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499A -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 Google Patents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499A
KR20050056499A KR1020030089526A KR20030089526A KR20050056499A KR 20050056499 A KR20050056499 A KR 20050056499A KR 1020030089526 A KR1020030089526 A KR 1020030089526A KR 20030089526 A KR20030089526 A KR 20030089526A KR 20050056499 A KR20050056499 A KR 20050056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ulator
fixing
shift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016B1 (ko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0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고정 구조체 각 구성요소들이 록킹 결합에 의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변속을 위한 시프트/셀렉트 케이블이 중앙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인슐레이터와, 그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으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순구조로 변속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구조체의 각 구성요소들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장착 및 탈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배제하여 내구성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케이블과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변속 케이블의 비틀림 응력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MOUNTING STRUCTURE OF SHIFT/SELECT CABLE}
본 발명은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구조로 장착과 탈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작업시 케이블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폭발력을 적절하게 변환시켜 차속에 적합한 구동력을 얻게 되는 바, 상기한 구동력의 변환은 변속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변속기는 수동, 자동으로 구분되며, 수동의 경우 기어 변속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간헐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클러치 어셈블리가 변속기에 연결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다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된 변속기에서 운전자가 판단하여 적절한 기어비를 선택할 때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클러치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클러치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속 조작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와, 그 변속 레버 어셈블리(50)와 시프트, 셀렉트 케이블(51, 52)로 연결됨과 아울러 변속 케이스(53)에 설치된 시프트, 셀렉트 레버(54, 55)와, 상기한 시프트, 셀렉트 레버(54, 55)에 연결된 콘트롤 아암(미도시)과, 상기한 콘트롤 아암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슬리이브(미도시)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시프트 포크(56) 및 시프트 레일(5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클러치 페달(미도시)을 밟으면 엔진과 변속기가 이격되고, 이때 변속 레버 어셈블리(50)를 동작시키면 케이블(51, 52)을 통해 시프트, 셀렉트 레버(54, 55)가 동작됨과 아울러 이와 연결된 콘트롤 아암이 시프트 포크(56)를 이동시켜 변속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시프트, 셀렉트 케이블은 변속 레버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는 통상적으로 변속 케이블의 외주면을 상측이 개구된 케이블 브라켓에 끼움 결합한 후에, 그 케이블 브라켓의 좌,우 이동 및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이 상측에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그 고정핀을 케이블 브라켓에 고정시킬 때 망치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력으로 압입시켜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망치등의 도구에 의한 타격시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케이블에 전달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전선이나 와이어에 부딪혀 다른 부품들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엔진룸의 내부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탈장착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의 고정작업시 충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변속 케이블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그 케이블이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 중간부 둘레에 다른 부위보다 외경이 작은 소경부가 형성되는 각각의 인슐레이터와,
상기 각 인슐레이터의 소경부 부위가 끼움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소경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이 상기 인슐레이터의 소경부 부위와 록킹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함과 아울러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이 변속(시프트, 셀렉트) 케이블(51,52)이 중앙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인슐레이터(100)와, 그 인슐레이터(10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212)를 갖는 끼움공(210)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0)으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슐레이터(100)는 변속 케이블(51,52)이 관통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115)이 형성되고, 외주 중간 부위에 다른 부위보다 외경이 작은 타원형의 소경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인슐레이터(100)의 나사산(115)은 변속 케이블(51,52)이 결합되는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그 나사산(115)은 인슐레이터(100)가 고정브라켓(200)에 회전식으로 결합될 때 90°정도의 비틀림 응력이 발생할 경우, 변속 케이블(51,52)이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약간의 유격을 가지며, 변속 케이블(51,52)의 외주면과 인슐레이터(100)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축소됨에 따라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복귀를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 기능을 갖는다.
그 인슐레이터(100)는 방진 및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고무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브라켓(200)은 그 개구부(212)가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가 통과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끼움공(210)의 내주면이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와 록킹 결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고정브라켓(200)의 끼움공(210) 내주면에서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가 회전되어 록킹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된 구조로 된 것으로서, 끼움공(210)의 내주면 형상이 좌,우 수평방향의 내경과 수직 방향의 내경이 각각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고정브라켓(200)은 양 인슐레이터(100)가 각각 결합되도록 양측에 각각의 끼움공(210)이 형성되고,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중간 부위가 절곡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는, 그 조립공정이 변속 케이블(51,52)의 외주면이 인슐레이터(100)의 중앙에 관통되도록 끼움 결합시킨 후에, 그 케이블(51,52)이 결합된 인슐레이터(100)의 외주면을 고정브라켓(210)의 개구부(212)측으로 약간의 힘을 가해 밀어서 결합시킨다.
이때,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는 개구부(212)를 통해 끼움공(210)의 내주면측으로 진입된 후에 끼움공(210)의 내주면에서 90°정도로 회전시키면, 타원형의 소경부(110)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끼움공(210) 내주면과 록킹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변속 케이블(51,52)이 관통 결합되는 인슐레이터(100)의 내주면에 나사산(11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방향의 유격은 생략되어 이동이 되지 않는 반면에, 케이블의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유격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접촉되는 면적이 축소되어 마찰저항이 저감됨에 따라 회전이 용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탈거작업시에는,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를 다시 90°정도 회전시키면, 타원형의 소경부(110)가 끼움공(210)의 내주면에서 개구부(212)측으로 인출이 가능한 구조가 되므로, 인슐레이터(100)를 상측으로 당겨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 형상과 고정브라켓의 끼움공(210)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인슐레이터(100)의 회전에 따라 록킹 결합이 해제 및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인 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가지는 정신 및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변속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고정 구조체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순구조로 변속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구조체의 각 구성요소들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장착 및 탈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배제하여 내구성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슐레이터는 케이블과 결합되는 부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인슐레이터의 결합시 케이블의 회전방향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속 케이블이 원래의 위치대로 복원되므로 비틀림 응력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인슐레이터가 고정브라켓의 끼움공에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인슐레이터와 고정브라켓이 록킹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변속 케이블이 채용된 변속 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52 : 변속 케이블 100 : 인슐레이터
110 : 소경부 115 : 나사산
200 : 고정브라켓 210 : 끼움공
212 : 개구부

Claims (2)

  1. 중앙에 변속 케이블(51,52)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그 케이블이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115)이 형성되며 외주 중간부 둘레에 다른 부위보다 외경이 작은 소경부(110)가 형성되는 각각의 인슐레이터(100)와,
    상기 각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 부위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부(212)를 갖는 끼움공(210)이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0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100)는 상기 소경부(110)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10)의 내주면이 상기 인슐레이터(100)의 소경부(110) 부위와 록킹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KR10-2003-0089526A 2003-12-10 2003-12-10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KR10053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26A KR100535016B1 (ko) 2003-12-10 2003-12-10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26A KR100535016B1 (ko) 2003-12-10 2003-12-10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499A true KR20050056499A (ko) 2005-06-16
KR100535016B1 KR100535016B1 (ko) 2005-12-07

Family

ID=3725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526A KR100535016B1 (ko) 2003-12-10 2003-12-10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674A (ko) 2014-10-28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674A (ko) 2014-10-28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016B1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5129B (en) Transmission
CA2584642A1 (en) Hybrid motor vehicle with sequential gearshift lever
AU2003268823A1 (en) A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KR100535016B1 (ko)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JP6655480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レバーアセンブリー
KR100521195B1 (ko) 셀렉트 레버 결합구조
KR100251166B1 (ko) 변속기의 시프트 포오크 연결구조
KR100527763B1 (ko) 변속 조작기구의 댐핑장치
KR100435285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
KR20050052776A (ko) 변속 조작기구의 댐핑장치
KR200166944Y1 (ko) 변속기 케이스와 클러치 하우징 조립 구조
KR100552761B1 (ko) 변속 조작기구의 댐핑장치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200170194Y1 (ko) 플로워형 변속레버의 와이어 고정 구조
KR101551118B1 (ko) 차량용 변속 레버의 셋보드
KR100917342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KR100655413B1 (ko) 직접 조작식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구조
KR100580500B1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0183582B1 (ko) 트랜스미션 콘트롤 시스템의 시프트 조작력 향상 구조
KR100901336B1 (ko) 변속레버의 유격저감 장치
KR100337811B1 (ko) 수동변속기의 후미경고등점등용 스위치의 설치구조
KR20060030326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060092338A (ko) 트랜스밋션 기어 시프트 케이블의 역전 링키지 구조
KR20060071808A (ko) 차량용 변속기케이블의 구조
KR19980014015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후진 변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