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24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243A
KR20050063243A KR1020030094624A KR20030094624A KR20050063243A KR 20050063243 A KR20050063243 A KR 20050063243A KR 1020030094624 A KR1020030094624 A KR 1020030094624A KR 20030094624 A KR20030094624 A KR 20030094624A KR 20050063243 A KR20050063243 A KR 2005006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ortcut
us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243A/ko
Publication of KR2005006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버튼 신호 순서를 단축키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단축키 설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입력 정보와 대응되는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축키와 키입력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의 기능 구동을 위해 입력되는 일련의 키버튼 입력 과정을 하나의 단축키로 설정하고,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METHOD FOR SETTING AND PLAYING SHORT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버튼 신호 순서를 단축키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점점 복잡해지는 추세이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의 키 입력을 통해 단말기로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키입력 방법이 기술된 설명서를 통해 각 기능을 숙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기능별 구동은 순차적인 일련의 키 입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벨소리 크기를 2단계 올리려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의 메뉴 키를 누르고, 화면에 표시되는 벨소리설정, 전화번호 등록, 문자메세지와 같은 다양한 메뉴 중에서 벨소리 설정을 선택하여 해당키를 입력한다. 벨소리 설정 메뉴의 하위 메뉴가 화면상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벨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벨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임의의 키를 누름으로써 벨소리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특정 키들을 여러번 입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받기 때문에 번거로운 키입력 동작과 그에 따른 시간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련의 키입력을 통해 실행되는 기능을 하나의 단축키로 설정하고 실행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리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버튼을 이용하여 단축키 설정 모드 구동을 요청한다. 단축키 설정 모드는 일반적인 기능 구동과 같이 일련의 키입력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되는 단축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축키 설정 모드가 구동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일련의 키버튼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단말기의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를 순서대로 버퍼에 저장한다.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었으면, 사용자는 확인 버튼을 눌러 단말기의 제어부에게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입력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버퍼에 저장된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와 대응되는 단축키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키버튼을 입력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축키를 수신하여 버퍼에 저장된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와 매칭시켜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단축키 실행 모드를 구동을 요청한다. 단축키 실행 모드는 일반적인 기능 구동과 같이 일련의 키입력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되는 단축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축키 실행 모드가 구동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과 대응되게 미리 설정해 놓은 단축키를 입력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단축키와 매칭되는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를 메모리에서 독출한다. 독출된 키버튼 신호 순서에 따라 각각의 키버튼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모드는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축키와 대응되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부(10)는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RF부(1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로(중간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킨다.
제어부(80)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RF부(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 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80)는 기본적으로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일명 MSM 칩으로 불리기도 한다.
음성신호처리부(20)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8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후술할 음성메모리(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음성신호처리부(20)는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복조된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성신호처리부(80)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 및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음성메모리(30)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되며 다수의 음성메시지가 저장된다.
한편 메모리부(4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 그리고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20)로 구분되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하나인 표시부(50)는 제어부(80)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 데이터, 아바타, 바탕화면 등을 표시하여 준다. 또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키 입력부(60)는 다이얼 및 번지 지정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무선 인터넷 접속키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각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80)로 전송하여 준다. 카메라부(7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하여 준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벨소리의 크기를 3레벨 올리는 기능을 단축키로 설정할 경우, 사용자가 단축키 설정 모드 키를 누름, 예를 들면, 단축키 설정 모드 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단축키 설정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벨소리 크기를 조절을 위해 메뉴 키를 입력하면 단말기의 화면에 메뉴 목록들이 표시된다. 벨소리 설정, 전화번호 등록, 문자 메세지, 벨소리 크기와 같은 다양한 메뉴 중에서 벨소리 크기를 설정하는 4번키를 입력하고 선택키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현재 설정된 벨소리 크기가 표시되는 벨소리 크기 조절 기능 창에서 단말기에 구비된 상방향키를 3번 누름으로써 벨소리의 크기를 3레벨 올린 후 확인키를 입력한다. 확인키가 입력되면 설정될 단축키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세지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단축키 예를 들면, 2번 숫자 키를 눌러 해당 기능의 단축키를 2번 숫자 키로 설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와 단축키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축키 설정 모드는 별도의 단축키 설정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며,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의 동작은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키 실행 모드 키를 누름 예를 들면, 짧게 한번 누름으로써 단축키 실행 모드가 구동된다. 사용자가 숫자 키 2번을 누르게 되면 숫자 키 2번에 해당하는 키입력 정보 예를 들면, 메뉴키-> 4번키-> 선택키-> 상방향키 3번-> 확인키-> 종료키와 대응되는 명령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벨소리 크기가 3레벨 올라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설정 모드의 실행 요청에 대응되는 일련의 키입력이나 지정된 키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메모리부의 롬 영역에 저장된 단축키 설정 모드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단축키 설정 모드를 구동한다(S110),(S120).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키버튼 입력 즉, 사용자가 단축키로 설정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기능 구동을 위한 일련의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를 요구한다(S130). 키입력 정보는 입력된 키버튼의 종류, 키버튼을 길게 또는 짧게 누름, 짧게 두번 누르는 등의 부가적인 키입력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선택 정보가 포함되는 키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임시 저장 공간인 버퍼에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를 저장한다(S14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와 단축키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축키 설정 모드는 별도의 단축키 설정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며,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의 동작은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버퍼에 저장되는 키입력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버퍼링되며,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정보 입력 종료에 따른 확인키 입력이 있을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사용자로부터 키버튼 입력 확인에 대응되는 키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버퍼링된 키입력 정보를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한다(S150)(S160).
제어부는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키입력 정보와 대응되는 단축키의 입력을 요청한다(S170). 사용자로부터 해당 키입력 정보와 대응되는 단축키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해당 단축키와 버퍼에 저장된 해당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키입력 정보를 매칭시켜 메모리부의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다(S180).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단축키 설정 모드를 종료한다(S19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와 단축키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축키 설정 과정은 별도의 단축키 설정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며, 입력되는 키입력 정보는 실제 대응되는 기능의 동작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실행 모드의 실행 요청에 대응되는 일련의 키입력이나 지정된 키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메모리부의 롬 영역에 저장된 단축키 실행 모드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단축키 실행 모드를 구동한다(S210)(S220).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설정된 단축키의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로부터 단축키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해당 단축키와 대응되는 키입력 정보를 메모리부의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20)에서 독출한다(S240)(S250). 제어부는 독출된 키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S260).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단축키 설정 모드를 종료한다(S27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모드는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축키와 대응되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키 실행 모드가 구동되면, 제어부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키 목록 검색을 묻는 메세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S220)(S230).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목록 검색요청에 대한 키버튼이 입력되면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선택에 따른 키버튼을 입력받는다(S231)(S232). 제어부는 해당 단축키와 대응되는 키입력 정보를 메모리부의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20)에서 독출한다(S250). 제어부는 독출된 키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260).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단축키 설정 모드를 종료한다(S2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의 기능 구동을 위해 입력되는 일련의 키버튼 입력 과정을 하나의 단축키로 설정하고,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단축키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실행 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0. RF부 20. 음성신호처리부
30. 음성메모리 40. 메모리부
50. 표시부 60. 키 입력부
70. 카메라부 80. 제어부

Claims (4)

  1.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단축키 설정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버튼의 키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입력 정보와 대응되는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축키와 키입력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정보가:
    입력된 키의 종류, 키를 누르는 시간, 짧게 반복 누름과 같은 부가적인 키입력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단축키 실행 모드를 구동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축키에 대응되는 키입력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독출된 키입력 정보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저장된 단축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단축키에 대응되는 키입력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KR1020030094624A 2003-12-22 2003-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KR20050063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4A KR20050063243A (ko) 2003-12-22 2003-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4A KR20050063243A (ko) 2003-12-22 2003-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243A true KR20050063243A (ko) 2005-06-28

Family

ID=3725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24A KR20050063243A (ko) 2003-12-22 2003-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2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8523B2 (ja) ブックマークリスト表示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1312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호 작용 가능한 애넌시에이터제공 방법 및 장치
JP4401803B2 (ja) 携帯端末、遠隔制御方法、及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JP3695341B2 (ja) 携帯型通信端末
KR20050063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KR100630100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41776B1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JP3470638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4118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JP2002297580A (ja) 携帯電話機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19990025785A (ko)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JP3379494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6147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KR100245625B1 (ko)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KR101024211B1 (ko) 고유 인디케이터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9980075311A (ko) 미니 다이얼식 휴대용 전화단말기
KR20000073558A (ko) 무선 단말기의 통화 중 숫자정보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JP2001103143A (ja) カーソル移動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通信端末装置
KR20050091489A (ko) 자동 연속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