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377A -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377A
KR20050062377A KR1020040101159A KR20040101159A KR20050062377A KR 20050062377 A KR20050062377 A KR 20050062377A KR 1020040101159 A KR1020040101159 A KR 1020040101159A KR 20040101159 A KR20040101159 A KR 20040101159A KR 20050062377 A KR20050062377 A KR 2005006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heet
contact
hole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665B1 (ko
Inventor
가토우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원하는 조작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작감이 양호한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를 가지며, 팽창돌출부 (3c)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면부가 절결되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 (3) 과, 가동접점 (3) 을 수용 가능한 수용 홀 (1a) 을 갖는 제 1 시트 (1) 와, 이면에 점착부 (4a) 를 갖고 이 점착부 (4a) 에서 가동접점 (3) 의 일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의 상면을 덮는 제 2 시트 (4) 를 구비하고,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을 광폭부와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가동접점 (3) 의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를 수용 홀 (1a) 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가동접점 (3) 을 수용 홀 (1a) 에 수용하였다.

Description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SHEET HAVING A MOVABLE CONTACT ATTACHED AND PUSH BUTTON SWIT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와 관련되며, 특히 가압됨으로써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가 반전하여 접점의 접촉이간을 행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로는, 원형 돔 형상의 복수의 가동접점을 점착 시트에 점착시킨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기판상에 배치한 시트 타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도 7, 도 8 에 나타낸다. 도 7 은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 8 은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동접점 (51) 은 스텐레스재나 인 청동 등의 스프링성을 갖는 원형 돔 형상의 박판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정상부로부터의 가압력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51) 은 돔 형상 내에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지 않고, 그 중앙부에는 돔 형상 내에 돌출하여 형성된 접점부 (51a) 를 갖고 있다.
점착시트 (52) 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필름재로 이루어지고, 가소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시트부 (53) 와, 이 시트부 (53) 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 (52a) 과, 이 홀 (52a) 을 제외한 시트부 (53) 의 하면에 형성된 비점착부로 이루어지는 기도부(氣道部)(55) 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 점착제 (54) 로 구성되어 있다.
기도부 (55) 는 점착제 (54) 를 시트부 (53) 의 하면에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적어도 일단이 점착시트 (52) 의 홀 (52a), 또는 점착시트 (52) 의 외주단 가장자리 (52b) 에 위치하는 기도구(氣道口) (56) 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51) 은 상면이 점착시트 (52) 의 점착제 (54) 에 점착되고, 가동접점 (51) 의 상면 및 가동접점 (51) 의 단부 (51b) 의 적어도 일부가 기도부 (55)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점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57) 는 점착시트 (52) 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면에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홀 (57a) 을 갖고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57) 는 점착시트 (52) 의 점착제 (54) 에 의해서, 점착시트 (52) 의 홀 (52a) 과 홀 (57a) 이 대향하여 마주 겹치듯이, 점착시트 (52) 의 하면에 점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퍼레이터 (57) 는 점착시트 (52) 로 가동접점 (51) 을 협지하는 동시에, 가동접점 (51) 의 하면을 보호함으로써, 가동접점 부착 시트 (58) 를 구성하고 있다.
점착시트 (52) 의 홀 (52a) 은 도시하지 않은 발광 다이오드 (LED) 등의 발광소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고, 가동접점 (51) 을 가압 조작하는 조작체 (도시하지 않음) 를 시트부 (53) 에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켜 조광할 수 있다.
도 8 은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고, 절연기판 (59) 은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플렉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을 한 제 1 고정접점 (59a) 과, 이 제 1 고정접점 (59a) 를 둘러싸는 대략 C 자 형상을 한 제 2 고정접점 (59b) 이 에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부착 시트 (58) 의 점착시트 (52) 의 하면에 점착된 세퍼레이터 (57) 를 떼어냄으로써, 점착시트 (52) 의 점착제 (54) 를 노출시키고, 가동접점 (51) 의 단부 (51b) 를 제 2 고정접점 (59b) 에 대향시켜, 점착시트 (52) 가 절연기판 (59) 의 상면에 점착된다. 이 때, 가동접점 (51) 은 단부 (51b) 의 가장자리가 제 2 고정접점 (59b) 에 상시 접촉하는 상태에서, 절연기판 (59) 의 표면에 탑재된 상태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60334 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가동접점의 소형화나 가동접점의 배치시 피치를 좁게 함으로써 시트 타입의 푸시 버튼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를 위하여, 보다 작은 직경 사이즈의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을 사용하면, 그만큼 팽창돌출부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팽창돌출부가 반전할 때까지의 이동량이 작아져, 원하는 조작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원하는 조작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작감이 양호한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가지며, 이 팽창돌출부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면부가 절결되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을 수용 가능한 수용 홀을 갖는 제 1 시트와, 이면에 점착부를 갖고 이 점착부에서 상기 가동접점의 일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시트의 수용 홀의 상면을 덮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수용 홀을 광폭부와 협폭부(狹幅部)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접점의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를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수용 홀에 수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수용 홀의 내벽과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틈을 형성하고, 이 틈을 상기 수용 홀의 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에 대하여,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 쪽을 크게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시트에 상기 수용 홀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들 수용 홀에 상기 가동접점을 복수개 수용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끼리 및 인접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협폭부끼리를 상호 대향시켜 복수조 배열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시트의 이면에 점착부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에 박리시트를 박리 가능하게 피복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시트에는 인접하는 상기 수용 홀끼리의 내벽 사이에 공기 유로용 연결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홀 및 상기 연결 홈의 상면측을 상기 제 2 시트로 덮는 동시에, 하면측에는 상기 수용 홀 및 상기 연결 홈의 하면측을 덮는 보호시트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연결 홈의 연결방향을 상기 수용 홀에 수용된 상기 가동접점의 긴 방향을 따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스커트부와, 이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반전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중심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호보다 큰 원호로 형성하고, 이 하단 가장자리부의 원호의 양단부를 절연기판의 고정접점 상에 탑재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제 1 내지 제 7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동접점 부착 시트와, 이 가동접점 부착 시트에 수용된 상기 가동접점의 하단 가장자리부가 탑재되는 주변 고정접점과, 이 주변 고정접점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정상부 하면이 접촉이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과, 상기 주변 고정접점 및 상기 중앙 고정접점이 배치된 절연기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푸시 버튼 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평면도, 도 2 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수용 홀 부분의 요부 설명도, 도 3 은 가동접점의 평면도, 도 4 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긴 방향의 요부 단면도, 도 6 은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짧은 방향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있어서, 제 1 시트 (1) 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필름재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으로는 상하로 관통하는 수용 홀 (1a) 이 종횡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 홀 (1a) 은 광폭부 (도 2 에 L1 로 나타냄) 와 협폭부 (도 2 에 L2 로 나타냄) 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긴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수용 홀 (1a) 의 광폭부 및 협폭부끼리가 상호 대향한 상태에서 종횡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트 (1) 에는 인접하는 상기 수용 홀 (1a) 끼리의 내벽 사이에 공기 유로용 연결 홈 (1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홈 (1b) 은 상기 수용 홀 (1a) 과 동일하게 상하로 관통되어 있으며, 긴 방향에 인접하는 수용 홀 (1a) 의 광폭부끼리가 대향하는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가동접점 (3) 이 상기 수용 홀 (1a) 에 수용된 경우에, 이 가동접점 (3) 의 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트 (1) 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에는 가동접점 (3) 이 수용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 (3) 은 도전성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반전 가능한 팽창돌출부를 갖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접점 (3) 은 후술하는 고정접점 (7) 의 주변 고정접점 (7b) 상에 탑재되는 하단 가장자리부 (3a) 와, 이 하단 가장자리부 (3a) 로부터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스커트부 (3b) 와, 이 스커트부 (3b) 에 연속하는 반전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 (3b) 는 가동접점 (3) 의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면부가 평행하게 절결됨으로써, 양측면부에 개구부 (3d) 를 갖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 가장자리부 (3a) 는 상기 팽창돌출부 (3c)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 각각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외주를 구성하는 원 중심과, 상기 스커트부 (3b) 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정상부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외주원의 크기는 스커트부 (3b) 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중심에 의해서 형성되는 외주원의 크기에 비하여 큰 원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 (3b)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원호의 양단부는 스커트부 (3b) 가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의 궤적에 대하여, 큰 원호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양단부는 바깥쪽으로 팽창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양단부가 후술하는 고정접점 (7) 의 주변 고정접점 (7b) 상에 탑재되어 접속되는 맞닿음부 (3e) 로 되어 있다.
또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이면에는, 돔 중앙을 피하여 복수의 돌기부가 가상 고리 형상선 상에 독립하여 형성되고 있고, 접점부 (3f) 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접점부 (3f) 에 의해 둘러싸인 돔 정상부가 휘도록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가령 어느 한 접점부에 이물질이 끼여도 다른 접점부가 중앙 고정접점 (7a) 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가동접점 (3) 은 고정접점 (7) 상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맞닿음부 (3e) 가 주변 고정접점 (7b) 에 당접되고, 스커트부 (3b) 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가 중앙 고정접점 (7a) 과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되어 배치되게 된다. 이 때, 가동접점 (3) 은 스커트부 (3b) 의 양측면부가 평행하게 절결되어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스커트부 (3b) 및 이것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는 긴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외주원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 (3b)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원호의 양단부에는 바깥쪽으로 팽창된 맞닿음부 (3e)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접점 (3) 을, 양측면부에 개구부 (3d) 를 형성한 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스커트부 (3b) 및 연접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를 큰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가동접점 (3) 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접점부 (3f) 를 형성하면서, 원하는 스트로크도 확보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가동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 (3) 을 수용하는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을 가동접점 (3) 의 외형에 맞추어 긴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수용 홀 (1a) 을 협폭부 방향으로 배열하는 배열 피치를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 (3) 의 개구부 (3d) 를 평행하게 절결한 형상으로 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대신에 호 형상으로 절결해도 되며, 이 경우에도 개구부 (3d) 측을 폭이 좁은 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홀 (1a) 의 내벽과 상기 가동접점 (3) 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유지 형성되어 있다. 이 틈은 상기 수용 홀 (1a) 의 광폭부의 내벽과 상기 가동접점 (3) 의 광폭부의 외주와의 틈 (도 2 에 S1 로 나타냄) 에 비하여, 상기 수용 홀 (1a) 의 협폭부의 내벽과 상기 가동접점 (3) 의 협폭부의 외주와의 틈 (도 2 에 S2 로 나타냄) 쪽이 크게 (S1〈 S2)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부 (3b)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를, 스커트부 (3b) 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중심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보다 큰 원호로 형성하고,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원호의 양단부에 팽창되어 형성된 맞닿음부 (3e) 를 주변 고정접점 (7b) 상에 탑재하도록 하였으므로, 이 원호의 양단부의 맞닿음부 (3e) 에 의해 스커트부 (3b)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를 주변 고정접점 면 (7b) 의 상면으로부터 부상시킬 수 있고, 이만큼 스트로크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가동접점 (3) 의 설치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시트 (4) 는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필름재로 상기 제 1 시트 (1) 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시트 (4) 에는 이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부 (4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점착부 (4a) 에서 상기 가동접점 (3) 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상면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의 상면을 가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시트 (1) 의 상면측에 점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트 (1) 의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부 (2) 측 (하면측) 에는,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필름재로 형성된 박리시트 (5) 가 점착되어 있다. 이 박리시트 (5) 는 상기 가동접점 (3) 이 후술하는 절연기판 (6) 의 고정접점 (7) 상에 탑재되기까지의 반송이나 조립 사이에, 상기 가동접점 (3) 을 보호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 부착 시트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접점 (3) 을 인접하는 개구부 (3d) 끼리를 대향시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에 복수개 수용함으로써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피치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시트 (1) 의 하면측이 상기 보호용 박리시트 (5) 로 덮여 있으므로, 반송이나 준비시 취급 및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리시트 (5) 를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반송, 조립시의 캐리어 테이프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박리시트 (5) 의 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부에는 자동기의 가이드핀용 홀 (5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공정의 형편상, 상기 제 1 시트 (1) 에 관통 홀로 이루어지는 수용 홀 (1a) 및 연결 홈 (1b) 을 형성할 때, 상기 박리시트 (5) 에 제 1 시트 (1) 를 점착한 후, 동시에 수용 홀 (1a) 및 연결 홈 (1b) 을 펀칭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렇게 한 경우에는 이 박리시트 (5) 에도 관통 홀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수용 홀 (1a) 에 상기 가동접점 (3) 을 수용한 후, 박리시트 (5) 의 하면측에 이들 관통 홀을 덮는 보호시트 (도시하지 않음) 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 보호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 홀 (1a) 이나 연결 홈 (1b) 으로 이루어지는 관통 홀의 상하를 시트로 가릴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보호시트는 상기 박리시트 (5) 와 같이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절연기판 (6) 으로의 조립시에 상기 제 1 시트 (1) 로부터 박리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시트 (4) 는 상기 제 1 시트 (1) 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1 장 시트로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그 대신 복수개의 작은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시트 (도시하지 않음) 로 각각 형성되고, 이 개별 시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홀 (1a) 에 수용된 가동접점 (3) 의 상면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홀 (1a) 의 상면을 가린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제 1 시트 (1) 의 상면측에 점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을 광폭부와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접점 (3) 의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를 상기 수용 홀 (1a) 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상기 가동접점 (3) 을 수용 홀 (1a) 에 수용하도록 되고 있고,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를 갖는 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 (3) 을, 상기 제 1 시트 (1) 의 수용 홀 (1a) 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수용하였으므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가 반전할 때의 조작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양호한 필링을 얻을 수 있다. 즉, 가동접점 (3) 을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의 간격과 동일한 직경의 돔 형상 가동접점으로 한 것에 비하여, 팽창돌출부의 높이를 높일 수 있고, 그만큼 조작 스트로크를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 은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대(基臺)가 되는 절연기판 (6) 은 페놀 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형성되고, 이 절연기판 (6) 의 상면에는 카본 또는 은박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인쇄된 고정접점 (7)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접점 (7) 은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고정접점 (7a) 과, 이 중앙 고정접점 (7a) 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향 배치된 주변 고정접점 (7b)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변 고정접점 (7b) 은 한 쌍을 대향 배치해도 되며, 빗살 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연결하여 배치해도 된다. 또한, 주변 고정접점 (7b) 은 한 쌍을 대향시키지 않고 한 곳에만 배치해도 된다.
상기 절연기판 (6) 상에 전술한 가동접점 부착 시트가 탑재될 때는, 상기 박리시트 (5) 가 상기 제 1 시트 (1) 의 점착부 (2) 측 (하면측) 으로부터 박리되고, 제 1 시트 (1) 의 점착부 (2) 에 의해서 제 1 시트 (1) 가 절연기판 (6) 에 점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동접점 (3) 의 맞닿음부 (3e) 가 상기 주변 고정접점 (7b) 에 당접되는 동시에,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이면의 복수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접점부 (3f) 가 상기 중앙 고정접점 (7a) 과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되어 배치되게 된다.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양 고정접점 사이 (7a, 7b) 가 도통되어 있지 않고 스위치는 오프상태로 되어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 등의 조작부에서 제 2 시트 (4) 의 상면측이 가압되면, 가동접점 (3) 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반전되게 되고, 이 반전에 의하여 팽창돌출부 (3c) 의 하면측 접점부 (3f) 가 대향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 (7a) 과 접촉하고, 가동접점 (3) 을 사이에 두고 중앙 고정접점 (7a) 과 주변 고정접점 (7b) 이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온 상태로 되어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조작부는 접점부 (3f) 로 둘러싸인 돔부를 휘게 하면서 가압 가능한 가압부를 형성한 것이다. 조작부는 러버 시트에 가압 돌기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다소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러버 시트의 가압돌기가 변형되면서 상기 돔부를 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접점부 (3f) 를 확실히 중앙 고정접점 (7a) 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용 홀 (1a) 내에 체재하는 공기는 가동접점 (3) 의 반전에 수반하여 상기 연결 홈 (1b) 을 통해 연결 인접된 다른 수용 홀 (1a) 로 유출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동접점 (3) 이 반전할 때의 동작을 저해할 우려가 없고, 양호한 반전동작이 얻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반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공기가 인접하는 수용 홀 (1a) 에 유입될 뿐이므로, 제 1 및 제 2 시트 (1, 4) 외부로부터 접점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반전동작을 얻는 수단으로는, 연결 홈 (1b) 대신 제 2 시트 (4) 또는 절연기판 (6) 에 수용 홀 (1a) 과 연통하는 공기 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수용 홀 (1a) 의 내벽과 가동접점 (3) 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틈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틈은 상기 수용 홀 (1a) 의 광폭부의 내벽과 가동접점 (3) 의 외주와의 틈 (S1) 에 대하여, 수용 홀 (1a) 의 협폭부의 내벽과 가동접점 (3) 의 외주와의 틈 (S2) 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 홀 (1a) 의 협폭부의 내벽과 가동접점 (3) 의 외주와의 틈 (S2) 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 2 시트 (4) 의 제 1 시트 (1) 와의 점착부 (4a) 를 가동접점 (3) 의 폭이 좁은 방향의 외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시트 (4) 의 점착에 의한 가동접점 (3) 의 구속을 완화시켜, 보다 확실한 반전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트 (4) 의 가압이 해제되면, 가동접점 (3) 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방향으로 반전하고, 이 반전에 의하여 팽창돌출부 (3c) 의 하면측의 접점부가 중앙 고정접점 (7a) 으로부터 이간하여, 중앙 고정접점 (7a) 과 주변 고정접점 (7b) 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오프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수용 홀 (1a)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홈 (1b) 의 연결방향을 수용 홀 (1a) 에 수용된 가동접점 (3) 의 긴 방향을 따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동접점 (3) 의 반전시에 가동접점 (3) 의 협폭부 근방의 제 2 시트 (4) 의 점착부 (4a) 가 절연기판 (6) 에 부착되지 않고, 확실하게 복귀될 수 있는 동시에, 점착부 (4a) 가 접점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접점 (3) 이 수용된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가동접점 (3) 의 하단 가장자리부 (3a) 의 맞닿음부 (3e) 와 접촉하는 주변 고정접점 (7b) 과, 가동접점 (3) 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3c) 의 하면측과 대향하는 중앙 고정접점 (7a) 이 배치된 절연기판 (6) 상에 탑재됨으로써, 시트 타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이 간단히 얻어지고, 상기 구성으로, 신뢰성을 높이고, 원하는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가지며, 팽창돌출부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면부가 절결되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을 수용 가능한 수용 홀을 갖는 제 1 시트와, 이면에 점착부를 갖고 이 점착부에서 가동접점의 일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 1 시트의 수용 홀의 상면을 덮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제 1 시트의 수용 홀을 광폭부와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가동접점의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를 수용 홀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가동접점을 수용 홀에 수용한 것으로부터,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긴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을 제 1 시트의 수용 홀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수용하였으므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가 반전할 때의 조작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양호한 필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 홀의 내벽과 가동접점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틈을 형성하고, 이 틈을 수용 홀의 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에 대하여, 수용 홀의 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 쪽을 크게 형성하였으므로, 수용 홀의 협폭부의 내벽과 가동접점이 외주와의 틈이 크기 때문에, 제 2 시트의 제 1 시트와의 점착부를 가동접점의 폭이 좁은 방향의 외주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제 2 시트의 점착에 의한 가동접점의 구속을 완화시켜, 더욱 확실한 반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시트에 상기 수용 홀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들 수용 홀에 가동접점을 복수개 수용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수용 홀의 협폭부끼리 및 인접하는 가동접점의 협폭부끼리를 상호 대향시켜 복수조 배열하였으므로, 다수의 가동접점을 제 1 시트에 일체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열의 키 피치를 좁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시트의 이면에 점착부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에 박리시트를 박리 가능하게 피복하였으므로,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절연기판으로의 조립 및 취급이 용이해지며, 점착부로의 먼지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트에는 인접하는 수용 홀끼리의 내벽 사이에 공기 유로용 연결 홈을 형성하고, 수용 홀 및 연결 홈의 상면측을 제 2 시트로 덮는 동시에, 하면측에는 수용 홀 및 연결 홈의 하면측을 덮는 보호시트를 형성하였으므로, 가동접점이 반전할 때,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 내에 체류하는 공기가 연결 홈을 통하여 인접하는 수용 홀로 이동하므로, 수용 홀이나 연결 홈의 상하를 시트로 막을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홈의 연결방향을 수용 홀에 수용된 가동접점의 긴 방향을 따라 형성하였으므로, 가동접점의 반전시에 가동접점의 협폭부 근방의 제 2 시트의 점착부가 절연기판에 부착되지 않고, 확실하게 복귀되는 동시에, 점착재가 접점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은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스커트부와,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반전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구비하고, 스커트부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중심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호보다 큰 원호로 형성하고, 이 하단 가장자리부의 원호의 양단부를 절연기판의 고정접점 상에 탑재하도록 하였으므로, 원호의 양단부에 의하여 스커트부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고정접점 면으로부터 부상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로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의 설치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7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동접점 부착 시트와, 가동접점 부착 시트에 수용된 가동접점의 하단 가장자리부가 탑재되는 주변 고정접점과, 주변 고정접점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가동접점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정상부 하면이 접촉이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과, 주변 고정접점 및 중앙 고정접점이 배치된 절연기판을 구비하였으므로, 신뢰성을 높이고, 원하는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의 수용 홀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긴 방향의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짧은 방향의 요부 단면도,
도 7 은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도 8 은 종래의 가동접점 부착 시트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시트 1a: 수용 홀
1b: 연결 홈 2: 점착부
3: 가동접점 3a: 하단 가장자리부
3b: 스커트부 3c: 팽창돌출부
3d: 개구부 3e: 맞닿음부
3f: 접점부 4: 제 2 시트
4a: 점착부 5: 박리시트
5a: 가이드핀용 홀 6: 절연기판
7: 고정접점 7a: 중앙 고정접점
7b: 주변 고정접점

Claims (8)

  1.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가지며, 이 팽창돌출부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면부가 절결되어 긴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을 수용 가능한 수용 홀을 갖는 제 1 시트와, 이면에 점착부를 갖고 이 점착부에서 상기 가동접점의 일부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시트의 수용 홀의 상면을 덮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트의 수용 홀을 광폭부와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접점의 폭이 좁게 형성된 양측면부를,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에 대응시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수용 홀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홀의 내벽과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틈을 형성하고, 이 틈을 상기 수용 홀의 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에 대하여,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의 내벽과 대향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와의 틈 쪽을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에, 상기 수용 홀을 복수개 형성하고, 이들 수용 홀에 상기 가동접점을 복수개 수용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상기 수용 홀의 협폭부끼리, 및 인접하는 상기 가동접점의 협폭부끼리를 상호 대향시켜 복수조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의 이면에 점착부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에 박리시트를 박리 가능하게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에는 인접하는 상기 수용 홀끼리의 내벽 사이에 공기 유로용 연결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홀 및 상기 연결 홈의 상면측을 상기 제 2 시트로 덮는 동시에, 하면측에는 상기 수용 홀 및 상기 연결 홈의 하면측을 덮는 보호시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홈의 연결방향을, 상기 수용 홀에 수용된 상기 가동접점의 긴 방향을 따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스커트부와, 이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반전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스커트부에 연속하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중심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호보다 큰 원호로 형성하고, 이 하단 가장자리부의 원호의 양단부를 절연기판의 고정접점 상에 탑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 부착 시트.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접점 부착 시트와, 이 가동접점 부착 시트에 수용된 상기 가동접점의 하단 가장자리부가 탑재되는 주변 고정접점과, 이 주변 고정접점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의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의 정상부 하면이 접촉이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과, 상기 주변 고정접점 및 상기 중앙 고정접점이 배치된 절연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0040101159A 2003-12-18 2004-12-03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676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1489A JP4279129B2 (ja) 2003-12-18 2003-12-18 可動接点付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
JPJP-P-2003-00421489 2003-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77A true KR20050062377A (ko) 2005-06-23
KR100676665B1 KR100676665B1 (ko) 2007-01-31

Family

ID=3478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159A KR100676665B1 (ko) 2003-12-18 2004-12-03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79129B2 (ko)
KR (1) KR100676665B1 (ko)
CN (1) CN100349237C (ko)
TW (1) TWI242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4671B2 (ja) * 2007-08-07 2012-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可動接点
JP2009245751A (ja) * 2008-03-31 2009-10-22 Panasonic Corp 可動接点
CN102347397B (zh) * 2011-07-14 2013-04-03 宁波尤利卡太阳能科技发展有限公司 解决网布堵塞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452A (ja) * 1999-04-19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動接点体の製造方法、この製造方法を用いて製造した可動接点体およびこの可動接点体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
JP2003208832A (ja) * 2002-01-10 2003-07-2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3257282A (ja) * 2002-03-04 2003-09-12 Alps Electric Co Ltd 可動接点付き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9995A (zh) 2005-06-22
TWI242224B (en) 2005-10-21
JP2005183140A (ja) 2005-07-07
JP4279129B2 (ja) 2009-06-17
KR100676665B1 (ko) 2007-01-31
TW200523962A (en) 2005-07-16
CN100349237C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5687B1 (en) Sheet with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KR100456825B1 (ko) 패널스위치용가동접점조립체
US3973091A (en) Pushbutton keyboard assembly having pole and inner contacts simultaneously engaged by a bridging contact
US4068369A (en) Method of making pushbutton keyboard system
KR100492097B1 (ko) 클릭감이 양호한 돔 형상 접점판 및 접점판이 장착된 시트
KR100451471B1 (ko) 가동접점부착 시트 및 시트 스위치
EP0500330A2 (en) Flat keyboard switch
EP1065688A2 (en) Sheet with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KR20100130606A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KR100676665B1 (ko) 가동접점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501061B1 (ko) 접점판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KR100846335B1 (ko) 클릭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100380302B1 (ko) 가동접점부착시트 및 이 가동접점부착시트를 사용한스위치장치
KR100713599B1 (ko)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
US6495780B1 (en) Waterproof sealed switch with a single cont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5353412A (ja)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使用したスイッチ装置
JPH05234460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EP0055053B1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838543B1 (ko) 스위치 장치
US20220165516A1 (en) Push switch
JP2005129301A (ja) 押釦スイッチ
JP2010129502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100384252B1 (ko) 가동접점 및 이 가동접점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JP2010153159A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2006127799A (ja) 板ばね付き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