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053A -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053A
KR20050067053A KR1020040111803A KR20040111803A KR20050067053A KR 20050067053 A KR20050067053 A KR 20050067053A KR 1020040111803 A KR1020040111803 A KR 1020040111803A KR 20040111803 A KR20040111803 A KR 20040111803A KR 20050067053 A KR20050067053 A KR 2005006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ntainer
ink
liquid container
ligh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612B1 (ko
Inventor
안마히로마사
마쯔모또하루유끼
와따나베겐지로
야마모또하지메
야마구찌유꾸오
고따끼야스오
마쯔오게이스께
기따바따께겐지
시미즈에이이찌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41J19/205Position or speed detectors therefor
    • B41J19/207Encoding along a bar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는 액체 보유 챔버를 한정하는 케이싱과;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도록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케이싱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케이싱의 일측면과 대향인 케이싱의 타측면 상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점과;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액체 용기의 외측으로 방출된 광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공급 포트는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케이싱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접점은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인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LIQUI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잉크 용기의 잉크 잔여량 등의 액체 용기의 상태의 정보가 LED 등의 발광 수단에 의해 통지되는 액체 용기 그리고 용기를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 특히 잉크를 방출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는 잉크젯 기록 유닛 또는 잉크젯 기록 장치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잉크 용기의 형태로 된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헤드의 사용과 더불어 액체의 형태로 된 잉크를 침착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기, 전자 타이프라이터, 워드프로세서를 위한 출력 주변 장치로서의 프린터, 워크스테이션, 퍼스널 또는 호스트 컴퓨터 등, 또는 광학 디스크 장치, 비디오 장치, 디지털 카메라 등에 연결되는 포터블 프린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출력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잉크 용기가 캐리지 등 상에 장착된 기록 헤드에 분리 불가능하거나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제1 스캐닝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고 잉크가 이러한 잉크 용기로부터 기록 헤드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시스템이 있다. 잉크젯 기록 장치가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분리 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거나,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과 무관하게,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용기의 위치 설정 또는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의 관련 부재(예컨대 제1 스캐닝 방향으로 왕복식으로 이동 가능한 직렬 형태의 기록 장치의 캐리지)에 대한 기록 헤드 유닛 즉 기록 헤드 및 잉크 용기의 일체형 조합의 위치 설정은 기록 품질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쟁점들 중 하나이다. 나아가, 크기가 작고, 잉크 용기 또는 잉크젯 기록 헤드 유닛을 장착 또는 해제하는 작업의 관점에서 간단하고 기구의 관점에서 간단한 잉크젯 기록 장치를 위한 잉크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개인적 용도를 위한 잉크젯 기록 장치의 분야에서 특히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된 관심사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잉크 용기 그리고 잉크 용기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의 조합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에 따르면, 잉크 용기에는 단부 표면들 중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클로 그리고 고정 클로를 구비한 표면으로부터의 대향 표면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클로를 구비한 탄성 래칭 레버가 제공된다. 나아가, 잉크 용기가 부착되는 홀더에는 잉크 용기의 고정 클로가 끼워지는 고정 구멍 그리고 잉크 용기의 탄성 래칭 레버의 고정 클로가 끼워지는 고정 구멍이 제공된다. 홀더의 2개의 고정 구멍은 일대일로 홀더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 내에 있다. 잉크 용기의 장착에 대해, 우선, 잉크 용기는 잉크 용기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클로가 홀더의 고정 구멍 내로 끼워지고 잉크 용기가 잉크 용기의 래칭 레버의 고정이 홀더의 고정 구멍 내로 스냅되게 하도록 다른 단부에 의해 홀더 내의 소정 위치 내로 하향으로 가압되게 하도록 위치된다. 2개의 클로가 대응하는 고정 구멍 내에 로킹된 상태로, 잉크 용기는 홀더 내의 전술된 소정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이러한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잉크 용기는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록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잉크 용기 자체에 대한 정보(예컨대, 그 내의 잉크의 색상)를 전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이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정보는 잉크 용기가 잉크젯 기록 장치 내로 장착될 때에 판독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잉크젯 기록 장치의 경우에, 잉크 용기는 잉크 통로가 잉크 용기와 기록 헤드 사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정보 교환 채널도 이들 2개 사이에 형성되도록 기록 헤드에 연결되어야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들 중 하나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53087호는 다음의 구조적 배열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잉크 용기의 전기 접점 그리고 홀더의 전기 접점은 잉크 용기가 홀더 내로 장착될 때에 모든 측면의 전기 접점이 서로와 접촉된 상태로 되도록 이들이 서로와 접촉된 상태로 놓이면 이들이 잉크 용기의 전술된 것 등의 고정 클로와 홀더의 대응 고정 구멍 사이에서 그리고 잉크 용기의 전술된 것 등의 래칭 레버의 고정 클로와 홀더의 대응 고정 구멍 사이에서의 결합에 의해 서로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 구성의 경우에, 2개의 측면의 접기 접점은 잉크 용기가 홀더 내로 장착될 때에 자동적으로 연결되어, 연결에 전적으로 사용되는 기구에 대한 필요성 또는 연결을 위해 전적으로 사용되는 절차를 수행할 필요성을 제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배열 구성은 조작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반면에, 디지털 카메라의 최근의 폭넓은 사용으로, 디지털 카메라가 프린터(기록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인쇄 즉 PC 없는 인쇄(디지털 카메라가 프린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카메라 직접 인쇄"로 불림)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추가로, 디지털 카메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정보 메모리 매체인 카드 형태의 정보 메모리 매체가 프린터 내로 직접적으로 장착되고, 데이터는 인쇄를 수행하도록 프린터로 전송된다(PC 없는 인쇄, "카드 직접 인쇄"로 불림). 또한, 이러한 형태의 인쇄가 증가되고 있다. 나아가, 프린터 기능 및 스캐너 기능을 갖고 PC의 사용 없이 복사 기능(직접 인쇄 기능)을 갖는 소위 다기능 프린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잉크젯 프린터가 사용될 때, 잉크 용기의 장착 상태,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여량 등의 개별 잉크 용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일부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원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여량이 적은 것을 알면, 잉크 용기는 잉크의 부족으로 인한 낭비적 인쇄(예컨대, 단지 기록 재료의 불충분으로)가 미리 회피될 수 있도록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종래, 이러한 정보는 프린터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로 전송되고, 이벤트는 PC의 디스플레이 상에 보인다. PC 없는 기록의 경우에, 이는 가능하지 않아, 프린터(주 조립체)에 정보가 보일 수 있는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은 프린터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프린터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추가로 프린터의 설계 등에 영향을 주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은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더라도, 사용자가 잉크 용기의 상태를 즉시 그리고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항상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종래의 예에서, 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사용자에게 잉크 용기의 상태를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헤이4-275156호는 기록 헤드와 일체형인 잉크 용기에 2개의 단계로 잉크 잔여량에 따라 온으로 스위칭되는 2개의 LED 소자가 제공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잉크젯 헤드 및 잉크 용기를 일체형으로 갖는 잉크 카트리지에는 잉크젯 헤드로의 전력 공급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수단, 카운트를 저장하는 수단, 근접 단부 확인 수치로의 통합된 계산의 접근의 이벤트를 그 발광에 의해 보여주는 근접 단부 디스플레이를 위한 LED 그리고 통합된 카운트가 잉크 소진 확인 수치에 도달될 때에 온으로 스위칭되는 잉크 소진 LED가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1829호는 잉크 잔여량에 따라 온으로 스위칭되는 램프의 이를 위한 잉크 용기 또는 캐리지 상으로의 제공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기록 장치와 사용되는 4개의 잉크 용기에 램프가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개시하고 있다.
추가로, 높은 화질을 위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엷은 마젠타 잉크, 엷은 시안 잉크 등이 종래의 4개의 색상(블랙,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잉크에 추가하여 사용된다. 나아가, 레드 잉크, 그린 잉크 또는 블루 잉크 등의 특별한 색상의 사용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7개 내지 8개 색상의 잉크 용기가 잉크젯 프린터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면, 잉크 용기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가 요구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53087호는 카트리지의 보유부와 결합 가능한 잉크 용기의 결합부의 배치 구성이 잉크 용기의 색상에 따라 상이해져 잘못된 위치 상으로의 잉크 용기의 장착이 방지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53087호에 개시된 구조적 배열 구성은 다음의 문제점을 경험한다. 즉, 잉크 용기의 래칭 레버 그리고 홀더의 전기 접점이 탄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예컨대 전기 접점의 접촉 압력이 래칭 레버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힘보다 크면, 래칭 레버는 과도하게 변형되어, 래칭 레버에 의해 발생된 힘이 잉크 용기 상에 작용되는 방향의 관점에서 소정 위치 내에 잉크 용기를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잉크 용기측 상의 잉크 통로 그리고 기록 헤드측 상의 잉크 통로가 조인트에서 오정렬되어 잉크가 적절하게 공급되는 것을 막고/막거나 잉크가 조인트로부터 누설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잉크 용기측 및 홀더측 상의 전기 접점들 사이의 접촉 압력이 불안정해져 전기 전도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연결된 상태로 남지 못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178050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잉크 용기의 저부 표면 상에 전기 접점을 놓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178050호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헤드는 잉크 용기와 일체형이고, 잉크젯 기록 장치의 캐리지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기록 신호가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기록 헤드로 전송되는 그 전기 접점은 기록 헤드의 저부 표면 그리고 캐리지의 대응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기록 헤드가 캐리지 내로 장착될 때, 기록 헤드의 전기 접점은 캐리지의 전기 접점과 접촉된 상태가 되고, 기록 헤드가 캐리지 상의 그 최종 위치로 (피벗식으로) 이동되면서 그 상으로의 활주를 유지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의 전기 접점 그리고 캐리지의 전기 접점은 전기 전도도의 관점에서 양호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잉크 용기 정보가 전기적으로 전송되는 잉크 용기와 기록 헤드 사이의 전기 조인트의 설계에 대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178050호에 개시된 기록 헤드와 캐리지 사이의 전기 조인트의 설계의 채용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기 접점이 비교적 강성 금속 물질로 형성된 전기 전도성 부재이므로, 잉크 용기의 전기 접점 그리고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이 전기 전도도의 관점에서 만족스럽게 연결된 상태로 남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전기 접점에 큰 크기의 압력을 인가하는 것 및/또는 큰 크기의 압력을 인가하면서 전기 접점이 서로 상에서 활주되게 하는 것은 전기 접점에 대한 손상의 방지 그리고 전기 접점의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 현명하지 않다. 바꿔 말하면, 잉크 용기의 전기 접점이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에 만족스럽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증하는 전기 접점에 인가될 압력의 크기는 효과적이도록 최적화 즉 최소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어떠한 변형도 없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178050호에 개시된 기술을 채용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특히,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경우에, 잉크 용기가 부착 또는 제거될 때에 잉크 용기의 잉크 출구의 팁이 주 조립체의 전기 접점과 접촉된 상태가 되어 이들을 침윤시킬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잉크 용기의 장착 중에 잉크 용기의 잉크 출구와 주 조립체의 잉크 입구 사이의 조인트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있으면, 전기 접점이 잉크 용기의 저부 표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조인트로부터 누설된 잉크는 전기 접점에 도달되기 쉽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제헤이4-275156호는 표시를 위한 LED가 프린터의 주 조립체와의 전기 통신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LED를 놓기 위해, PC 판은 동일한 위치에 놓여져야 한다. 그러나, PC 판은 프린터의 주 조립체와의 전기 통신을 위한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므로, 배열 구성의 폭은 작다. 전기 접속부의 바람직한 위치 그리고 LED의 바람직한 부분을 덮는 PC 판을 큰 영역에 걸쳐 사용할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비용이 증가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헤이8-58107호에 개시된 구조가 각각의 색상을 위한 복수의 독립 잉크 용기를 보유하는 프린터 내에 합체되면, 프린터에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구조는 제한되므로, 잉크 용기의 실질적 용량이 감소되어야 하거나, 프린터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1829호는 잉크 경고 램프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간단하게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잉크 경고 램프에 전력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바람직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도6 내지 도8로부터,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경고 램프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가 제안되지만, 경고 램프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배선 리드가 복잡한 배선의 결과로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되고 추가로 배선 리드 및 연결부는 용이한 관찰을 악화시킨다. 추가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1829호는 그 도6에서 잉크 경고 램프가 잉크 용기를 보유하는 캐리지 상에 잉크 용기를 고정하는 가동 부재인 고정된 레버 상에 제공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그 도7에서 잉크 경고 램프가 잉크 용기 자체 상에 제공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잉크 경고 램프로의 전력 공급 방법에 대한 어떠한 개시도 없다.
이들 문제점은 소형화 및 다기능 경향의 결과로서 최근에 더욱 중요하다. 특히, 스캐너가 프린터의 상부에 놓인 다기능 프린터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위치는 더욱 제한된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통지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주 조립체측의 적절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잉크 용기에 램프가 제공될 때에도,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18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측 제어기는 적은 잉크를 보유한 것으로 인식되는 잉크 용기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온으로 정확한 램프를 켜는 신호가 전송되는 잉크 용기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잉크 용기가 잘못된 위치 상에 장착되면, 충분한 양의 잉크를 보유하는 또 다른 잉크 용기에 대해 작은 잉크 잔여량이 표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램프 등의 표시 장치의 방출 제어에 대해, 잉크 용기의 장착이 특정되는 것이 전제이다.
잉크 용기의 특정된 장착 위치를 위한 구조에 대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53087호는 잉크 용기의 결합 위치의 배치 구성이 잉크 용기의 색상에 따라 상이해지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잉크의 색상수의 증가로 더욱 중요한 제조 비용의 단점의 결과로 보유될 잉크의 색상에 따른 배치 구성을 갖는 잉크 용기가 요구된다.
발광 제어가 잉크 용기의 각각의 LED에 대해 수행되고 방출된 광이 프린터 내에 고정된 수광기에 의해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에서 출력의 상태에 기초하여, 잉크 용기의 위치는 특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잉크 용기의 LED는 2개의 기능 즉 사용자에게 잉크 용기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광을 방출하는 기능 그리고 잉크 용기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광을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으로 프린터 내의 잉크 용기의 표시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의 관점에서, 넓은 범위에서 광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양립되는 요구 즉 (1) 장착부로의 장착의 용이성, (2) 잉크로부터 전기 접속부를 보호하면서 프린터의 주 조립체측의 장착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보증하는 것 그리고 (3) 발광부로부터 프린터의 수광기로 그리고 사용자로의 광의 확실한 전송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접속부의 위치 설정 및 안정된 형성을 보증하면서 장착부로의 장착 기구 및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잉크 용기 내에 제공된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이 확실히 사용자 그리고 프린터의 수광기로 전송되는 액체 용기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액체 용기는 액체 보유 챔버를 한정하는 케이싱과;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도록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케이싱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케이싱의 일측면과 대향인 케이싱의 타측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점과;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액체 용기의 외측으로 방출된 광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공급 포트는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케이싱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접점은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인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 출구 그리고 전기 접점을 갖는 정보 저장 수단을 갖는 액체 용기가 부착될 장치의 액체 용기 장착부 내로 장착하는 기구가 간단하게, 장착하는 절차가 간단하게, 위치 설정이 더욱 신뢰 가능하고 정확하게, 장착하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가 작게, 그리고 액체 출구와 부착되는 장치의 액체 입구 사이의 연결의 상태 그리고 그 정보 저장 수단의 전기 접점과 부착되는 장치의 전기 접점 사이의 접촉의 상태가 양호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그 전기 접점이 액체 용기로부터의 액체 누설로부터 보호되도록 액체 용기 그리고 액체 용기가 부착될 장치의 액체 용기 장착의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백해진다.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실시예:
1.1 제1 실시예의 설명:
도1의 (a), (b) 및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측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은 (후술될 표시부로부터 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잉크 용기를 조작(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 작업)하는 사용자에게 대면되는 측면이다.
도1에서,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1)는 그 전방 측면에서 하부 상에 지지된 지지 부재(3)를 갖는다. 지지 부재(3)는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과 일체로 성형된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잉크 용기(1)는 용기 홀더에 장착될 때에 지지되도록 잉크 용기의 일부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잉크 용기(1)에는 용기 홀더 내에 제공된 로킹부와 결합 가능한 제1 결합부(5) 및 제2 결합부(6)가 그 후방 측면 및 전방 측면 상에 각각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은 지지 부재(3)와 일체형이다. 로킹부와의 결합부(5) 및 결합부(6)의 결합에 의해, 잉크 용기(1)는 잉크 용기(1) 내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장착 중의 작업은 도12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잉크 용기(1)의 저부 측면에는 용기 홀더로의 잉크 용기(1)의 장착에 의해 후술될 기록 헤드의 잉크 유입 개구와 연결 가능한 잉크 공급을 위한 잉크 공급 포트(7)가 제공된다. 기부 부재는 저부 측면 및 전방 측면이 서로와 교차되는 위치에서 지지 부재(3)의 지지부의 저부 측면 상에 제공된다. 기부 부재는 칩 또는 판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는 "기판"(100)으로 불린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상에 제공된 도광부 등의 기능을 도시하는 그 주요 부분의 개략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4의 (a) 및 (b)는 각각 제1 실시예의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제어기 기판의 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2의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는 각각 홀더(150)의 제1 로킹부(155) 및 제2 로킹부(156)와 잉크 용기(1)의 제1 결합부(5) 및 제2 결합부(6)의 결합에 의해 기록 헤드(105)를 갖는 기록 헤드 유닛(105)과 일체형인 홀더(150) 내에 또는 그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이 때, 홀더(150) 내에 제공된 접점(커넥터)(152) 그리고 외측에 대면하는 기판(100)의 표면 상에 제공된 전극 패드(102)[도4의 (b) 참조]의 형태로 된 접점이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잉크 용기(1)의 내측은 전방 측면(c)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잉크 저장조 챔버(11) 그리고 후방 측면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잉크 공급 포트(7)와 유체 연통된 상태에 있는 음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2)로 분할된다. 잉크 저장조 챔버(11) 및 음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2)는 연통 포트(13)를 통해 서로와 유체 연통된 상태에 있다. 잉크 저장조 챔버(11)는 본 실시예에서 단독으로 잉크를 보유하고, 음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2)는 함침에 의해 잉크를 보유하는 스폰지, 섬유 집합체 등으로 제조된 잉크 흡수 재료(15)(본 실시예에서 다공성 부재인 음압 발생 부재)를 수용한다. 다공성 부재(15)는 잉크 발광부로부터 외측으로의 잉크 누설을 방지하고 기록 헤드의 작동에 의해 잉크 방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기록 헤드의 잉크 방출 노즐 내에 형성된 메니스커스의 힘과의 균형을 제공할 정도로 충분한 음압을 발생시키도록 기능한다.
잉크 용기(1)의 내부 구조는 내측이 다공성 부재 수용 챔버 그리고 단독으로 잉크를 보유하는 저장조로 구획되는 구획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다공성 부재는 잉크 용기의 실질적으로 모든 내측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 음압 발생 수단은 다공성 부재를 사용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잉크는 단독으로 그 체적을 팽창시키는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 블래더형 부재 내에 보유된다. 이러한 경우에, 음압은 잉크를 보유하도록 블래더형 부재 내의 장력에 의해 발생된다. 추가의 예에서, 잉크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잉크는 탄성력이 음압을 발생시키는 가요성 부재에 인가되는 공간 내에 수용된다.
도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를 향해 대면하는 기판(100)의 표면에는 LED 등의 가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101) 그리고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 소자(103)가 제공된다. 제어 소자(103)는 커넥터(152)로부터 패드(102)를 통해 공급된 전기 신호에 따라 발광부(101)의 광의 방출을 제어한다.
도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121)는 발광부(101)와 대면되는 위치로부터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전방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극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광을 안내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 자유 단부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보여지는 표시부(122)를 구성한다. 광이 출현하는 부분은 "표시부" 또는 "출현부"로 불린다. 발광부(101)로부터 도광부(121)까지의 광의 이동에서 광 품질의 감쇠를 억제하기 위해, 발광부(101)는 그에 근접한 위치에서 도광부(121)의 광 입사 표면(123)과 대면하도록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도2의 (b)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부 및 표시부는 표시부가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 즉 래치 레버를 갖는 측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관찰을 용이하게 한다. 후술된 바와 같이, 수광부가 프린터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될 때, 광은 수광부에 의해 표시부로부터 확실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발광부와 표시부 사이의 가벼운 연결을 위한 도광부(121)는 잉크 용기(1) 상에 제공되므로, 전력 공급 및 신호 교환을 위한 배선 리드 등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될 수 있어, 발광부(101) 및 표시부(122)는 낮은 비용으로 각각의 최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은 사용자가 발광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표시부(122)의 배치를 위해 제공되어, 사용자에게는 잉크 용기(1)에 대한 소정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과 도광부(212)의 일체형 성형을 채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은 도광부(121)의 제공에 의해 상당히 증가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층(공간)이 도광부(121)와 잉크 저장조 챔버(11)를 형성하는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전방 측면 사이에 존재한다. 이는 도광부가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전방 측벽과 완전히 일체형인 것으로 고려된다. 바꿔 말하면,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전방 측벽은 도광부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조는 표시부(122)로의 도광이 효율적이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121)는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외부 케이싱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지만, 전방 측벽과 독립적이다. 즉, 본 실시예의 구조로써, 도광부(121)와 잉크 저장조 챔버(11) 사이에 공기층이 제공된다.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은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제조된다. 도광부(121)가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외부 케이싱과 완전히 일체형이면, 도광부(121)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어야 한다.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01)에 의해 방출된 광은 도광부(121)의 단부 표면인 광 입사 표면(123) 상으로 입사되고, 광은 도광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122)까지 이동된다. 발광부(101)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가시 광을 방출하고, 광을 산란시킨다. 따라서, 화살표(A1 내지 A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광이 있다.
여기에서, 폴리프로필렌이 도광부(121) 내에서 1.49(=n1)의 굴절률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공기는 1.00(=n2)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공기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의 임계 굴절 각도는 다음의 스넬의 굴절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n1 sinE1=n2 sinE2.
즉, 임계 굴절 각도는 대략 43˚이다.
따라서, 도2의 (b)에서 지점 (ⅰ)에서 43˚ 이상인 입사 각도(E)로 입사되는 광은 폴리프로필렌[도광부(121)]과 공기 사이의 계면에 의해 전반사되고, 광은 표시부(122)로 화살표(A1 또는 A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광부(121) 내에서 이동된다. 입사 각도(E1)가 43˚ 이하일 때, 광은 공기로 전달되고 표시부(122)에 도달되지 않는다.
전술된 잉크 용기(액체 용기)(1)의 소정 정보는 잉크 용기(1)의 장착 상태가 적절한지(장착이 완전한지)에 대한 정보, 잉크 용기의 장착 위치의 적절성(잉크 용기가 그 내에 보유된 잉크의 색상에 기초하여 결정된 홀더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잉크 잔여량과 관련된(잉크 잔여량이 충분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정보는 발광의 존재 또는 부재, 발광의 상태(점멸 등) 등에 의해 표시된다.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 용기(1)의 내측은 전방 측면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잉크 저장조 챔버(11) 그리고 후방 측면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잉크 공급 포트(7)와 유체 연통된 상태에 있는 음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2)로 분할된다. 잉크 저장조 챔버(11) 및 음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2)는 연통 포트(13)를 통해 서로와 유체 연통된 상태에 있다. 발생 부재 수용 챔버의 상부 표면에는 공기 벤트(12A)가 제공된다. 도2의 잉크 용기(1)는 접점, 제어기 및 발광부를 갖는 기판(100)이 제공된 잉크 용기(1)의 본체를 준비하고 내측 내로 잉크를 주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잉크 주입 포트는 예컨대 잉크 저장조 챔버의 상부 표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주입 포트를 통한 잉크 주입 후, 주입 포트는 밀봉 부재(11A)에 의해 밀봉된다.
대체예에서, 잉크 용기 내의 잉크(I)가 소진된 후 잉크가 잉크 용기 내로 재주입될 수 있도록 밀봉 부재(11A)는 해제되거나 주입 구멍이 잉크 용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원하는 바에 따라, 잉크 공급 포트(7)는 잉크 용기(1)가 운반될 수 있도록 보호 캡 또는 밀봉 테이프(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밀봉된다.
1.2 변형예(도3, 도5 및 도8 참조):
전술된 구조는 예이고, 발광부(101)가 사용되고 기록 장치 및 사용자에게 잉크 용기(1)와 관련된 소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면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부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부(121')는 잉크 저장조 챔버(11)를 형성하는 전방 측벽과 일체형이다. 본 변형 실시예에서, 표시부(122)에 도달되는 광 품질은 공간이 도광부(121)와 잉크 저장조 챔버(11)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서보다 작지만, 본 변형 실시예는 광 품질이 상승되면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잉크 용기가 소형이고 잉크 수용 효율이 개선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5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는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 부재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은 일체화된다. 이러한 예로써, 적절한 재료가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도광부(121)의 재료는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이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공기와 크게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료 또는 아크릴 재료 등일 수 있다. 반면에,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의 재료에 대해, 잉크 용기 내의 잉크(I)의 증발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이들은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는 잉크 용기(1)의 재료는 폭넓은 선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6은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의 자유 단부의 표시부(122)는 실질적으로 반구형 배치 구성을 갖고, 광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거칠기에 의해 산란된다. 이러한 예로써, 도광부(121)에 의해 안내된 광은 표시부에 의해 산란되므로, 광 품질은 감쇠되지만, 광은 표시부로부터 넓은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시 각도(범위)가 증가되어, 가시성을 추가로 개선시킨다.
도7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 지지 부재(3) 그리고 기판(100)이 부착되는 부분은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로부터 분리된 부재인 일체형 부재(131)로 제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5의 예와 유사하게, 적절한 재료가 각각 잉크 용기의 외부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 그리고 도광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이 부착되는 부재(131)는 잉크 용기(1) 내의 잉크(I)가 모두 소진된 후에 부재(131)가 새로운 잉크 용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즉 재사용되도록 분리 가능하다. 이는 비교적 비싼 부품인 기판(100) 및/또는 발광부(101)가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운영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8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 그리고 기판(100)이 부착되는 부분은 일체형 부재(131')로 제조되고, 부재(131')는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을 구성하며 지지 부재(3)를 구성하는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5의 예와 유사하게, 재료의 선택은 개선된다. 도8의 (b)에서, 도광부(121) 및 기판(100)이 부착되는 부분을 일체형으로 갖는 부재(131')는 분리 가능하므로, 이들은 재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공기층은 발광부(101) 상에 입사되는 광의 감쇠가 개선된 가시성을 달성하기 위해 억제되도록 잉크 저장조 챔버(11)와 도광부(121) 사이에 제공된다. 이는 잉크 저장조 챔버(11)와 도광부(121) 사이에 또 다른 부재를 개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9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낮은 굴절률 부재(108)가 도광부(121)와 잉크(I)를 수용하는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전방 측벽 표면 사이에 개재된다. 본 예의 도광부(121)는 잉크 챔버(1)로부터 분리된 부재이고 높은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낮은 굴절률 부재(108)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제조된다.
여기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굴절률은 1.59이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굴절률은 1.35이다. 스넬의 굴절 법칙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의 임계 굴절 각도는 대략 58˚이므로, 58˚ 내지 90˚의 입사 각도를 갖는 광은 발광부(101)로부터 방출된 광들 중에서 표시부(102)에 도달된다.
본 예에서, 낮은 굴절률 부재(108)는 금속으로 제조된 반사 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재료들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로써 사용되는 전술된 예에서, 전반사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광은 투과되고, 그 결과로써 전체 광 품질은 다소 감쇠된다. 반사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입사 표면(123) 상에 입사되어 반사 부재에 도달된 광은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반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은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고, 가시화는 개선된다.
도10은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121)와 잉크(I)를 보유하는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전방 측벽 사이에 낮은 굴절률 부재(108) 등(도9 참조)과 같은 어떠한 부재도 없지만, 이들은 서로에 접촉된다. 그러나, 본 예에서, 잉크 저장조 챔버(11)는 낮은 굴절률 부재(108)와 유사하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재료로 제조되고, 도광부(121)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9의 예와 유사하게, 발광부(101)로부터 방출된 광은 높은 효율로써 표시부(122)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로써, 발광부 및 표시부는 분리되고, 이들 사이의 광학 연결을 위한 도광부(121)는 발광부(142) 및 표시부(122)가 낮은 비용으로 그리고 조작성 및 관찰을 악화시키지 않는 전력 공급 및 신호 교환을 위한 배선의 필요성 없이 각각의 최적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잉크 용기(101) 상에 제공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폭은 사용자가 발광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표시부(122)의 배치를 위해 제공되어, 사용자에게는 잉크 용기(1)에 대한 소정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는 전술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된 예에서, 도광부는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재료와 그에 접촉된 공기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는 광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코어 및 클래딩을 포함하는 광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고체 도광부 대신에, 내부 반사 표면을 갖는 중공 부재(스테인리스강 파이프)가 사용 가능하다.
전술된 예들 중 2개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도6과 연계하여 설명된 표시부(122)의 표면 처리는 제1 실시예 또는 그 변형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될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적용된다.
1.3 잉크 용기의 장착부(도11 내지 도13 참조):
도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가 장착 가능한 기록 헤드 유닛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의 작업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장착부는 후술될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적용 가능하다.
기록 헤드 유닛(105)은 일반적으로 복수개(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4개)의 잉크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보유하는 홀더(150) 그리고 저부 측면(도11에 도시되지 않음)에 인접하게 배치된 기록 헤드(105)에 의해 구성된다. 홀더(150)에 잉크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홀더의 저부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기록 헤드의 잉크 유입 개구(107)가 이들 사이에 잉크 유체 연통 경로를 형성하도록 잉크 용기의 잉크 공급 포트(7)와 연결된다.
사용 가능한 기록 헤드(105)의 예는 노즐을 구성하는 액체 통로 그리고 액체 통로 내에 제공된 전열 변환기 요소를 포함한다. 전열 변환기 요소에는 열 에너지가 액체 통로 내의 잉크에 인가되도록 기록 신호에 따른 전기 펄스가 공급된다. 이는 버블 발생(비등)을 초래하는 잉크의 상변화를 일으키므로, 돌연한 압력 상승으로, 잉크는 노즐로부터 방출된다. 후술될 캐리지(203) 상에 제공된 신호 전송을 위한 전기 접점(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기록 헤드 유닛(105)의 전기 접점(157)은 기록 신호의 전송이 배선부(158)를 통해 기록 헤드(105)의 전열 변환기 요소 구동 회로로 가능해지도록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전기 접점(157)으로부터, 배선부(159)가 커넥터(152)로 연장된다.
잉크 용기(1)가 기록 헤드 유닛(105)에 장착될 때, 홀더(150)는 홀더(150)보다 위로 위치되고[도12의 (a) 참조], 잉크 용기 후방 측면 상에 제공된 돌출부의 형태로 된 제1 결합부(5)가 홀더 후방 측면 내에 제공된 관통 구멍의 형태로 된 제1 로킹부(155) 내로 삽입되어, 잉크 용기(1)는 홀더의 내부 저부 표면 상에 놓인다[도12b의 (c)1 참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잉크 용기(1)의 전방 측면 상부 단부는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가압되어, 잉크 용기(1)는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이 하향으로 변위되도록 제1 결합부(5)와 제1 로킹부(155) 사이의 결합부 주위에서 화살표 R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작용의 과정에서, 지지 부재(3)는 화살표 Q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잉크 용기 전방 측면 상의 지지 부재(3) 내에 제공된 제2 결합부(6)의 측면은 홀더 전방 측면 상에 제공된 제2 로킹부(156)(홀더 전방 측면의 상부 단부 모서리)에 가압된다[도12의 (c) 참조]. 이 때, 주 조립체측의 커넥터(152)는 잉크 용기 내에 제공된 패드(102)와 접촉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단계에서 장착 작업을 중단하면[즉, 사용자가 더 이상 (P 방향으로) 용기를 가압하지 않으면], 지지 부재(3)는 이 때에 굴곡되므로, 지지 부재(3) 자체의 탄성력은 잉크 용기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전기 접촉은 방지되고, 사용자에게는 잉크 용기의 불완전 장착이 통지된다. 이와 같이, 잉크 용기의 불완전 장착 상태의 인쇄 작업은 방지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의 상부 표면이 홀더 전방 측면의 상부 단부 측면 모서리부를 통해 상부 단부 측면 모서리부보다 낮게 제공된 제2 로킹부(156)보다 아래에 도달될 때, 지지 부재(3)는 제2 결합부(6)가 제2 로킹부(156)에 의해 로킹되도록 지지 부재(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Q'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2 로킹부(156)의 구조는 전술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로킹부는 홀더 전방 측면의 상부 단부 측면 모서리부에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로킹부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단부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써[도15의 (c) 참조], 제2 로킹부(156)는 잉크 용기(1)의 후방 측면이 홀더(150)의 후방 측면에 맞닿도록 지지 부재(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잉크 용기(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잉크 용기(1)는 홀더의 잉크 유입 개구(107)와 잉크 용기(1)의 잉크 공급 포트(7) 내의 흡수 재료 사이의 접촉에 의해 도1의 (d)에서 z 방향으로 힘을 수용한다. 잉크 용기(1)의 상향 변위는 억제된다. 제1 로킹부(155)는 제1 결합부(5)와 결합되고, 제2 로킹부(156)는 제2 결합부(6)와 결합된다. 이 때, 잉크 용기(1)의 장착은 추가로 완료되고, 여기에서 잉크 공급 포트(7)는 잉크 유입 개구(107)와 연결되고, 패드(102)는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된 것은 제1 결합부(5)와 제1 로킹부(155) 사이의 결합부가 지지점인 도12b의 (c)1에 도시된 장착 공정 중에 "레버"의 원리를 사용하고, 잉크 용기(1)의 전방 측면은 힘이 인가되는 파워 지점이다. 잉크 공급 포트(7)와 잉크 유입 개구(107) 사이의 연결부는 파워 지점과 지지점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지지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작용 지점이다. 따라서, 잉크 공급 포트(7)는 잉크 용기(1)의 회전에 의해 큰 힘으로써 잉크 유입 개구(107)에 대해 가압된다. 연결부에서, 비교적 높은 가요성을 갖는 필터, 흡수 재료, 패킹 등의 탄성 부재가 그 곳에서 잉크 누설을 방지하는 잉크 연통 특성을 보증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배열 구성 및 장착 작업은 이러한 부재가 비교적 큰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장착 작업이 완료될 때, 제1 결합부(5)와 결합된 제1 로킹부(155) 그리고 제2 결합부(6)와 결합된 제2 로킹부(156)는 잉크 용기(1)가 홀더로부터 떨어져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탄성 부재의 회복은 부재가 적절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억제된다.
반면에, 패드(102) 및 커넥터(152)(전기 접점)는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 특성을 확실하게 충족시키도록 금속 등의 비교적 강성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반면에, 이들 사이의 과도한 접촉력은 손상 방지 및 충분한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본 예에서, 이들은 지지점으로부터 가능하면 먼 위치에 특히 본 예에서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의 근접부 내에 배치되어, 접촉력은 최소화된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 기판(100)은 잉크 용기(1)의 전방 측면과 잉크 용기(1)의 저부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진 표면 상에 즉 이들 사이의 코너부에 배치된다. 장착의 완료 직전에 패드(102)가 커넥터(152)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접점에서만의 힘의 균형이 고려될 때, 패드(102)로 커넥터(152)에 의해 인가된 반응력(수직 방향으로의 상향력)은 수직 방향으로 하향으로 인가된 장착력과 균형을 이루어 패드(102)와 커넥터(152) 사이의 실제의 접촉 압력의 성분력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착 완료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잉크 용기를 가압할 때, 기판과 커넥터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잉크 용기 장착력의 추가가 작아, 조작성이 상당히 낮을 수 있다.
잉크 용기(1)가 제1 결합부(5)가 서로와 결합되는 장착 완료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가압될 때, 제2 결합부(6) 및 제2 로킹부(156)는 서로와 결합되고, 가압력에 의해 기판(100)의 표면과 평행한 성분력[커넥터(152) 상에서 패드(102)를 활주시키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양호한 전기 접속 특성이 잉크 용기의 장착의 완료 시에 제공 및 보증된다. 추가로, 전기 접속부는 잉크 용기의 저부 측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누설된 잉크가 그 곳에 도달할 가능성은 작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유입 개구(107)는 제1 결합부(5)에 인접하게 잉크 용기의 저부 표면 내에 배치되고, 패드(102)는 제1 결합부로부터 먼 전방 측면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 조작 중에 잉크 유입 개구(107)의 잉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된 전기 접속부의 구조 및 배열 구성은 요구된 잉크 용기 장착력의 크기, 전기 접촉 상태의 보증 그리고 누설된 잉크로써의 오염으로부터의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는 간단한 구조로서 기록 장치 내의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고, 안정된 전기 접속은 전술된 위치에서의 접촉 패드의 배치에 의해 잉크 용기 장착의 조작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증된다. 추가로, 사용자에 대한 가시성은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래치 레버를 갖는 측면)의 상부 부분에 발광부로부터 외측으로 광을 방출하는 표시부를 배치함으로써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다양한 개선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제1 실시예 또는 변형예의 잉크 용기를 위한 장착부의 구조는 도11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16을 참조하여, 이러한 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3의 (a) 및 (b)는 각각 또 다른 예에 따른 기록 작업을 수행하도록 잉크 용기로부터 잉크를 수용하는 기록 헤드 유닛의 사시도, 그와 사용 가능한 캐리지의 사시도 그리고 이들이 서로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의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기록 헤드 유닛(504)은 잉크 용기 전방 측면에 대응하는 홀더부, 제2 로킹부 또는 커넥터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술된 것[홀더(150)]과 상이하다. 기록 헤드 유닛(405)은 다른 관점에서 전술된 것과 유사하고, 그 저부 측면에는 잉크 공급 포트(7)와 연결될 잉크 유입 개구(107)가 제공된다. 그 후방 측면에는 제1 로킹부(155)가 제공되고, 후방 측면에는 신호 전송을 위한 전기 접점(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반면에, 도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15)는 샤프트(417)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기록 헤드 유닛(405)을 고정하는 레버(419) 그리고 기록 헤드의 전기 접점과 연결된 전기 접점(418)이 제공된다. 또한, 캐리지(415)에는 잉크 용기 전방 측면의 구조에 대응하는 홀더부가 제공된다. 제2 로킹부(156), 커넥터(152) 그리고 커넥터로의 배선부(159)는 캐리지측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기록 헤드 유닛(405)이 캐리지(415) 상에 장착될 때, 도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를 위한 장착부는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15의 예와 유사한 장착 작업을 통해, 잉크 공급 포트(7)와 잉크 유입 개구(107) 사이의 연결 그리고 패드(102)와 커넥터(152) 사이의 연결은 형성되고, 장착 작업은 완료된다.
1.4 기록 장치(도14 및 도15 참조):
도14는 전술된 잉크 용기가 부착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주 조립체 커버(14)가 개방된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기록 장치는 후술될 실시예 및 변형예에 적용 가능하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린터(200)는 주 조립체, 주 조립체의 전방 측면의 용지 배출 트레이(203), 그 후방 측면의 자동 급지 장치(ADF)(202), 주 조립체 커버(201) 그리고 기록 헤드 및 잉크 용기를 보유하는 캐리지를 스캐닝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캐리지의 이동 중에 기록을 수행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주요 부품을 덮는 다른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 조립체가 폐쇄 또는 개방되는 지에 무관하게 프린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주요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부(213)가 제공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 커버(201)가 개방될 때, 사용자는 가동 범위를 볼 수 있고, 그 근접부는 기록 헤드 유닛(105) 및 잉크 용기(1K, 1Y, 1M, 1C)를 보유한다(잉크 용기는 간략화를 위해 이하에서 도면 부호 "1"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 조립체 커버(21)가 개방될 때, 사용자가 잉크 용기 교환 작업 등을 할 수 있는 중심 위치에 캐리지(205)가 자동적으로 오도록 일련의 작업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헤드(도시되지 않음)는 각각의 잉크에 대응하는 기록 헤드 유닛(105)에 장착된 칩의 형태로 되어 있다. 기록 헤드는 캐리지(205)의 이동에 의해 기록 재료를 스캐닝하고, 그 중에 기록 헤드는 인쇄를 수행하도록 잉크를 방출한다. 캐리지(205)는 캐리지(205)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샤프트(207)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캐리지 모터 및 그 전달 이동 기구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다. K, Y, M 및 C(블랙,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잉크에 대응하는 기록 헤드는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해 주 조립체측 내에 제공된 제어 회로로부터 이송된 방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를 방출한다. 자동 급지 장치(202)로부터 용지 배출 트레이(203)로 이송된 기록 재료(도시되지 않음)를 이송하도록 급지 롤러, 용지 배출 트레이 등을 포함하는 급지 기구가 제공된다. 일체형 잉크 용기 홀더를 갖는 기록 헤드 유닛(105)은 캐리지(205)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각의 잉크 용기(1)는 기록 헤드 유닛(105)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록 또는 인쇄 작업 중, 기록 헤드는 전술된 이동에 의해 기록 재료를 스캐닝하고, 그 중 기록 헤드는 기록 헤드의 방출 출구의 어레이의 범위에 대응하는 소정 폭의 기록 재료 상에 기록을 수행하도록 기록 재료 상으로 잉크를 방출한다. 스캐닝 작업과 다음의 스캐닝 작업 사이의 기간에서, 급지 기구는 폭에 대응하는 소정 거리를 통해 기록 재료를 이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은 기록 재료의 전체 영역을 덮도록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캐리지의 이동에 의한 기록 헤드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서, 방출 출구를 갖는 기록 헤드의 측면을 덮는 캡을 포함하는 방출 리프레시 유닛이 제공된다. 따라서, 기록 헤드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리프레시 유닛의 위치까지 이동되고, 예비 방출 등을 포함하는 리프레시 공정이 적용된다.
각각의 잉크 용기(1)를 위한 홀더부를 갖는 기록 헤드 유닛(105)에는 각각의 잉크 용기에 대응하는 커넥터가 제공되고, 각각의 커넥터는 잉크 용기(1) 상에 제공된 기판의 패드에 접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발광부(101)의 턴-온 및 점멸이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된 소정 순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크 용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통지될 수 있다.
특히, 용기 교환의 위치 후, 소량의 잉크를 보유하는 잉크 용기(1)의 발광부(101)는 온으로 켜지거나 점멸되고, 이벤트는 도광부(121) 및 표시부(12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잉크 용기(1)에 적용된다. 발광부의 스위칭의 제어의 또 다른 예에서, 잉크 용기(1)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때, 용기의 발광부(101)는 발광되어, 사용자는 도광부(121) 및 표시부(122)를 통해 이벤트를 관찰할 수 있다. 이들 제어는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해 주 조립체측 제어 회로로부터 각각의 잉크 용기로 제어 데이터(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기록 헤드의 잉크 방출을 위한 제어와 유사하게 실행된다.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10)는 전술된 리프레시 유닛이 제공되는 위치에 대향인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광부(101)는 캐리지(205)가 이동되는 동안에 잉크 용기(1)의 표시부(122)가 수광부를 통과할 때 작동되고, 방출된 광은 도광부(121) 및 표시부(122)를 통해 수광부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캐리지(205)의 제공에 기초하여, 광이 수용될 때, 이는 잉크 용기(1)가 장착되는지 및/또는 잉크 용기가 캐리지(205)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지에 대해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22)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뿐만 아니라 검출 작업 그리고 기록 장치의 제어 작업에 기여하도록 기능한다. 이들을 달성하는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3 실시예와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 제2 실시예(도16 내지 도20 참조):
전술된 실시예 및 분류에서, 도광부(121)는 발광부(101)의 근접부로부터 상부 단부에 위치되는 표시부(122)로 상향으로 연장된다. 표시부가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위치에 위치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할당하기로 하고, 간략화를 위해 이러한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상에 제공된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광은 발광부(101)로부터 표시부(322)로 안내되고, 사용자의 관찰을 위한 도광부(321)는 공기 공간이 도광부(321)와 잉크(I)를 보유하는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전방 측벽 표면 사이에 제공된 상태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자유 단부는 표시부(322)가 상부-우측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만곡된다. 본 예에서,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의 상부 즉 래치 레버를 갖는 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광은 발광부(101)로부터 입사된 모든 광의 감쇠를 억제하면서 표시부(322)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도광부(321)는 도면에서 상부 우측을 향해 표시부(322)를 안내하도록 만곡되고, 표시부(322)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다.
도17은 도16의 구조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 도광부(321)는 만곡되지만, 높이는 단부 표면(310)이 지지 부재(3) 특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인 조작부(3M)의 후방 측면에 대향되도록 도16에서보다 낮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 부재(3)의 적어도 조작부(3M)는 본 예에서 발광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 발광부(101)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부(321)에 의해 단부 표면(310)으로 안내되고, 광은 조작부(3M)로 안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광투과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지지 부재(3)의 조작부(3M)는 발광된다. 바꿔 말하면, 조작부(3M) 자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본 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 및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로, 이들 특징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조작부(3M)는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잉크 용기의 교환에 대해 요청될 때, 대상 잉크 용기는 직접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를 위해 조작될 부분도 직접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광이 조작부(3M)에서 더욱 가시적이게 하기 위해, 조작부(3M)에는 적절한 양의 광을 산란시키는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광축을 굽히는 구조는 도광부를 만곡시키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8의 (a), (b) 및 (c)는 각각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측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광부(450)가 상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는 전술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본 예의 도광부(450)는 만곡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경사진 표면(451)이 상부 단부에 제공된다. 경사진 표면(451)의 위치는 지지 부재(3)의 조작부(3M)의 후방 측면에 있고, 조작부(3M)의 후방 측면에 대향된 부분은 높고, 잉크 저장조 챔버(11)의 전방 측면에 대향된 부분은 낮다. 도광부(450)와 잉크 용기(1)의 전방 측벽의 표면 사이에, 공기 공간이 있다. 도광부(450)가 잉크 용기(1)의 외부 케이싱과 일체로 성형될 때, 전체의 부재는 광투과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본 예의 도광부(45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9의 (a) 및 (b)는 각각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도록 도광부의 주요 부분의 개략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450)는 각각 저부 측면 단부 표면이 발광부(101)에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발광부(101)가 광을 방출할 때, 광은 도광부(450)의 저부 측면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상부 단부의 경사진 표면(451)으로 안내되고, 조작부(3M)에 도달되도록 경사진 표면(451)에 의해 반사된다. 도17의 예와 유사하게, 본 예의 구조는 잉크 용기(1)의 저부 측면에 배치된 발광부(101)로부터의 광이 도광부(450)를 통해 조작부(3M)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작부(3M)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잉크 용기(1)와 관련된 소정 정보를 자연적으로 인식한다.
도광부(450), 경사진 표면(451) 및 발광부(101) 사이의 바람직한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발광부(101)에 의해 방출된 광이 도광부(450)에 의해 경사진 표면으로 안내되게 하기 위해, 발광부(101)는 도광부(450)의 저부 측면의 단부 표면에 대향되고 도광부(450)의 단면의 돌출된 평면 상에[도광부(450)의 광축(456)에 직각으로] 있는 것이 대량의 광을 공급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경사진 표면(451)에 의해 반사된 광이 조작부(3M)에 매끄럽게 도달되게 하기 위해, 광축(456)에 대한 경사진 표면(451)의 경사 각도는 광을 전반사하도록 임계 각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잉크 용기(1)와 일체로 성형되는 도광부(450)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반사 조건은 다음과 같이 스넬의 굴절 법칙에 의해 계산된다(공기의 굴절률은 1):
1.49sinE=1
sinE=1/1.49
E는 43˚에 거의 동일.
이와 같이, 광축에 대한 경사 각도(=입사 각도)는 43˚ 이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 각도는 전반사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45˚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광부(450)에 의해 안내된 광은 경사진 표면(451)에 의해 전반사되고 조작부(3M)로 안내되어, 가시성이 개선된다.
도20의 (a) 및 (b)는 각각 도18의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광부(450)는 잉크 용기(1)로부터 분리된 부재에 의해 제공된다. 본 예에 따르면, 잉크 용기(1) 및 도광부(450)는 각각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잉크 용기(1)가 광투과성 재료로 제조되지 않은 경우에, 개구(32)가 조작부(3M)의 일부 내에 형성된다. 개구(32)를 통해, 도광부(450)의 경사진 표면(451)으로부터의 반사된 광은 사용자의 눈에 의해 수용된다.
도18 및 도20의 예에서, 경사진 표면은 도광부(450)에 의해 안내된 광축에 대한 각도(입사 각도)가 조작부(3M)를 향한 반사의 각도(반사 각도)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사용된 재료 등에 따라, 이들은 전반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위해, 경사진 표면은 높은 굴절률 또는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포일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또 다른 대체예에서, 지지 부재의 조작부(3M)는 표시부로서 기능하지 않고, 도광부(450)는 표시부가 경사진 표면부에 인접하게 도광부(450)의 상부 전방부에 의해 제공되는 도16의 예와 유사하게 조작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3. 제3 실시예(도21 내지 도27 참조):
사용자는 프린터 등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표시부를 보기 때문에, 표시부로부터 넓은 범위로 광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표시부는 사용자 관찰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기록 장치의 제어를 위한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을 위한 것이므로, 수광부(21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 내에 제공된다.
예컨대, 카트리지(205)가 수광부(210)에 대해 스캐닝될 때, 잉크 용기 및/또는 표시부는 순차적으로 수광부(210)를 통과한다. 통과 중, 잉크 용기가 각각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지 검사될 수 있다. 특히, 어떤 잉크 용기가 수광부(210)에 대면될 때, 용기가 도광부(210)와 대면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된 색상의 잉크를 보유하는 이크 용기의 발광부는 표시부로부터 광을 방출하도록 작동된다. 수광부(210)가 광을 수용하면,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지 또는 용기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지가 확인된다. 후자의 경우라면, 기록 작업은 방지되고 잘못 장착된 잉크 용기의 발광부 또는 표시부를 점멸함으로써 사용자가 주 조립체 커버(201)를 개방하여 정확한 위치에 잉크 용기를 재장착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잉크 용기(들)의 잘못된 장착으로 인해 색상 재현이 적당하지 않은 불편, 잉크가 소진된 것을 통지하는 어떠한 경고도 잉크 용기를 위해 제공되지 않는 불편 그리고 경고가 충분한 양의 잉크를 보유하는 잉크 용기를 위해 제공되는 불편이 제거된다.
이러한 잉크 용기 검출 또는 제어를 위해 사용된 수광부(210)는 장치 내에 고정되고, 잉크 용기는 캐리지 상에 보유되며 왕복되므로, 잉크 용기의 표시부에 대한 위치 관계는 검출 작업 중에 일정하다. 이러한 이유로, 표시부는 기록 장치 내의 수광부의 장착 공차가 허용되는 한 작은 범위 내에서 광을 방출하여 수광부로 안내된 광 품질의 밀도가 사용자에 의한 관찰의 관점에 대비될 때에 충분히 높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시부는 모순된 기능을 충족시킬 것이 요구된다. 모순된 요건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1의 (a), (b) 및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광부(550)(도광 리브)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저부 측면의 단부 표면이 발광부(101)와 대면하는 위치로부터 직립된다.
도22 및 도23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도광 부재의 배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2의 (a) 및 (b)는 각각 도21에 도시된 복수의 잉크 용기(1)가 보유되는 기록 장치의 개략 평면도 그리고 캐리지가 이동하는 동안에 프린터의 하부 위치에 제공된 수광부와 대면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시안 용기(1C), 마젠타 용기(1M) 및 옐로우 용기(1Y)가 특히 주목되어야 한다. 잉크 용기는 잉크 용기의 폭 방향으로 즉 캐리지(205)의 이동 방향(스캐닝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도22의 (b)에서, 복수의 잉크 용기는 캐리지의 이동에 의해 프린터 내에 배치된 수광부(210)(도15 참조)의 저부와 대면된다. 도광부(550)는 상부로부터(도면의 용지에 직각으로) 볼 때에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갖고, 여기에서 T자형 부분은 스캐닝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 즉 x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부분(B)] 그리고 스캐닝 방향에 직각인 방향(도면에서, 수직 방향 즉 y 방향)으로 부분(B)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부분[부분(A)]을 포함한다. 본 예의 도광부는 T자형 단면을 갖는 로드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23은 도22에 설명된 잉크 용기의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발광부(101)에 의해 방출된 광이 도광부(550) 상에 입사되고 화살표 51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광이 외측으로 출현되는 도광부의 상부 단부(552)에 도달되도록 도광부(550) 내에서 안내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발광부(101)는 도광부(550)의 저부 측면의 단부에서 T자형 단면의 부분(An)과 부분(B) 사이의 교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발광부(101)에 의해 방출된 광은 도광부(550)의 부분(An) 및 부분(B)으로 안내된다.
여기에서, 잉크 용기에 대해 기록 장치 내에 고정된 수광부(210)의 상대 위치 관계는 수광부(210)의 장착의 조립 공차로 인해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도22의 (b)를 참조하면, 어긋남은 캐리지 스캐닝 방향(x 방향), 그에 직각인 직각 방향(y 방향) 그리고 이러한 도면의 용지에 직각인 방향(z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광부(550)의 배치 구성은 이러한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고 잉크 용기의 장착의 상태의 적절성 그리고 그에 대한 장착 위치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정확한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z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상부 단부(552)로부터 수광부(210)로의 거리의 변화에 영향을 주므로 상부 단부(552)로부터의 광의 검출된 세기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적절한 임계 설정이 공차의 범위 내에서 광 품질의 변화를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어, z 방향으로의 수광부(210)의 어긋남은 잉크 용기 검출 작업에서 문제점이 아니다.
x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광을 방출하는 잉크 용기(1)의 발광부(101)로써 캐리지를 스캐닝하면서 상부 단부(552)에서 출현되는 광을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수광부(210)에 의해 수용 가능하다. 특히, x 방향으로 수광부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발광 및 수광은 어긋남이 고려되는 범위 내에서 수행되어,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은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부분(An)은 수광부(210)의 수용된 광 품질의 변화의 곡선에서 최대 수치(피크 수치)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피크의 검출의 시간의 시점을 고려하여 검출 작업을 위한 발광부(101)의 후속 발광 타이밍이 조절될 수 있어 x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효과적으로 보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부분(A)이 y 방향으로 수광부(210) 장착의 위치 공차 범위 이상인 y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면, 상부 단부(552)로부터의 광은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y 방향으로의 수광부(210)의 어긋남은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을 정도까지 수용된다. 부분(A)의 길이의 감소로써, 도광부(550)의 단부로부터 출현되는 광의 밀도는 증가되어, 수광부(210)에 의해 수용된 광 품질은 증가된다. 이로써, 외부 방해의 영향은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을 보증하도록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부분(A)의 길이는 수광부(210)의 장착 위치 공차 그리고 수광부(210)에 의해 수용된 바람직한 광 품질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도광부(표시부)의 상부 단부(552)는 예컨대 잉크 용기의 부족 시에 발광되거나 점멸되고, 사용자에 의해 관찰된다. 따라서, 출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다양한 위치로부터 볼 수 있을 정도로 넓다. 전술된 부분(An)은 치수 및 배치 구성을 선택함으로써 수광부의 적절한 검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반면에, 부분(B)은 치수 및 배치 구성을 선택함으로써 광의 충분히 넓은 출현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광부(550)의 상부 단부(552)는 광이 폭 방향으로 넓게 출현될 수 있도록 잉크 용기(1)의 폭 방향으로도 연장된다. 이로써, 가시 영역은 증가된다.
본 예에서, 도광부는 T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이지 않고, 도광부의 배치 구성은 상부 단부(552)의 출현 광이 충분하도록 배치 구성 및 치수가 선택되면 상이할 수 있다. 상부 단부는 T자형이 아닐 수 있다.
도24는 도광부의 배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25의 (a) 및 (b)는 각각 도24에 도시된 복수의 잉크 용기(1)를 보유하는 기록 장치의 개략 평면도 그리고 캐리지가 이동하는 동안에 프린터의 하부 위치에 제공된 수광부와 대면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6은 도24의 (a)에 도시된 도광부 상으로의 입사로부터 도광부로부터의 방출까지의 빔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광부(580)의 배치 구성은 도22와 유사하게 상부로부터 볼 때에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갖고, 여기에서 T자형 부분은 스캐닝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부분(B)] 그리고 스캐닝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의 부분(B)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부분[부분(A)]을 포함한다. 도광부(580)는 도18의 예와 유사한 경사진 표면(582)을 갖고, 도25의 (a)에서, 도광부(580)는 경사진 표면(582)에 의해 절단된다. 배치 구성은 전방으로부터 볼 때에 스캐닝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E) 그리고 그에 직각인 방향[도25의 (a)에서 수직 방향 즉 z 방향]으로 그로부터 연장된 부분(D)에 의해 구성된다.
도26에서, 발광부(101)에 의해 방출된 광은 도광부(580) 상에 입사되고, 도광부(580) 내에 안내되고, 경사진 표면(582)에 의해 반사되고,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의 전방(도26에서 우측)에서 출현된다. 경사진 표면(582)의 경사 각도는 전술된 것과 유사하게 도광부(580)에 의해 안내된 광의 전반사를 제공하도록 임계 각도 이상으로 설정된다. 도광부(580)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재료에 의해 형성되면, 이는 대략 45˚일 수 있다. 대체예로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경사진 표면은 높은 굴절률 또는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포일 등이 경사진 표면(582)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수광부(210)는 출현 광이 잉크 용기의 상부 부분(z 방향)에서가 아니라 전방 측면(y 방향)에서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수광부(210)의 어긋남은 전술된 것과 유사하게 x, y 및 z 방향으로 발생된다. 또한, 본 예에 따르면, 도광부(550)의 배치 구성은 이러한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고 잉크 용기의 장착의 상태의 적절성 그리고 그에 대한 장착 위치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정확한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y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전술된 예에서 z 방향으로의 어긋남에 대응하고, 광의 출현 위치로부터 수광부(210)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만, 어긋남은 정확한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이 달성되도록 광 품질의 변화를 허용하도록 적절한 임계 설정에 의해 수용 가능하다.
x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x 방향으로의 어긋남과 동일하고, 광을 방출하는 잉크 용기(1)의 발광부(101)와 캐리지를 스캐닝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부 단부(552)의 광을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수광부(21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나아가, z 방향으로의 어긋남은 전술된 예에서 y 방향으로의 어긋남에 대응한다. 전방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z 방향으로 측정된 부분(D)의 길이가 z 방향으로의 수광부(210)의 장착 위치 공차 범위 이상이면, 상부 단부(582)로부터의 광은 수용될 수 있어, z 방향으로의 수광부(210)의 장착이 수용 가능하고, 긍정적인 잉크 용기 검출 작업은 달성된다.
전술된 예와 유사하게, 각각의 부분(D, E)의 치수, 배치 구성 등은 수광부의 작업 그리고 사용자의 관찰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광이 출현되는 도광부(580)의 상부 전방 측면 위치에 의해 표시부를 제공하는 대신에, 경사진 표면(580)은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의 조작부(3M) 뒤에 배치되어, 조작부(3M)는 도19의 예와 유사하게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도20의 예와 유사하게, 조작부(3M)에는 도광부(580)의 경사진 표면(582)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관찰될 수 있는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4. 제4 실시예(도28 및 도29 참조):
사용자가 광이 방출되는 표시부로부터 잉크 용기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현 광 품질이 과도하게 낮으면, 사용자가 광을 검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반면에, 출현 광 품질이 과도하게 크면, 인접한 액체 용기들 사이의 구별은 어렵다. 동일한 것이 수광부에 적용된다. 특히, 수광부는 의도된 잉크 용기가 아닌 인접한 잉크 용기로부터 광을 수용할 수 있다.
표시부로부터의 출현 광이 사용자에 의해 그리고 수광부에 의해서도 적절하게 수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9의 (a), (b), (c) 및 (d)는 각각 도28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29의 (e) 및 (f)는 각각 캡 부재가 생략된 상태의 잉크 용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예의 구조는 도24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광부(580)는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갖고 경사진 표면을 갖고, 광이 전방 상부측에 있고 표시부(585)를 제공하는 부분[도25에서 부분(D, E)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출현하도록 발광부(101)와 대향된 위치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된다. 본 예에서, 소정 개구(21A)가 표시부(585)에 대향으로 형성되고, 표시부(585)의 주변부는 출현 광 제한 부재(21)에 의해 광의 출현 방향을 제한하도록 덮인다.
내측을 덮도록 잉크 용기(1)의 상부 표면에 장착되고 내측과 주변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한 공기 벤트(20)를 갖는 캡 부재(2)가 있다. 본 예에서, 출현 광 제한 부재(21)는 예컨대 일체형 부재를 제공하기 위해 캡 부재(2) 상에 용접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다.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는 투명하므로, 이는 주변부에서 출현 광을 감소시켜 수광부(210)의 수용 작업 그리고 사용자 가시성의 개선을 안정화시키도록 착색될 수 있다. 또는, 탄성 중합체 이외의 재료가 사용 가능하고, 이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캡 부재(2)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캡 부재(2)가 투명하게 제조될 때, 출현 광은 출현 광 제한 부재(21)를 구성하는 부분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매끄럽지 않은 배치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로부터의 출현 광은 광 품질이 사용자 가시성 그리고 수광부의 작업 안정화 모두를 위해 바람직해질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제한된다. 도광부는 전술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배치 구성은 도24와 상이할 수 있다. 표시부는 도광부의 상부 단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5. 제어 시스템:
5.1 일반 배열 구성(도30 참조):
도30은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 시스템의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어 시스템은 주로 프린터의 주 조립체 내의 제어 회로[PCB(인쇄-배선 기판)] 그리고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될 잉크 용기의 LED의 발광을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도30에서, 제어 회로(300)는 프린터와 관련된 데이터 처리 그리고 작업 제어를 실행한다. 특히, CPU(301)가 ROM(303)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36 내지 도39와 연계하여 후술될 공정을 수행한다. RAM(302)은 CPU(301)의 공정 수행에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도3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205) 상에 보유된 판독 헤드 유닛(105)은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 잉크를 각각 방출하는 복수의 방출 출구를 갖는 기록 헤드(105K, 105Y, 105M, 105C)를 갖는다. 기록 헤드 유닛(105)의 홀더 상에, 잉크 용기(1K, 1Y, 1M, 1C)가 각각의 기록 헤드에 대응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잉크 용기(1)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LED(101),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 그리고 패드(전기 접점) 등이 제공된다. 잉크 용기(1)가 기록 헤드 유닛(105) 상에 정확하게 장착될 때, 기판(100) 상의 패드는 기록 헤드 유닛(105) 내의 각각의 잉크 용기(1)에 대응하여 제공된 커넥터에 접촉된다. 캐리지(205) 내에 제공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주 조립체측 내에 제공된 제어 회로(300)는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한 신호의 전송을 위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나아가, 캐리지(205) 상으로의 기록 헤드 유닛(105)의 장착에 의해, 캐리지(205)의 커넥터 그리고 기록 헤드 유닛(205)의 커넥터는 신호 전송을 위해 서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신호는 주 조립체측의 제어 회로(300)와 각각의 잉크 용기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300)는 도36 내지 도38과 연계하여 후술될 순서에 따라 LED의 턴-온 및 턴-오프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기록 헤드(105K, 105Y, 105M, 105C)의 잉크 방출의 제어는 가요성 케이블(206), 캐리지(205)의 커넥터, 기록 헤드 내에 제공된 구동 회로 등 사이의 신호 연결부를 구비한 기록 헤드 유닛의 커넥터 그리고 주 조립체측 내의 제어 회로(300)를 통해 유사하게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300)는 각각의 기록 회로를 위한 잉크 방출 등을 제어한다.
캐리지(205)의 이동 범위의 단부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수광부(210)는 잉크 용기(1)의 LED(101)로부터 광을 수용하고, 이벤트를 지시하는 신호가 제어 회로(300)로 공급된다. 제어 회로(300)는 후술된 바와 같이 캐리지(205) 내의 잉크 용기(1)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신호에 응답한다. 추가로, 인코더 스케일(209)이 캐리지(205)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제공되고, 캐리지(205)에는 인코더 센서(211)가 대응하여 제공된다. 센서의 검출 신호는 캐리지(205)의 이동이 얻어지도록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해 제어 회로(300)로 공급된다. 위치 정보는 각각의 기록 헤드 방출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도36과 연계하여 후술될 잉크 용기의 위치가 검출되는 광 인증 공정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제2 발광/수광부(214)가 캐리지(205)의 이동 범위 내의 소정 위치의 근접부 내에 제공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이는 캐리지(205) 상에 보유된 각각의 잉크 용기(1)의 잉크 잔여량과 관련된 신호를 제어 회로(300)로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제어 회로(300)는 신호에 기초하여 잉크 잔여량을 검출할 수 있다.
5.2 연결부(도31 내지 도35 참조):
도31은 잉크 용기(1)의 기판(100)의 관점에서 잉크 용기(1)와 잉크젯 프린터의 가요성 케이블(206) 사이의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 라인 배선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용기(1)를 위한 신호 라인 배선은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신호 라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라인은 모든 4개의 잉크 용기(1)에 대해 공통이다(버스 연결). 잉크 용기(1)를 위한 신호 라인 배선은 4개의 신호 라인 즉 잉크 용기 내의 LED(101)의 발광 및 작동을 수행하는 기능 소자의 그룹의 동작 등을 위한 전력 공급과 관련된 전원 신호 라인(VDD); 접지 신호 라인(GND); 제어 회로(300)로부터의 LED(101)의 턴-온 및 턴-오프 등의 공정과 관련된 제어 신호(제어 데이터) 등을 공급하는 신호 라인(DATA); 그리고 이를 위한 클럭 신호 라인(CLK)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신호 라인이 채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접지 신호는 또 다른 구조를 통해 공급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라인(GND)은 전술된 구조에서 생략될 수 있다. 반면에, 라인(CLK) 및 라인(DATA)은 하나의 공통 라인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잉크 용기(1)의 각각의 기판(100)은 4개의 신호 라인을 통해 공급된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기(103) 그리고 제어기(103)의 출력에 응답하여 작동 가능한 LED(101)를 갖는다.
도32는 이러한 제어기 등을 갖는 기판의 세부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3)는 I/O 제어 회로(I/O-CTRL)(103A), 메모리 어레이(103B) 및 LED 구동기(103C)를 포함한다. I/O 제어 회로(103A)는 주 조립체측의 제어 회로(300)로부터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해 이송된 데이터를 제어하여 LED(101)의 표시 구동, 메모리 어레이(103B) 내의 데이터의 기록 그리고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도록 응답한다. 메모리 어레이(103B)는 본 실시예에서 EEPROM의 형태로 되어 있고,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여량과 관련된 정보, 그 내의 잉크의 색 정보 그리고 추가로 잉크 용기의 개수, 제조 로트 번호와 같은 제조 정보 등의 잉크 용기의 개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색 정보는 잉크 용기 내에 저장된 잉크의 색상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레이(103B)의 소정 어드레스 내에 기록된다. 예컨대, 색 정보는 데이터가 메모리 어레이(103B) 내에 기록되어 그로부터 판독될 때에 또는 LED(101)의 작동 및 해제가 특정 잉크 용기를 위해 제어될 때에 잉크 용기를 확인하도록 도34 및 도35와 연계하여 후술될 잉크 용기 확인 정보(개별 정보)로서 사용된다. 메모리 어레이(103B) 내에 기록되거나 그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예컨대 잉크 잔여량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프리즘을 구비한 저부 내에 제공되고, 잉크의 잔여량이 적을 때에 이벤트는 프리즘에 의해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에 추가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300)는 방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록 헤드에 대해 방출의 횟수를 카운팅한다. 잔여량 정보는 대응 잉크 용기의 메모리 어레이(103B) 내에 기록되고, 정보는 판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모리 어레이(103B)는 실시간으로 잉크 잔여량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정보는 프리즘의 보조로써 제공되므로 높은 정확성으로써 잉크 잔여량을 나타낸다. 또한, 장착된 잉크 용기가 새로운 것인지 또는 사용되다가 재장착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 구동기(103C)는 I/O 제어 회로(103A)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높은 수준에 있을 때에 발광되게 하도록 LED(101)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I/O 제어 회로(103A)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높은 수준에 있을 때에 LED(101)는 온-상태에 있고, 신호가 낮은 수준에 있을 때에 LED(101)는 오프-상태에 있다.
도33은 도32의 기판의 변형예의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LED(101)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구조가 도21의 예와 상이하다. 특히, 전원 전압은 잉크 용기의 기판(100) 내측에 제공된 VDD 전원 패턴으로부터 공급된다. 통상, 제어기(103)는 반도체 기판 내에 구축되고, 본 예에서 반도체 기판 상의 연결 접점은 LED 연결 접점만을 위한 것이다. 연결 접점의 개수의 감소는 반도체 기판에 의해 점유된 영역에 상당히 영향력이 있고, 이러한 의미에서 변형예는 반도체 기판의 비용 감소의 관점에서 추가로 유리하다.
도34는 기판의 메모리 어레이(103B)에 대한 데이터 기록 및 판독 작업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35는 LED(101)의 작동 및 해제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어레이(103B) 내의 기록에서, 개시 코드+색 정보, 제어 코드, 어드레스 코드, 데이터 코드는 클럭 신호(CLK)와 동기적으로 주 조립체측 내의 제어 회로(300)로부터 신호 라인(DATA)(도31 참조)을 통해 잉크 용기(1)의 제어기(103) 내의 I/O 제어 회로(103A)로 명명된 순서로 공급된다. 개시 코드+색 정보 내의 개시 코드 신호는 일련의 데이터 신호의 시작을 지시하고, 색 정보 신호는 일련의 데이터 신호가 관련되는 특정 잉크 용기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잉크의 색상은 Y, M, C 등의 색상뿐만 아니라 상이한 밀도를 갖는 잉크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 정보는 잉크 K, C, M 및 Y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하는 코드를 갖는다. I/O 제어 회로(103A)는 잉크 용기 자체의 메모리 어레이(103B) 내에 저장된 색 정보와 코드에 의해 지시된 색 정보를 비교한다. 이들이 동일한 경우에만 후속의 데이터가 취해지고, 그렇지 않으면 후속의 데이터는 무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신호가 도31 내에 보유된 공통 신호 라인(DATA)을 통해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모든 용기로 공통으로 공급될 때에도, 데이터는 색 정보를 포함하므로 데이터가 관련되는 잉크 용기는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고, 따라서 후속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등의 후속 데이터에 기초한 처리 그리고 LED의 작동 및 해제는 확인된 잉크 용기에만(즉, 정확한 용기에만)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공통 데이터 신호 라인은 모든 4개의 잉크 용기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LED를 작동 및 해제할 정도로 충분하여, 신호 라인의 요구 개수를 감소시킨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공통 데이터 신호는 잉크 용기의 개수에 무관하게 충분하다.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어 모드는 후술될 LED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OFF 및 ON 모드 그리고 메모리 어레이로부터 판독하고 그 내에 기록하는 READ 및 WRITE 코드를 포함한다. 기록 작업에서, WRITE 코드는 잉크 용기를 확인하는 색 정보에 후속한다. 다음의 코드 즉 어드레스 코드는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하는 메모리 어레이 내의 어드레스를 지시하고, 마지막 코드 즉 데이터 코드는 기록될 정보의 내용을 지시한다.
제어 코드에 의해 지시된 내용은 전술된 예로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검증 커맨드 및/또는 연속 판독 커맨드를 위한 제어 코드가 추가될 수 있다.
기록 작업을 위해, 데이터 신호의 구조는 기록 작업의 경우에서와 동일하다. 개시 코드+색 정보의 코드는 기록 작업의 경우와 유사하게 모든 잉크 용기의 I/O 제어 회로(103A)에 의해 취해지고, 후속의 데이터 신호는 동일한 색 정보를 갖는 잉크 용기의 I/O 제어 회로(103A)에 의해서만 취해진다.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판독된 데이터는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코드에 의해 지정된 후에 제1 클럭(도34의 제13 클럭)의 발생과 동기적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I/O 제어 회로(103A)는 잉크 용기의 데이터 신호 접점이 공통 (하나의) 데이터 신호 라인에 연결되더라도 또 다른 입력 신호에 대한 판독된 데이터의 방해를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01)의 작동(턴-온) 및 해제(턴-오프)에 대해, 개시 코드 + 색 정보의 데이터 신호는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신호 라인(DATA)을 통해 I/O 제어 회로(103A)로 우선 보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확한 잉크 용기는 색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고, 후속적으로 이송된 제어 코드에 의한 LED(101)의 작동 및 해제는 확인된 잉크 용기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제어 코드는 도34와 연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 LED(101)를 작동 및 해제하는 데 효과적인 ON 코드 및 OFF 코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즉, 제어 코드가 ON을 지시할 때, I/O 제어 회로(103A)는 도33과 연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LED 구동기(103c)로 ON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상태는 그 후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반대로, 제어 코드가 OFF를 지시할 때, I/O 제어 회로(103A)는 LED 구동기(103c)로 OFF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상태는 그 후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LED(101)의 작동 또는 해제를 위한 실제의 타이밍은 도35에 도시된 각각의 데이터 신호를 위한 클럭(CLK)의 제7 클럭 후이다.
이러한 도면의 예에서, 가장 좌측의 데이터 신호가 지정하는 블랙 잉크(K) 용기는 우선 확인되고, 블랙 잉크(K) 용기의 LED(101)는 온으로 스위칭된다. 그러면, 제2 데이터 신호의 색 정보는 마젠타 잉크(M)를 지시하고, 제어 코드는 작동을 지시하므로, 잉크(M) 용기의 LED(101)는 잉크(K) 용기의 LED(101)가 ON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온으로 스위칭된다. 제3 데이터 신호의 제어 코드는 해제의 지시를 의미하고, 잉크(K) 용기의 LED(101)만 해제된다.
전술된 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LED의 점멸 제어는 확인된 잉크 용기에 대해 교대로 반복된 작동 및 해제 제어 코드를 보내는 주 조립체측의 제어 회로(300)에 의해 달성된다. 점멸의 주기는 교대하는 제어 코드의 주기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5.3 제어 공정(도36 내지 도31 참조):
도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와 관련된 제어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고, 특히 주 조립체측 내에 제공된 제어 회로(300)에 의한 각각의 잉크 용기(1)의 LED(101)의 작동 및 해제를 도시하고 있다.
도36에 도시된 공정은 소정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프린터(201)의 주 조립체 커버를 개방하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공정이 시작될 때, 잉크 용기는 단계 S101에 의해 장착 또는 해제된다.
도37은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 공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또는 해제 공정에서, 캐리지(205)는 단계 S201에서 이동되고, 캐리지(205) 상에 보유된 잉크 용기의 상태의 정보(그 개별 정보)는 얻어진다. 여기에서 얻어질 상태의 정보는 잉크 용기의 개수와 더불어 메모리 어레이(103B)로부터 판독되는 잉크 잔여량 등이다. 단계 S202에서, 확인은 캐리지(205)가 도18과 연계하여 설명된 잉크 용기 교환 위치에 도달되는지에 대해 수행된다.
확인의 결과가 긍정이면, 단계 S203은 잉크 용기 장착 확인 제어를 위해 실행된다.
도38은 장착 확인 제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단계 S301에서, 캐리지(205) 상에 보유된 잉크 용기의 개수를 지시하는 변수(N)가 설정되고, 잉크 용기의 개수에 대응하여 LED의 발광의 확인을 위한 플래그[F(k)] 초기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용기의 개수는 4(K, C, M, Y)이므로, N은 4로 설정된다. 그러면, 4개의 플래그[F(k)(k=1 내지 4)]가 준비되고, 이들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단계 S302에서, 잉크 용기에 대한 장착 확인의 순서와 관련된 플래그의 변수(An)가 "1"로 설정되고, 단계 S303에서 장착 확인 제어는 제A 잉크 용기에 대해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에서, 홀더(150)의 접점(152) 그리고 잉크 용기의 접점(102)은 기록 헤드 유닛(105)의 홀더(150) 내의 정확한 위치로 잉크 용기를 장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서로와 접촉되어, 주 조립체측의 제어 회로(3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색 정보(잉크 용기에 대한 개별 정보)에 의해 잉크 용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용기의 메모리 어레이(103B) 내에 저장된 색 정보는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확인을 위한 색 정보는 이미 판독된 것에 대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 공정에서, 확인은 판독된 색 정보가 이러한 공정의 시작 후에 이미 판독된 색 정보와 상이한지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단계 S304에서, 색 정보가 판독될 수 있으면, 색 정보는 이미 판독된 일부의 정보와 상이하고, 색 정보의 잉크 용기가 제A 잉크 용기로서 장착된 것으로 확인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A 잉크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여기에서, "제A"는 잉크 용기의 확인의 순서만 나타내고, 잉크 용기의 장착된 위치를 지시하는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제A 잉크 용기가 정확하게 장착된 것으로 확인될 때, 플래그[F(A)]{준비된 플래그[F(k)](k=1 내지 4)들 중에서 k=An을 충족시키는 플래그}는 도35와 연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 S305에서 "1"로 설정되고, 대응하는 색 정보를 갖는 잉크 용기(1)의 LED(101)는 온으로 스위칭된다. 잉크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 플래그[F(A)]는 단계 S311에서 "0"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S306에서 변수(An)는 1만큼 증분되고, 확인은 변수(An)가 단계 S301에서 설정된 N(본 실시예에서, N=4)보다 큰지에 대해 수행된다. 변수(An)가 N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S303에 후속하는 공정은 반복된다. N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장착 확인 제어는 모든 4개의 잉크 용기에 대해 완료된다. 다음에, 단계 S308에서, 확인은 주 조립체 커버(201)가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개방 위치에 있는지에 대해 수행된다. 주 조립체 커버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일부의 잉크 용기가 장착되지 않거나 적절하게 장착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커버를 폐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정상 상태가 단계 S312에서 도37의 처리 루틴으로 복귀된다. 그러면, 이러한 공정 작업은 완료된다.
반대로, 주 조립체 커버(201)가 단계 S308에서 개방된 것으로 확인될 때, 확인은 모든 4개의 플래그[F(k)](k=1 내지 4)가 "1"인지에 대해 즉 LED(101)가 모두 온으로 스위칭되는지에 대해 수행된다. LED(101)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온으로 스위칭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302에 후속하는 공정은 반복된다. 사용자가 LED(101)가 온으로 스위칭되지 않은 잉크 용기(들)를 장착하거나 정확하게 재장착할 때까지, 잉크 용기(들)의 LED는 온으로 스위칭되고, 공정 작업은 반복된다.
모든 LED가 온된 것으로 확인될 때, 정상 종료 작업이 단계 S310에서 수행되고, 이러한 공정 작업은 완료된다. 다음에, 공정은 도37에 도시된 처리 루틴으로 복귀된다. 도39의 (a)는 모든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모든 LED가 각각 온으로 스위칭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7을 재참조하면, 잉크 용기 장착 확인 제어(단계 S203)가 전술된 방식으로 실행된 후, 확인은 단계 S204에서 제어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즉 잉크 용기가 적절하게 장착되는지에 대해 수행된다. 장착이 정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조작부(213) 내의 표시 장치(도14 및 도15 참조)는 예컨대 단계 S205에서 그린으로 켜지고, 정상 종료가 단계 S206에서 실행되고, 작업은 도36에 도시된 예로 복귀된다. 비정상 장착이 확인될 때, 조작부(213) 내의 표시 장치는 예컨대 단계 S207에서 오렌지로 점멸되고, 비정상 종료는 수행되고, 작업은 도36에 도시된 처리 루틴으로 복귀된다. 프린터가 프린터를 제어하는 호스트 PC와 연결될 때, 장착 비정상 표시는 동시에 PC의 디스플레이 상에도 수행된다.
도36에서, 단계 S101의 잉크 용기 장착 공정이 완료될 때, 확인은 장착 또는 해제 공정이 단계 S102에서 적절하게 완료되는 지에 대해 수행된다. 비정상이 확인되면, 공정 작업은 사용자가 주 조립체 커버(201)를 개방하는 것을 기다리고, 커버(201)의 개방에 응답하여, 단계 S101의 공정은 도37과 연계하여 설명된 공정이 반복되도록 시작된다.
적절한 장착 및 해제 공정이 단계 S102에서 확인될 때, 공정은 사용자가 단계 S103에서 주 조립체 커버(201)를 폐쇄하는 것을 기다리고, 확인은 커버(201)가 단계 S104에서 폐쇄되는 지에 대해 수행된다. 확인의 결과가 긍정이면, 작업은 단계 S105의 광 인증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주 조립체 커버(201)의 폐쇄가 도39의 (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되면, 캐리지(205)는 광 인증을 위한 위치로 이동되고, 잉크 용기의 LED(101)는 해제된다.
광 인증 공정은 적절하게 장착된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용기의 구조는 그 배치 구성이 잉크 용기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을 위해 그 내에 보유된 잉크의 색상에 따라 독특해지도록 되어 있지 않다. 이는 잉크 용기 본체의 제조의 간략화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잉크 용기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광 인증 공정은 이러한 잘못된 장착을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통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로써, 잉크의 색상에 따라 잉크 용기의 배치 구성이 서로와 상이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잉크 용기 제조의 효율 및 낮은 비용은 달성된다.
도40은 광 인증 공정 (a) 내지 (d)를 도시하고 있다.
도41도 광 인증 공정 (a) 내지 (d)를 도시하고 있다.
도40의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캐리지(205)는 우선 제1 수광부(210)를 향해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기 시작된다. 옐로우 잉크 용기를 위한 위치에 놓인 잉크 용기가 제1 수광부(210)와 대향될 때, 옐로우 잉크 용기의 LED(101)를 작동시키는 신호가 도35와 연계하여 설명된 제어에 의해 온으로 스위칭하고 소정 시간 동안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출력된다.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놓일 때, 제1 수광부(210)는 잉크 용기(1Y)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것을 제어 회로(300)가 확인하도록 LED(101)로부터 광을 수용한다.
캐리지(205)를 이동시키면서, 도4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젠타 잉크 용기를 위한 위치에 놓인 잉크 용기가 제1 수광부(210)와 대향될 때, 마젠타 잉크 용기의 LED(101)를 작동시키는 신호가 마찬가지로 온으로 스위칭되도록 출력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잉크 용기(1M)는 제1 수광부(210)가 LED로부터 광을 수용하도록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다. 도40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은 확인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모든 잉크 용기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다.
반대로, 시안 잉크 용기(1C)가 마젠타 잉크 용기(1M)를 위한 위치에 잘못 장착되면, 도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광부(210)와 대향되는 잉크 용기(1C)의 LED(101)가 작동되지 않고, 또 다른 위치에 장착된 잉크 용기(1M)가 온으로 스위칭된다. 결과적으로, 제1 수광부(210)는 장착 위치가 잉크 용기(1M)(정확한 용기) 이외의 잉크 용기를 갖는 것을 제어 회로(300)가 확인하도록 소정 타이밍에 광을 수용하지 않는다. 마젠타 잉크 용기(1M)가 시안 잉크 용기(1C)를 위한 위치에 잘못 장착되면, 도4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광부(210)에 대향되는 잉크 용기(1M)의 LED(101)가 작동되지 않고, 또 다른 위치에 장착된 잉크 용기(1C)가 온으로 스위칭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된 제어 회로(300)로써의 광 인증 공정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잉크 용기(들)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이다. 장착 위치가 그에 장착된 정확한 잉크 용기를 갖지 않으면, 그 곳에 잘못 장착된 잉크 용기의 색상은 다른 3개 색상의 잉크 용기의 LED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31과 연계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측 내의 배선 리드는 공통 배선 리드(소위 버스 배선 리드)이고, 장치측 내의 배선은 간단하다. 종래로부터, 잉크 용기의 위치 검출은 공통 배선 리드를 사용하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배선 리드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로써의 잉크 용기의 위치 검출은 잉크 용기의 개별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보유부, 기록 장치 내의 수광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그리고 기록 장치로부터 공급된 개별 정보를 지시하는 신호가 정보 보유부 내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할 때에 발광부를 스위칭하는 제어기를 잉크 용기 내에 제공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도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잉크 잔여량은 단계 S401에서 우선 검사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인쇄량은 인쇄가 수행될 잡의 인쇄 데이터로부터 결정되고, 비교는 잔여량이 충분한지를 검사하도록 결정량과 잉크 용기의 잔여량 사이에서 수행된다(확인 공정). 이러한 공정에서, 잉크 잔여량은 카운팅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300)에 의해 검출된 양이다.
단계 S402에서, 확인은 잔여 잉크량이 확인 공정에 기초하여 인쇄에 충분한지에 대해 수행된다. 잉크량이 충분하면, 작업은 단계 S403으로 진행되고, 조작부(213)의 표시 장치는 단계 S404에서 그린으로 켜진다(정상 종료). 반면에, 단계 S402에서의 확인의 결과가 잉크의 부족을 지시하면, 조작부(213)의 표시 장치는 단계 S405에서 오렌지로 점멸되고, 단계 S406에서 불충분한 양의 잉크를 보유한 잉크 용기(1)의 LED(101)는 점멸되거나 온으로 스위칭된다(비정상 종료). 기록 장치가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호스트 PC와 연결될 때, 잉크 잔여량은 동시에 PC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43의 (a) 및 (b)는 각각 제1 실시예가 상이한 위치에 기판 및 발광부를 놓음으로써 변형되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LED 등의 발광부(101)를 각각 갖는 기판(100-2)이 잉크 용기 전방 측면의 상부 상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01)는 전술된 실시예의 표시부로서도 기능한다.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판(100)은 경사진 표면부 상에 제공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카트리지측 커넥터(152)와의 만족스러운 연결 그리고 잉크로부터의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기 때문이고, 기판(100)은 전기 신호가 이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배선부(159-2)에 의해 기판(100-2) 또는 발광부(101)와 연결된다. 구멍(3H)이 잉크 용기 케이싱을 따라 배선부(159-2)를 연장시키도록 지지 부재(3)의 기부 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01)가 작동될 때, 광은 전방 측면을 향해 안내된다. 수광부(210)는 카트리지의 스캐닝 범위의 단부에 인접하게 도면의 우측으로 안내되는 광을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카트리지가 이러한 위치와 대면할 때, 발광부의 발광은 기록 장치측이 수광부에 의해 수용된 광의 내용으로부터 잉크 용기(1)와 관련된 소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어된다. 캐리지가 스캐닝 범위의 중심부에 있을 때, 예컨대, 발광부(101)는 사용자가 발광의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볼 수 있어 사용자가 잉크 용기(1)와 관련된 소정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도44의 (a) 및 (b)는 각각 도43의 변형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01)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기판(100-2)은 잉크 용기 전방 측면에서 조작부(3M)의 후방 측면 상에 제공되고, 조작부(3M)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기능 및 유리한 효과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캐리지가 스캐닝 범위의 중심부에 놓일 때, 예컨대, 발광부(101)는 작동되므로, 사용자가 요구된 조작 예컨대 잉크 용기의 교환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3)의 조작부(3M)도 조사된다. 조작부(3M)에는 조작부(3M)의 조사된 상태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절한 양의 광을 전달 또는 산란시키는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도45는 전술된 구조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01)를 갖는 기판(100-2)은 지지 부재(3)의 조작부(3M)의 전방 측면 상에 배치된다. 기판(100), 기판(100-2) 및 발광부(101)는 지지 부재(3)를 따라 연장된 배선부(159-2)에 의해 지지 부재(3)의 기부 내에 형성된 구멍(3H)을 통해 서로와 연결된다. 본 예에 따르면, 도44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43 내지 도45에 도시된 구조에서, 기판(100), 배선부(159-2) 및 기판(100-2)이 하나의 일체형 부재일 수 있도록 가요성 인쇄 케이블(FPC)이 사용될 수 있다.
도43 내지 도45의 구조로써, 잉크 용기는 간단하고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기록 장치의 장착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위치 설정은 실시예 1과 같이 보증되고, 추가로 전술된 접촉 패드의 배치는 잉크 용기 장착의 양호한 조작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전기 접속 형성을 보증하는 데 효과적이다. 추가로, 외측으로 광을 방출하는 표시부는 사용자 가시성이 개선되도록 잉크 용기의 전방 측면 즉 래칭 레버를 갖는 측면의 상부 부분 상에 배치된다(발광부 및 표시부가 공통인 도43 내지 도4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다양한 개선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 시스템은 외부로 방출된 소정량의 잉크가 주요-스캐닝 방향으로 왕복하는 기록 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잉크 용기의 사용으로써 인쇄 헤드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위 연속형 공급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또 다른 액체 공급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도, 장착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기록 헤드는 또 다른 색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용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잉크 방출의 순서는 악화된 기록 품질의 결과로써 소정 순서와 상이하다. 헤드와 일체형인 잉크 용기가 기록 장치로부터 장착 또는 해제될 때, 기록 헤드로부터 누설된 잉크는 접촉 패드 상에 침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고려되어야 한다.
도3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등을 갖는 기판의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3)는 I/O 제어 회로(I/O-CTRL)(103A) 및 LED 구동기(103c)를 포함한다.
I/O 제어 회로(103A)는 주 조립체측 내에 제공된 제어 회로(300)로부터 가요성 케이블(206)을 통해 공급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LED(101)를 작동시킨다.
LED 구동기(103c)는 I/O 제어 회로(103A)가 높은 수준에 있을 때에 광을 방출하게 하도록 LED(101)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I/O 제어 회로(103A)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높은 수준에 있을 때에 LED(101)는 온-상태에 있고, 신호가 낮은 수준에 있을 때에 LED(101)는 오프-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는 메모리 어레이(103B)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정보(예컨대, 색 정보)가 메모리 어레이 내에 저장되지 않더라도, 잉크 용기는 확인될 수 있고, 확인된 잉크 용기의 LED(101)는 작동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도4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 용기(1)의 제어기(103)의 I/O 제어 회로(103A)는 개시 코드+색 정보를 수용하고, 제어 코드에는 주 조립체측 제어 회로(300)로부터 신호 라인(DATA)을 통해 클럭 신호(CLK)가 공급된다(도20 참조). I/O 제어 회로(103A)는 LED 구동기(103c)의 작동 또는 해제를 결정하도록 커맨드로서 색 정보+제어 코드의 조합을 인식하는 커맨드 확인부(103D)를 포함한다. 잉크 용기(1K, 1C, 1M, 1Y)에는 상이한 커맨드 확인부(103D)를 갖는 각각의 제어기(103)가 제공되고, 각각의 색상에 대해 LED의 ON 및 OFF를 제어하는 커맨드는 도47에 도시된 배열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각각의 커맨드 확인부(103D)는 이러한 의미에서 각각의 개별 정보(색 정보)를 갖고, 정보는 입력된 커맨드의 색 정보와 비교되고, 다양한 작업이 제어된다. 예컨대, 주 조립체가 잉크 용기(1K)의 LED를 온으로 켜는 K-ON을 지시하는 색 정보+ 제어 코드 000100을 개시 코드와 더불어 전송할 때, 잉크 용기(1K)의 커맨드 확인부(103D)만 이를 수용하여, 잉크 용기(1K)의 LED만 온으로 스위칭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103)는 색상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가져야 하지만, 메모리 어레이(103B)의 제공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커맨드 확인부(103D)는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LED(101)의 턴-온 및 턴-오프를 지시하는 커맨드뿐만 아니라 모든 잉크 용기의 LED(101)의 턴-온 및 턴-오프를 지시하는 ALL-ON 및 ALL-OFF 커맨드 및/또는 특정 색상 제어기(103)가 응답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CALL 커맨드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대체예로서, 색 정보 그리고 주 조립체측 제어 회로(300)로부터 잉크 용기(1)로 보내진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커맨드는 잉크 용기 내의 색 정보(개별 정보)와 직접적으로 비교되지 않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입력된 커맨드는 제어기(103)에서 변환 또는 처리되고, 변환의 결과로서 제공된 수치는 메모리 어레이(103B) 또는 커맨드 확인부 내에 저장된 소정 수치와 비교되고, 비교의 결과가 소정 관계에 대응할 때에만, LED는 작동 또는 해제된다.
추가의 대체예로서,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보내진 신호는 제어기(103)에서 변환 또는 처리되고, 메모리 어레이(103B) 또는 커맨드 제어부(103D) 내에 저장된 수치도 제어기(103)에서 변환 또는 처리된다. 변환된 것은 비교되고, 비교의 결과가 소정 관계에 대응할 때에만, LED는 작동 또는 해제된다.
6. 기타:
본 실시예에서, 옐로우 잉크, 마젠타 잉크, 시안 잉크 및 블랙 잉크를 보유하는 잉크 용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된 색상 또는 색조는 이들 예로 제한되지 않고, 잉크 용기의 개수는 이들 예의 개수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잉크에 추가하여, 엷은 색상의 잉크, 레드 잉크, 그린 잉크, 블루 잉크 등의 특별한 색상의 잉크가 사용 가능하다. 잉크 용기의 개수의 증가로, 잉크 용기의 잘못된 장착의 가능성은 증가되고, 가시성 및/또는 장착 및 해제 특성은 증가된 배선 리드 및 연결부에 의해 악화되어, 본 발명의 유효성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본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바와 같은 변형 또는 변화를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접속부의 위치 설정 및 안정된 형성을 보증하면서 장착부로의 장착 기구 및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잉크 용기 내에 제공된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이 확실히 사용자 그리고 프린터의 수광기로 전송되는 액체 용기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1의 (a), (b) 및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측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도2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상에 제공된 도광부 등의 기능을 도시하는 그 주요 부분의 개략 측면도 및 확대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4의 (a) 및 (b)는 각각 제1 실시예의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제어기 기판의 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5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6은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7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8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9는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10은 제1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기록 헤드 유닛의 예의 사시도.
도12a 및 도12b는 기록 헤드 유닛으로의 잉크 용기의 장착 작업을 도시하는 도면.
도13의 (a) 및 (b)는 각각 또 다른 예에 따른 기록 작업을 수행하도록 잉크 용기로부터 잉크를 수용하는 기록 헤드 유닛의 사시도, 그와 사용 가능한 캐리지의 사시도 그리고 이들이 서로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잉크 용기와 사용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
도15는 주 조립체 커버가 생략된 상태의 도14의 기록 장치의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상에 제공된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17은 도16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
도18의 (a), (b) 및 (c)는 각각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측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도19의 (a) 및 (b)는 각각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도록 도광부의 주요 부분의 개략 측면도 및 확대도.
도20의 (a) 및 (b)는 각각 도18의 구조의 변형예에 따른 측면도 및 정면도.
도21의 (a), (b) 및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
도22의 (a) 및 (b)는 각각 도21에 도시된 복수의 잉크 용기(1)가 보유되는 기록 장치의 개략 평면도 그리고 캐리지가 이동하는 동안에 프린터의 하부 위치에 제공된 수광부와 대면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3은 도22에 설명된 잉크 용기의 도광부의 기능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24의 (a), (b), (c) 및 (d)는 각각 도21의 실시예의 변형예인 잉크 용기의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
도25의 (a) 및 (b)는 각각 도24에 도시된 복수의 잉크 용기(1)를 보유하는 기록 장치의 개략 평면도 그리고 캐리지가 이동하는 동안에 프린터의 하부 위치에 제공된 수광부와 대면하는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6은 도24의 (a)에 도시된 도광부 상으로의 입사로부터 도광부로부터의 방출까지의 빔의 거동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27은 도24의 (a)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인 잉크 용기의 사시도.
도29의 (a), (b), (c) 및 (d)는 각각 도28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 도29의 (e) 및 (f)는 각각 캡 부재가 생략된 상태의 잉크 용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30은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31은 잉크 용기의 기판의 관점에서 잉크 용기와 잉크젯 프린터의 가요성 케이블 사이의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 라인 배선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32는 제어기 등이 제공된 기판의 세부를 도시하는 회로 다이어그램.
도33은 도32의 기판의 변형예의 회로 다이어그램.
도34는 기판의 메모리 어레이에 대한 데이터 기록 및 판독 작업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35는 LED(101)의 작동 및 해제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와 관련된 제어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37은 도36의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 공정의 플로우 차트.
도38은 도37의 장착 확인 제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39의 (a) 및 (b)는 각각 모든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LED가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해제를 위한 제어의 과정에서 각각 온으로 스위칭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주 조립체 커버가 LED 점등에 후속하여 폐쇄된 후에 광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인증(광 인증)을 위한 위치로의 캐리지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0은 광 인증 공정 (a) 내지 (d)를 도시하는 도면.
도41은 광 인증 공정 (a) 내지 (d)를 도시하는 도면.
도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43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정면도.
도44는 도43의 구조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
도45는 도43의 구조의 변형예의 개략 측면도.
도46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등을 갖는 기판의 회로 다이어그램.
도4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의 구조에서의 작업의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 용기
3 : 지지 부재
5 : 제1 결합부
6 : 제2 결합부
7 : 잉크 공급 포트

Claims (11)

  1.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이며,
    액체 보유 챔버를 한정하는 케이싱과,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케이싱의 타측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점과,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액체 용기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포트는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케이싱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접점은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체 용기.
  2. 복수의 액체 용기가 상이한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갖고, 액체 용기에 각각 대응하는 장치 전기 접점, 광을 수용하는 수광기 수단 및 장치 전기 접점과 공통으로 접속되는 라인과 접속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이며,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액체 용기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액체 용기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장치 접점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용기 전기 접점과,
    액체 용기의 개별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위치 검출 수단으로 광을 안내하는 표시부와,
    용기 전기 접점을 통해 공급된 개별 정보를 지시하는 신호에 의해 지시된 정보 그리고 상기 정보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정보가 동일할 때에 발광부의 광의 방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공급 포트는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액체 용기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접점은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체 용기.
  3. 잉크젯 헤드를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이며,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포트와,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과,
    공급 포트가 제공되는 저부 측면과,
    제1 측면 및 저부 측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제1 코너부와,
    제2 측면 및 저부 측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제2 코너부와,
    상기 제2 측면 및 액체 용기의 상부 측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제3 코너부와,
    상기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한 제1 결합부와,
    상기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와,
    상기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점과,
    잉크젯 기록 장치로 광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측면 내에 제1 코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 포트는 저부 측면 내에 제1 코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점은 제2 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제3 코너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체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점은 저부 측면에 대해 그리고 제1 측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액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저부 측면으로부터의 경사의 각도가 40˚ 내지 50˚인 액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저부 측면으로부터의 경사의 각도가 대략 45˚인 액체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용기 내에 보유된 액체는 기록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잉크인 액체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표시부로서도 기능하는 액체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표시부는 발광부에 의해 방출된 광을 안내하는 도광부에 의해 서로와 연결되는 액체 용기.
  10.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액체 보유 챔버를 한정하는 케이싱과,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케이싱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케이싱의 타측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점과,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액체 용기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포트는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케이싱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접점은 상기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용기 내로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1. 복수의 액체 용기가 상이한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갖고, 액체 용기에 각각 대응하는 장치 전기 접점, 광을 수용하는 수광기 수단 그리고 장치 전기 접점과 공통으로 접속되는 라인과 접속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며,
    잉크젯 헤드에 그 내에 보유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포트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1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액체 용기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장착부 내에 제공된 제2 로킹부와 결합 가능하고 액체 용기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에 대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장치 접점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용기 전기 접점과, 액체 용기의 개별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위치 검출 수단으로 광을 안내하는 표시부와, 상기 용기 전기 접점을 통해 공급된 개별 정보를 지시하는 신호에 의해 지시된 정보와 정보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정보가 동일할 때에 상기 발광부의 광의 방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공급 포트는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있는 액체 용기의 측면 내에 제공되고, 접점은 상기 타측면과 공급 포트를 갖는 측면 사이의 코너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표시부는 액체 용기의 타측면 내에, 사용 중,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체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용기 내로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040111803A 2003-12-26 2004-12-24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KR100718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5940 2003-12-26
JP2003435940 2003-12-26
JP2003435942 2003-12-26
JPJP-P-2003-00435942 2003-12-26
JP2004306128 2004-10-20
JPJP-P-2004-00306128 2004-10-20
JPJP-P-2004-00329699 2004-11-12
JP2004329699A JP4058434B2 (ja) 2003-12-26 2004-11-12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053A true KR20050067053A (ko) 2005-06-30
KR100718612B1 KR100718612B1 (ko) 2007-05-16

Family

ID=3455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803A KR100718612B1 (ko) 2003-12-26 2004-12-24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7213914B2 (ko)
EP (3) EP1547782B1 (ko)
JP (1) JP4058434B2 (ko)
KR (1) KR100718612B1 (ko)
CN (1) CN100389961C (ko)
AU (1) AU2004242557B2 (ko)
BR (1) BRPI0405848B1 (ko)
CA (2) CA2640670C (ko)
ES (3) ES2424466T3 (ko)
HK (3) HK1073632A1 (ko)
MX (1) MXPA04012679A (ko)
SG (3) SG113033A1 (ko)
TW (1) TWI243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12681A (es) 2003-12-26 2005-07-01 Canon Kk Recipiente para liquido y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JP4058434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4058436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JP2005313542A (ja) * 2004-04-30 2005-11-10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2005343036A (ja) *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33125B2 (ja) * 2004-10-20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25279B2 (ja) * 2004-10-20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を搭載するホルダ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とホルダと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JP4101230B2 (ja) * 2004-12-08 200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蔵容器および記録装置
JP2006181717A (ja) * 2004-12-24 2006-07-13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容器を用いる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記録装置、前記容器用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基板、並びに液体収納カートリッジ
JP4047328B2 (ja) * 2004-12-24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該容器を用いる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記録装置、並びに前記容器用回路基板
US7604317B2 (en) * 2005-06-21 2009-10-2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checking positions of ink containers, and method for checking the positions
WO2007030504A2 (en) 2005-09-07 2007-03-15 Retail Inkjet Solutions System and method for refilling inkjet cartridges
JP4697434B2 (ja) * 2006-02-22 2011-06-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キャリッジおよび該キャリッジを備える記録装置
US8240359B2 (en) * 2006-04-17 2012-08-14 Gerald Garrett Liquid storage and cooling computer case
JP4125329B2 (ja) * 2006-05-19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を備える液体供給システム
JP4942161B2 (ja) * 2006-06-30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356717B2 (ja) * 2006-08-11 2009-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US7416290B2 (en) * 2007-01-30 2008-08-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8025378B2 (en) * 2007-03-28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62161B2 (en) * 2007-10-29 2011-0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detector viewable with the human eye
DE102008009460A1 (de) * 2008-02-15 2009-08-20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mit Leiterplattenelement
US8550607B2 (en) * 2008-03-31 2013-10-0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system and ink contain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portion
US7805832B2 (en) * 2008-08-19 2010-10-0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omponent of integrated circuitry
JP5306140B2 (ja) 2008-12-19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DE202009002812U1 (de) * 2009-02-27 2009-05-20 Beck, Martin Empfangsfrequenzumsetzer mit Anzeigevorrichtung
GB2473063A (en) * 2009-08-28 2011-03-02 Dynamic Cassette Int Ink cartridge for a printer
JP5728959B2 (ja) * 2010-03-25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5093276B2 (ja) 2010-03-26 2012-1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供給装置
JP5246196B2 (ja) 2010-03-30 2013-07-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340240B2 (ja) * 2010-04-02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ン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5720148B2 (ja) 2010-09-03 2015-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569475B2 (ja) 2010-09-03 2014-08-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2051315A (ja) 2010-09-03 2012-03-15 Seiko Epson Corp ホルダー、ホルダーに着脱可能な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5874160B2 (ja) * 2010-09-03 2016-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を着脱可能なホルダー
JP5887748B2 (ja) 2011-07-28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3049168A (ja) 2011-08-30 2013-03-14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CN105437776B (zh) * 2011-12-22 2017-06-20 兄弟工业株式会社 打印流体盒、打印设备和打印流体盒的使用
CN102950902B (zh) * 2011-12-30 2015-03-18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墨盒组、喷墨记录装置、墨盒装机检测模块和方法
WO2013097703A1 (zh) 2011-12-30 2013-07-04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喷墨墨盒、墨盒组、墨盒组装机检测方法
AU2016201351A1 (en) * 2012-01-12 2016-03-24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8708469B2 (en) 2012-01-12 2014-04-29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8297739B1 (en) 2012-03-02 2012-10-30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GB2499105B (en) * 2012-01-12 2014-09-17 Seiko Epson Corp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CN103204005B (zh) * 2012-01-12 2016-12-2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盒以及印刷材料供应系统
CA2873805C (en) 2012-01-12 2017-02-07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9039153B2 (en) 2012-01-12 2015-05-26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JP6025337B2 (ja) * 2012-02-03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US8894184B2 (en) 2012-05-23 2014-11-25 Seiko Epson Corporation Cover and liquid container
WO2013175791A1 (ja) 2012-05-23 2013-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封止部材
US9061512B2 (en) 2012-05-23 2015-06-23 Seiko Epson Corporation Cover and liquid container
JP6060544B2 (ja) 2012-05-23 2017-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及び、収容体ユニット
JP6048004B2 (ja) 2012-07-23 2016-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10647123B2 (en) 2012-07-23 2020-05-12 Seiko Epson Corporation Refilled cart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filled cartridge
JP6069964B2 (ja) 2012-07-23 2017-0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注入キット、及び、注入装置
US9827776B2 (en) 2012-07-23 2017-11-28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tridge
JP6149526B2 (ja) 2012-08-08 2017-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6354117B2 (ja) * 2012-08-31 2018-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保持部材、および液体収容容器
JP6160074B2 (ja) * 2012-12-07 2017-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ユニット、インク供給ユニット及びアダプター
JP6136247B2 (ja) 2012-12-25 2017-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保持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9796187B2 (en) 2012-12-27 2017-10-24 Zhuhai Ninestar Management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ink cartridge, and ink cartridge
WO2014101399A1 (zh) 2012-12-27 2014-07-03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的发光控制方法及装置
CN105584224B (zh) * 2012-12-27 2017-03-22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的发光控制方法、单元、电路板、墨盒及成像设备
CN105377561B (zh) * 2013-07-10 2017-12-1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包括闩手柄和肋的流体容器部
ITVI20130197A1 (it) * 2013-07-30 2015-01-31 Ettore Maurizio Costabeber Cartuccia perfezionata per l¿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stereolitografica, macchina stereolitografica comprendente tale cartuccia e metodo di stereolitografia impiegante tale macchina
DE112014004288T5 (de) 2013-09-18 2016-06-09 Canon Kabushiki Kaisha Tintenkartusche und Tintenstrahldrucker
WO2015041365A1 (ja) 2013-09-18 2015-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DE202013105291U1 (de) 2013-11-21 2013-12-02 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 Patrone für eine Druckvorrichtung
WO2015093008A1 (ja) * 2013-12-18 2015-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DE102014000954A1 (de) 2014-01-24 2015-07-30 3T Supplies Ag Tintenpatrone und Tintenpatronensatz
JP6323091B2 (ja) 2014-03-14 2018-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4196000A (ja) * 2014-06-04 2014-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を着脱可能なホルダー、及び、液体収容容器
JP6512774B2 (ja) 2014-08-25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保持部材、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JP2016043663A (ja) 2014-08-26 2016-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タンク及び液体吐出装置
JP2016043664A (ja) 2014-08-26 2016-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タンク及び液体吐出装置
JP6795876B2 (ja) 2014-10-31 2020-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JP6531551B2 (ja) * 2014-12-02 2019-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6447300B2 (ja) 2015-03-27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US9987849B2 (en) 2015-08-21 2018-06-0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device
JP6308989B2 (ja) 2015-09-30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597146B2 (ja) * 2015-10-06 2019-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2017081083A (ja)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JP6700719B2 (ja) 2015-10-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602160B2 (ja) 2015-10-3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611564B2 (ja) 2015-10-30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WO2017115581A1 (ja) * 2015-12-28 2018-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6814001B2 (ja) 2016-09-09 2021-01-13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用の消耗品の使用妥当性管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用の消耗品の使用妥当性管理方法
EP4147873A1 (en) 2017-10-13 2023-03-15 Canon Kabushiki Kaisha Member including pad electrode, ink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JP7267708B2 (ja) 2017-10-13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CN111655498A (zh) 2018-07-13 2020-09-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
RU2750861C1 (ru) 2018-07-13 2021-07-05 Хьюлетт-Паккард Дивелопмент Компани, Л.П.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чатной жидкости
BR112020021117B1 (pt) 2018-07-13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elho de fornecimento de líquido de impressão e estrutura de interface
ES2937728T3 (es) 2018-07-13 2023-03-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uministro de líquido de impresión
JP7224830B2 (ja) 2018-09-28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7154919B2 (ja) 2018-09-28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7242231B2 (ja) 2018-09-28 2023-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記録装置
TWI729878B (zh) * 2020-07-03 2021-06-01 崴強科技股份有限公司 電動盛紙盤、具有電動盛紙盤之自動饋紙機及其自動開關方法
US11607887B2 (en) 2020-07-30 2023-03-21 Keyence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cartridge
US11731798B2 (en) * 2021-06-22 2023-08-22 Funai Electric Co., Ltd. Hybrid fluid cartridge
JP2023042972A (ja) * 2021-09-15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導光部材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890A (ja) * 2001-03-30 2002-10-09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S6032667A (ja) * 1983-08-02 1985-02-19 Canon Inc インク残量検出装置
DE3880694D1 (de) * 1988-07-25 1993-06-03 Siemens Ag Anordnung fuer druckeinrichtungen zur ueberwachung von druckmedium enthaltenden vorratsbehaeltern.
JP2728912B2 (ja) 1988-12-29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8928706T2 (de) 1988-12-29 1998-12-10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kopf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DE69034212T2 (de) * 1989-08-05 2006-07-13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und Tintenkassette dafür
JP2752793B2 (ja) * 1990-12-10 1998-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用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H04275156A (ja) 1991-03-01 1992-09-30 Tokyo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このプリンタに使用され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082353B2 (ja) 1991-09-19 2000-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US5359357A (en) * 1992-03-19 1994-10-25 Fuji Xerox Co., Ltd. Ink-jet recording apparatus
CA2272160C (en) * 1992-07-31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ing container for recording apparatus
JP3226690B2 (ja) 1992-12-25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着脱自在なインクジェット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CA2112182C (en) 1992-12-25 2000-06-27 Masami Ikeda Detachable ink jet unit and ink jet apparatus
TW297332U (en) * 1993-01-19 1997-02-01 Canon Kk Ink jet cartridge, ink jet apparatus and ink container
JP3221210B2 (ja) * 1994-02-07 2001-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DE69529236T2 (de) 1994-08-24 2003-06-05 Canon Kk Tintenbehälter für Tintenstrahldrucker, Halter für den Behälter, Druckwagen für den Halter und Tintenstrahldrucker
JP2801149B2 (ja) 1994-08-24 1998-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
US5699091A (en) * 1994-12-2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US6097405A (en) * 1996-09-30 2000-08-01 Hewlett-Packard Company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printing device
JPH10138507A (ja) * 1996-11-14 1998-05-2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H10323993A (ja) * 1997-02-19 1998-12-08 Canon Inc 検出システム、該検出システムを用いる液体吐出記録装置と液体収納容器、及び、光量変化受光システム
JPH1161637A (ja) * 1997-08-18 1999-03-05 Canon Inc 繊維素材及びそのインク接液部材としての用途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6454400B1 (en) * 1998-09-01 2002-09-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cartridge including liquid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ing cartridge and liquid discharge printing apparatus
US6151041A (en) * 1998-10-19 2000-11-21 Lexmark International, Inc. Less restrictive print head cartridge installation in an ink jet printer
JP2000326604A (ja) 1999-05-18 2000-11-28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
JP2001010081A (ja) * 1999-06-30 2001-01-1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AU6016300A (en) * 1999-07-14 2001-02-0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ink jet printer, method of replacing ink cartridge
JP2001071522A (ja) * 1999-09-03 2001-03-21 Canon Inc 液体容器およびプリント装置
US6155678A (en) * 1999-10-06 2000-1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ink jet pen
DE60109967T2 (de) 2000-01-31 2006-03-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Houston Auswechselbarer Tintenbehälter für ein Tintenstrahldrucksystem
US6302535B1 (en) 2000-04-19 2001-10-16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JP2001253090A (ja) 2000-03-08 2001-09-18 Sharp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残量検出装置
US6742872B2 (en) * 2000-03-31 2004-06-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mounted on such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387890B2 (ja) * 2000-03-31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記録装置
JP3492283B2 (ja) * 2000-03-31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記録装置
JP3745199B2 (ja) 2000-06-16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形半導体素子が配され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該インクタンクが搭載され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719394B2 (en) 2000-04-14 2004-04-13 Canon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ink tank provided with such semiconductor device, ink jet cartridg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semiconductor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memory element, security system of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814465B2 (ja) 2000-06-16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DE60130287T2 (de) 2000-06-16 2008-05-29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das ein Festkörperhalbleiterbauelement verwendet
JP3697213B2 (ja) * 2001-02-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の撹拌方法
CA2371040A1 (en) * 2001-02-09 2002-08-09 Nobuyuki Hatasa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CA2379725C (en) 2001-04-03 2007-06-1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JP2002301829A (ja) 2001-04-04 2002-10-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96871B2 (ja) * 2001-09-28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3667283B2 (ja) * 2002-01-25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4086515B2 (ja) * 2002-02-15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ル部材と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および液体噴射記録ヘッド
JP4018422B2 (ja) * 2002-03-29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収納容器の識別方法
JP2003300358A (ja) * 2002-04-10 2003-10-21 Canon Inc 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US7128380B2 (en) * 2002-04-10 2006-10-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liquid containe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cartridge collecting apparatus
JP2003334964A (ja) 2002-05-21 2003-11-25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54954B2 (ja) * 2002-11-27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54317B2 (ja) 2002-12-02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JP2004358913A (ja) * 2003-06-06 2004-12-2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JP2005028779A (ja) * 2003-07-07 2005-02-0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JP4298629B2 (ja) 2003-12-26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58436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MXPA04012681A (es) 2003-12-26 2005-07-01 Canon Kk Recipiente para liquido y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JP4058434B2 (ja) *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36930B2 (en) 2012-03-20
JP4058434B2 (ja) 2008-03-12
EP2325014A1 (en) 2011-05-25
US8628179B2 (en) 2014-01-14
US20070195141A1 (en) 2007-08-23
US7213914B2 (en) 2007-05-08
ES2424466T3 (es) 2013-10-02
MXPA04012679A (es) 2005-09-30
TW200524738A (en) 2005-08-01
AU2004242557B2 (en) 2006-12-07
US20110037815A1 (en) 2011-02-17
BRPI0405848B1 (pt) 2016-01-26
HK1073632A1 (en) 2005-10-14
EP1547782B1 (en) 2012-08-22
TWI243099B (en) 2005-11-11
EP2325014B1 (en) 2013-07-24
SG174073A1 (en) 2011-09-29
KR100718612B1 (ko) 2007-05-16
US20120127247A1 (en) 2012-05-24
JP2006142483A (ja) 2006-06-08
BRPI0405848A (pt) 2005-09-06
EP1547782A3 (en) 2008-10-15
ES2390341T3 (es) 2012-11-12
EP1547782A2 (en) 2005-06-29
HK1152682A1 (en) 2012-03-09
CA2640670A1 (en) 2005-06-26
CN100389961C (zh) 2008-05-28
EP2325013B1 (en) 2013-07-24
CA2490755A1 (en) 2005-06-26
EP2325013A1 (en) 2011-05-25
CA2490755C (en) 2009-10-13
US8091998B2 (en) 2012-01-10
HK1153173A1 (en) 2012-03-23
AU2004242557A1 (en) 2005-07-14
US20050185034A1 (en) 2005-08-25
ES2426977T3 (es) 2013-10-28
CN1636743A (zh) 2005-07-13
SG113033A1 (en) 2005-07-28
SG140594A1 (en) 2008-03-28
CA2640670C (en)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12B1 (ko) 액체 용기 그리고 이를 위한 제조 방법
KR100707321B1 (ko) 액체 용기
KR100794859B1 (ko) 액체 용기 및 인쇄 시스템
JP4659530B2 (ja) インクタンクホルダ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AU2006253278B2 (en) Liquid container, liquid supplying system and circuit board for liquid container
KR100754038B1 (ko) 액체 용기, 액체 공급 시스템, 그 제조 방법, 그 회로기판 및 액체 내장 카트리지
JP4086887B2 (ja)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4420460B2 (ja) インクタンク用基板ユニット、該基板ユニットを具える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RU228810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