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483A -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483A
KR20050063483A KR1020030094892A KR20030094892A KR20050063483A KR 20050063483 A KR20050063483 A KR 20050063483A KR 1020030094892 A KR1020030094892 A KR 1020030094892A KR 20030094892 A KR20030094892 A KR 20030094892A KR 20050063483 A KR20050063483 A KR 2005006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a
vol
hydrolysis
fine particle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근
정두화
조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9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483A/ko
Publication of KR2005006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30Prepa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by thermal decomposition or by hydrolysis or oxidation of alumi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01P2004/52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highly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Abstract

본 발명은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구상이면서 단분산성(單分散性)이 높고 1미크론(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알루미나 미립자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에 있어서, 최종 혼합용매중 40∼60vol.%의 옥탄올에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0.07∼0.55mol/1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합하여 90vol.%가 되도록 30∼5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용액을 혼합하는단계와, 상기 혼합용액과 10vol.%의 프로판올에 물을 0.12∼0.45mol/l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알루미나 미립자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생성입자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의 합성방법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Preparation method of aluminum hydroxide by hydrolysis}
본 발명은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구상이면서 단분산성(單分散性)이 높고 1미크론(μ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알루미나 미립자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 균일한 미세구조를 갖는 고밀도의 세라믹스 제품을 신뢰성 높고 재현성 좋게 만들기 위해서는 ①구상일 것 ②입도분포가 좁으면서 입자간 응집이 없는 즉, 단분산 일 것 ③1 미크론 이하의 미립자 일 것 ④조성이 균일하며 고순도 일 것 등의 조건을 갖춘 원료 분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원료 분말을 제조하는 수단으로서, 금속알콕사이드(Alkoxide)를 유기용매 중에서 가수분해 시키는 방법이 최근 주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알콕사이드법 혹은 가수분해 제어법이라고 일컬어지는데, 1968년 스퇴버(stober)가 에탄올 중에서 암모니아를 촉매로 사용하면서 실리콘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시켜 0.5미크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구상의 실리카 미립자를 제조하면서 시작하였다. 그 후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티타니아 미립자(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2-91418, 평성1-33939)와 지르코니아 미립자(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2-91421)가 제조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방법으로는 구상의 단분산 알루미나 입자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 가장 큰이유는 출발물질(Precursor)인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방법과 같이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용매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서는 매우 빠른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 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구상의 단분산미립자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상이면서 입도분포가 좁고 1미크론 이하의 크기를 갖는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를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에 있어서, 최종 혼합용매중 40∼60vol.%의 옥탄올에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0.07∼0.55mol/1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합하여 90vol.%가 되도록 30∼5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용액을 혼합하는단계와, 상기 혼합용액과 10vol.%의 프로판올에 물을 0.12∼0.45mol/l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알루미나 미립자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생성입자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의 합성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옥탄올(Octanol)과 아세톤(Aceton), 프로판올(Propanol)의 3종류로 구성된 혼합용매 중에서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 시켜 알루미나 미립자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제조 원리이면서 종래방법과의 차이점은, 제조 시 중간단계에서 알콕사이드를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nanometer)크기의 미세한 에멀젼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종래방법에서는 유기용매 중에서 알콕사이드에 물을 혼합함으로써 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시키고, 이때 생성된 핵에 용매 중의 올리고머(oligomer)들이 서로 합체하여 핵을 형성하고, 일단 생성된 핵에 용매 중의 올리고머가 달라붙어 성장하여 미립자가 생성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콕사이드가 용해되어 있는 옥탄올 용액에 아세톤을 섞어, 알콕사이드를 순시(瞬時)에 수십 내지 수백 나노 크기의 액체 구슬사태(이를 에멀젼 상태라 함)로 만든 다음, 이 에멀젼상태의 용액에 프로판올로 희석시킨 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미 생성되어 있는 에멀젼을 가수분해시키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에멀젼 상태란 액체용매 중에 액체용질이 분산되어 있는 상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옥탄올과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용매가가 되며, 수십~수백나노 크기의 액체구슬 상태의 알콕사이드가 용질이 된다. 알콕사이드가 에멀젼 상태로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알콕사이드는 옥탄올에 잘 용해되나 아세톤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알콕사이드가 녹아있는 옥탄올 용액에 아세톤을 첨가하면, 갑자기 알콕사이드의 용해도가 감소하고 따라서 상당량(용해도가 감소한 만큼)의 알콕사이드가 액상으로 석출하여 용액 중에 분산되게 된다.
본 방법을 채택하는 이유는, 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종래방법의 생성기구로서는 알루미나의 단분산 미립자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의 원리와 생성기구를 이용한 단분산미립자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종 혼합용매중 40∼60vol.%의 옥탄올에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0.07∼0.55mol/1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합하여 90vol.%가 되도록 30∼5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한다. 만들어진 혼합용액과, 10vol.%의 프로판올에 물을 0.12∼0.45mol/l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알루미나 미립자를 생성시키고,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생성입자를 성장시키는 공정을 갖는 알루미나 단분산미립자의 합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일정량의 알루미나 미립자의 핵이 생성한 후에는, 이들을 핵으로 하는 입성장 과정만 진행되어 즉, 후속적인 핵생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단분산성이 높은 알루미나 미립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로서는 예를들면, 알루미늄 메톡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알루미늄 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부톡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옥탄올에 용해하는데 상온에서 잘 녹지 않는 경우는 약 50℃ 정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면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의 농도로서는 0.07∼0.55mol/l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0.07mol/l 미만에서는 가수분해 생성물의 농도가 낮아 알루미나 미립자의 전단계 물질인 핵생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0.55mol/l을 넘으면 오히려 용액중에 과다한 핵이 생성되어 입성장 과정에서 서로 달라붙어 응집체가 생성하게 된다.
물의 농도는 0.12∼0.45mol/l 되도록 제어해야 하는데 0.12mol/l 미만에서는 용액중에서 알루미나의 콜로이드(Colloid) 입자가 석출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 실용성이 없으며 0.45mol/l이 넘으면 알루미나 미립자의 입도분포가 넓게 되어 소위 다분산으로 되거나 구상의 미립자가 아닌 응집체가 생성하게 된다.
옥탄올 용액과 아세톤의 혼합비도 중요하다. 이 두 용매를 혼합한 후의 부피 양을 90vol.%로 할 때 이중 아세톤이 차지하는 부피비가 30∼50vol.%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세톤이 차지하는 부피비가 30vol.% 미만 혹은 50vol.%가 넘는 범위에서는 혼합성이 나쁘게 되어 구상의 미립자가 아닌 응집체가 얻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용액의 균일한 혼합과 입성장이 용액 전체에서 균일하게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용액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틱 스터러(Magnetic Stirrer)에 의한 교반, 프로펠라형 교반기에 의한 교반, 초음파를 이용한 교반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교반 방법이나 장치를 제한 할 필요는 없다.
알루미나 미립자의 성장속도는 옥탄올 용액과 아세톤의 혼합용액에 에탄올 용액을 첨가한 후 약 1분 정도까지는 대단히 빠르지만, 입자의 성장과 함께 완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입자 성장은 혼합 후 약 1시간까지 지속되며 5분 경과 후의 입자크기는 최종입경의 약 90%에 달한다. 따라서, 입성장 시간을 적당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경이 다른 알루미나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30분 입성장 시킨 후 얻어진 미립자의 크기는 약 0.80미크론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고자 하는 크기로 성장시킨 알루미나 미립자를 원심분리에 의해 회수하고, 이를 약 200℃로 조절된 오븐 및 진공건조기 등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구상의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생성된 알루미나 미립자의 입도 분포는 정규분포를 하고 있으며 평균입경의 ±10%이내에 전체입자의 68% 이상이 포함되어 단분산성이 매우 높은 미립자가 얻어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실시예 1 :
알루미늄 알콕사이드(0.07mol/l)를 40vol.% 옥탄올에 50℃의 열을 가하면서 용해한 용액에 5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10vol.% 프로판올에 용해한 재증류수(0.12mol/l)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1시간 입성장시킨 다음 원심분리기로 생성된 미립자와 용매를 분리하고, 분리된 침전물을 200℃의 진공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는 구상이면서 평균 입경 0.8미크론이고 응집이 전혀 없는 단분산 미립자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
알루미늄 알콕사이드(0.55mol/l)를 60vol.% 옥탄올에 50℃의 열을 가하면서 용해한 용액에 3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10vol.% 프로판올에 용해한 재증류수(0.45mol/l)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1시간 입성장시킨 다음 원심분리기로 생성된 미립자와 용매를 분리하고, 분리된 침전물을 200℃의 진공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본실시예에서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와 같이 구상이면서 평균 입경이 1미크론 이하이고 응집이 전혀 없는 단분산 미립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 (적당하지 못한 예)
알루미늄 알콕사이드(0.60mol/l)를 70vol.% 옥탄올에 50℃의 열을 가하면서 용해한 용액에 2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10vol.% 프로판올에 용해한 재증류수(0.50mol/l)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1시간 입성장시킨 다음 원심분리기로 생성된 미립자와 용매를 분리하고, 분리된 침전물을 200℃의 진공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벗어난 조건에서 얻어진 알루미나 미립자는 구상의 미립자가 아닌 응집체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구상이면서 평균입경이 1미크론 이하이고 응집이 없는 알루미나 단분산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이 알루미나 미립자는 균일 입경을 갖는 구상 미립자 이기 때문에 세라믹스 소결체의 원료 분말로서 최적이다. 또한 전자재료, 안료, 화장품, 보석, 충진재 등의 여러 가지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합성된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도 2는 비교예에 의해 합성된 응집체 형태의 알루미나 미립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Claims (3)

  1.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에 있어서,
    최종 혼합용매중 40∼60vol.%의 옥탄올에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를 0.07∼0.55mol/1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합하여 90vol.%가 되도록 30∼50vol.%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용액을 혼합하는단계와,
    상기 혼합용액과 10vol.%의 프로판올에 물을 0.12∼0.45mol/l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알루미나 미립자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반응 용액을 교반하면서 생성입자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의 합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알콕사이드를 상기 옥탄올에 용해할때 상기 옥탄올의 온도는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의 합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로는 알루미늄 메톡사이드, 알루미늄 에톡사이드, 알루미늄 프로폭사이드, 알루미늄 부톡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의 합성방법.
KR1020030094892A 2003-12-22 2003-12-22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KR20050063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92A KR20050063483A (ko) 2003-12-22 2003-12-22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92A KR20050063483A (ko) 2003-12-22 2003-12-22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483A true KR20050063483A (ko) 2005-06-28

Family

ID=3725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892A KR20050063483A (ko) 2003-12-22 2003-12-22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250B1 (ko) * 2013-12-05 2015-05-22 한화토탈 주식회사 알콕사이드 기반의 졸겔법에 의한 노르말-부탄의 직접 탈수소화 반응 촉매용 알루미나 담체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된 주석을 포함하는 백금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c4 올레핀 제조방법
KR20210051677A (ko) 2019-10-31 2021-05-10 이켐 주식회사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한 감마-산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250B1 (ko) * 2013-12-05 2015-05-22 한화토탈 주식회사 알콕사이드 기반의 졸겔법에 의한 노르말-부탄의 직접 탈수소화 반응 촉매용 알루미나 담체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나 담체에 담지된 주석을 포함하는 백금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c4 올레핀 제조방법
KR20210051677A (ko) 2019-10-31 2021-05-10 이켐 주식회사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한 감마-산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3483A (ko) 가수분해에 의한 알루미나 합성방법
Kim et al. New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nodispersed, spherical silica particles
KR100411287B1 (ko) 단분산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0383089B1 (ko) 알루미나단분산미립자합성법
JPH01133939A (ja) 酸化チタン微粒子の製造方法
KR100991058B1 (ko) 단분산 바륨티타네이트 가수분해 합성방법
KR100435427B1 (ko) 구상의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0625048B1 (ko) 에멀젼을 이용한 단분산 수산화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제조방법
KR100732455B1 (ko) 구형의 수산화알루미늄 입자 제조방법
KR100803967B1 (ko) 바륨티타네이트 입자 제조방법
KR100450223B1 (ko) 단분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의 제조방법
KR20070067515A (ko) 단분산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제조방법
KR100383088B1 (ko) 바륨티나네이트 구상 미립자 합성법
KR100417694B1 (ko) 단분산 구상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0732456B1 (ko) 바륨티타네이트 입자 제조방법
KR20070067511A (ko) 단분산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의 합성방법
KR20040056516A (ko) 에멀젼을 이용한 알루미나 미립자 제조방법
KR20060024104A (ko) 에멀젼을 이용한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 제조방법
KR100417695B1 (ko)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0467795B1 (ko)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의 제조방법
KR20040056506A (ko) 에멀젼을 이용한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제조방법
KR20070067516A (ko) 단분산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제조방법
KR20070067509A (ko) 단분산 알루미나 미립자의 제조방법
KR20070067514A (ko) 단분산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제조방법
KR20070067513A (ko) 단분산 티탄산바륨 미립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