A (ko) | 2005-07-07 |
KR100676069B1 KR100676069B1 (ko) | 2007-02-01 |
Family
ID=3726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9403A KR100676069B1 (ko) | 2005-06-09 | 2005-06-09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606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5293A (zh) * | 2016-12-08 | 2018-06-19 | 宁波市润桥工业设计有限公司 | 一种双旋转烤架 |
KR20200000817U (ko) * | 2018-10-15 | 2020-04-23 | 센젠 티앤지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승강 조절형 이중 내솥 구조 |
JP2021535798A (ja) * | 2018-12-03 | 2021-12-23 | 珠海格力電器股▲ふん▼有限公司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調理機器 |
FR3135131A1 (fr) * | 2022-04-27 | 2023-11-03 | Cédric Mariotti | Grille de cuisson intelligente connectée et motorisé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7607B1 (ko) | 2010-09-16 | 2012-07-24 | 최선희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413697B (de) * | 2001-11-07 | 2006-05-15 | Andritz Ag Maschf | Verfahren zur behandlung säurehältiger abwässer |
KR100462523B1 (ko) | 2002-01-18 | 2004-12-17 | 최수산 | 가스 로스터 |
KR20020075705A (ko) * | 2002-01-18 | 2002-10-05 | 조구현 |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온도 자동조절 장치 및 그자동조절 방법 |
KR200338472Y1 (ko) * | 2003-10-08 | 2004-01-16 | 정한섭 |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
KR100572921B1 (ko) | 2003-10-17 | 2006-04-24 | 권기용 | 숯불구이장치 |
-
2005
- 2005-06-09 KR KR1020050049403A patent/KR1006760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75293A (zh) * | 2016-12-08 | 2018-06-19 | 宁波市润桥工业设计有限公司 | 一种双旋转烤架 |
KR20200000817U (ko) * | 2018-10-15 | 2020-04-23 | 센젠 티앤지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승강 조절형 이중 내솥 구조 |
JP2021535798A (ja) * | 2018-12-03 | 2021-12-23 | 珠海格力電器股▲ふん▼有限公司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調理機器 |
FR3135131A1 (fr) * | 2022-04-27 | 2023-11-03 | Cédric Mariotti | Grille de cuisson intelligente connectée et motorisé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6069B1 (ko) | 2007-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6069B1 (ko)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
US7647923B2 (en) | Automated barbeque safety mechanism | |
JPS5921703Y2 (ja) | ト−スタ | |
KR101079882B1 (ko) | 전기 튀김기 | |
ZA200504095B (en) | Barbecue (grill unit). | |
US20100300305A1 (en) | Cooking grill | |
EP2515730B1 (en) | Electric roast cooking device | |
CN109171448A (zh) | 自动电热烹调锅 | |
KR100755214B1 (ko) | 구이테이블 | |
KR200433042Y1 (ko) | 숯불구이기 | |
CN107259971A (zh) | 耦合式半自动电热烹调锅 | |
WO2000025645A1 (en) | Indoor smokeless grill | |
US7339137B1 (en) | Electric grilling appliance | |
KR102169100B1 (ko) | 구이 테이블 | |
JP2014519946A (ja) | 軸付きトウモロコシをローストするための装置 | |
CN105686684A (zh) | 远红外烧烤炉 | |
KR20050079961A (ko) | 가스레인지의 자동 소화 장치 | |
KR200296333Y1 (ko) |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 |
KR200230542Y1 (ko) |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 |
CN220061844U (zh) | 一种新型炉灶 | |
KR101042325B1 (ko) | 휴대용 기능성 조리기 | |
CN201418678Y (zh) | 炉具感应控制装置 | |
CN110658726A (zh) | 用于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烹饪设备及存储介质 | |
JPS6142496Y2 (ko) | ||
KR102321521B1 (ko) | 구이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