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554A -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554A
KR20050065554A KR1020057005174A KR20057005174A KR20050065554A KR 20050065554 A KR20050065554 A KR 20050065554A KR 1020057005174 A KR1020057005174 A KR 1020057005174A KR 20057005174 A KR20057005174 A KR 20057005174A KR 20050065554 A KR20050065554 A KR 2005006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유루기
즈요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를 신속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안테나(104)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유선접속부(107)와, 통신안테나(104)를 이용하여 행하는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접속절환스위치(103)를 갖는 무선통신장치(100)와, 통신안테나(104)와의 사이에서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안테나(114)와,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유선접속부(117)와,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접속절환스위치(113)를 갖는 무선통신장치(110)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Bluetooth 등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luetooth로 대표되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Bluetooth SIG, Inc.,“스페시피케이션 오브 더 블루투스 시스템, 프로파일즈 버젼 1.1(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 Profiles, version 1.1),”PartK:1, pp.13-53, [online], 2001년 2월 22일, Bluetooth SIG, Inc., [2002년 11월 13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bluetooth.com/pdf/Bluetooth_11_Profiles_Book.pdf>참조)에서는, 2 대의 기기 사이에 무선링크가 확립되고 실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질 때까지, 다양한 소정의 절차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스페시피케이션 오브 더 블루투스 시스템, 프로파일즈 버젼 1.1(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 Profiles, version 1.1)의 모든 개시는, 전부 그대로 여기에 인용(참조)함으로써 일체화시킨다.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링크 확립을 주도하는 기기는, 우선,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발견하고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의 개체식별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어떤 일정 시간에 걸쳐서 기기탐색을 행한다.
그리고, 무선링크 확립을 주도하는 기기는, 기기탐색 결과로부터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결정하여 링크 확립을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이러한 절차와 관련된 파라미터로서는,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에 관한 설정, 탐색 결과로부터 얻어진 개체식별정보에 관한 설정 등이 있다.
원래,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는, 불확실하거나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확립까지의 동작에 있어서, 우선,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탐색하고, 그 탐색 결과로부터 링크 확립을 원하는 대상의 기기를 선택하는 순서를 밟을 필요가 있으며, 링크 확립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링크 확립을 주도하는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신기기에 도달하지 않고, 링크 자체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최근 보급이 현저한 Bluetooth와 IEEE 802.11b는, 동일한 ISM 밴드(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로 칭하는 2.4 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의 전파가 방해파가 되어 링크 확립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평 8-204777호 공보에는, 유선통신 프로토콜을 무선장치가 모니터함으로써 무선통신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입수하고, 용이하게 유선시스템에서 무선시스템으로 이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일본국 특개평 8-204777호 공보의 모든 개시는, 전부 그대로 여기에 인용(참조)함으로써 일체화시킨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2-359623호 공보에는, 무선통신 단말이 갖는 유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사전에 무선통신에서의 파라미터의 설정을 쉽게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일본국 특개 2002-359623호 공보의 모든 개시는, 전부 그대로 여기에 인용(참조)함으로써 일체화시킨다.
그러나, 이들 방법을 이용한 경우, 유선통신을 모니터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드와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를 구별하여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준비하여 사용자에게 모드선택을 재촉하고, 사용자는 이것에 따라서 모드선택을 지시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를 신속하게 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전자기기에 상기 수단을 이용한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모드절환(switching)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무선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링크 확립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유선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10 : 무선통신장치 101,111 : 통신제어부
102,112 : 통신부 103,113 : 접속절환스위치
104,114 : 통신 안테나 105,115 : 접속검출부
106,116 : 접속제어부 107,117 : 유선접속부
108,118 : 어플리케이션 109,119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이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 1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갖는 제 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갖는 제 2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제 2의 본 발명은, 상기 제 1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 1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검출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 2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절환수단이 행한 절환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제 1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제 3의 본 발명은, 상기 제 1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신호레벨보다도 작은 신호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제 1 신호레벨 조절수단을 더 갖는 제 2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제 4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이다.
제 5의 본 발명은,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검출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를 행하는 제 4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이다.
제 6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이다.
제 7의 본 발명은,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검출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가 행해지며, 상기 제 2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절환수단에 의해서 행해진 절환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제 6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이다.
제 8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제 1 절환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제 2 절환단계를 구비한 무선통신방법이다.
제 9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절환단계를 구비한 무선통신방법이다.
제 10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절환단계를 구비한 무선통신방법이다.
제 11의 본 발명은, 제 8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제 1 절환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제 2 절환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 12의 본 발명은, 제 9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절환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 13의 본 발명은, 제 10의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단계와,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유선통신단계와,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이용하여, 절환하는 절환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 14의 본 발명은, 제 11 항에서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가능한 기록매체이다.
제 15의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1) 상기 제 1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검출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무선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를 행하고, (2)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3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유선접속 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3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3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3 절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3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되는 동시에, 상기 검출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가 행해지며, 상기 제 1 절환수단은, 상기 제 3 절환수단에 의해서 행해진 절환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무선통신장치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무선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상태)인 도 1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유선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상태)인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링크 확립을 주도하는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링크 확립을 수용하는 제 2 무선통신장치(11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무선통신장치(100), 제 2 무선통신장치(110)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무선통신장치(100)가 링크 확립을 주도하고, 제 2 무선통신장치(110)가 링크 확립을 수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제 2 무선통신장치(110)가 링크 확립을 주도하고, 제 1 무선통신장치(100)가 링크 확립을 수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무선통신장치(100),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01은 통신제어부, 102는 변복조를 행하는 통신부, 103은 접속절환스위치, 104는 무선통신을 행하는 통신안테나, 105는 제 2 무선통신장치와의 물리적인 접속을 검출하는 접속검출부, 106은 접속절환스위치를 제어하는 접속제어부, 107은 링크 확립을 유선으로 실현하는 유선접속부, 108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10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111은 통신제어부, 112는 변복조를 행하는 통신부, 113은 접속절환스위치, 114는 무선통신을 행하는 통신안테나, 115는 제 2 무선통신장치와의 물리적인 접속을 검출하는 접속검출부, 116은 접속절환스위치를 제어하는 접속제어부, 117은 링크 확립을 유선으로 실현하는 유선접속부, 118은 무선데이터 통신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11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은, RS232C와 USB 등에 대응하는 직렬케이블, 기기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점과 커넥터 등에 의한, 유선접속부(107)와 유선접속부(117)의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여기에, 접속제어부(106)와 접속제어부(116)는, 유선접속부(107)와 유선접속부(117)가 유선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제어신호의 교환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통신안테나(104)는 본 발명의 제 1 무선통신수단에 대응하고, 유선접속부(107)는 본 발명의 제 1 유선통신수단에 대응하며, 접속절환스위치(103), 접속제어부(106)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1 절환수단에 대응하고, 무선통신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 1 무선통신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통신안테나(114)는 본 발명의 제 2 무선통신수단에 대응하고, 유선접속부(117)는 본 발명의 제 2 유선통신수단에 대응하며, 접속절환스위치(113), 접속제어부(116)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2 절환수단에 대응하고, 무선통신장치(110)는 본 발명의 제 2 무선통신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응한다. 또한, 접속검출부(105)는 본 발명의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통신안테나(114)는 본 발명의 제 3 무선통신수단에 대응하고, 유선접속부(117)는 본 발명의 제 3 유선통신수단에 대응하며, 접속절환스위치(113), 접속제어부(116)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3 절환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링크 확립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 도 2를 주로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1) 우선, 본 실시예의 특징인, 무선데이터 통신을 Bluetooth에 응용한 경우의 링크를 확립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201 ;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9)는,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주변의 Bluetooth기기의 탐색을 어플리케이션(108)을 이용하여 통신제어부(101)에 지시한다.
단계 202 ;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는, 우선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검출부(105)의 상태를 참조한다.
(A) 처음에,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물리적인 접속이 존재하는 것이 접속검출부(105)에 의해서 확인된 경우(단계 206∼210)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3 참조).
단계 206 ; 통신제어부(101)는,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제어부(106)에 대하여,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절환스위치(103)를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유선접속부(107) 측으로 절환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207 ;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제어부(106)는,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절환스위치(103)를 유선접속부(107) 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접속제어부(116)에 대하여,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접속절환스위치(113)를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측으로 절환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208 ;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접속제어부(116)는,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접속제어부(10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접속절환스위치(113)를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에 대하여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접속절환스위치(113)를 절환한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는, 기기탐색에 이용되는 Inquiry 패킷을 생성하고,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부(102),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유선접속부(107),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부(112)를 통해,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2)에 대하여 Inquiry 패킷을 송신한다.
Inquiry 패킷을 수신한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는, 그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FHS 패킷을 생성하고,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부(112),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유선접속부(107), 제 1 무선통신장치의 통신부(102)를 통해,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한다.
제 1 무선통신장치(100)는, FHS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접속대상이 되는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디바이스 클래스와 물리 어드레스라는 링크를 확립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단계 209 ; 제 1 무선통신장치(100)는 제 2 무선통신장치(110)와의 링크 확립을 시도한다.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는, 링크 확립에 이용되는 Page 패킷을 생성하고, 제 1 무선통신장치(1OO)의 통신부(102),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유선접속부(107),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부(112)를 통해,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에 대하여 Page 패킷을 송신한다.
Page 패킷을 수신한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는, Page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Page Response 패킷을 생성하고,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부(112),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유선접속부(117),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유선접속부(107), 제 1 무선통신장치의 통신부(102)를 통해, 제 1 무선통신장치의 통신제어부(101)에 대하여 Page Response 패킷을 송신한다.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는, Page Response 패킷을 수신하면, 동일한 순서로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한다.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통신제어부(111)는, FHS 패킷을 수신하면, FHS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FHS-ack 패킷을 생성하고, 동일한 순서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의 통신제어부(101)에 대하여 FHS-ack 패킷을 송신한다.
단계 210 ;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무선링크가 확립된다.
또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물리적인 접속이 존재하는 것이 접속검출부(105,115)에 의해서 확인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쌍방의 접속절환스위치(103,113)를 유선접속부(107,117) 측으로 절환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실장함으로써, 프로그램을 간략화할 수도 있다.
(B) 다음에,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물리적인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접속검출부(105)에 의해서 확인된 경우(단계 203∼205,210)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1 참조).
단계 203 ; 통신제어부(101)는, 통신부(102)에, 접속절환스위치(103)를 통신안테나(104) 측으로 절환하고,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발견하여 그 개체식별정보를 취득하도록 지시한다.
통신부(102)는, 접속절환스위치(103)를 통신안테나(104) 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통신안테나(104)를 이용하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어떤 일정 시간에 걸친 기기탐색을 행한다.
단계 204 ; 통신제어부(101)는 기기탐색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9)는, 그 표시를 모니터링한 사용자로부터의 접속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통신제어부(101)에 지시한다.
통신제어부(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링크 확립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결정한다.
단계 205 ; 제 1 무선통신장치(100)는, 통신안테나(104)를 이용하는 무선통신에 의해서 제 2 무선통신장치(110)와의 링크 확립을 시도한다.
단계 210 ;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거쳐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무선링크가 확립된다.
지금까지 본 실시예의 특징인, 무선데이터 통신을 Bluetooth에 응용한 경우의 링크를 확립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2) 다음에, 링크가 확립된 후에,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물리적인 접속을 절단하고, 실제로 무선데이터 통신을 시작하는 동작을 설명한다(도 1 참조).
이 경우,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의 동작은 동일하다.
통신제어부(101)는, 유선접속부(107)가 미접속 상태로 변화한 것을 접속검출부(105)의 출력에 의해서 검지하고, 접속제어부(106)에 대하여 접속절환스위치(103)를 절환하도록 지시를 보낸다. 접속제어부(106)는, 지시에 따라서 접속절환스위치(103)를 통신안테나(104) 측으로 절환한다.
마찬가지로, 통신제어부(111)는, 유선접속부(117)가 미접속 상태로 변화한 것을 접속검출부(115)의 출력에 의해서 검지하고, 접속제어부(116)에 대하여 접속절환스위치(113)를 절환하도록 지시를 보낸다. 접속제어부(116)는, 지시에 따라서 접속절환스위치(113)를 통신안테나(114) 측으로 절환한다.
이렇게 하여, 실제의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링크 확립까지의 절차가 전부 유선접속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무선통신장치(1OO)가 송신한 Inquiry 패킷은 외부로 누설되는 일없이, 확실하게 제 2 무선통신장치(110)에 의해서 수신되며, 또한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에 의해서 수신되는 FHS 패킷은, 제 2 무선통신장치(110)가 송신한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통신장치(100)는 FHS 패킷을 수신한 후, 자동적으로 Page 패킷을 송신하는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탐색 개시로부터 무선링크 확립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무선통신장치(100)와 제 2 무선통신장치(110) 사이에 확실하게 무선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기기탐색 개시로부터 무선링크 확립까지 사용자 입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정된 기기가 무선링크 확립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물론, 쌍방의 통신부(102,112)가 각각 통신제어부(101,11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유선접속부(107,117)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고, 스스로가 송신하는 유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신호의 출력레벨을 저감하여도 된다. 유선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출력레벨은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의 출력레벨보다도 상당히 작기 때문에, 신호의 출력레벨을 저감함으로써 무선통신 시스템 전체의 소비전력을 아무런 지장없이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경우, 통신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제 1 신호레벨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한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 본 발명의 무선데이터 통신은,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Bluetooth를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해서 행해졌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무선통신방식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이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또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일부의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란, 이들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또는 몇개의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동작」이란, 상기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의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이용형태의 하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이용형태의 하나는,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며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 광·전파·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CPU 등의 퓨어 하드웨어(pure hardware)에 한하지 않고, 펌웨어(firmware), OS, 나아가서는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하여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링크 확립까지의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유선데이터 통신을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1 절환수단을 갖는 제 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상기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행하는 제 2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이나,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으로 절환하는 제 2 절환수단을 갖는 제 2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제 1 유선통신수단과 상기 제 2 유선통신수단 사이에서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제 1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검출한 유선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절환수단에 대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기 위한 절환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 2 절환수단은, 상기 제 1 절환수단이 행한 절환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절환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제 1 유선접속 검출수단이 상기 유선접속이 행해지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신호레벨보다도 작은 신호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유선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신호레벨을 조절하는 제 1 신호레벨 조절수단을 더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
KR1020057005174A 2002-11-18 2003-11-17 무선통신 시스템 KR20050065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4262A JP4125585B2 (ja) 2002-11-18 2002-11-18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JP-P-2002-00334262 2002-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554A true KR20050065554A (ko) 2005-06-29

Family

ID=3232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174A KR20050065554A (ko) 2002-11-18 2003-11-17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34253A1 (ko)
EP (1) EP1564931A1 (ko)
JP (1) JP4125585B2 (ko)
KR (1) KR20050065554A (ko)
CN (1) CN100336355C (ko)
TW (1) TW200423587A (ko)
WO (1) WO2004047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2031B2 (ja) 2004-01-16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方法
JP4608886B2 (ja) * 2004-01-16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方法
JP4645049B2 (ja) * 2004-03-19 2011-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US8401588B2 (en) * 2004-10-28 2013-03-19 Broadcom Corporation Dual mode human interface device
JP4849829B2 (ja) 2005-05-15 2012-01-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センタ装置
JP2006323707A (ja) * 2005-05-20 2006-11-30 Hitachi Ltd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CN101375260A (zh) * 2005-06-10 2009-02-25 微软公司 经由可信介质建立无线通用串行总线(wusb)连接
JP4745773B2 (ja) * 2005-09-21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10805B2 (ja) * 2005-11-18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線及び無線通信可能な通信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
US7688718B2 (en) * 2005-11-30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Variable-sized packet support for enhanc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s over a USB interface
US20090083451A1 (en) * 2007-09-26 2009-03-26 Keohane Susann M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omputer peripheral interface port that detects wireless protocol-switchable devices and enables seamless switching to a wireless connection upon safe removal from the computer peripheral interface port
TW201324941A (zh) * 2011-12-08 2013-06-16 Asustek Comp Inc 電子系統及其第二電子裝置
JP2013175127A (ja) * 2012-02-27 2013-09-05 Brother Ind Ltd 入出力設定プログラム、出力設定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5981734B2 (ja) * 2012-03-09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56037B2 (en) 2013-09-30 2016-09-27 Sonos, Inc. Identifying a useful wired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9199C (en) * 1994-07-29 1999-07-20 Roger Y.M. Cheung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wireless lan to a wired lan
JPH08265358A (ja) * 1995-03-20 1996-10-11 Hitachi Ltd 無線lanシステム及びその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情報フレームの中継方法
US5987327A (en) * 1996-09-16 1999-11-16 Motorola, Inc.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multiple switching centers
FI104138B (fi) * 1996-10-02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mä puhelun välittämiseksi sekä matkaviestin
US6137802A (en) * 1997-03-25 2000-10-24 Motorola, Inc. Automatic media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6308281B1 (en) * 1998-09-02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client to gateway connection over multiple physical connections
JP2001156723A (ja) * 1999-11-26 2001-06-08 Ntt Docomo Inc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1177667A (ja) * 1999-12-20 2001-06-29 Canon Inc 通信装置
JP2001251335A (ja) * 2000-03-06 2001-09-14 Toshiba Corp データ伝送機能を備えた機器
JP4029629B2 (ja) * 2001-03-27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83996B2 (ja) * 2001-04-05 2008-04-3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端末との間で有線接続経路および無線接続経路を介して通信を行うシステム、演算処理装置、無線接続端末、無線接続端末に対するデータ転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197011B2 (en) * 2001-08-06 2007-03-27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 local network of electronic devices
US7336602B2 (en) * 2002-01-29 2008-02-2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wired communications interface
US7386324B2 (en) * 2002-04-17 2008-06-10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dual path terminal connection
US7551930B2 (en) * 2002-05-06 2009-06-23 Nokia Corporation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stations using short range wireless technology
US6850503B2 (en) * 2002-08-06 2005-02-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handoff between two IP connections for time critical communications
US6768726B2 (en) * 2002-08-06 2004-07-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6355C (zh) 2007-09-05
CN1695351A (zh) 2005-11-09
EP1564931A1 (en) 2005-08-17
US20060034253A1 (en) 2006-02-16
WO2004047371A1 (ja) 2004-06-03
JP4125585B2 (ja) 2008-07-30
TW200423587A (en) 2004-11-01
JP2004172774A (ja)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1496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68383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65554A (ko) 무선통신 시스템
JP346699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35365B1 (ko)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장치 간에 자동 연결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82085B1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KR101478030B1 (ko) 블루투스 기기 검색 및 연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EP3169135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94938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50002799A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JP2006345193A (ja) ベース装置、無線通信チャンネル切り替え方法および無線通信チャンネル切り替えプログラム
US78228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changing signals between computer and device and computer and device used in such system
JP2009302649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604665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マスター装置、及びスレーブ装置
US2013034337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0535495B (zh) 蓝牙通信系统及相关的传送端蓝牙装置与接收端蓝牙装置
EP2248363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EP1467520A1 (e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JP2005094442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音情報伝達装置
JP2004140655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7199358A1 (ja) 無線中継装置、無線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045097A (ja) 接続装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接続方法
JP2023003010A (ja) 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411046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4304436A (ja) 移動端末の通信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