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120Y1 -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120Y1
KR200176120Y1 KR2019990022164U KR19990022164U KR200176120Y1 KR 200176120 Y1 KR200176120 Y1 KR 200176120Y1 KR 2019990022164 U KR2019990022164 U KR 2019990022164U KR 19990022164 U KR19990022164 U KR 19990022164U KR 200176120 Y1 KR200176120 Y1 KR 200176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olding door
lower roller
vertical movem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철수 filed Critical 표철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7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폴딩도어에 장착수단을 사용하여 하부로울러 몸체를 편리하게 장착함은 물론, 그 폴딩도어의 장착 및 탈거 작업시 수직이동수단에 의해 갭 조정을 하면서 스토퍼수단에 의해 수직이동수단이 움직이지 않게 하여 폴딩도어의 장착 이후 그 폴딩도어를 사용할 때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1 이동공과 연이어 수직 형성된 제1 스프링의 상부 작동공과, 일측으로 잠금실과 함께 회동공을 형성한 하부로울러 몸체와; 상기 제1 이동공의 하부에 제2 이동공과 연이어 제2 스프링의 하부 작동공을 형성한 안내수단의 작동구와; 상기 제1 이동공과 상부 작동공, 제2 이동공 및 하부 작동공으로 수직 이동축이 상부에서 끼워지면서 그 수직 이동축의 하단에는 고정구가 볼팅 고정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한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잠금실에 끼워져 회전 작동되면서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버와 그 고정레버에 선단이 축설되어 수동 회전되는 제1 조정봉으로 된 장착수단 및 상기 수직 이동축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실에 설치된 스토퍼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A LOWER ROLLER STRUCTURE FOR A FOLDING DOOR}
본 고안은 붙박이장용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몸체에 수직이동수단 및 스토퍼수단을 설치하면서, 이러한 하부로울러 몸체의 장착 및 탈거시에 사용되는 장착수단을 구비하여 된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Holding door)는 붙박이장(매설장) 등과 같은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폴딩도어를 이루는 폴딩도어에는 하부로울러 및 하부로울러를 각각 장착하여 개방 또는 폐쇄 작동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중 하부로울러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붙박이장(A)이 설치된 벽면의 개구된 부위의 상하부에는 폴딩도어(B)의 개폐 작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측 가이드레일(도시안됨) 및 하측 가이드레일(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폴딩도어(B)의 하부에 설치하며, 양측면으로 걸림공(D1)이 관통되도록 수납홈부(D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D)과; 그 고정브라켓(D)의 수납홈부(D2)에 끼워져 고정되고 빠질 수 있도록 양측면으로 걸림돌기(E2)갖는 해제편(E1)을 탄력있게 형성한 하부로울러 몸체(E)와; 그 하부로울러 몸체(E)의 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안내 작동될 수 있게 한 안내수단(F)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었는 바, 상기 고정브라켓(D)은 폴딩도어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하부로울러 몸체(E)에 형성된 안내수단(F)은 하측 가이드레일(C)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안내수단(F)은 하부로울러 몸체(E)내에 설치되어 승하강 작동되면서 하부로 돌출되게 한 수직 이동축(F1)과, 그 수직 이동축(F1)의 하단부에 결합된 안내구(F2)와, 그 안내구(F2)에 각각 복수개로 축결합된 안내 로울러(F3)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 구성에서는, 벽면에 폴딩도어(B)를 설치할 경우, 그 폴딩도어(B)에 볼팅 고정된 고정브라켓(D)의 수납홈부(D2)로 하부로울러 몸체(E)를 끼우게 되는 데, 이때 제작상 발생하게 된 폴딩도어(B)와 벽면과의 캡은 수직 이동축(F1)이 하부로울러 몸체(E)로부터 수직 이동하여 해소하지만, 설치 이후에도 수직 이동축(F1)이 수직 이동되는 관계로 폴딩도어의 작동시 흔들리는 등의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웠었다.
더군다나, 하부로울러 몸체(E)를 상기 고정브라켓(D)의 수납홈부(D2)에 끼우는 과정을 볼 때, 그 수납홈부(D2)의 걸림공(D1)에는 하부로울러 몸체(E)에 형성된 해제편(E1)의 걸림돌기(E2)가 끼워져 각각 결합되는 반면, 하부로울러 몸체(E)의 탈거시 이에 형성된 해제편(E1)을 안쪽 방향으로 눌러 걸림돌기(E2)가 걸림공(D1)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하부로울러 몸체(E)를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해제편(E1)을 작업자의 손으로 눌러 하부로울러 몸체(E)를 장착 또는 탈거하는 작업상 힘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붙박이장의 폴딩도어에 장착수단을 사용하여 하부로울러 몸체를 편리하게 장착함은 물론, 그 폴딩도어의 장착 및 탈거 작업시 수직이동수단에 의해 갭 조정을 하면서 스토퍼수단에 의해 수직이동수단이 움직이지 않게 하여 폴딩도어의 장착 이후 그 폴딩도어를 사용할 때 흔들림 등이 발생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폴딩도어에 볼팅 고정된 고정브라켓의 수납홈부에는 하부로울러 몸체를 설치하고, 그 하부로울러 몸체의 하단에는 벽면에 구비된 하측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도록 안내수단을 돌출 형성한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있어서, 제1 이동공과 연이어 수직 형성된 제1 스프링의 상부 작동공과, 일측으로 잠금실과 함께 회동공을 형성한 하부로울러 몸체와; 상기 제1 이동공의 하부에 제2 이동공과 연이어 제2 스프링의 하부 작동공을 형성한 안내수단의 작동구와; 상기 제1 이동공과 상부 작동공, 제2 이동공 및 하부 작동공으로 수직 이동축이 상부에서 끼워지면서 그 수직 이동축의 하단에는 고정구가 볼팅 고정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한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잠금실에 끼워져 회전 작동되면서 고정브라켓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버와 그 고정레버에 선단이 축설되어 수동 회전되는 제1 조정봉으로 된 장착수단 및 상기 수직 이동축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실에 설치된 스토퍼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스토퍼수단은 수직 이동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면과 접촉되는 스토퍼와, 그 스토퍼에 축설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제2 조정봉과, 그 제2 조정봉의 외주면에 차례로 끼워지는 너트로 이루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b는 본 고안에서 하부로울러 몸체에 설치된 수직이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a,b는 본 고안에서 고정브라켓에 하부로울러 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 수단을 보인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하부로울러 몸체를 고정브라켓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로울러 몸체가 설치된 폴딩도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면 20 : 폴딩도어
30 : 하측 가이드레일 40 : 하부로울러 몸체
41,82 : 제1,2 이동공 42,83 : 상,하부 작동공
43,84 : 제1,2 스프링 45 : 잠금실
46 ; 회동공 50 : 수직이동수단
51 : 수직 이동축 52 : 고정구
60 : 장착수단 62 : 고정레버
70 : 스토퍼수단 71 : 스토퍼
73 : 너트 80 : 안내수단
81 : 작동구 85 : 안내 로울러
90 : 고정브라켓 92 ; 수납홈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b는 본 고안에서 하부로울러 몸체에 설치된 수직이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4a,b는 본 고안에서 고정브라켓에 하부로울러 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 수단을 보인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5a,b는 본 고안에서 하부로울러 몸체를 고정브라켓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로울러 몸체가 설치된 폴딩도어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는 폴딩도어(20)에 볼팅 고정된 고정브라켓(90)의 수납홈부(92)에는 하부로울러 몸체(40)를 설치하고, 그 하부로울러 몸체(40)의 하단에는 벽면(10)에 구비된 하측 가이드레일(30)에 끼워지도록 안내수단(80)을 돌출 형성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는 하부로울러 몸체(40)에 수직이동수단(50)과 장착수단(60) 및 스토퍼수단(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로울러 몸체(40)에는 제1 이동공(41)이 연이어 수직 형성된 제1 스프링(43)의 상부 작동공(42)과, 일측으로 잠금실(45)과 함께 회동공(46)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수단(80)의 작동구(81)에는 제1 이동공(41)의 하부에 제2 이동공(82)과 연이어 제2 스프링(84)의 하부 작동공(83)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이동수단(50)은 제1 이동공(41)과 상부 작동공(42), 제2 이동공(82) 및 하부 작동공(83)으로 수직 이동축(51)이 상부에서 끼워지면서 그 수직 이동축(51)의 하단에는 고정구(52)가 볼팅 고정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장착수단(60)은 잠금실(45)에 끼워져 회전 작동되면서 고정브라켓(9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버(62)와 그 고정레버(62)에 선단이 축설되어 수동 회전되는 제1 조정봉(63)으로 된다. 이때 고정레버(62)의 선단에는 드라이버의 홈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수단(70)은 수직 이동축(51)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실(44)에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수단(70)은 수직 이동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면과 접촉되는 스토퍼(71)와, 그 스토퍼(71)에 축설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제2 조정봉(72)과, 그 제2 조정봉(72)의 외주면에 차례로 끼워지는 너트(73)로 이루어진다. 앞서 제1 조정봉(63)과 마찬가지로 제2 조정봉(72)의 선단에도 드라이버의 홈이 형성된 상태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91)는 고정브라켓(90)의 양측 내벽으로 형성된 걸림홈이고, (44)는 하부로울러 몸체(40)에 형성되어 스토퍼수단(70)을 설치하게 된 작동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는 벽면(10)으로 폴딩도어(20)를 설치할 경우, 그 폴딩도어(20)의 고정브라켓(90)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로울러 몸체(40)의 수직이동수단(50)을 상하로 이동시켜 벽면(10)과 폴딩도어(20)의 불일치에 따른 갭을 조정하면서, 장착수단(60)의 고정레버(62)를 회동시켜 고정브라켓(90)의 양측면으로 고정하고, 폴딩도어(20)의 작동시에는 수직이동수단(50)의 수직 이동축(51)을 스토퍼수단(70)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함에 따라, 폴딩도어(20)가 흔들림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 고안이다.
이러한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그 설치 상태를 볼 때, 상기 벽면(10)에는 안내수단(80)의 안내로울러(85)를 각각 끼워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하고, 상기 폴딩도어(20)에는 고정브라켓(90)을 볼팅 고정한 다음, 폴딩도어(20)를 벽면(10)에 설치할 경우 작업자는 장착 위치까지 폴딩도어(20)를 옮긴 이후, 그 폴딩도어(20)에 볼팅 고정되어 있던 고정브라켓(90)의 수납홈부(92)에 하부로울러 몸체(40)를 끼워 고정하면 되는 데, 이때, 그 하부로울러 몸체(40)에 설치된 장착수단(60)의 고정레버(62)의 양단이 잠금실(45) 내에 위치된 상태로 있다가, 제1 조정봉(63)을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로 돌려 그 선단의 고정레버(62)의 양단이 잠금실(45)에서 회전후 고정브라켓(90)에 형성된 걸림홈(91)에 끼워 걸리도록 한다. 그 걸림홈(91)의 양측 내벽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레버(62)가 끼워진 후 경사면을 타고 끼워져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폴딩도어(20)와 벽면(10)과의 사이에 갭이 발생할 경우, 그 갭은 수직이동수단(50)에 의해 조정하게 되는 바, 이를 살펴보기 위해 그 수직이동수단(50)의 설치 상태를 보자면, 하부로울러 몸체(40)에 형성된 상부 작동공(42)으로부터 제1 이동공(41)과 안내수단(80)의 작동구(81)에 형성된 제2 이동공(82) 및 하부 작동공(83)을 통해 수직 이동축(51)을 끼워 그 하단에는 고정구(52)로 볼팅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상부 작동공(42)과 하부 작동공(83)에는 탄성이 크고 작은 제1,2 스프링(43,84)이 끼워지면서 수직 이동축(51)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폴딩도어(20)와 벽면(10)과의 갭이 발생하게 될 경우 그 갭은 수직이동수단(50)의 움직임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충된다. 이를 좀더 설명하자면, 앞서 발생된 갭 만큼 수직 이동축(51)의 상하 양단은 상부 작동공(42)과 하부 작동공(83)에서 하향 및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 작동공(42)의 제1 스프링(43)은 수직 이동축(51)의 선단이 하강함에 따라 압압되는 동시에, 하부 작동공(83)의 제2 스프링(84)은 수직 이동축(51)의 하단이 상승함에 따라 압압되고, 이 순간 상기 제1 스프링(43) 및 제2 스프링(84)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로울러 몸체(40) 및 그 하부의 안내수단(80)의 갭은 서로 당겨주기 때문에, 폴딩도어(20)는 벽면(10)에 더욱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이후 폴딩도어(20)를 벽면(10)에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시 흔들림 등의 문제가 없이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수직이동수단(50)의 수직 이동축(51)이 폴딩도어(20)와 벽면(10)에 형성된 갭만큼 조정하고 난 다음 폴딩도어(20)를 작동하기 이전, 수직 이동축(51)은 앞서 발생된 갭에 의해 이동후 그 상태에서 스토퍼수단(70)을 작동시켜 움직이지 않게 해야 폴딩도어(20)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스토퍼수단(70)의 작동 상태를 볼 때, 그 스토퍼수단(70)의 스토퍼(71)는 갭에 의해 수직 이동축(51)이 움직여야 할 경우에는 그 수직 이동축(51)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다가 작업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제2 조정봉(72)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제2 조정봉(72)은 작동실(44)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너트(73)에 끼워져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에 제2 조정봉(72)의 선단으로 결합된 작동구(81)는 작동실(44)을 통해 전진하여 수직 이동축(51)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그 수직 이동축(5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계로 이에 결합되는 작동구(81)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수직 이동축(51)의 움직임을 봉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조정봉(72)의 선단과 이에 끼워진 너트(73)와의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74)를 끼워 스토퍼수단(70)의 정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따르면, 붙박이장의 폴딩도어를 벽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스토퍼수단을 작동하여 수직이동수단의 수직 이동축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함으로써, 폴딩도어와 벽면과의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면, 그 갭만큼 수직 이동축이 하부로울러 몸체 및 안내수단의 작동구에서 하향, 상향으로 움직여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한편, 하부로울러 몸체 및 작동구에 설치된 제1,2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폴딩도어가 더욱 견고히 설치되게 하여 폴딩도어의 장착 및 탈거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폴딩도어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할 경우에는 흔들림없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폴딩도어(20)에 볼팅 고정된 고정브라켓(90)의 수납홈부(92)에는 하부로울러 몸체(40)를 설치하고, 그 하부로울러 몸체(40)의 하단에는 벽면(10)에 구비된 하측 가이드레일(30)에 끼워지도록 안내수단(80)을 돌출 형성한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에 있어서,
    제1 이동공(41)과 연이어 수직 형성된 제1 스프링(43)의 상부 작동공(42)과, 일측으로 잠금실(45)과 함께 회동공(46)을 형성한 하부로울러 몸체(40)와;
    상기 제1 이동공(41)의 하부에 제2 이동공(82)과 연이어 제2 스프링(84)의 하부 작동공(83)을 형성한 안내수단(80)의 작동구(81)와;
    상기 제1 이동공(41)과 상부 작동공(42), 제2 이동공(82) 및 하부 작동공(83)으로 수직 이동축(51)이 상부에서 끼워지면서 그 수직 이동축(51)의 하단에는 고정구(52)가 볼팅 고정되어 승하강될 수 있게 한 수직이동수단(50)과;
    상기 잠금실(45)에 끼워져 회전 작동되면서 고정브라켓(90)의 양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레버(62)와 그 고정레버(62)에 선단이 축설되어 수동 회전되는 제1 조정봉(63)으로 된 장착수단(60) 및
    상기 수직 이동축(51)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실(44)에 설치된 스토퍼수단(7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70)은 수직 이동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면과 접촉되는 스토퍼(71)와, 그 스토퍼(71)에 축설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제2 조정봉(72)과, 그 제2 조정봉(72)의 외주면에 차례로 끼워지는 너트(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KR2019990022164U 1998-08-03 1999-10-15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KR2001761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48 1998-08-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548 Division 1998-08-03 1998-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120Y1 true KR200176120Y1 (ko) 2000-03-15

Family

ID=1953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164U KR200176120Y1 (ko) 1998-08-03 1999-10-15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1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82B1 (ko) 2010-05-19 2011-08-11 이종안 접이식 도어 시스템
KR20160079288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윈플러스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KR101932938B1 (ko) 2017-08-16 2018-12-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82B1 (ko) 2010-05-19 2011-08-11 이종안 접이식 도어 시스템
KR20160079288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윈플러스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KR101723222B1 (ko) 2014-12-26 2017-04-05 주식회사 윈플러스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KR101932938B1 (ko) 2017-08-16 2018-12-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819B2 (en) Lock to be mounted in openings in a thin wall
US4454392A (en) Safety switch
KR200176120Y1 (ko) 폴딩도어의 하부로울러 구조
US3143760A (en) Retractable door pivot assembly
KR200176121Y1 (ko) 폴딩도어의 상부로울러 구조
KR200177647Y1 (ko) 실린더리칼 레버록의 클러치장치
ES2159202T3 (es) Cerradura de puerta con accionamiento y llave.
KR200279106Y1 (ko) 배전반용 도어의 록킹 장치
CA1301801C (en) Magnet catch
KR200360661Y1 (ko)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KR0164719B1 (ko) 트렁크 리드록장치
JP3563632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890004464Y1 (ko) 푸쉬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
JPS5817100Y2 (ja) 扉等の開放保持具
KR200166212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0535601B1 (ko) 화물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0251970B1 (ko) 버스 정비용 플랩도어 래치구조
JPS6244596Y2 (ko)
KR100308060B1 (ko) 엔진언더커버의슬라이딩개폐장치
JP3501873B2 (ja) ドア装置
KR200325017Y1 (ko) 도어용 보조잠금장치
KR200256739Y1 (ko) 문짝설치용 경첩의 힌지축 인출장치_
KR0135614Y1 (ko) 필러도어 개방장치
KR95001062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커버 열림 고정구
KR0117260Y1 (ko) 전자렌지 안전스위치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