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136Y1 -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136Y1
KR200209136Y1 KR2019980018251U KR19980018251U KR200209136Y1 KR 200209136 Y1 KR200209136 Y1 KR 200209136Y1 KR 2019980018251 U KR2019980018251 U KR 2019980018251U KR 19980018251 U KR19980018251 U KR 19980018251U KR 200209136 Y1 KR200209136 Y1 KR 200209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ing
lever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953U (ko
Inventor
박철구
최태용
김춘환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1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13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136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열림을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내부에 설치된 도어록킹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여 도어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의 동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외부누름수단과, 상기 동체 내에 지렛대 받침대를 매개로 힌지 설치되어 상기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에 연동하는 지렛대와, 상기 동체 내에 래치 고정대를 매개로 힌지 설치되며, 상기 지렛대를 통해 작동되어 도어 측에 설치된 걸림쇠에 걸림 및 이탈되는 래치 및, 상기 동체 내에 설치되어 동체의 내부에서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을 제지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본 고안은 각종 중장비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도어의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Y부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일 측은 동체(52)에 힌지(54)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측의 내부에는 걸림쇠(56)가 설치되며, 이와 대응하여 동체(52) 내에 래치 고정대(58)를 매개로 래치(60)가 힌지(62)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차량의 내부에서만 도어(5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외부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래치(60)의 상부경사부(60a)가 걸림쇠(56)에 슬립되면서 래치(60)는 도 5의 가상선과 같이 힌지(62)를 중심으로 움직인 후 힌지(62)에 감겨진 토션스프링(도시안됨)의 토션력에 의해 복귀하면서 걸림쇠(56)에 걸려져 도어(50)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어(50)의 록킹 해제는 래치(60)의 손잡이(60b)를 당기게 되면 래치(60)가 힌지(62)를 중심으로 도 5의 가상선과 같이 움직여 걸림쇠(56)에서 벗어나게 됨에 따라 도어(50)는 록킹이 해제되어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외부에서는 도어(50)를 열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60)는 걸림쇠(56)의 안쪽으로 하여 동체(52) 사이에 설치되는데 차량의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동체(52) 쪽으로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는 바, 이러한 경우 도어(60)를 열 때 래치(60)의 상부가 동체(52) 쪽으로 움직이게 됨에 따라 래치(60)가 동체(52)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도장이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어서 그 결과 래치(60)의 작동공간(L)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도어의 열림을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내부에 설치된 도어록킹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여 도어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동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도어를 오픈시키는 외부누름수단과, 상기 동체 내에 지렛대 받침대를 매개로 힌지 설치되어 상기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에 연동하는 지렛대와, 상기 동체 내에 래치 고정대를 매개로 힌지 설치되며, 상기 지렛대를 통해 작동되어 도어 측에 설치된 걸림쇠에 걸림 및 이탈되는 래치 및, 상기 동체 내에 설치되어 동체의 내부에서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을 제지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Z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Y부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걸림쇠 15 : 안내용 플랜지
16 : 누름버튼 18, 37 : 스프링
19 : 스토퍼 20 : 플런저
21 : 고정너트 22 : 조절볼트
23 : 지렛대 24 : 지렛대 받침대
25 : 래치 고정대 27, 28, 54 : 힌지
29 : 래치 29a : 가이드
31 : 조립몸체 33 : 록킹플런저
34 : 록킹/해제 레버 35 : 록킹홈
36 : 해제홈 50 : 도어
52 : 동체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종래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Z부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일 측에는 본 고안의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되고 동체(52)에 설치되는 힌지(54)에 의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림 및 닫힘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록킹장치는, 먼저 도어(50) 측에는 볼트(10)와 와셔(11)를 통해 걸림쇠(12)가 설치된다.
동체(52) 측에는 외부에서 도어(50)를 오픈시키는 외부누름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누름수단은, 동체(52)에 볼트(13)로 고정되고 중앙으로 단턱(14a)을 갖는 구멍(14)이 천공된 안내용 플랜지(15)와, 상기 안내용 플랜지(15)의 외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누름버튼(16)과, 상기 누름버튼(16)의 내측 상부로부터 스크루(17)로 고정되고 스프링(18) 형태의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하부에는 스토퍼(19)가 설치된 플런저(20) 및, 상기 스토퍼(19)를 통해 나사 체결되고 후술하는 지렛대(23)의 일 측 상부에 면접촉되어 누름버튼(16)의 누름 량을 조절하는 고정너트(21)를 갖춘 조절볼트(22)로 구성된다.
상기 동체(52) 내에는 지렛대 받침대(24)와 함께 래치 고정대(25)가 볼트(26)로 고정되고 상기 지렛대 받침대(24)를 매개로 지렛대(23)가 힌지(27) 설치되어 이 지렛대(23)는 상기 외부누름수단에 따라 연동하여 힌지(27)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상기 래치 고정대(25)에는 힌지(28)를 통해 토션스프링(도시안됨)을 갖춘 래치(29)가 설치되며, 이 래치(29)의 일 측에는 상기 지렛대(23)의 일 측과 접촉되어 지렛대(23)의 움직임에 대해 래치(29)를 연동시키는 가이드(29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동체(52) 내에는 상기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을 제지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록킹수단은, 동체(52) 내에 볼트(30)로 고정되는 조립몸체(31)와, 상기 조립몸체(31) 내에 형성된 단턱(32a)을 갖는 슬라이드 구멍(32)에 설치되어 출몰되는 록킹플런저(33)와, 상기 록킹플런저(33)의 일단과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는 록킹/해제 레버(34) 및, 상기 조립몸체(31)에 형성되어 록킹/해제 레버(34)를 위치시키는 록킹홈(35)과 해제홈(36), 상기 조립몸체(31) 내에 슬라이드 구멍(32)의 단턱(32a)을 통해 록킹플런저(33)에 개재되어 록킹플런저(33)를 복귀시키는 스프링(37) 형태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50)를 열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9)의 손잡이(29b)를 잡고 가상선과 같이 위치시키면 래치(29)가 걸림쇠(12)에서 풀리게 되어 열림 복귀력을 갖고 있는 통상의 힌지(54)에 의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도어록킹장치의 록킹/해제 레버(34)는 해제홈(36)으로 위치시켜 록킹플런저(33)의 단부가 조립몸체(31)에서 돌출되지 않게 하여 지렛대(23)를 간섭시키지 말아야 한다.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도어(50)를 닫을 때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50)의 손잡이를 잡고 힘있게 닫으면 걸림쇠(12)가 래치(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걸리게 되어 잠기게 된다.
도어(50)를 외부에서 열 때는 누름버튼(16)을 손이나 또는 발로 누르게 되면 플런저(20)의 하부에 체결된 조절볼트(22)가 지렛대(23)를 누르게 되고, 이 지렛대(23)는 가이드(29a)를 누르게 되어 이와 일체로 형성된 래치(29)가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움직여 걸림쇠(12)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도어록킹장치의 록킹/해제 레버(34)는 해제홈(36)으로 위치시켜 록킹플런저(33)의 단부가 조립몸체(31)에서 돌출되지 않게 하여 지렛대(23)를 간섭시키지 말아야 한다.
한편 외부에서 외부누름수단에 의해 도어(50)를 여는 것을 막으려면 내부에서 도어록킹수단의 록킹/해제 레버(34)를 록킹홈(35)에 위치시킴에 따라 이와 연결된 록킹플런저(33)가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조립몸체(31)에서 전진하여 지렛대(23)의 하단면을 받치게 된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16)이 눌러지지 않게 되어 그 결과 도어(50)를 외부에서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래치(29)는 종래의 래치와는 다르게 걸림쇠(12)의 바깥쪽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쇠(12)를 최대한으로 동체(52)와 가깝게(즉, 도어(50)의 일단과 가깝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내부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를 외부와 내부에서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와, 도어록킹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는 효과 및 내부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는 바, 이는 장비운용자의 편의를 최대한으로 도모하고, 장비운용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동체(5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도어(50)를 오픈시키는 외부누름수단,
    상기 동체(52) 내에 지렛대 받침대(24)를 매개로 힌지(27) 설치되어 상기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에 연동하는 지렛대(23),
    상기 동체(52) 내에 래치 고정대(25)를 매개로 힌지(28) 설치되며, 상기 지렛대(23)를 통해 작동되어 도어(50) 측에 설치된 걸림쇠(12)에 걸림 및 이탈되는 래치(29) 및,
    상기 동체(52) 내에 설치되어 동체(52)의 내부에서 외부누름수단의 작동을 제지하여 외부에서 도어(50)를 열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누름수단은, 동체(52)에 고정되고 중앙으로 단턱(14a)을 갖는 구멍(14)이 천공된 안내용 플랜지(15),
    상기 안내용 플랜지(15)의 외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누름버튼(16),
    상기 누름버튼(16)의 내측 상부로부터 고정되고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하부에는 스토퍼(19)가 설치된 플런저(20) 및,
    상기 스토퍼(19)를 통해 나사 체결되고 지렛대(23)의 일 측 상부에 면접촉되어 누름버튼(16)의 누름 량을 조절하는 고정너트(21)를 갖춘 조절볼트(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수단은, 동체(52) 내에 고정되는 조립몸체(31),
    상기 조립몸체(31) 내에 형성된 단턱(32a)을 갖는 슬라이드 구멍(32)에 설치되어 출몰되는 록킹플런저(33),
    상기 록킹플런저(33)의 일단과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는 록킹/해제 레버(34) 및,
    상기 조립몸체(31)에 형성되어 록킹/해제 레버(34)를 위치시키는 록킹홈(35)과 해제홈(36),
    상기 조립몸체(31) 내에 슬라이드 구멍(32)의 단턱(32a)을 통해 록킹플런저(33)에 개재되어 록킹플런저(33)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2019980018251U 1998-09-24 1998-09-24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200209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51U KR200209136Y1 (ko) 1998-09-24 1998-09-24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51U KR200209136Y1 (ko) 1998-09-24 1998-09-24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53U KR20000006953U (ko) 2000-04-25
KR200209136Y1 true KR200209136Y1 (ko) 2001-01-15

Family

ID=6952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251U KR200209136Y1 (ko) 1998-09-24 1998-09-24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1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26B1 (ko) * 2003-12-22 2008-05-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53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032B1 (ko) 래칫 폴 래치
KR100873845B1 (ko) 적재 바닥 래치
US6427501B2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locked after being swivelled inwards an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CA1283791C (en) Door latch mechanism
JPH11159215A (ja) 収納部開閉蓋のロック装置
KR20090064954A (ko) 화물차량의 안전 공구함
KR200209136Y1 (ko)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JPS5929098Y2 (ja) ドアハンドル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200176120Y1 (ko)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KR0131159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크해제 장치
KR970000621Y1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 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US5074676A (en) Rod guide member
KR200167826Y1 (ko) 맨홀용 속뚜껑 시건장치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800000122B1 (ko) 자동식 크로스보울트 이중자물쇠
KR940006381Y1 (ko) 드럼식세탁기의 도어록크 비상해제장치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KR20024711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잠금장치
KR101198668B1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KR200149974Y1 (ko) 테일 게이트의 인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