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690A -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690A
KR20050062690A KR1020030094354A KR20030094354A KR20050062690A KR 20050062690 A KR20050062690 A KR 20050062690A KR 1020030094354 A KR1020030094354 A KR 1020030094354A KR 20030094354 A KR20030094354 A KR 20030094354A KR 20050062690 A KR20050062690 A KR 2005006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ctromagnet
operation switch
locking device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6626B1 (ko
Inventor
김원영
강현석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3009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6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통전과 차단에 따라서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실시키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상부에 전자석이 설치되고, 전자석에 대응되는 부위로 도어의 일측 상부에 자성체가 설치된다. 또한 전자석에 전원을 단속하는 장치로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작동스위치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작동스위치의 온/오프는 기계적 장치인 안전레버의 해제/작동(ON/OFF)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한편 도어와 문틀이 접촉될 때 운전실과의 밀폐 조건을 더욱 완전하게 하기 위해 도어의 일측에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는 기계적 잠금장치와 더불어 도어에 전자석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도어와 운전실 본체 사이의 밀폐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여, 장비 사용시의 외부 진동에 따른 기계적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 먼지가 운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The locking device of door which uses electromagne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도어 일측에 자성체를 고정 설치하여, 전자석에 전기를 통전시키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도어가 로킹되고 전기가 차단되면 전자석의 자력이 상실되어 도어의 기계적인 잠금장치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한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굴삭기 등 중장비의 경우, 기계적인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장비 특성상 운전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어의 맨 하단에 편심되게 위치해 있다. 이는 도어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하면 매우 불합리한 곳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전체 길이 구조에 비해, 잠금장치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장비 사용시의 외부진동에 의해 상단부의 진동변위가 크게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설명하면, 도어의 일측 하부에 기계적인 잠금장치(10)를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전체 길이에 비해 잠금장치가 한쪽으로 너무 치우쳐 있기 때문에, 작업시 이로 인해 도어의 잠금장치 고정부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잠금장치가 조기에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외부 먼지가 운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급형 장비에 적용되고 있는 내부공기 가압장치가 심한 진동으로 인하여 도어와 운전실 본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완전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못하여 외부 먼지가 운전실 내부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는, 도어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유압장치의 안전레버를 이용하여 전자석에 전원을 단속시켜 전자적으로 도어를 로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기계적 잠금장치만에 의한 도어와 운전실 본체 사이의 밀폐상태를 더욱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는, 전원 단속에 따라 자력 발생이 조절되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과 대응되는 부위로 상기 도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자성체와 차량용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단속시켜 자력 발생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작동스위치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레버는, 운전자가 상기 안전레버를 해제/작동(ON/OFF) 시킴으로써 그와 연동하여 상기 작동스위치가 온/오프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석에 의한 도어 로킹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레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에 있어서, 전기 통전과 차단에 따라서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실시키는 전자석(22)이 도어(21)가 설치되는 문틀(2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22)은 자성체(23)와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23)는 상기 전자석(22)과 대응되는 부위로써 상기 도어(2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자석(22)은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전자석(22)으로 단속시키는 작동스위치(31)에 의해, 상기 전자석(22)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석(22)에서의 자력 발생 여부를 조절한다.
상기 작동스위치(31)는 유압장치인 안전레버(32)에 의해 그 온/오프(ON/OFF)가 조절된다. 즉, 상기 안전레버(32)를 해제(ON)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작동스위치(31)는 온(ON)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자석(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도어(21)의 기계적인 잠금장치(10)는 상기 전자석(22)이 작동됨으로써 열릴 수 없게 된다.
반면, 상기 안전레버(32)를 작동(OFF)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작동스위치(31)는 오프(OFF)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자석(22)에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22)에서는 자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도어(21)의 기계적인 잠금장치(10)는 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1)와 상기 문틀(20)이 접촉될 때 운전실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21)의 일측에 실링부재(24)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레버(32)는 상기 작동스위치(31)의 온/오프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운전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 유압장치인 상기 안전레버(32)를 해제(ON)시키면, 그와 동시에 상기 작동스위치(31)는 온(ON)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상기 전자석(22)에 공급되어 상기 전자석(22)에 자력이 발생한다.
반면 운전자가 하차 및 작업의 중지를 위해 상기 안전레버(32)를 작동(ON)시키면 그와 동시에 상기 작동스위치(31)는 오프(OFF)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전자석(22)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는, 기계적 잠금장치와 더불어 도어에 전자석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도어와 운전실 본체 사이의 밀폐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여, 장비사용시의 외부진동에 따른 기계적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 먼지가 운전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석에 의한 도어 로킹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레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잠금장치 20 : 문틀
21 : 도어 22 : 전자석
23 : 자성체 24 : 실링부재
30 : 전원공급부 31 : 작동스위치
32 : 안전레버

Claims (2)

  1. 전원 단속에 따라 자력 발생이 조절되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과 대응되는 부위로 상기 도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자성체;
    차량용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단속시켜 자력 발생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작동스위치의 온/오프를 조절하는 안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레버는 운전자가 상기 안전레버를 해제/작동 시킴으로써 그와 연동하여 상기 작동스위치가 온/오프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KR1020030094354A 2003-12-22 2003-12-22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KR10082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54A KR100826626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54A KR100826626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90A true KR20050062690A (ko) 2005-06-27
KR100826626B1 KR100826626B1 (ko) 2008-05-02

Family

ID=3725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354A KR100826626B1 (ko) 2003-12-22 2003-12-22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6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50B1 (ko) * 2006-09-15 2007-12-11 청 장 전자석 도어록
KR20130072618A (ko) *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인터락 장치
KR101529564B1 (ko) * 2015-01-09 2015-06-30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마그네틱 락 시스템을 적용한 면진 배전반
KR102188193B1 (ko) * 2019-10-08 2020-12-09 한국전력공사 단자대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494U (ko) * 1997-05-31 1998-12-05 토니헬샴 중장비용 운전실도어 록킹장치
KR20000000736A (ko) * 1998-06-03 2000-01-15 김형벽 굴삭기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09136Y1 (ko) * 1998-09-24 2001-01-15 추호석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100623677B1 (ko) * 2003-11-12 2006-09-18 대진기전주식회사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 도어 록킹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50B1 (ko) * 2006-09-15 2007-12-11 청 장 전자석 도어록
KR20130072618A (ko) *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인터락 장치
KR101529564B1 (ko) * 2015-01-09 2015-06-30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마그네틱 락 시스템을 적용한 면진 배전반
KR102188193B1 (ko) * 2019-10-08 2020-12-09 한국전력공사 단자대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626B1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227A (ko) 전동식 건설 기계
KR100826626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KR20080021432A (ko) 굴삭기 상부선회체의 고정장치
EP2574699B1 (en) Security blocking of cabin exit
KR101681689B1 (ko) 외측써레판 록킹장치
JP5369345B2 (ja) 車輌用ドア開閉装置
KR101747269B1 (ko)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스위치 장치
JP4236613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装置
KR20210037608A (ko) 쇼벨
JP2011231594A (ja) 建設機械の電気回路
KR200245209Y1 (ko) 자동차용내측도어핸들안전노브구조
KR19990059581A (ko) 슬라이딩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도어 잠금장치
JP4671495B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KR950008901A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래치 록킹 방지장치
JP201209258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の放電防止回路
JP3944944B2 (ja) スイッチカバー
KR100887837B1 (ko) 버스 도어용 비상밸브 상태 표시장치
KR100475789B1 (ko) 차량의 자동문 개폐용 실린더
KR200183288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JPH1125810A (ja) 安全スイッチ
KR200319139Y1 (ko) 퀵 클램프의 안전 장치
CA2031102A1 (en) Safety apparatus of an industrial robot
KR100508444B1 (ko) 공압 차단시 자기력으로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버스 도어
KR200307605Y1 (ko) 굴삭기 운전자의 안전성을 강화한 이중 안전 컨트롤박스
KR100559290B1 (ko) 건설중장비용 안전 주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