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89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892B1
KR100411892B1 KR10-2001-0018767A KR20010018767A KR100411892B1 KR 100411892 B1 KR100411892 B1 KR 100411892B1 KR 20010018767 A KR20010018767 A KR 20010018767A KR 100411892 B1 KR100411892 B1 KR 10041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pop
communication terminal
ke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409A (ko
Inventor
이권주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1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8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자신이 자주 쓰는 메뉴를 따로 저장하여 팝(POP)키 하나로 간편히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를 경우, 편집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팝키를 누르면, 편집 메뉴의 화면위에 팝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새로이 추가 시키기 위해 팝키를 누르면, 추가되는 메뉴들을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키를 눌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 메뉴를 사용하다가 기존의 편집 메뉴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르면, 기존의 편집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Method for pop menu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자신이 자주 쓰는 메뉴를 따로 저장하여 팝(POP)키 하나로 간편히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기지국의 전파발사거리 이내에서는 장소 및 거리에 제한받지 않고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데이터교환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의 하나이다. 요사이 산업발달과 더불어 정보화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그 보급이 계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10)는 무선 호출 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 복조 및 파형정형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무선 호출 정보를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8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따라 상기 수신부(110)의 채널을 지정한다. 디코더(12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수신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즉, 아이들모드(idle Mode)에서는 프리앰블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배치모드(batch Mode)에서는 워드싱크데이터 및 설정된 프레임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프레임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제어부(100)는 상기 디코더(120)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호출에 따른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착신음 프래그의 설정 여부에 따라 설정된 착신음(또는 진동신호)이 출력되도록 한다. 펄스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이하 PCM이라 함) 코덱(130)은 마이크(140)에 연결된 엔코더(131)와, 스피커(141)에 연결된 디코더(132)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입력 신호 혹은 출력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한다. 키입력부(170)와 표시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상기 키입력부(170)는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다수의 키를 가진다. 상기 표시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상기 키의 입력 상태와 무선 휴대폰의 상태, 프로그램 수행시에 필요한 메뉴를 표시한다. 롬과 램, 이이피롬으로 구성되는 메모리(150)은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프로그램의 수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50)은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수행 시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PCM 코덱(130)은 마이크(14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엔코더(131)에서 디지털 형태의 PCM 신호로 변환하며, 이이피롬(150)에서 독출된 PCM 신호 형태의 고유 착신음을 디코더(132)를 거쳐 아날로그화하여 스피커(141)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시부(160)는 플립(미도시)을 여는 순간, 통화지역의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신호세기, 현재 사용중인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및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등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키입력부(170)에서 메뉴키를 누르면, 상기 표시부(160)에는 전화번호입력, 메시지관리, 벨/진동/크기, 전자수첩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예를들어, 전화번호입력을 선택하며, 상기 표시부(160)에는 최근발신번호, 최근수신번호, 이름으로 찾기, 번지로 찾기, 전화번호 저장등의 다양한 메뉴가 표시된다.
그런후에, 사용자는 선택한 메뉴에 따라 키를 입력하여 저장하고자하는 전화번호 및 이름등을 입력하면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가운데에는 그 자신만이 이용하는 메뉴가 있는데, 항상 메뉴키를 누른후에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에서 다시 원하는 메뉴를 진입해야 함으로써 여러번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메뉴를 원할 경우 처음으로 돌아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팝키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팝키를 누르면 기존의 상태 화면이 흐리게 표시되면서 그 위에 새로운 팝 메뉴가진하게 디스플레이됨과 아울러 팝 메뉴 사용중에도 이전에 작업중이던 화면을 알 수가 있고, 또한 원하는 메뉴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단축버튼을 여러 개 사용하는 불편을 없애고 팝키 하나만을 이용하여 추가한 목록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의 특징은,
메뉴키, 팝키,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를 경우, 편집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팝키를 누르면, 편집 메뉴의 화면위에 팝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새로이 추가 시키기 위해 팝키를 누르면, 추가되는 메뉴들을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키를 눌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 메뉴를 사용하다가 기존의 편집 메뉴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르면, 기존의 편집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e는 팝 메뉴가 초기화면에 설정되지 않을 경우, 팝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b는 팝 메뉴가 초기화면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팝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수신부
120 : 디코더
130 : 코덱
160 : 표시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르면, 도 3a에 도시된 것 처럼 다양한 편집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킨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는 "1. i-touch 017, 2. 전화번호부, 3. 전자수첩, 4. 네오미 보너스"등의 메시지가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팝키를 누르면, 도 3b에 도시된 것 처럼 편집 메뉴의 화면위에 팝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도 3c에 도시된 것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새로이 추가 시키기 위해 팝키를 누르면, 도 3d 내지 도 3e에 도시된 것 처럼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들을 표시부로 출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팝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메뉴를 10개까지 팝 메뉴 목록에 추가 시킬 수 있다.
그런후에, 사용자가 팝키를 눌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팝 메뉴 디스플레이시 기존 화면 즉, 편집 메뉴의 화면은 팝 메뉴의 화면 밑에서 계속적으로 흐리게 유지된다.
만약, 사용자가 팝 메뉴를 사용하다가 기존의 편집 메뉴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르면, 기존의 편집 메뉴를 실행시킨다.
도 4a 내지 도 4b는 팝 메뉴가 초기화면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팝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 메뉴가 초기화면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를 실행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팝키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팝키를 누르면 기존의 상태 화면이 흐리게 표시되면서 그 위에 새로운 팝 메뉴가 진하게 디스플레이됨과 아울러 팝 메뉴 사용중에도 이전에 작업중이던 화면을 알 수가 있고, 또한 원하는 메뉴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단축버튼을 여러 개 사용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메뉴키, 팝키,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를 경우, 편집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팝키를 누르면, 상기 편집 메뉴를 유지시킨 채로 편집 메뉴의 화면위에 팝 메뉴를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새로이 추가 시키기 위해 팝키를 누르면, 추가되는 메뉴들을 표시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키를 눌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바로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팝 메뉴를 사용하다가 기존의 편집 메뉴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 형성된 메뉴키를 누르면, 기존의 유지된 편집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KR10-2001-0018767A 2001-04-09 2001-04-09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KR10041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67A KR100411892B1 (ko) 2001-04-09 2001-04-09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67A KR100411892B1 (ko) 2001-04-09 2001-04-09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09A KR20020078409A (ko) 2002-10-18
KR100411892B1 true KR100411892B1 (ko) 2003-12-24

Family

ID=2770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767A KR100411892B1 (ko) 2001-04-09 2001-04-09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8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57A (ko) * 1998-12-19 2000-07-05 윤종용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
KR20010026243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20011047A (ko)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 구현방법
KR20020047499A (ko) * 2000-12-13 2002-06-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KR20020050544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20020057260A (ko) * 2000-12-30 2002-07-11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의 선택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757A (ko) * 1998-12-19 2000-07-05 윤종용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
KR20010026243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20011047A (ko)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 구현방법
KR20020047499A (ko) * 2000-12-13 2002-06-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
KR20020050544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20020057260A (ko) * 2000-12-30 2002-07-11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의 선택 및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09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80C (zh) 在具有短消息业务功能的数字移动通信终端中发送短消息的方法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CN1964388B (zh) 在移动通信终端中保存快速拨号号码的方法和装置
KR1004118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JP3695341B2 (ja) 携帯型通信端末
JP2011077950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機器選択プログラム
KR100469491B1 (ko)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KR1010357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가 요청된 컨텐츠의 용도를지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0560903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
KR20020078389A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JP2002171338A (ja) 無線通信端末
JP2002199080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00003369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방법
KR100273643B1 (ko)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50055188A (ko) 발신자가 정의한 이름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369662B1 (ko) 특수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970614B1 (ko) 사용자 설정메뉴 디스플레이방법
KR200400091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도움말 기능 이용방법
KR20000044398A (ko)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설정방법
JP2004193813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生成プログラム
KR20060062540A (ko) 통화 내용 자동 저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