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743B1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743B1
KR100614743B1 KR1020040081862A KR20040081862A KR100614743B1 KR 100614743 B1 KR100614743 B1 KR 100614743B1 KR 1020040081862 A KR1020040081862 A KR 1020040081862A KR 20040081862 A KR20040081862 A KR 20040081862A KR 100614743 B1 KR100614743 B1 KR 10061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button
group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869A (ko
Inventor
지승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7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5개의 버튼에 8개의 음소를 포함한 음소그룹을 각각 할당하고,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음소그룹 안에 속해있는 음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8개의 버튼에 음소를 할당함으로써, 일관된 횟수에 의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 키패드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좀 더 일괄된 입력절차를 통해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이동통신단말기, 문자, 입력, 음소, 음소그룹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음소그룹과 음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화면으로 나타낸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5개의 버튼에 8개의 음소를 포함한 음소그룹을 각각 할당하고,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음소그룹 안에 속해있는 음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8개의 버튼에 음 소를 할당함으로써, 일관된 횟수에 의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이에일 송수신, 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접속 그리고 다양한 채팅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고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소형 게임기, 리모콘, 삐삐 등 정보통신기기들이 소형화 추세에 따라, 입력버튼수도 적어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크기의 축소와 반비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하는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한 개의 입력 버튼에 여러 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고, 입력시에는 버튼을 여러 번 연속하여 눌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고, 다음문자 입력을 하기 위하여 커서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문자입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입력 방식은 문자를 선택할 때에 입력하는 횟수에 있어서 일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는 문자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숙련되기 전까지는 빠른 속도로 입력을 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의 버튼중에 소수의 버튼만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5개의 버튼에 각기 다른 음소그룹을 할당하고, 8개의 버튼에는 각각의 음소그룹에 따른 각기 다른 음소들을 할당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을 여러 번 누르지 않아도, 일괄된 횟수로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소그룹에 속한 음소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음소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소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음소그룹은 5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음소들은 8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선택한다.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은 단말기 키패드의 1, 4, 7, 3, 6 버튼이며, 상기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은 1, 4, 7, *, 3, 6, 9, #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에 있어서, 1번 버튼에는 ㄱ에서 ㅅ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4번 버튼에는 ㅇ에서 ㅎ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7번 버튼에는 ㄲ에서 ㅉ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3번에는 ㅏ에서 ㅠ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6번에는 ㅡ에서 ㅔ까지의 음소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에 있어서, 1번 버튼에는 ㄱ, ㅇ, ㄲ, ㅏ, ㅐ 의 음소들이, 4번버튼에는 ㄴ, ㅈ, ㅉ, ㅑ, ㅒ 의 음소들이, 7번 버튼에는 ㄷ, ㅊ, ㄸ, ㅓ, ㅔ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ㄹ, ㅋ, ㅕ, ㅖ 의 음소들이, 3번 버튼에는 ㅁ, ㅌ, ㅗ, ㅡ 의 음소들이 6번 버튼에는 ㅂ, ㅍ, ㅃ, ㅛ, ㅣ 의 음소들이, 9번 버튼에는 ㅅ, ㅎ, ㅆ, ㅜ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ㅠ 음소가 포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과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은, 이동통신단말기의 LCD옆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LCD의 상기 버튼에 인접한 부분 에는 상기 버튼에 할당되는 음소그룹 또는 음소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표시부(10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등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음소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109)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문자를 위한 입력키는 단말기의 LCD 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03)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때에 음소그룹을 화면에 표시하여주고 특정 음소그룹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면, 해당 음소그룹에 속해있는 음소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할당된 음소그룹과 음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화면으로 나타낸 화면예이다.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음소그룹을 선택한다(단계 203). 이때 음소그룹은 각각 5개의 버튼에 할당되어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예에서는 키패드의 1번 버튼에는 ㄱ에서 ㅅ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4번 버튼에는 ㅇ에서 ㅎ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7번 버튼에는 ㄲ에서 ㅉ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3번에는 ㅏ에서 ㅠ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6번에는 ㅡ에서 ㅔ까지의 음소그룹이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가 음소그룹을 하나 선택하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음소들을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206). 이때 음소그룹에 속해있는 음소들은 8개이며, 각각의 음소들은 각기 다른 8개의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예에서는 키패드의 1번 버튼에는 ㄱ, ㅇ, ㄲ, ㅏ, ㅐ 의 음소들이, 4번 버튼에는 ㄴ, ㅈ, ㅉ, ㅑ, ㅒ 의 음소들이, 7번 버튼에는 ㄷ, ㅊ, ㄸ, ㅓ, ㅔ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ㄹ, ㅋ, ㅕ, ㅖ 의 음소들이, 3번 버튼에는 ㅁ, ㅌ, ㅗ, ㅡ 의 음소들이 6번 버튼에는 ㅂ, ㅍ, ㅃ, ㅛ, ㅣ 의 음소들이, 9번 버튼에는 ㅅ, ㅎ, ㅆ, ㅜ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ㅠ 음소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ㄱ' 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ㄱ부터 ㅅ까지의 음소그룹으로 할당되어있는 1번 버튼을 눌러 음소그룹을 선택한다(303). 사용자가 1번 버튼을 누르면, 도 3의 아래 화면예(306)와 같이 ㄱ에서 ㅅ까지의 그룹에 속하는 음소들,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이 각각의 번호에 하나씩 할당된다. 즉 1번에는 ㄱ이, 4번에는 ㄴ이, 7번에는 ㄷ이, *에는 ㄹ이, 3번에는 ㅁ이, 6번에는 ㅂ이, 9번에는 ㅅ이 할당된다. 이때 가운데 버튼인 2, 5, 8, 0 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ㄱ' 이 할당된 1번을 선택하면, 화면에는 'ㄱ'이 입력된다(306). 즉, 사용자가 음소를 선택하면(단계 209), 선택한 음소가 입력되어(단계 212)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다시 상기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여 문자를 조합하여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소그룹과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을 이동통신단말기의 LCD 옆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LCD의 상기 버튼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버튼에 할당되는 음소그룹 또는 음소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LCD 옆에 버튼을 두고, 상기 버튼에 인접한 부분에는 버튼에 할당되는 음소그룹과 음소를 표시하여준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화면에는 각각의 음소그룹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음소그룹 옆에 제공되어있는 버튼을 눌러 음소그룹을 선택한다.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선택한 음소그룹에 해당하는 음소들을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음소 옆에 제공되어있는 버튼을 눌러 음소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카이' 의 'ㅇ' 을 입력하려 한다면, 음소그룹이 표시되어있는 화면(418)에서 'ㅇ'의 음소그룹인 ㅇ에서 ㅎ까지의 음소그룹을 찾아 해당 음소그룹이 표시된 화면 옆에 제공되어있는 버튼(403)을 눌러 음소그룹을 선택한다.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선택한 음소그룹에 해당하는 음소들을 화면(415)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ㅇ'을 선택하기 위해서 'ㅇ'의 음소가 표시된 화면 옆에 제공되어있는 버튼(406)을 누르면, 해당 음소가 선택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키패드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카이' 의 'ㅇ' 을 입력하려면 키패드가 구비되어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409와 같이 키패드의 버튼 4번을 눌러 ㅇ에서 ㅎ까지의 음소그룹을 선택한 뒤, 412와 같이 'ㅇ'에 할당되어있는 키패드 버튼인 1번을 눌러 'ㅇ' 을 선택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준다.
한편, 이상의 예에서는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한글 입력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영문, 일문, 특수 문자 등의 다양한 문자의 입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5개의 버튼에 8개의 음소를 포함한 음소그룹을 각각 할당하고, 음소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음소그룹 안에 속해있는 음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8개의 버튼에 음소를 할당함으로써, 일관된 횟수에 의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할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있게 하였다.

Claims (7)

  1.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식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중 5개의 버튼을 조작하여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제 1단계;
    상기 음소그룹에서 단말기의 키패드 중 8개의 버튼을 조작하여 음소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소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2단계;
    선택된 음소그룹에 속한 음소를 선택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은 단말기 키패드의 1, 4, 7, 3, 6 버튼이며, 상기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은 1, 4, 7, *, 3, 6, 9, #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에 있어서, 1번 버튼에는 ㄱ에서 ㅅ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4번 버튼에는 ㅇ에서 ㅎ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7번 버튼에는 ㄲ에서 ㅉ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3번에는 ㅏ에서 ㅠ까지의 음소그룹이, 상기 6번에는 ㅡ에서 ㅔ까지의 음소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에 있어서, 1번 버튼에는 ㄱ, ㅇ, ㄲ, ㅏ, ㅐ 의 음소들이, 4번버튼에는 ㄴ, ㅈ, ㅉ, ㅑ, ㅒ 의 음소들이, 7번 버튼에는 ㄷ, ㅊ, ㄸ, ㅓ, ㅔ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ㄹ, ㅋ, ㅕ, ㅖ 의 음소들이, 3번 버튼에는 ㅁ, ㅌ, ㅗ, ㅡ 의 음소들이 6번 버튼에는 ㅂ, ㅍ, ㅃ, ㅛ, ㅣ 의 음소들이, 9번 버튼에는 ㅅ, ㅎ, ㅆ, ㅜ 의 음소들이, #번 버튼에는 ㅠ 음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과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은, 이동통신단말기의 LCD옆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LCD의 상기 음소그룹을 선택하는 버튼과 음소를 선택하는 버튼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버튼에 할당되는 음소그룹 또는 음소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KR1020040081862A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KR10061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62A KR100614743B1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62A KR100614743B1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69A KR20060032869A (ko) 2006-04-18
KR100614743B1 true KR100614743B1 (ko) 2006-08-21

Family

ID=3714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862A KR100614743B1 (ko) 2004-10-13 2004-10-13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7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69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561B1 (en) Method of implementing network game function using portable telephone
US808529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GB2349725A (en) Multi-function key for a portable phone
KR100353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US7872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EP0982910A1 (en) Key echo
KR1006147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
KR200600601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46347B1 (ko)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한 메뉴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85600A (ja) 携帯電話機
JP2002300241A (ja) 携帯型通信端末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KR20060114081A (ko)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26942B1 (ko) 일본어 입력 방법
KR200501138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문자 배열구조 및 입력방법
JP5007452B2 (ja) 携帯電話機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90683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0735267B1 (ko) 입력장치의 키배열 방법
KR10060455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시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를 사용하는 방법
JPH11243442A (ja) 多機能電話機
KR20070020606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소프트키 영역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