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07B1 -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07B1
KR101167607B1 KR1020100091242A KR20100091242A KR101167607B1 KR 101167607 B1 KR101167607 B1 KR 101167607B1 KR 1020100091242 A KR1020100091242 A KR 1020100091242A KR 20100091242 A KR20100091242 A KR 20100091242A KR 101167607 B1 KR101167607 B1 KR 10116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temperature
gear
cros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957A (ko
Inventor
최선희
Original Assignee
최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희 filed Critical 최선희
Priority to KR102010009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0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특허10-0676069)에서와 같이
고기를 재래식 창살석쇠로 구울 수 있게 하면서 고기가 타는 온도로 석쇠의 온도가 상승하면 석쇠의 온도를 석쇠를 받치는 석쇠둘레받침대가 전달받아서 이 전달받은 온도를 하부에 밀착하는 석쇠승강기에 착설된 온도센서에 의하여 석쇠와 석쇠승강기가 상승하여 숯불과 멀어졌다가 숯불의 화력이 약해지면 다시 하강하는 기술에 있어서,
소형의 기어모터 1개로 동작시키려면 숯불 통이 중앙에 자리잡고 있어서 숯불 통의 둘레에 기어모터를 장착하게 되니까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무게의 중심이 한 가운데 있지 못한 관계로 동력모터의 용량이 커야하는 단점과, 기계적, 물리적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복수개의 기어모터사용을 하면은 고가의 원가와 숯불의 화력의 간접열의 영향 등이 동작의 정확도에 여러 가지 문제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숯불의 화덕 몸통하부에 기어모터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숯불 통 받침대를 장착하여 석쇠승강기의 상하운동 유격거리가 숯불 통 받침대와 화덕몸통바닥면과의 간격거리만큼만 가능하게하면서 석쇠승강기가 상승, 하강할 때의 떨림 현상을 최소로 줄이기 위하여 종래의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특허10-0676069)에서 실시한 래크기어와 이와 밀착하는 상, 하 로울러의 뒷면에도 환봉 또는 다각봉을 밀착시켜 상,하를 고정하고, 이와 직각방향으로 상하 로울러를 착설하고 이 로울러의 양쪽면에도 환봉 또는 다각봉을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이다.

Description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The Heating Power Distance Control Device In Case Of Using A Grill}
본 발명은 숯불구이와 같이 고기를 직접 불에 구울 때, 고기의 하부가 불에 타는 것을 줄이는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쇠의 온도를 석쇠를 받치고 있는 석쇠둘레받침대가 흡수하여 이 석쇠둘레받침대 하부에 밀착하는 석쇠승강기의 장착한 온도센서에 의하여 석쇠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조절기에 설정하는 온도가 석쇠위의 고기가 타는 온도에 도달하면, 석쇠를 받치고 있는 석쇠승강기와 함께 고기가 안타는 거리만큼 상승했다가, 석쇠의 온도가 굽는 온도 이하로 되면 상승했던 석쇠승강기는 석쇠를 받친 채로 상승하기 전의 위치로 하강하여, 숯불에 접근해서 고기를 굽는 동작을 하는 종래의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특허 제10-0676069호)는 상승, 하강하는 복수개의 기어모터를 화덕의 둘레에 착설하는 것으로서 기어모터 1개로 동작시키려면 석쇠와 올려놓은 고기 및 석쇠둘레 받침대 무게 때문에 중심잡기가 힘들어서 이 때문에 기어모터의 힘의 손실이 커지므로 기어모터의 마력 수가 큰 것을 사용해야 하며, 기계적으로도 중심을 잡아야 하는 문제점 보완을 하는 것 등이 큰 단점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고 최소마력 수의 소형 기어모터로도 상승하강운동을 하게하는 기술과, 이에 따라서 발생하는 떨림 현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인 것이다.
화덕의 중앙에는 숯불 통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숯불 통이 아닌 석쇠를 상하운동시키려면 숯불 통을 비켜서 기어모터를 장착해야 하므로 화덕몸통의 측면에 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상기 기술분야에서 지적한 단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특허제10-0676069호)은 복수개의 기어모터를 숯불통의 둘레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한 개 이상의 복수개의 기어모터를 사용했을 때에는 각각의 기어모터의 회전수가 서로 같지 않기 때문에 석쇠승강기를 상승, 하강하게 하는 기술에는 회전수의 오차가 극히 미미한 고가의 기어모터로서 하강하였을 때, 상승하기전의 복수개의 기어모터의 물림위치가 서로 갈도록 복귀(reset)가 가능한 특정의 기어모터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KR100676069
본 발명은 생산원가가 높아서는 발명의 가치가 낮게 평가된다는 점을 첫째 과제로 삼으며, 두 번째 과제는 기어모터 1개만으로 동작을 시킬 경우에 화덕측면한쪽에 장착하면은 무게의 중심을 맞추기가 힘들어서 기계적인 보강장치가 많아야 하고 기어모터의 마력수도 큰 것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므로 역시 생산원가의 효과를 볼 수가 없다는 것이므로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산원가를 대폭 줄이면서 사용하는데 상승하강시의 떨림 현상이 극미하면서 탄 고기 즉 발암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하여 건강에 유익한 제품을 발명하는 것이 과제인 것이다.
둥근 팅(ring)처럼 된 석쇠승강기의 하부에 조임 볼트로 결합된 4개의 승강기기둥 하부를 십자(十字)형의 브래킷의 4방향의 모서리 끝부분 상부와 역시 조임 볼트로 결합하며, 이 십자형의 브래킷의 중앙(中心)과,
기어모터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래크기어의 상부를 역시 조임 볼트(Screw Bolt)로 결합하고,
이 십자형의 브래킷상부에 4개의 받침대발(다리)이 달린 숯불 통의 받침대를 십자형의 브래킷 위에 올려놓되, 숯불 통 받침대의 네발(다리)은 십자형의 브래킷의 네 갈래의 몸체 사이사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 숯불 통의 놓이는 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하여, 숯불 통 받침대의 네발(다리)중 두 개의 발에 구멍을 내고 화덕몸통의 하판에 이 구멍에 꽂히는 용도의 낮은 원형 말뚝을 착설한다. 석쇠승강기의 하부 십자형의 브래킷의 상부 면이 석쇠승강기가 상한 높이까지 상승해도 숯불 통 받침대의 하부 면과 서로 닿지 않는 높이로서 화덕몸통의 내부하판과의 상하간격 내에서 석쇠승강기가 상하운동을 하게하며,
상하운동 시에 떨림(흔들림)방지를 위하여
기어 모터의 축과 결합된 스퍼기어와 톱니끼리 맞물려 결합한 래크기어의 상측과 하측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2개의 롤러의 한쪽 홈은 래크기어의 톱니가 없는 이면과 밀착되게 한 후에, 기아 모터가 조임 볼트에 의하여 착설된 "ㄱ "자 형의 기어 모터 고정용 브래킷의 측면에 이 2개의 롤러의 프레임을 수직상하로 착설하며, 이 롤러의 이면 홈에는 원봉 또는 다각 봉을 밀착하게 한 후에,
이 봉의 상부는 석쇠승강기의 하부 십자형 브래킷의 한 쪽과 결합한 래크기어 상부 및 래크기어의 톱니의 이면 쪽이 향(向)한쪽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역시 조임 볼트로 결합 착설하며, 하부는 래크기어의 하부와 함께 상한제어 리밋 스위치 작동용 브래킷에 조임 볼트로 결합하고,
십자형의 브래킷의 래크기어(9)와 래크기어의 이면 롤러에 밀착한 원봉 또는 다각 봉의 상부가 결합된 십자형의 브래킷의 네 갈래중의 첫 번째의 한 쪽 방향과 90도 직각되는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십자형의 브래킷의 두 번째 갈래에 2개의 원봉 또는 다각 봉을 착설하며 이 두 개의 원봉 또는 다각 봉이 롤러의 양면의 홈에 밀착되도록 롤러2개를 하부몸통의 한 쪽 측면상하에 각각 한 개 씩 수직되게 고정 착설하고,
이 하부 몸통에는 기어모터브래킷과 기어 모터, 기어모터축과 결합된 스퍼기어, 스퍼기어와 톱니로서 맞물려 결합된 래크기어, 래크기어와 맞물린 롤러, 롤러의 이면에 밀착되는 원봉 또는 다각 봉이 결합 및 내장되게 하며, 이 하부 몸통의 한쪽측면에는 상하에 롤러가 도합2개가 착설되고 이 롤러의 양면 홈과 밀착하여 십자형의 브래킷의 두 번째 갈래 하부에 조임 볼트로 결합되는 환봉 또는 다각 봉이 결합되고, 하부몸통의 상부 둘레는 4각을 이루며, 화덕몸통의 하판에 조임 볼트로서 결합 착설되며,
화덕몸통의 상판은 중앙이 크게 원형으로 뚫린 상태로서 가장자리 둘레만 덮는 형태이며, 중앙에는 숯불 통이 상부에서 공지의 숯불 통 집게에 의하여 넣어지고, 외부로 들어내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운데가 큰 구멍이 난 형태인 석쇠승강기의 둘레외경은 화덕몸통의 상판내경과 숯불 통의 둘레외경과의 중간의 직경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석쇠승강기의 하부에 착설하는 4개의 기둥과 이 기둥의 하부에 결합되는 십자형의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중심부 하부에 결합된 기어모터와 결합된 스퍼기어와 래크기어에 의하여 전기적인 동력신호에 따라서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한 외경과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숯불 통의 넣고 빼는 것이 용이하고 석쇠승강기의 상하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이 석쇠승강기에는 특허제10-0676069에 의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온도센서가 장착되고 이 인출선은 스프링형태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이탈 방지 봉에 감겨서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여 전기조작부내의 자동온도조절기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며, 이 석쇠승강기의 상부에는 창살형의 재래식 창살석쇠를 받치면서 석쇠승강기에 착설된 온도센서에 창살석쇠의 온도를 전달하는 석쇠둘레받침대가 놓이게 되고 이 석쇠둘레받침대 위에 종래의 재래식 창살석쇠를 올려놓게 하고, 석쇠승강기와 온도센서의 인출선은 화덕몸통 내에서만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래크기어와 원봉 또는 다각봉의 봉들은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면서 상하운동을 하도록 이 관통하는 둘레의 화덕몸통의 하판은 구멍이 뚫려 있게 하고 석쇠승강기의 하강을 제어하는 하한제어 리밋 스위치의 장착위치는 하부몸통내의 측면상측에 착설하여 석쇠승강기가 하강하면 석쇠승강기의 기둥하부와 결합된 십자형의 브래킷이 하한제어 리밋 스위치의 누름소자를 압착하여 하강 정지케 하는 것이며, 상한제어 리밋스위치 역시 하부몸통내부 측면에 착설하며, 래크기어(9)와 래크기어의 이면 롤러의 홈에 밀착 착설된 환봉 또는 다각 봉의 하부를 결합한 브래킷의 레버가 상한제어리밋스위치의 누름소자를 압착하여 석쇠승강기의 상한정지 동작을 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은 숯불 통을 외부에서 집게로 집어서 넣고 빼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고 기어모터가 숯불 통의 중심하부에 장착되므로 석쇠승강기의; 상승, 하강 시에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본 발명의 십자형의 승강기다리하부결합용 브래킷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떨림 방지용의 복수개의 환봉 또는 다각 봉을 하부 통의 내부측면 및 기어 모터 고정용 브래킷의 측면에 착설된 복수 개의 롤러의 홈에 밀착시켜서 착설하여, 떨림 현상과 상승하강 시의 기계소음을 최소화 하였고, 마력수가 작은 소형의 기어모터로서 작동이 가능하여서 원가의 대폭 절감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석쇠승강기의 상승상태에서 석쇠와 석쇠둘레 받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복수의 석쇠승강기 기둥의 분해사시도 및 각 부분별 확대도와 온도센서인출선보호관과 온도센서인출선이탈방지봉의 결합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화덕몸통 하판중앙에 래크기어의 수직 측 관통구와 환봉 도는 다각봉의 관통구 및 리밋스위치누름소자의 관통구를 형성한 화덕몸통의 하판과 하한제어용의 리밋스위치작동용 누름소자가 화덕몸통의 하판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표시한 설명도
도4는 내지 6은 본 발명의 구성 내부를 설명하는 상세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둥근 팅(ring)처럼 된 석쇠승강기(1)의 하부에 조임 볼트로 결합된 4개의 승강기기둥(2)하부를 십자(十字)형의 브래킷(6)의 4방향의 모서리 끝부분 상부와 역시 조임 볼트로 결합하며, 이 십자형의 브래킷(6)의 중앙(中心)과,
기어모터(12)와 결합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래크기어(9)의 상부를 역시 조임 볼트(Screw Bolt)로 결합하고,
이 십자형의 브래킷(6)상부에 4개의 받침대발(다리)이 달린 숯불 통(17)의 받침대를 십자형의 브래킷(6) 위에 올려놓되, 숯불 통 받침대(17A)의 네발(다리)은 십자형의 브래킷(6)의 네 갈래의 몸체 사이사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 숯불 통(17)의 놓이는 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하여, 숯불 통 받침대(17A)의 네발(다리)중 두 개의 발에 구멍을 내고 화덕몸통(15)의 하판(8)에 이 구멍에 꽂히는 용도의 낮은 원형 말뚝을 착설한다. 석쇠승강기(1)의 하부 십자형의 브래킷(6)의 상부 면이 석쇠승강기(1)가 상한 높이까지 상승해도 숯불 통 받침대(17A)의 하부 면과 서로 닿지 않는 높이로서 화덕몸통(15)의 내부하판(8)과의 상하간격 내에서 석쇠승강기(1)가 상하운동을 하게하며,
상하운동 시에 떨림(흔들림)방지를 위하여
기어 모터(12)의 축(10A)과 결합된 스퍼기어(10)와 톱니끼리 맞물려 결합한 래크기어(9)의 상측과 하측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2개의 롤러(11)의 한쪽 홈은 래크기어(9)의 톱니가 없는 이면과 밀착되게 한 후에, 기아 모터(12)가 조임 볼트에 의하여 착설된 "ㄱ "자 형의 기어 모터(12) 고정용 브래킷(14)의 측면(14A)에 이 2개의 롤러(11)의 프레임을 수직상하로 착설하며, 이 롤러(11)의 이면 홈에는 원봉 또는 다각 봉(27)을 밀착하게 한 후에,
이 봉(27)의 상부는 석쇠승강기(1)의 하부 십자형 브래킷(6)의 한 쪽과 결합한 래크기어(9) 상부 및 래크기어(9)의 톱니의 이면 쪽이 향 (向)한쪽과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역시 조임 볼트로 결합 착설하며, 하부는 래크기어(9)의 하부와 함께 상한제어 리밋 스위치(5) 작동용 브래킷(5B)에 조임 볼트로 결합하고,
십자형의 브래킷(6)의 래크기어(9)와 래크기어(9)의 이면 롤러(11)에 밀착한 원봉 또는 다각 봉(27)의 상부가 결합된 십자형의 브래킷(6)의 네 갈래중의 첫 번째의 한 쪽 방향과 90도 직각되는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십자형의 브래킷(6)의 두 번째 갈래에 2개의 원봉 또는 다각 봉(28, 29)을 착설하며 이 두 개의 원봉 또는 다각 봉(28, 29)이 롤러(11)의 양면의 홈에 밀착되도록 롤러(11) 2개를 하부몸통(25)의 한 쪽 측면상하에 각각 한 개 씩 수직되게 고정 착설하고,
이 하부 몸통(25)에는 기어모터브래킷(14)과 기어 모터(12), 기어모터축(10A)과 결합된 스퍼기어(10), 스퍼기어(10)와 톱니로서 맞물려 결합된 래크기어(9), 래크기어(9)와 맞물린 롤러(11), 롤러(11)의 이면에 밀착되는 원봉 또는 다각 봉(27)이 결합 및 내장되게 하며, 이 하부 몸통(25)의 한쪽측면에는 상하에 롤러(11)가 도합 2개가 착설되고 이 롤러(11)의 양면 홈과 밀착하여 십자형의 브래킷(6)의 두 번째 갈래 하부에 조임 볼트로 결합되는 환봉 또는 다각 봉(28, 29)이 결합되고, 하부몸통(25)의 상부 둘레는 4각을 이루며, 화덕몸통(15)의 하판(8)에 조임 볼트로서 결합 착설되며,
화덕몸통(15)의 상판(7)은 중앙이 크게 원형으로 뚫린 상태로서 가장자리 둘레만 덮는 형태이며, 중앙에는 숯불 통(17)이 상부에서 공지의 숯불 통(17) 집게에 의하여 넣어지고, 외부로 들어내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운데가 큰 구멍이 난 형태인 석쇠승강기(1)의 둘레외경은 화덕몸통(15)의 상판(7)내경과 숯불 통(17)의 둘레외경과의 중간의 직경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석쇠승강기(1)의 하부에 착설하는 4개의 기둥(2)과 이 기둥(2)의 하부에 결합되는 십자형의 브래킷(6)과 이 브래킷(6)의 중심부 하부에 결합된 기어모터(12)와 결합된 스퍼기어(10)와 래크기어(9)에 의하여 전기적인 동력신호에 따라서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한 외경과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숯불 통(17)의 넣고 빼는 것이 용이하고 석쇠승강기(1)의 상하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이 석쇠승강기(1)에는 특허제10-0676069에 의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온도센서가 장착되고 이 인출선은 스프링 형태로 온도감지센서 인출선 이탈 방지 봉에 감겨서 화덕몸통(15)의 하판(8)을 관통하여 전기조작부내의 자동온도조절기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며, 이 석쇠승강기(1)의 상부에는 창살형의 재래식 창살석쇠(18)를 받치면서 석쇠승강기(1)에 착설된 온도센서(20)에 창살석쇠(18)의 온도를 전달하는 석쇠둘레받침대(1A)가 놓이게 되고 이 석쇠둘레받침대(1A)위에 종래의 재래식 창살석쇠(18)를 올려놓게 하고, 석쇠승강기(1)와 온도센서(20)의 인출선(20D)은 화덕몸통(15) 내에서만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래크기어(9)와 원봉 또는 다각봉의 봉들은 화덕몸통(15)의 하판(8)을 관통하면서 상하운동을 하도록 이 관통하는 둘레의 화덕몸통(15)의 하판(8)은 구멍이 뚫려 있게 하고 석쇠승강기(1)의 하강을 제어하는 하한제어 리밋 스위치(5 ')의 장착위치는 하부몸통(25)내의 측면상측에 착설하여 석쇠승강기(1)가 하강하면 석쇠승강기(1)의 기둥(2)하부와 결합된 십자형의 브래킷(6)이 하한제어 리밋 스위치(5')의 누름소자(6A)를 압착하여 하강 정지케 하는 것이며, 상한제어 리밋스위치(5) 역시 하부 몸통(25) 내부 측면에 착설하며, 래크기어(9)와 래크기어(9)의 이면 롤러(11)의 홈에 밀착 착설된 환봉 또는 다각 봉(27)의 하부를 결합한 브래킷의 레버(5B)가 상한제어리밋스위치(5)의 누름소자(5A)를 압착하여 석쇠승강기(1)의 상한정지 동작을 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이다.
창살석쇠를 사용해야 직불에 고기전체를 굽는 것이므로 이를 고수하는 재래식 숯불구이방식도 시대변화에 따라서 발암성물질인 벤조피렌이 탄 고기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상식화 되어가고 있으므로 전국의 숯불재래식구이 기기를 본 발명품으로 교체하는 것의 필요성은 본 발명은 숯불이 소진될 때 까지 숯불을 사용하므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효과와 숯의 과도생산 때문에 산림의 나무수가 줄어드는 것을 억제하여 녹색성장을 이루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1…석쇠승강기 1A…석쇠둘레받침대 2…석쇠승강기기둥, 5…리미트스위치(상한제어용) 5 '…리미트스위치(하한제어용) 5B…상한제어스위치작동용 브라켓 6…십자형의 브래킷. 8…화덕몸통(15)의 하판 9…래크기어(막대형의 한쪽측면이 톱니기어로 된 Rack Gear). 10…스퍼기어(기어모터축에 연결된 둥근형의 톱니기어의 공업상의 명칭으로서로서 래크기어(Rack_Gear)와 톱니끼리 맞물려서 기어모터가 정(正)방향과 역(逆)방향의 회전을 하는데 따라서 래크기어가 상승하고 하강하게 하는 스퍼기어(Spur Gear). 10A…기어모터(Gear Moter)의 축(Shaft). 11…로울러(Roller) 12…기어모터 15…화덕몸통 17…숯불 통 17A…숯불 통 받침대 18…재래식 창살석쇠, 20…온도센서 20D…온도센서인출선 25…하부몸통 33…소형 하부브라켓

Claims (1)

  1. 석쇠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하부가 타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창살석쇠와 이를 받치는 석쇠둘레받침대 하부에 밀착하는 석쇠승강기가 온도조절장치에 미리 설정되는 온도에 의하여 석쇠승강기 상부측면에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전달되는 온도가, 타는 온도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하는 높이만큼 상승하고, 숯불통의 화력이 굽는 온도 이하로 되면 하강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에 있어서;
    인출선 보호관이 달린 온도감지센서와, 복수의 기둥이 달린 석쇠승강기 및 이 승강기의 상부에 얹히는 석쇠둘레받침대를 화덕몸통 내부둘레에 형성되게 하고, 온도감지센서의 인출선 보호관과 복수개의 기둥이 화덕몸통의 상판 위로 상승 하강하며, 석쇠승강기의 복수개의 기둥하부와 결합한 십자형의 브래킷 하부와 결합하게 하고,
    화덕몸통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부몸통 내에 착설된 기어모터의 회전축과 결합한 스퍼기어와 이 스퍼기어의 톱니와 톱니끼리 맞물려 수직으로 밀착되는 래크기어의 상부는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여 십자형의 브래킷에 결합되고 이 래크기어의 톱니 없는 이면은 기어모터 고정용 브래킷에 롤러프레임이 착설된 2개의 수직으로 된 롤러의 홈에 밀착하게 하고, 이 롤러의 이면에는 환봉 또는 다각 봉이 수직으로 밀착되어 상부는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여 십자형의 브래킷에 결합하고, 하부는 하부몸통 내에 장착된 상한제어스위치를 제어하는 레버와 결합하는 단계;
    래크기어의 상부와 이와 롤러의 양면을 맞대고 밀착한 환봉 또는 다각 봉이 결합된 십자형의 브래킷 갈래의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 90도 직각방향에 위치한 두 번째 십자형의 브래킷에 제2의 환봉 또는 다각 봉 2개를 역시 롤러 2개가 하부몸통의 측면에 수직 상하로 롤러프레임이 착설된, 롤러의 양면 홈에 수직으로 상부는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여 착설하고, 하부는 2개의 하부가 롤러의 내측 홈과 브래킷으로 결합하며, 하한제어리밋스위치는 십자형의 브래킷의 하부의 화덕몸통의 하판을 관통하여 하부몸통측면에 장착된 하한제어 리밋스위치의 누름소자가 하부몸통의 하판 위로 올라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KR1020100091242A 2010-09-16 2010-09-16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KR10116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42A KR101167607B1 (ko) 2010-09-16 2010-09-16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42A KR101167607B1 (ko) 2010-09-16 2010-09-16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740U Division KR20080002283U (ko) 2008-06-11 2008-06-11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57A KR20100131957A (ko) 2010-12-16
KR101167607B1 true KR101167607B1 (ko) 2012-07-24

Family

ID=4350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242A KR101167607B1 (ko) 2010-09-16 2010-09-16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472Y1 (ko)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0676069B1 (ko) 2005-06-09 2007-02-01 최선희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472Y1 (ko)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0676069B1 (ko) 2005-06-09 2007-02-01 최선희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57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6140A (en) Barbecue pit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US11925293B2 (en) Stove with a height-adjustable grill grate
KR100572921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167607B1 (ko) 직불구이의 화기조절장치
KR20110131520A (ko) 높낮이를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고기구이용 화로
CN205321016U (zh) 多功能无烟自动旋转架式烤肉炉
CN107960879A (zh) 一种高效烧烤机
KR100545147B1 (ko) 행거식 피가공물장착꼬치의 승강구조
KR101744439B1 (ko) 높낮이 조절가능한 꼬치 구이장치
CN206994207U (zh) 一种立式烤炉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CN209574456U (zh) 自动旋转电烧烤炉
KR100871830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CN208243430U (zh) 一种烧烤炉
CN216823010U (zh) 一种户外烤炉自动升降烤叉支撑装置
CN207152493U (zh) 红外线烧烤炉
KR102448918B1 (ko) 고기 구이기
KR20110008897U (ko) 높이 조절용 화로 구이기
CN204033142U (zh) 多功能无烟烘烤炉
KR101304126B1 (ko)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로스터
CN212546673U (zh) 多功能烧烤炉
CN215838463U (zh) 一种立式烤肉装置
CN201085511Y (zh) 全自动旋转式烧烤炉
KR101870582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