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351A -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351A
KR20050071351A KR1020040115807A KR20040115807A KR20050071351A KR 20050071351 A KR20050071351 A KR 20050071351A KR 1020040115807 A KR1020040115807 A KR 1020040115807A KR 20040115807 A KR20040115807 A KR 20040115807A KR 20050071351 A KR20050071351 A KR 2005007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memory
auxiliary memory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370B1 (ko
Inventor
박석효
김학상
류영무
박태원
서병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1049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5011809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7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5Power saving i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68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input interface, i.e. the way data enter the buffer, e.g. by informing the sender that the buffer is bus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694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output interface, i.e. the way data leave the buffer, e.g. by adjusting the clock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731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wherein the buffer I/O can be temporarily suspended, e.g. by refusing to accept further data to be buffer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6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 G11B2020/1074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aspects of buffer control involving a specific threshold valu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0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over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메모리 및 주메모리를 구비하며, 주메모리는 보조메모리의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부트업시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 억세스 모드시 주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메뉴에서 선택된 파일을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설정된 상한 기준값 까지 주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설정된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보조메모리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버퍼의 상한기준값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데이터 처리 및 버퍼링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METHOD FOR PROCESSING FILE OF SUB MEMORY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억세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장치로써, 전화 기능이 주가 된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전화기는 전화기능 이외에 점차 멀티미디어 정보를 처리하는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휴대전화기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영상데이터를 처리하고, 또한 음악 파일 및 전자사전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해서는 큰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즉, 음악 및 사진영상(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는 큰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처리하는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용량이 큰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위하여, 현재 휴대단말기에 보조메모리를 부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메모리는 메모리 또는 디스크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 장치리는 하드디스크 및 광디스크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디스크에는 WORM(write once read many) 형의 광디스크로써, CD 또는 DVD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보조메모리로 디스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에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상기 디스크의 정보를 억세스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억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크장치를 구동하여야 하는데, 상기 디스크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보조메모리의 데이터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보조메모리의 데이터 파일을 데이터를 적절한 크기로 버퍼링하면서 직접 억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메모리 및 내부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메모리는 상기 보조메모리의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며, 부트업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 억세스 모드시 상기 내부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서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설정된 상한 기준값 까지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설정된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상기 상한기준값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버퍼링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대용량 메모리이 보조메모리 및 주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주메모리는 다수의 블록들을 가지는 버퍼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데이터 저장모드시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에 설정된 상한 기준값의 블록들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데이터가 버퍼의 상한 기준값까지 버퍼링되면 파일시스템을 구동하며 상기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버퍼의 다음 블록에 버퍼링하며,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버퍼에서 가장 먼저 버퍼링된 블록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블록에서 버퍼링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대용량 메모리이 보조메모리 및 주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주메모리는 다수의 블록들을 가지는 버퍼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데이터 재생모드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을 표시하며,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억세스하여 상기 주메모리 버퍼에 설정된 상한 기준값의 블록들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하며, 상기 버퍼의 하한 기준값까지 처리되면,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다음 블록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상기 버퍼 버퍼링시키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크 장치를 보조메모리로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디스크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디스크장치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억세스하여 재생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억세스할 때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 파일을 보조메모리에서 읽어 메모리에 버퍼링한 후, 메모리에 버퍼링된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면서 해당 데이터파일의 기능을 신속하게 처리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파일이 상기 메모리에 할당된 버퍼크기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의 버퍼 크기에 따라 버퍼링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해당 데이터 파일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를 직접 억세스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의 버퍼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위로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내부에 버퍼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17은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17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11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제어부110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19는 상기 제1제어부11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1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메모리135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메모리113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호 처리 및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호에 관련되는 데이터(예를들면 폰북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표시부119은 상기 제1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일반 상태 정보(시간 등)를 표시하며, 호의 착신 여부등을 표시한다. 스피커구동부121은 착신시 경보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외장 스피커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휴대단말기의 전화 기능을 처리하는 구성으로써, 제1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10은 상기 코덱 및 모뎀들을 구비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코덱 및 모뎀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데이터처리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39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제2제어부130은 카메라부13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또한 음악파일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제어부130은 멀티미디어 제어부로써, 영상 및 음악 파일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제1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가 통화모드와 같은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부110이 동작되어 휴대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대기모드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제어부130에 휴대단말기의 제어권을 넘겨주게 된다.
제2메모리133은 영상 및 음악 파일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상기 제2메모리133은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2메모리133은 플래시 메모리 및 SD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메모리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보조메모리의 버퍼로 사용할 수 있다.
보조메모리135는 외부에서 장착되는 메모리로써, 디스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는 광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가 될 수 있으며, 광디스크인 경우에는 CD 또는 DVD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픽업유니트(pick up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IC137은 상기 제2제어부130이 I/O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상기 보조제어부135는 IDE 모드만 지원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소자로써, IDE모드(true IDE mode)를 지원하여 상기 제2제어부130과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메모리133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처리할 때 상기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메모리133은 상기 제2제어부130의 주메모리로써, 워크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2메모리133은 주메모리 또는 제2메모리로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 표시부141은 통화모드시 상기 제1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통화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제2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주표시부14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주표시부141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오디오처리부143은 음악 파일등과 같은 오디오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 및 모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처리부143는 MP3 음악 파일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통화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15를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17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RF부117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RF부117 및 오디오처리부119로 이루어지는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착신 통화시 상기 제1제어부110은 착신 요구를 감지하고, 착신호를 경보하는 동시에 상기 주표시부141 상에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착신 호를 서비스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10은 상기와 같은 음성 통화 이외에 SMS 등과 같은 문자통신 서비스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통신모드에 처리되는 표시 데이터는 상기 제2제어부130을 통해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화모드 이외의 대기모드에서 상기 제1제어부110 및 제2제어부130으 상기 주표시부141에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제2제어부130의 제어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키입력부115를 통해 발생되는 키데이터들은 제1제어부110을 통해 제2제어부130에 인가되며,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는 제2제어부130에서 처리한 후 오디오처리부143을 통해 재생된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시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는 상기 제2제어부130의 제어하에 주표시부141에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제2제어부130에서 상기 키입력,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부110과 상관없이 직접 제어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데이터의 경우 정지영상데이터는 JPEG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JPEG 코덱 및 MPEG 코덱을 구비하여 영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음악파일의 경우 일반적으로 MP3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처리부143은 MP3 코덱을 구비하여 음악 파일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딩 방식 이외에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130은 필요한 방식의 코덱을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촬영모드임을 상기 제2제어부130에 통보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카메라139를 구동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는 제2제어부130에서 영상 처리된 후 제2메모리133 및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선택된 영상데이터를 억세스한 후 영상처리하여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한다. 두 번째로 음악파일의 재생을 선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음악파일을 억세스하여 오디오처리부143을 통해 재생한다.
이때 상기 영상 및 음악파일은 데이터의 크기가 큰 관계로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수백 메가에서 수 기가 크기의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데이터를 억세스할 때,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저장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의 영역은 일정 크기(예를들면 2M에서 64메가 사이)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제어부130에서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 파일을 직접 억세스(Direct HDD access)하는 구조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버퍼를 구비하여 억세스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도 2a와 같이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직접 억세스하는 경우, 상기 보조메모리135인 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기동시간이 필요하다. 즉,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 파일을 직접 억세스하는 경우,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부를 구동하면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파일 데이터를 억세스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디스크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인 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디스크구동장치를 기동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데이터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110은 일정 크기의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시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을 재개하여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런 경우 데이터 억세스시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기동시간만큼 데이터의 처리도 중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b와 같이 제2메모리135에 버퍼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버퍼의 상한 기준값 및 하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버퍼영역에 버퍼링되는 데이터가 상기 상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링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하한 기준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링 동작을 재개하도록 상기 구동부137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할 때, 상기 버퍼영역이 풀 상태에 도달하면 억세스 동작을 중단하고 엠프티(empty) 상태에 도달하면 다시 억세스 동작을 재개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장치를 단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전원 소모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135로부터 데이터를 안정되게 억세스할 수 있어 데이터 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 시스템은 전자사전, 음악 또는 영상 파일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논리적으로 파일들을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 등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도스(DOS), 윈도우(window), OS/2, 매킨토시 및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계(operating system)들은 모두 파일들이 어딘가에 계층적인 구조로 위치하는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파일은 계층구조 내의 바른 위치인 디렉토리(윈도우 95 이후에는 폴더(folder) 또는 서브 디렉토리 내에 놓여진다. 상기 파일 시스템들은 파일의 이름을 붙이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런 규칙에는 파일이름의 길이 제한, 어떤 글자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 등이 포함되며, 몇몇 시스템에서는 파일이름 확장자의 길이까지 제한하고 있다. 파일 시스템은 또한 디렉토리 구조를 통하여 파일까지 가는 경로를 설정하는 형식을 포함한다.
또한 IDE는 컴퓨터 마더보드(mother board)의 데이터 버스와 컴퓨터 디스크 장치 간에 사용되는 표준 전자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상기 IDE 인터페이스가 지원되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I/O모드, 메모리모드, IDE모드로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메모리135가 IDE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2제어부135가 상기 I/O모드, 메모리모드, IDE모드로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TIC137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억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메모리135가 IDE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2제어부130이 I/O모드, 메모리모드 인터페이스 기능만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직접 억세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제어부130과 보조메모리135 사이에 IDE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transition IC)137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을 억세스하는 경우 I/O모드 또는 메모리모드로 인터페이스를 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41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와 IDE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며, IDE 모드로 인터페이스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제어부130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제어부130에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2제어부130이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억세스할 때,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하여 처리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화로 대용량의 저장매체의 필요로 하며, 이때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시간을 최소화시켜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디스크 장치이므로, 충격에 약하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동성이 큰 단말장치로써, 낙하 등에 의해 장치에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낙하되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디스크 구동장치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억세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정된 위치에 놓여질 때 까지 대기한 후,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억세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135가 광디스크인 경우에는 한번에 한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메모리135가 하드디스크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데이터의 기록 및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절차를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억세스 방법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먼저 상기 제2메모리133에 기록할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기록하는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을 분석하여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들을 설정한다. 즉, 전자사전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0에 저장된 전자사전 데이터파일을 읽어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하고, 이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전자사전 기능을 수행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2제어부110은 보조메모리135에서 전자사전 데이터 파일을 1회에 걸쳐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하고, 이후에는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억세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음악 파일등과 같은 큰 용량을 가지는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량을 분석하면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억세스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을 개시하기 위한 하한 기준값 및 상기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상한 기준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MP3인 경우, 통상 4분 전후의 한곡이 4M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 용량이 32M인 경우, 상기 상한 기준값을 28M로 설정하고, 하한 기준값을 4M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28M의 데이터들이 버퍼링될 때 까지 상기 구동부137을 구동하여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억세스한 후, 상기 구동부137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이후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의 데이터가 4M로 떨어질때 까지 구동부137의 구동을 오프시키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가 4M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상기 구동부137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상한 및 하한 기준값은 모든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멀티미디어의 종류 및 코딩시에 사용된 샘플링 레이트 및 압축율에 따라 재생되는 시간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즉, MP3 음악 파일은 MPEG 동영상파일보다 재생시간이 더 길 수 있으며, 또한 샘플링 레이트 및 양자화비트 수가 작을수록 재생시간이 더 길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의 종류가 동영상파일인 경우 상기 하한 기준값을 더 높게 설정하고, 또한 샘플링 레이트 및 양자화비트수가 클수록 상기 하한 기준값을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멀티미디어 재생이 최초 시작된 경우, 상기 제2제어부11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데이터를 버퍼링할 때, 상기 버퍼영역을 풀 상태로 버퍼링한 후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설정된 크기의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재생동작을 수행하면서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130이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며, 초기화 동작 완료후 제2제어부130에 전원온 상태를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초기화를 부트업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315단계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읽어 제2메모리13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의 메뉴에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각 데이터 파일의 목록 및 데이터 파일의 크기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후 상기 제2제어부130은 대기모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호처리 모드시 상기 제1제어부110에서 인가되는 표시데이터를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시 사용자는 키입력부115를 통해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재생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0에서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파일이름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대응되는 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파일 선택시 상기 제2제어부317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처리하여야 데이터파일을 직접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직접 억세스모드(direct disk access mode)는 상기 도 2a와 같이 버퍼링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2제어부130이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직접 억세스모드이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직접 억세스하여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직접 억세스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2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보조메모리135의 파일 데이터 크기를 분석하며, 32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파일의 크기가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된 버퍼 크기보다 큰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파일의 크기가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된 버퍼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25단계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구동하여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한 후, 이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선택된 파일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12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저장된 파일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데이터의 처리를 종료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종료 요구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파일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선택된 보조메모리135의 파일 크기가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예는 전자사전 처리의 경우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전자사전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전자사전 파일의 크기를 분석하고, 저장하고 있는 전자사전 파일의 크기가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된 버퍼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고 있는 전자사전 파일을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옮겨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사전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1회에 걸쳐 기동하여 파일을 억세스하며, 이후 억세스된 파일을 내부 메모리에서 처리하게 되어 파일 데이터의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1회에 걸쳐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구동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도 상기 선택된 파일 데이터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전자사전 기능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선택된 영상파일, 음악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상기 버퍼 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323단계에서 선택된 파일의 크기가 상기 버퍼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제2제어부130은 333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버퍼링되는 데이터의 양을 제어하면서 선택된 파일을 처리한다. 상기 도 3의 333단계에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은 도 4와 같은 절차로 수행된다. 상기 도 4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억세스할 때, 시작시점에서 상기 버퍼영역을 풀 상태로 버퍼링한 후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때 상기 버퍼영역의 상한 및 하한 기준값은 멀티미디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 크기로 고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11단계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선택된 파일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이 풀 상태가 될 때 까지 상기와 같은 버퍼링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이 풀 상태가 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메모리315의 동작을 오프시켜 데이터 버퍼링 동작을 중단한다. 이후 상기 제2제어부130은 415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I/O 장치에 출력하여 재생한다. 이때 상기 I/O장치는 음악파일인 경우 오디오처리부143이 될 수 있으며, 동영상파일인 경우 상기 주표시부141 및 오디오처리부143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 잭에 스피커 및 표시부가 연결된 경우에는 외부에 연결되는 I/O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보조메모리135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이며, 이로인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417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의 데이터 잔량을 미리 설정된 상기 하한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의 데이터 잔량이 상기 하한 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415단계로 되돌아가 버퍼링된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상기 버퍼영역의 데이터 잔량이 상기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3단계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온시키며,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파일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와 같이 보조메모리135의 파일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하는 중에도 상기 파일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계속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파일 데이터의 버퍼링 및 파일데이터의 처리가 동시에 수행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일데이터의 버퍼링 및 처리 동작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423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을 미리 설정된 상기 상한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상한 기준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42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구동하면서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 량이 상기 상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4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을 오프시킨 후 상기 415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버퍼링 동작은 중단되고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만을 수행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메모리135의 억세스 절차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단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메모리135를 단속적으로 구동하면서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에 사용자가 종료 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억세스 절차를 종료하고 상기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억세스되는 파일의 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130은 419단계 또는 429단계에서 억세스된 파일 데이터의 마지막임을 감지하고 데이터의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마지막 데이터의 의미는 사용자가 재생을 위해 지정한 파일의 마지막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러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3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마지막 데이터를 재생한 후,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의 동작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할 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검사하고,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상한 또는 하한값에 따라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 버퍼링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을 다수의 블록들로 구성하고, 상기 블록단위로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메모리를 다수의 블록들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억세스하면서 버퍼링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보조메모리135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비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녹화(또는 녹음)하는 절차 및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제어부130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버퍼영역은 다수의 블록 영역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영역의 블록 크기는 처리되는 데이터의 종류(예를들면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또는 정보데이터(information data)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에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을 설정된 상한 및 하한값과 비교하여 파일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시스템이 구동되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부(여기서는 HDD driver)가 구동되어 블록 크기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블록크기의 데이터를 읽어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보조메모리125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카메라139에서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카메라139로부터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하며, 상기 제2메모리133에 비디오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까지 버퍼링되면 내부의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녹화모드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카메라139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139로부터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511단계에 이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코딩(예를 들면 MPEG 코딩)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513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처리되는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설정된 버퍼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은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로 설정한다. 이는 상기 데이터 처리시 비디오 데이터의 량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양 보다 많으므로 버퍼링되는 데이터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515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버퍼링되는 데이터의 량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이 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가 상기 설정된 상한값이 되었으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조메모리135에 옮겨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파일시스템이 구동되면, 상기 보조메모리133의 구동부(HDD driver)가 동작되어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블록 크기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TIC137에 출력하며, 상기 TIC137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의 억세스속도는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되는 속도보다 상기 파일시스템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되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일시스템이 구동되면,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 저장된 블록 크기의 데이터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다.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블록크기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한 후 오프되어 대기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카메라139로부터 촬영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하며, 상한값 까지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파일시스템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파일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상기 카메라139의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에 버퍼링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제2메모리133에서 블록 크기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며, 상기 블록크기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면 오프되어 다음 상태까지 대기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가 녹화 동작을 종료할 때 까지 반복 수행되며, 사용자가 종료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5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도 6은 상기 도 5에서 파일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2제어부130은 녹화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카메라139를 구동한 후, 551단계 - 555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카메라139에서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하는 동시에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되는 버퍼 영역은 580 또는 590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되는 버퍼 영역은 상기 도 5의 580 및 5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며, 이때 버퍼를 구성하는 블록의 크기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블록은 1MB 크기로 설정되고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상기 블록은 700KB 크기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영역에서 2개의 블록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버퍼링 상한 값으로 가정하고, 1개 블록 데이터가 버퍼링되어 있으면 이를 하한값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555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의 2블록에 데이터가 버퍼링될 때 까지 상기 카메라139에서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버퍼 영역의 2블록에 비디오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제어부130은 55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파일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은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한 후, 상기 551단계 - 555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카메라139에서 촬영되는 비디오데이터를 처리하여 버퍼영역의 블록에 저장한다. 예를들면, 상기 580의 블록 #1 및 #2에 비디오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블록 #3에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이 구동되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블록 #1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파일시스템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링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561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할 데이터의 블록 영역을 설정하고, 563단계에서 보조메모리135의 구동부가 세그먼트 단위로 상기 설정된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TIC137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세그먼트(segment) 크기는 8KB라고 가정하며, 상기 세그먼트는 16 섹터(sector) 크기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그러면 상기 TIC137은 565단계에서 상기 세그먼트 크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섹터 단위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출력하며, 상기 보조메모리135는 567단계에서 상기 섹터단위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TIC137은 상기 565단계에서 세그먼트 데이터를 모두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전송하면, 상기 보조메모리135의 구동부에 이를 통보하여 다음 세그먼트 데이터의 출력을 요구하며, 이런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설정된 블록의 버퍼링 데이터들을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설정된 블록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 완료하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제2제어부130에 이를 통보하고 구동을 중단한다.
그러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제2메모리133의 1블록 데이터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되었음을 감지하며, 상기 제2메모리133의 블록 #3에 상기 카메라139에서 촬영되는 비디오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의 #3에 데이터 버퍼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으 다시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블록 #1에 처리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블록 #2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상기 버퍼 영역을 다수의 블록단위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블록들이 채워지면 상기 보조메모리567을 구동하여 버퍼링된 블록 크기 데이터를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고, 상기 제2제어부130이 블록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나머지 시간은 구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메모리135 및 이를 구동하는 수단들은 비연속적으로 구동되며,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 목록을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되는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611단계에서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도록 파일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611단계에서 선택된 파일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억세스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은 최초 데이터 억세스가 요구되면,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된 버퍼의 상한값 크기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613단계에서 상기 억세스되는 파일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버퍼링한다.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의 상한값 까지 데이터 버퍼링될 때 까지 대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제2메모리130에 버퍼링되는 데이터 량을 검사하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크기가 설정되 상한값에 이르면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 및 619단계를 수행하면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 및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 및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링된 데이터 크기를 검사하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크기가 설정된 하한값에 이르면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617단계로 되돌아가 데이터 처리 및 재생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제2제어부130의 구동명령에 의해 상기 버퍼의 상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억세스하여 출력한다.
도 8은 상기 도 7과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 재생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되는 버퍼 영역은 상기 도 6에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 구조는 도 8의 680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구조는 도 8의 69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580 및 5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메모리133에 할당되는 버퍼 구조는 3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며, 2개 블록들에 버퍼링되는 데이터 양을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1개 블록 이하로 버퍼링되는 데이터 양을 하한값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재생모드시 상기 제2제어부130은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기 위하여 651단계에서 파일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그러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선택된 파일의 2개 블록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한 후 구동을 중단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한 후, 상기 제2제어부130은 653단계에서 상기 파일시스템에 의해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보조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 버퍼링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버퍼에 버퍼링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크기가 상한값(2MB: 2 블록 데이터)이 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65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57단계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 영역에서 1블록 데이터를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억세스되는 1블록 데이터는 659단계 - 663단계에서 처리되어 상기 주표시부141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130은 671단계에서 1 블록의 데이터 처리를 완료할 때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억세스한 1 블록의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1블록의 데이터를 처리 완료하면 67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파일시스템을 구동 명령을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673단계에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다음 1블록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선택된 파일의 재생이 종료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종료 명령이 발생될 때 까지 반복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1블록의 1MB인 경우, 재생모드 시작시 상기 제2제어부130은 파일시스템을 구동하며, 상기 파일시스템은 선택된 파일의 2MB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파일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2MB 데이터를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의 블록 #1 및 블록 #2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2MB 데이터가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의 블록 #1 및 블록 #2 영역에에 버퍼링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버퍼 영역이 상한 값 까지 데이터를 버퍼링하였음을 감지하고, 블록 #1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처리한다. 이후 상기 블록 #1 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하면, 상기 제2제어부130은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블록 #2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처리한다. 그러면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 저장된 다음 블록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며, 이 데이터는 상기 버퍼의 #3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종료 명령이 발생될 때 까지 반복 수행되며,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0이 1블록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다음 블록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의 버퍼의 블록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1 블록의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제2메모리133에 저장하며, 상기 제2제어부130에 블록 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하는 시점까지는 보조메모리135의 구동부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보조메모리135에서 상기 제2메모리133에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은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류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VD, CD 및 하드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장치를 보조메모리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경우 상기 보조메모리를 단속적으로 제어하면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상기 버퍼링되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속적인 보조메모리의 억세스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스크장치를 연속적으로 구동하지 않으므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보조메모리를 초기에 억세스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정된 상태에 놓여질 때 까지 대기한 후 데이터를 억세스하므로써 휴대단말기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제2제어부와 보조 메모리 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제어부에서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메모리 억세스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록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5에서 파일시스템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재생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는 도 7에서 파일시스템에서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주메모리에 버퍼링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0)

  1.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메모리 및 내부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메모리는 상기 보조메모리의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트업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 억세스 모드시 상기 내부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서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설정된 상한 기준값 까지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설정된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상기 상한기준값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버퍼링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상한 기준값은 상기 버퍼 영역의 2/3 크기이며, 상기 하한 기준값은 상기 버퍼영역의 1/3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외부 메모리인 보조메모리 및 내부메모리에 할당되어 상기 보조메모리의 선택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억세스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트업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대기모드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 억세스 모드시 상기 내부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서 파일 선택시 상기 선택된 파일의 크기가 상기 버퍼에 버퍼링할 수 있는 크기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파일이 상기 버퍼에 버퍼링할 수 있는 크기이면,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서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고, 상기 버퍼링 완료시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파일이 상기 버퍼에 버퍼링할 수 있는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설정된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데이터 처리 동작을 유지하며, 상기 보조메모리를 구동하여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상한 기준값 까지 버퍼링되면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 억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버퍼링된 파일 데이터를 처리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대용량 메모리인 보조메모리 및 주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주메모리는 다수의 블록들을 가지는 버퍼 영역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모드시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가 버퍼의 상한 블록들까지 버퍼링되면 파일시스템을 구동하며,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버퍼의 하한블록까지 버퍼링하고 있는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가 3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에 2블록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한 기준값이며 1블록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하한기준값으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블록 크기는 처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대용량 메모리이 보조메모리 및 주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주메모리는 다수의 블록들을 가지는 버퍼 영역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재생모드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을 표시하며,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주메모리의 버퍼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파일시스템을 구동하여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상기 주메모리 버퍼에 설정된 상한 블록들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버퍼의 설정된 하한 블록까지 처리되면, 상기 파일시스템을 구동하고, 상기 파일시스템은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버퍼의 상한 블록들까지 버퍼링시키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종료 명령 발생시 까지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가 3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퍼에 2블록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한 기준값이며 1블록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하한기준값으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블록 크기는 처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대용량의 보조메모리 및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 재생모드 모드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의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서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설정된 크기로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버퍼링되는 파일들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내부메모리에 버퍼링하는 과정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억세스하여 상기 내부메모리의 버퍼에 설정된 상한값 크기 까지 버퍼링하며, 상기 상한값까지 버퍼링된 후 상기 버퍼링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에 따라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설정된 하한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버퍼링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상한 기준값은 상기 버퍼 영역의 2/3 크기이며, 상기 하한 기준값은 상기 버퍼영역의 1/3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부트업시 상기 보조메모리의 파일시스템 메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는 과정이,
    상기 보조메모리에서 설정된 상한 블록 수의 데이터들을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며, 상기 상한블록수의 데이터 버퍼링이 완료되면 상기 버퍼링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서 하한 블록수의 데이타까지 처리되면, 상기 버퍼링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가 3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2블록이 상한 블록수이며, 상기 하한 블록수는 1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블록 크기는 처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대용량의 보조메모리 및 상기 보조메모리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메모리에 데이터 저장모드시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설정된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상기 설정된 상한 크기의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버퍼링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설정된 하한 크기가 되면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처리가 종료될 때 까지 상기 버퍼에 버퍼링된 데이터가 상기 상한크기가 되면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에 버퍼링하는 과정이,
    상기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설정된 상한 블록 수까지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상한블록수까지 데이터가 버퍼링되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버퍼의 하한 블록수까지 저장하면 상기 보조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중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가 3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2블록이 상한 블록수이며, 상기 하한 블록수는 1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블록 크기는 처리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115807A 2003-12-30 2004-12-29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KR100651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100233 2003-12-30
KR1020030100233 2003-12-30
KR20040020793 2004-03-26
KR1020040020793 2004-03-26
KR1020040104994A KR20050118091A (ko) 2003-12-30 2004-12-13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040104994 200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51A true KR20050071351A (ko) 2005-07-07
KR100651370B1 KR100651370B1 (ko) 2006-11-29

Family

ID=3457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807A KR100651370B1 (ko) 2003-12-30 2004-12-29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60069A1 (ko)
EP (1) EP1551024A3 (ko)
JP (1) JP2005196781A (ko)
KR (1) KR100651370B1 (ko)
CN (1) CN129162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1890B2 (ja) * 2005-07-26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記録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879382B1 (en) * 2006-07-10 201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524602B1 (ko) * 2008-12-30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2609741B (zh) * 2012-01-31 2016-03-09 上海艾尚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及其内、外部存储卡间数据交换的方法
CN103595513A (zh) * 2012-08-15 2014-02-19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harq数据存取方法及装置
CN104155661B (zh) * 2013-05-15 2016-12-28 安凯(广州)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gnss接收机的控制方法、装置与系统
CN103956175B (zh) * 2014-04-18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及播放设备
KR20160006482A (ko) * 2014-07-09 2016-01-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4166567A (zh) * 2014-08-12 2014-11-26 广州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下载网络流数据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4946T2 (de) * 1990-11-30 1997-09-18 Ibm Bidirektionaler FIFO-Puffer zur Schnittstellenbildung zwischen zwei Bussen
FI98183C (fi) * 1992-02-14 1997-04-25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y data-adapterin kytkemiseksi GSM-solukkopuhelimeen
US5418910A (en) * 1992-05-05 1995-05-23 Tandy Corporation Dual buffer cache system for transferring audio compact disk subchannel information to a computer
JP3230319B2 (ja) * 1992-07-09 2001-11-19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
JP3722297B2 (ja) * 1995-01-30 2005-11-3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用端末装置
KR980013092A (ko) 1996-07-29 1998-04-30 김광호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EP0952577B1 (en) * 1998-04-21 2005-11-2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Power saving system for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512919B2 (en) * 1998-12-14 2003-01-28 Fujitsu Limited Electronic shopping system utilizing a program downloadable wireless videophone
JP2001025053A (ja) * 1999-07-09 2001-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のメモリシステム
US6985719B2 (en) * 2000-12-21 2006-01-10 Nokia, Inc. Secure wireless backup mechanism
US7127264B2 (en) * 2001-02-27 2006-10-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originated interactive menus via short messaging services
US20020137540A1 (en) * 2001-03-22 2002-09-26 Roger Yu Management system kit used for the host of serial PDA or handheld PC
US20020138702A1 (en) * 2001-03-26 2002-09-26 Moshe Gefen Using non-executable memory as executable memory
US6963762B2 (en) * 2001-05-23 2005-11-08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using tactile icons
KR20050118091A (ko) * 2003-12-30 200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US7480749B1 (en) * 2004-05-27 2009-01-20 Nvidia Corporation Main memory as extended disk buffer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1024A2 (en) 2005-07-06
JP2005196781A (ja) 2005-07-21
US20050160069A1 (en) 2005-07-21
KR100651370B1 (ko) 2006-11-29
CN1291625C (zh) 2006-12-20
EP1551024A3 (en) 2005-12-28
CN1638513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20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무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EP1662394A2 (en) Method for accessing data sectors and processing an access failure in a hard disk driv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370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JP2002359694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記憶システム
US20040042768A1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video data
KR100711568B1 (ko) 구비된 대용량 보조 메모리에 대한 고속 데이터 전송 및멀티태스킹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775898B1 (ko) 이동통신단말의 콘텐츠 파일 플레이 리스트 설정방법
KR20050118091A (ko) 휴대단말기에서 보조메모리의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
KR100988110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US20070182832A1 (en) Memory card with function of video/audio data processing
JP4709103B2 (ja) 画像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7780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KR20010026378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한 엠피3 플레이어 시스템
US731294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ard disk driv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74059A (ko) 오디오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장치
JP4003919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003362B2 (ja) アナログ入力装置及びアナログ出力装置
JP2011253405A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27103A (ko) 파일할당표를 이용한 파일 디바이드 및 머지 방법
EP1357466A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content reproducing function
KR20050010073A (ko) 메모리카드 데이터의 텔레비전 재생장치
JP4845413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0555842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JP2007334620A (ja) メモリカードアダプタ
JP2000276390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