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657A -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657A
KR20050067657A KR1020030098655A KR20030098655A KR20050067657A KR 20050067657 A KR20050067657 A KR 20050067657A KR 1020030098655 A KR1020030098655 A KR 1020030098655A KR 20030098655 A KR20030098655 A KR 20030098655A KR 20050067657 A KR20050067657 A KR 2005006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ethylen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683B1 (ko
Inventor
최연범
차승엽
김창희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6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98 내지 99.8중량%의 프로필렌과 0.2 내지 2.0중량%의 에틸렌으로 구성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와 30 내지 60중량%의 프로필렌과 4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b)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성분(a) 65 내지 95중량%와 성분(b) 5 내지 35중량%로 이루어지고, 용융지수가 0.05 내지 1.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특히 파이프용도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THE RESIN COMPOSITION FOR PIPE HAVING IMPROVED SOFTNESS AND IMPACT-RESISTANCE}
본 발명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고온부터 저온까지 폭넓은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파이프는 그의 원료로서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파이프는 강관이나 주철관에 비해 강성은 저하되나, 높은 인성, 시공의 용이성 및 염소 등에 대한 내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용도 전개가 활발해지면서 이의 시장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는 산업용 파이프, 상수/하수용 파이프, 위생용 파이프, 냉/온수 급수용 파이프 및 급탕용 파이프 등 다양한 용도가 있으며, 재료의 특성에 따라 사용용도가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 소재의 파이프는 유연하고 저온에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온수 공급용 및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을 과산화물, 실란 등을 이용하여 가교시키는 기술 등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19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47413호). 그러나, 상기 방법은 파이프 가공시 가교제에 의해 물성을 조절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져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폴리프로필렌이 있으며, 강도, 강성 및 내화학성 면에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차별화된 물성을 가지므로 산업용 파이프, 하수/배수용 파이프, 위생용 파이프, 냉/온수 급수용 파이프 및 급탕용 파이프 용도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중합방법 및 중합된 조성물 구성 차이에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구분된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는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압성 때문에 압력이 많이 걸리는 산업용 파이프에 사용되나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어서 사용 용도에 제한이 있다. 충격강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폴리에틸렌이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블랜드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59305호, 제0027835호, 제0083973호, 제00822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7-0005776호, 제1994-0007077호, 제2003-0031718호). 이러한 발명들은 충격강도가 상당히 개선되어 온수 온돌용, 냉/온수 급수용 및 하수/배수용 파이프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는 처음에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형성시킨 다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을 도입하므로써 제조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소재로 가공한 파이프는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반면에 소재가 딱딱하여 잘 휘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 때문에, 온돌 등 파이프를 휘어서 시공해야 하는 경우에 가열굴곡기를 사용해야 하며, 직선이 아닌 파이프 시공시 연결부위가 취약한 단점이 있어 유연성이 개선된 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제조된 파이프는 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에 비해 유연하여 시공이 다소 수월하나 여전히 소재가 딱딱한 편이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부족하여 추운 지방이나 하수/배수관과 같이 실외에서 시공되는 용도로는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및 내크리프 특성 등 기존의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가지는 기본적인 장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시켜, 파이프용 소재로 사용시 시공이 간편하고,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성분(a) 65 내지 95중량%와 성분(b) 5 내지 35중량%로 이루어지고, 용융지수가 0.05 내지 1.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로서, 성분(a)와 성분(b)가 하기의 특성을 지니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98 내지 99.8중량%의 프로필렌과 0.2 내지 2.0중량%의 에틸렌으로 구성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b) 30 내지 60중량%의 프로필렌과 4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의 성분(a)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동시에 투입하여 제조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이고, 이때 성분(a)내의 에틸렌 성분의 함량은 0.2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성분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이 너무 딱딱하게 되어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반대로, 에틸렌 성분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조성물이 필요 이상으로 유연해져 고압에서의 크리프특성이 떨어지고,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온수 공급용 관과 같이 고온에서 압력을 받는 파이프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성분(a)의 주된 역할은 제조물의 기계적 강성 및 크립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적절한 정도의 내열성과 충격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성분(b)는 성분(a)를 제조한 후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서 제조되며, 성분(b)내의 에틸렌 함량은 40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이 40중량% 미만이거나 7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중합체의 탄성이 점점 감소하여 조성물에 충분한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성분(b)의 주된 역할은 조성물에 내충격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성분(a)와 성분(b)의 절대점도는 조성물의 가공성 및 성분간의 혼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로 조절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성분(a)의 절대점도(ηa)는 3.0 내지 5.0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의 절대점도가 3.0dl/g 미만이면 파이프 가공시 처짐성(sagging)이 증가되어 가공성 저하와 함께 파이프 외관 및 성능 품질이 저하되고, 반대로, 5.0dl/g를 초과하면 파이프 가공장비의 부하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성분(b)의 절대점도(ηb)는 3.0 내지 6.0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의 절대점도가 3.0dl/g 미만이면 탄성저하와 함께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6.0dl/g를 초과하면 가공시 겔화가 되기 쉬워 외관이 나빠지고, 파이프 크리프 실험시 스트레스를 집중적으로 받아 크리프 파열 시간이 단축된다. 성분(a)와 성분(b)의 절대점도의 비율(ηb/ηa)은 0.8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대점도의 비율이 0.8 미만이거나 1.5를 초과하여 두 성분간에 점도 차이가 많이 나면, 성분간의 혼련성이 떨어져 제품이 불균일해지고, 충격물성 및 크리프물성 등의 저하가 일어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함량비율은 성분(a)와 성분(b)의 함량의 합 100중량%를 기준으로 성분(a)가 65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의 함량비율이 65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게 되며, 95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충분히 개선되지 않고, 조성물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230℃, 2.16kg 하중 기준)는 0.05 내지 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5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파이프 가공성이 떨어지고, 1.5g/10분을 초과하게 되면 파이프의 충격강도 및 크리프 특성이 저하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장기열안정제, 내후안정제, 활제, 카본블랙, 안료, 염료, 중화제, 안티블럭킹제 및 분산제 등과 같은 통상의 폴리올레핀 파이프 수지 조성물용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성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2종 이상의 조성물로 구성된 파이프 2중관, 3중관 등의 복합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소재로 사용되는데에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제반물성 측정방법>
- 절대점도 : 고유 점도를 135℃ 데칼린용매에서 측정하였다.
- 용융지수 : ASTM D1238 방법에 따라 23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 ASTM D638 방법에 따라 항복점에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 신율 : ASTM D638 방법에 따라 파단점에서의 신율을 측정하였다.
- 굴곡탄성율 : ASTM D79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굴곡강도 : ASTM D79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 : ASTM D256 방법에 따라 충격강도(아이조드·노치
(Izod notch))를 측정하였다.
- 경도 : ASTM D785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연화점 : ASTM D1525 방법에 따라 1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 파이프 크리프 파괴시간 : 파이프의 크리프 물성은 파이프의 직경을 32mm, 직경과 두께 비율은 11로 가공하여 ISO 1167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크리프 파괴시험은 파이프내를 먼저 물로 채워 항온 수조에서 진행하였으며, 파이프 파괴시험 전에는 1시간 동안 시험하고자 하는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진행하였다.
실시예 1
1단계 : 성분(a)의 제조
반응장치에 온도 70℃, 압력 38kg/cm2의 조건하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동시에 주입하여 반응을 시키되, 생성된 공중합체내의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함량 비율은 프로필렌 98.8중량%일때 에틸렌 1.2중량%이 되고, 조성물의 절대점도가 4.0dl/g이 되도록 공중합을 하여 성분(a)를 제조하였다.
2단계 : 성분(b) 및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성분(a)를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 온도 80℃, 압력 17kg/cm2의 조건하에서 부가 반응시켜 성분(b)를 제조함과 동시에 최종 수지 조성물을 형성시켰다. 2단계에서 생성되는 성분(b)의 프로필렌과 에틸렌 함량 비율은 프로필렌 39.4중량%일때 에틸렌 60.6중량%가 되고, 조성물의 절대점도가 4.9dl/g이 되도록 성분(b)를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성분(a)와 성분(b)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반응시간과 프로필렌 및 에틸렌 투입량을 조절하여 성분(a)와 성분(b)의 함량이 성분(a)가 83중량%, 성분(b)가 17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분의 조성 및 함량 비율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분의 조성 및 함량 비율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1단계의 성분(a)만을 제조하고, 상기 2단계의 성분(b)의 제조공정을 생략하여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1단계의 성분(a) 제조시 에틸렌 투입 없이 프로필렌만을 가지고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시험 시편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물성 평가를 위하여,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0.2중량%를 혼련한 후, 2축 압출기에서 압출 가공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다음, 삼성크뢰크너 110톤 사출기를 이용하여 ASTM 규격의 사출 시편을 제조한 후, 이를 파이프 압출 가공기로 210℃에서 파이프를 성형, 제작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측정항목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성분(a)의 제조 프로필렌 함량 (중량%) 98.8 98.7 97.7 97.2 100
에틸렌 함량 (중량%) 1.2 1.3 2.3 2.8 -
절대점도ηa (dl/g) 4.0 4.1 3.8 4.6 3.6
성분(b)의 제조 프로필렌 함량 (중량%) 39.4 49.4 48.6 - 38.5
에틸렌 함량 (중량%) 60.6 50.6 51.4 - 61.5
절대점도ηb (dl/g) 4.9 4.5 4.7 - 3.9
조성물내성분(a)/성분(b)의 함량 비율 83/17 80/20 68/32 100 83/17
조성물의물성 용융지수 (g/10min) 0.32 0.32 0.28 0.26 0.40
에틸렌 함량 (중량%) 10.5 10.1 16.6 2.8 10.4
절대점도의 비 (ηb/ηa) 1.2 1.1 1.2 - 1.1
* 성분(a) :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 성분(b) :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표 2]
측정항목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인장강도 (kg/cm2) 270 265 200 310 300
신율 (%) 520 485 420 500 330
굴곡탄성율 (kg/cm2) 8,980 8,690 5,670 9,480 13,100
굴곡강도 (kg/cm2) 300 290 190 335 390
충격강도(23℃조건) (kg·cm/cm) 79 79 75 18.8 68
충격강도(0℃조건) (kg·cm/cm) 18 20.4 92 6.3 11.5
경도 (R-scale) 57 59 21 73 76
연화점 (℃) 139 138 107 128 152
파이프 크리프 파괴시간 (시간)(95℃, 4.2 MPa 조건) 24.5 4.5 < 1 123 12
파이프 크리프 파괴시간 (시간)(95℃, 3.8 MPa 조건) 264 44.6 < 1 >1000 69
상기의 표 2의 결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해 보면, 성분(a)내의 에틸렌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은 연화점이 높아 고온에서의 물성이 우수하고, 특히, 95℃에서의 크리프 파괴 시간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비교해 보면, 성분(b)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23℃ 및 0℃ 조건에서의 충격강도가 모두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가 비교예 2 보다 낮아 파이프 굽힘성 등 유연성이 많이 증가되었고, 특히, 열적 물성인 연화점이 비교예 2 보다 월등히 높아서 고온의 환경에까지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비교해 보면, 성분(a)내에 에틸렌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에 비해, 실시예 1은 충격강도가 높고, 특히, 굴곡탄성율, 굴곡강도 등이 낮아 유연성이 크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은 유연성이 우수하여 시공성이 좋은 동시에, 내충격성, 크리프 특성 및 내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하기 성분(a) 65 내지 95중량%와 성분(b) 5 내지 35중량%로 이루어지고, 용융지수가 0.05 내지 1.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로서, 성분(a)와 성분(b)가 하기의 특성을 지니는 수지 조성물:
    (a) 98 내지 99.8중량%의 프로필렌과 0.2 내지 2.0중량%의 에틸렌으로 구성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b) 30 내지 60중량%의 프로필렌과 4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의 절대점도(ηa)가 3.0 내지 5.0dl/g이고, 성분(b)의 절대점도(ηb)가 3.0 내지 6.0dl/g이며, 두 절대점도의 비(ηb/ηa)가 0.8 내지 1.5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하기 성분(a)를 중합 반응장치에서 중합하여 제조한 후, 이어지는 일련의 중합 반응장치에서 하기 성분(b)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98 내지 99.8중량%의 프로필렌과 0.2 내지 2.0중량%의 에틸렌으로 구성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 30 내지 60중량%의 프로필렌과 4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KR1020030098655A 2003-12-29 2003-12-29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KR10057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655A KR100574683B1 (ko) 2003-12-29 2003-12-29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655A KR100574683B1 (ko) 2003-12-29 2003-12-29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657A true KR20050067657A (ko) 2005-07-05
KR100574683B1 KR100574683B1 (ko) 2006-04-27

Family

ID=3725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655A KR100574683B1 (ko) 2003-12-29 2003-12-29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47B1 (ko) * 2008-03-31 2009-05-07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47B1 (ko) * 2008-03-31 2009-05-07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683B1 (ko)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3909B1 (en) Nove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US8519044B2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EP3088459B1 (en) Polypropylene composite
EP2550324B1 (en) Heterophasic polypropylene with excellent creep performance
EP1619217B1 (en) Cable with thermoplastic insulation
KR100805097B1 (ko) 신규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당해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품
KR101985611B1 (ko) 전선 절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1077697B1 (ko) 압출된 프로파일을 위한 레올로지-개질된 열가소성엘라스토머 조성물
US10392498B2 (en)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high strain at break
KR10186291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CN101370868A (zh) 改进外观的丙烯聚合物组合物
US20220112324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Melt Flow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0717639B1 (ko) 용융 장력 및 가열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828620B1 (ko) 내열성 및 고유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조성물
KR102592487B1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574683B1 (ko)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
KR100484603B1 (ko) 내백화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895955B1 (ko) 내충격성 및 흐름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240080485A (ko) 강성, 내충격성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00105065A (ko) 베타결정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148269B1 (ko)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46659B2 (ko)
KR101154108B1 (ko)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1368A (ko) 연질성과 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240071543A (ko)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