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492A -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492A
KR20050053492A KR1020040096869A KR20040096869A KR20050053492A KR 20050053492 A KR20050053492 A KR 20050053492A KR 1020040096869 A KR1020040096869 A KR 1020040096869A KR 20040096869 A KR20040096869 A KR 20040096869A KR 20050053492 A KR20050053492 A KR 2005005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link
basket
support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711B1 (ko
Inventor
유이치 아라이
가즈나오 오구라
도시로 요시에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4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12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4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62050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바구니 지지 기구로 이루어진다. 유모차 본체는 전각, 후각, 핸들, 시트부 지지부를 갖는다. 바구니 지지 기구는 유모차 본체의 후각의 하방에 설치된 바구니 지지 부재와, 이 바구니 지지 부재와 유모차 본체의 전방 상방 사이에 설치된 유연 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STROLLER WITH RELEASABLE STORAGE BASKET}
본 발명은 유아를 태운 채, 쇼핑용 바구니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로서, 좌우 한 쌍의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핸들을 갖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에 유아를 태우고 슈퍼마켓 등에 갔을 경우, 유아를 태운 유모차를 한 손으로 조작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계산 전의 상품을 수납하는 쇼핑용 바구니를 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쇼핑 양이 많을 경우에, 쇼핑용 바구니를 한손으로 드는 것은 불편하고, 유모차의 조작도 불안정하다. 또한, 선반에서 상품을 집을 때, 유모차에서 손을 떼지 않으면 안 되므로 유아에게도 위험하다.
이런 점에서, 슈퍼마켓에는 보통 유아를 태울 수 있는 쇼핑 카트(shopping cart)가 준비되어 있고, 또한 다양한 쇼핑 카트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2571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슈퍼마켓 내에서 쇼핑 카트를 이용하려면, 그곳까지 유아를 태우고 가서 유모차에서 쇼핑 카트에 유아를 바꿔 태우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유아를 쇼핑 카트에 태우고 난 뒤, 그곳까지 유아를 태우고 온 유모차의 보관도 문제가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25717호 공보에 기재된 쇼핑 카트는,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유모차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카트의 후방에 쇼핑용 바구니를 탑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쇼핑 카트는 슈퍼마켓 내를 이동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며, 안전성이나 콤팩트성의 관점에서 당연히 일반 유모차로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로부터 한 손으로 접을 수 있고, 또한 접은 상태에서 높이 방향 치수를 콤팩트하게 짧게 할 수 있는 유모차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아를 태우는 동시에, 쇼핑용 바구니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접을 수 있는 동시에, 접은 상태에서 높이 방향치수를 콤팩트하게 짧게 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전각과 후각, 핸들, 시트부 지지부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후각의 하방에 설치된 바구니 지지 부재와, 이 바구니 지지 부재와 유모차 본체의 전방 상방 사이에 설치된 유연(柔軟)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구니 지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바구니 지지 부재는 후각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바구니 지지 부재는 각(各) 후각으로부터 대향해서 연장되고, 또한 바구니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바구니 지지 부재는 한 쌍의 후각의 하단(下端) 사이에 설치된 후륜(後輪)의 연결축 또는 연결축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바구니 지지 부재는 바구니에 결합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연 부재는 바구니 지지 부재와 유모차 본체로부터 벗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연 부재는 바구니 지지 부재에 연결하는 훅을 갖고, 바구니 지지 부재는 유연 부재의 훅에 걸어 맞추는 고정 홀(hol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연 부재의 일단(一端)은 유모차 본체의 시트부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연 부재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연 부재의 형상은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후각 사이에서 유모차 전방(前方)을 향해서 쇼핑용 바구니를 삽입하면, 바구니의 후방 측은 바구니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바구니의 전방측단은 유연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유아를 태운 채, 유모차의 시트부 지지부의 하방에 바구니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각과 전각 상부에 고정된 케이싱과, 케이싱에 회전하도록 연결된 후각과, 케이싱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고, 또한 케이싱을 관통해서 설치된 핸들과, 케이싱보다 하방에 있어서, 핸들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후각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제 2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전각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구비하고, 핸들을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하여 전개(展開) 및 접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유모차의 전개시에, 제 2 링크와 제 3 링크는 직선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제 3 링크는 시트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제 2 링크의 제 3 링크측 부분이 시트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제 2 링크에 등받이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제 2 링크는 후각의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U자 형상 부분을 갖고, 이 U자 형상 부분에 하물을 수납하기 위한 바구니를 매어 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은 후각의 상단(上端)에 가드재(guard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의 고정 핀 해제 장치를 조작하면서 핸들을 하방으로 눌러 넣음으로써, 유모차를 전개한 상태에서 접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핸들은 케이싱에 대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유모차를 접은 상태가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도 콤팩트해진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는 유모차(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유모차(1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바구니 지지 기구(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0a)와, 유모차 본체(10a)에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바구니 지지 기구(70)와, 유모차 본체(10a)에 결합하는 부속품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구니(95)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납용 바구니이며, 예를 들면 슈퍼마켓 등에 마련되어 있는 쇼핑용 바구니이다.
우선, 유모차 본체(10a)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모차 본체(10a)는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전각(11) 상부에 고정된 한 쌍의 케이싱(17)과, 한 쌍의 케이싱(17)을 관통하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핸들(21)과, 한 쌍의 케이싱(17)에 요동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후각(31)과, 핸들(21)의 하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 링크(41)와, 한 쌍의 제 1 링크(41)와 한 쌍의 후각(31)에 연결된 한 쌍의 제 2 링크(46)와, 한 쌍의 제 2 링크(46)와 한 쌍의 전각(11)에 연결된 한 쌍의 제 3 링크(56)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전각(11)은 하단에 각각 전륜(前輪)(12)을 갖고, 상단(上端)에 각각 케이싱(17)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전각(11)은 하방에서 발걸이(footrest)(1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또 상방에서 연결축(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핸들(21)은 케이싱(17)에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유모차(10)를 전개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유모차(10)를 접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케이싱(17)에 대하여 전각(11)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21)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1)의 하방으로 고정 핀(24a)이 설치되고, 핸들(21)의 대략 중앙에 고정 핀(24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핀(24a, 24b)은 핸들(21) 내부에 설치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핸들(21)의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한편 이들 고정 핀(24a, 24b)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 등의 기구에 의해, 핸들(21) 상부의 수평부에 설치된 고정 핀 해제 장치(2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함으로써, 고정 핀(24a, 24b)은 핸들(21)에 내장된 스프링에 저항해서 핸들(21) 내로 끌어 들여진다.
이들 고정 핀(24a, 24b)은 케이싱(17) 내부에 설치된 홀(18)과 결합하게 되어 있다. 즉, 핸들(21)의 고정 핀(24a)과 케이싱(17)의 홀(18)이 결합하고, 핸들(21)을 케이싱(17)에 대하여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에 고정한다. 한편 핸들(21)의 고정 핀(24b)과 케이싱(17)의 홀(18)이 결합하고, 핸들(21)을 케이싱(17)에 대하여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핸들(21)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모차(10)를 조작하기 쉽도록 상방이 약간 후방쪽으로 접혀 구부려져 있다. 핸들(21) 상부의 수평부에는, 핸들(21)을 잡기 쉽도록 고무 등으로 된 그립(23)이 감겨 있다. 케이싱(17)보다 하방이 되는 핸들(21) 하단에는, 연결축(22)이 설치되어, 이 연결축(22)에 의해 핸들(21)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다. 이 연결축(22)은 핸들(21)을 관통하고, 핸들(21)에 인접해서 설치된 제 1 링크(4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에 의하여 후각(31)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쌍의 후각(31)은, 각각 지점(34)을 중심으로 해서 케이싱(1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케이싱(17)의 유모차(10) 폭방향으로 외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후각(31)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브래킷(31a)과 한 쌍의 브래킷(31a) 사이를 연결 하는 연결축(3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축(33)은 한 쌍의 브래킷(31a)을 관통하고, 브래킷(31a)에 인접해서 배치된 후륜(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후각(31)은 대략 중앙에서 연결축(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후각(31)은 케이싱(17)보다 상방에서 전방으로 접혀 구부려지고, 그 끝 상단에는 고무 등을 둘러 감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드재(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드재(36)에 의해 한 쌍의 후각(31)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드재(36)는 후각(31)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하나의 파이프를 굽혀 가공함으로써 가드재(36)와 후각(31)을 일체로 하여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전각(11), 핸들(21) 및 후각(3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파이프를 굽혀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케이싱(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각(11)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팔걸이로서 기능한다. 또한, 케이싱(17)은 전각(11)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19)을 갖고 있다. 핸들(21)은 이 관통 홀(19)을 관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7)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19) 내부에는 핸들(21)의 고정 핀(24a, 24b)과 결합하는 홀(18)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7)과 후각(31)은 지점(34)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케이싱(17)의 형상은, 전각(11)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21)을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고, 또한 후각(31)을 요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다음으로 제 1 링크(41)와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축(22)을 통하여, 핸들(21) 하단에는 유모차(10)의 폭방향 외측으로 제 1 링크(41)의 일단(41a)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링크(41)는 연결축(2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핸들(21)에 대하여 요동할 수 있다. 제 1 링크(41)의 타단(41b)은, 후각(31)에 연결된 제 2 링크(46)에 설치된 브래킷(46a)을 통하여, 지점(42)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제 2 링크(46)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41)는 후각(31)에 대하여 유모차(10)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제 1 링크(41)보다 더 내측에 제 2 링크(46)는 배치되어 있다. 제 1 링크(4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 봉(棒)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플라스틱제 커버(43)가 씌워져 있다.
제 2 링크의 브래킷(46a)은, 제 2 링크(46)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링크(46)는,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 브래킷(46a)보다 전방측에 두어, 한 쌍의 후각(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35)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축(35)을 통하여, 제 2 링크(46)는 연결축(35)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후각(3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 링크(46)는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전방측 단부에 두어 연결 부재(51)를 통하여 한 쌍의 제 3 링크(56)의 후방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링크(46)는 브래킷(46a)보다 후방 측에 U자 형상 부분(46b)을 갖고 있다. 제 2 링크(46)는, 이 U자 형상 부분(46b)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하나의 알루미늄제 파이프를 구부려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 쌍의 제 3 링크(56)는 대략 중앙에, 한 쌍의 전각(11)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축(14)을 통하여, 제 3 링크(56)는 연결축(1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전각(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5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파이프로 되어 있다.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1)는, 중심에 배치된 회전부(51a)와, 회전부(51a)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51b)를 갖는다. 연결 부재(51)는 전체가,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다. 연결 부재(51)의 한 쌍의 연결부(51b)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연결부(51b)에 제 2 링크(46)의 단부와 제 3 링크(56)의 단부가 삽입된다. 또한, 연결부(51b)의 옆쪽에서 나사를 잠글 수 있게 하여, 제 2 링크(46)의 단부와 제 3 링크(56)의 단부를 연결 부재(51)의 연결부(51b)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부재(51)의 한 쌍의 연결부(51b)는 회전부(51a)의 지점(5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게 되어 있고, 한 쌍의 연결부(51b)의 회전 각도는 180도 이내의 범위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는 회전부(51a)를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고, 한 쌍의 연결부(51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51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는 직선 위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링크(46), 제 3 링크(56) 및 연결 부재(51)는 전각(11) 및 핸들(21)보다 유모차(10)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0a)에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바구니 지지 기구(7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기구(70)는, 바구니(95)를 지지하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이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유모차 본체(10a)의 전방 상방 사이에 설치된 유연 부재(86)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부재(71)는 후각(31) 하단의 브래킷(31a) 사이에 설치되고, 후각(31)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바구니 지지 부재(71)는 하방이 개구하는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갖고, 개구 내에는 후륜(32)의 연결축(3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구니 지지 부재(7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브래킷(31a)과 일체로 성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에는 후술하는 유연 부재(86)의 훅(87)에 결합하는 가늘고 긴 고정 홀(7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의 양쪽 가장자리에, 한 쌍의 볼록부(7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73)는 반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볼록부(73)에 의해, 바구니(95)는 유모차(10) 폭 방향으로 위치가 정해지는 동시에, 바구니(95)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에는, 유모차(10)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형상 돌기(74)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유모차(10) 전후 방향으로의 바구니(95)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후륜(32)과 바구니 지지 부재(71) 사이에 브레이크(32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연 부재(86)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연 부재(86)는 제 1 벨트(87), 제 2 벨트(88), 제 3 벨트(89)를 갖고, 이들 제 1 벨트(87), 제 2 벨트(88), 제 3 벨트(89)는 1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중, 제 2 벨트(88)와 제 3 벨트(89)는 동일 길이를 갖고, 또 유연 부재(86)는 전체로서 Y자 모양의 벨트가 되어 있다. 이들 제 1 벨트(87),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의 재료는, 예를 들면 보강된 벨트 형상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벨트(87)의 단부에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고정 홀(72)에 결합하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훅(87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훅(87a)을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고정 홀(72)에 끼움으로써, 유연 부재(86)의 제 1 벨트(87)의 단부를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벨트(87)에는, 제 1 벨트(87)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90)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의 단부는 되접어 붙여 재봉되고, 링 형상의 결합부(88a, 89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링 형상의 결합부(88a, 89a) 내에 유모차 본체(10a)의 제 3 링크(56)의 전방측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유연 부재(86)의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를,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3 링크(56)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벨트(88)의 결합부(88a) 및 제 3 벨트(89)의 결합부(89a)가 유모차 본체(10a)의 제 3 링크(56)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링크(56)의 전방측 선단을 굽히거나, 또는 제 3 링크(56)에 결합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모차 본체(10a)에 장착할 수 있는 부속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속품으로는 등받이(61)가, 유모차 본체(10a)의 제 2 링크(46)의 단부와 브래킷(46a) 사이에 배치된 브래킷(53)을 통하여, 제 2 링크(46)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특히 도 3). 등받이(61)는 제 2 링크(46)의 U자 형상 부분(46b)에 접촉할 때까지, 즉 등받이(61)가 대략 수평이 되는 각도까지의 각 각도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등받이(61)는 등받이부(61a)와, 등받이부(61a)의 양측에 배치되어 반원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61b)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브래킷(53)은, 연결 부재(51)의 연결부(51b)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제 3 링크(56)와 브래킷(53)에서 제 3 링크(56) 측의 제 2 링크(46)에 의하여 시트부 지지부(64)가 구성되고, 이 시트부 지지부(64) 위로 시트판(미도시)이 배치된다.
이러한 등받이(61) 및 시트판에 스펀지 등을 설치한 경우, 등받이(61)와 시트판에 쿠션성이 부여되어, 이들 위에 직접 유아를 앉힐 수가 있다. 또한, 막 태어난 유아를 유모차(10)에 태울 경우에는, 이들 등받이(61) 및 시트판 위에 다시 유연한 시트재(미도시)를 탑재하고, 시트재 위에 유아를 태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부속품인 덮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덮개 골조(68)가 브래킷(46a)을 통하여 제 2 링크(46)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특히 도 3 및 도 4). 또한, 제 1 골조(68)는 제 2 링크(46)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핸들(21) 상방의 접혀 구부려진 부분 근방에, 핸들(21)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덮개 골조(69)가 설치되어 있다(도 1). 그리고 제 1 덮개 골조(68)와 제 2 덮개 골조(69) 사이 및 제 2 덮개 골조(69)와 등받이(61) 사이에 천으로 만든 덮개(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유모차(10)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씌울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로 접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핸들(21)이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하면서 케이싱(17)을 향해서 누를 수 있다. 이 때, 핸들(21)의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함으로써, 핸들(21)의 고정 핀(24a)은 이제까지 결합하고 있던 케이싱(17)의 홀(18)에서 빼어내 핸들(21) 안으로 끼워 넣어진다. 또한, 동시에 핸들(21)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 고정 핀도 핸들(21) 안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에 따라 핸들(21)은 케이싱(17)의 관통 홀(19)로 안내되어 전각(11)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핸들(21)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21) 하단에 연결된 제 1 링크(41)의 일단(41a)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링크(41)의 타단(41b)은 브래킷(46a)을 통하여 제 2 링크(4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41)는 연결축(2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핸들(21)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해 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링크(41)의 타단(41b)에 연결된 제 2 링크(46)는, 후각(31)과 연결축(35)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링크(41)의 타단(41b)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링크(46)는 연결축(35)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후각(31)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 2 링크(46)의 단부는 연결 부재(51)를 통하여 제 3 링크(56)의 단부에 연결되고, 또 제 3 링크(56)는 연결축(14)을 통하여 전각(1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링크(46)가 연결축(35)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후각(31)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3 링크(56)는 연결축(1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전각(11)에 대하여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도 3 참조)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던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는 연결 부재(51)의 회전부(51a)를 상방에 밀어 올리도록 지점(52)을 중심으로 해서 접혀 구부려진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전각(11)에 연결된 연결축(14)과 후각(31)에 연결된 연결축(35)의 간격이 좁아지고, 전각(11)과 후각(31)은 지점(34)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접근하도록 회전한다.
핸들(21)이 케이싱(17) 안으로 눌러 꺾인 뒤, 고정 핀 해제 장치(24)의 조작을 멈출 수 있어 핸들(21)의 고정 핀(24b)은 케이싱(17)의 홀(18)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핸들(21)은 케이싱(17)에 대하여 고정되고, 유모차(10)는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유모차(1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접힘과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도 콤팩트하게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은 유모차(10)를 갖고 계단을 오르는 경우에도 팔을 높게 들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핸들(21) 상부의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하면서, 핸들(21)을 하방으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 유모차(10)를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손만으로 유모차(10)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도 3)에서 후방 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있던 제 2 링크(46)의 U자 형상 부분(46b)과 전방 측으로 튀어나와 있던 가드재(36)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 본체가 접힐 때 마찬가지로 콤팩트하게 접힌다.
한편, 접은 유모차(10)를 전개할 경우에는, 핸들(21)이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하면서, 상방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을 경우와 완전히 역순으로 유모차(10)는 전개된다. 이와 같이 전개할 경우도 한 손으로 충분히 유모차(10)를 조작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에서 유모차(10)를 사용할 경우, 가드재(36)를 전각(11)에서 한번 벗겨서, 유아를 유모차(10)의 시트판(미도시) 위에 앉힌다. 그 후, 다시 가드재(36)를 전각(11)에 장착하고, 등받이(61)의 각도를 조절한다.
시트판은, 제 3 링크(56) 및 브래킷(53)보다 제 3 링크(56) 측의 제 2 링크(46)로 이루어지는 시트부 지지부(64)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는 연결 부재(51)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 각도가 한정되어 있다. 즉,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는, 도 2에 나타내는 직선 위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51)의 회전부(51a)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는 방향으로 요동할 수 없다. 따라서, 유아를 시트 위에 앉혀도 시트판이 내려앉는 일은 없고, 유아를 안전하게 태울 수 있다.
또한, 등받이(61)는 시트판과 대략 평행이 되는 각도까지 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태어난지 몇 달 안 된 유아를 시트판과 등받이(61) 위에서 재울 수 있다.
다음으로 바구니 지지 기구(70)를 사용할 경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연 부재(86)의 제 2 벨트(88)의 링 형상의 결합부(88a) 및 제 3 벨트(89)의 링 형상의 결합부(89a)가 유모차 본체(10a)의 한 쌍의 제 3 링크(56)의 전방측 단부에 각각 통과시켜진다. 또 한편, 유연 부재(86)의 제 3 벨트(87)의 훅(87a)이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고정 홀(72)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와 바구니 지지 부재(71)가 유연 부재(86)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 1 벨트(87)의 버클(90)에 의해 제 1 벨트(87)의 길이가 조절된 후, 바구니(95)가 유모차(10)의 한 쌍의 후각(31) 사이로부터 유모차(10) 전방을 향해서 삽입된다. 이 때, 바구니(95)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볼록부(73)에 의해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어 바구니(95)의 전방단이 유연 부재(86)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95)는 후방측을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측단을 유연 부재(86)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직선 위에 배치된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의 하방으로 바구니(95)가 거의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도 3).
또한, 바구니(95)는 유모차(10)의 시트부 지지부(64)보다 하방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유아를 유모차(10)에 태운 채로 유모차(10)에 바구니(95)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95)와 접촉하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에는, 선 형상 돌기(7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구니(95)가 전후 방향으로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 가장자리에는, 바구니(95)에 결합하는 한 쌍의 볼록부(7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구니(95)가 유모차(10)의 폭 방향으로 벗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구니(95)는 유모차(10)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바구니(95)로 상품을 수납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바구니(95)의 중심(重心)이 어긋나 바구니(95)가 유모차(10)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일단 바구니(95)를 유모차(10)로부터 떼어 내어 유연 부재(86)의 버클(90)에 의해 제 1 벨트(87)의 길이가 조정되고, 바구니(95)의 전방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바구니(95)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바구니(95) 전방에는 유연 부재(86)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방 측에서 바구니(95)가 낙하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바구니(95)를 유모차(10)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유연 부재(86)의 재료는 유연성을 갖는 천(헝겊) 등으로 이루어지고, 유모차 본체(10a) 및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슈퍼마켓 등의 나들이에는, 유연 부재(86)를 접어 콤팩트한 크기로 하여 들어 나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21)의 고정 핀 해제 장치(24)를 조작하면서 핸들(21)을 하방으로 눌러 집어넣음으로써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역순으로 접은 유모차(10)를 전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모차(10)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접거나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핸들(21)은 케이싱(17)에 대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유모차(10)를 접으면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해질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도 콤팩트하게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은 유모차(10)를 갖고 이동할 경우에도, 유모차(10)를 든 팔을 높게 올릴 필요는 없다. 또한, 유모차(10)의 수납 및 보관면에서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시트판은 제 3 링크(56) 및 브래킷(53)에서 제 3 링크(56) 측의 제 2 링크(46)로 이루어지는 시트부 지지부(64) 위에 배치되고, 시트판이 가라앉지 않도록 제 1 링크(41)와 제 2 링크(46)는 연결 부재(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아를 안전하게 시트판 위에 태울 수 있다. 또한, 등받이(61)는 시트판과 대략 평행이 되는 각도까지 젖힐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각 회전축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어 유모차(10)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갓 태어난 단계로부터 유모차(10)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까지의 유아기 전 기간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유모차(10)는 적합하다.
또한, 제 3 링크(56) 및 제 2 링크(46)는 시트부 지지부(64)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유모차(10)를 접기 위해서만 설치된 부재는 제 1 링크(41) 뿐이다. 이와 같이 구성 부재를 적게 하여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유모차(10)는 경량화 되고, 또한 제조 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유모차(10)의 후각(31) 하단 사이에 설치된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시트부 지지부(64)를 연결하는 유연 부재(86)로 이루어지는 바구니 지지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후각(31) 사이로부터 유모차(10) 전방을 향해서 쇼핑용 바구니(95)를 삽입함으로써, 바구니(95)의 후방 측을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의해 지지하고, 바구니(95)의 전방 측단을 유연 부재(86)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유아를 태운 채 유모차(10)의 시트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제 2 링크(46)와 제 3 링크(56)의 하방으로 바구니(95)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에는, 바구니(95)의 전후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선 형상 돌기(74)와, 바구니(95)의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구니(95)를 위치 결정하는 볼록부(7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구니(95)를 쉽고 또한 안정되게 유모차(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연 부재(86)는 유연성을 갖는 천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유모차 본체(10a) 및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용이하게 부착하고 벗길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슈퍼마켓 등의 나들이에는 유연 부재(86)를 접어 콤팩트한 크기로 해서 들어 나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윗면에 고정 홀(72)을 설치하고, 유연 부재(86)의 제 1 벨트(87) 단부에 이 고정 홀(72)에 결합하는 훅(87a)을 설치하고, 고정 홀(72)에 훅(87a)을 끼움으로써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유연 부재(86)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바구니 지지 부재(71)와 유연 부재(86)를 연결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제 2 벨트(88) 단부에 링 형상의 결합부(88a)를 만들고, 제 3 벨트(89) 단부에 링 형상의 결합부(89a)를 만들고, 이들 결합부(88a, 89a)에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3 링크(56)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와 유연 부재(86)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와 유연 부재(86)를 연결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연 부재(86)가 벨트 형상의 보강된 천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유연 부재(86)를 벨트 형상의 가죽이나 시트 모양의 천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의해,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변형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는 유모차 본체(10a)의 한 쌍의 후각(31)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대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돌기(76)를 갖고 있다. 이 지지 돌기(76)는 유모차 본체(10a)의 하단에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31a)과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지지 돌기(76) 윗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선 형상 돌기(74)와 볼록부(73)와 고정 홀(7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유연 부재(86)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유연 부재(86)는 제 1 벨트(87), 제 2 벨트(88), 제 3 벨트(89), 제 4 벨트(91)를 갖고, 제 1 벨트(87), 제 2 벨트(88), 제 3 벨트(89), 제 4 벨트(91)는 1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중, 제 1 벨트(87)와 제 4 벨트(91)는 동일 길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 2 벨트(88)와 제 3 벨트(89)는 동일 길이로 이루어지고 있어 유연 부재(86)는 전체로서 X자 모양의 벨트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벨트(87)의 단부와 제 4 벨트(91)의 단부에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한 쌍의 고정 홀(72)에 결합하는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 훅(87a, 91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훅(87a, 91a)을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고정 홀(72)에 끼움으로써 유연 부재(86)의 제 1 벨트(87) 단부와 제 4 벨트(91) 단부를 바구니 지지 부재(71)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벨트와 동일하게 제 4 벨트(91)에는, 제 4 벨트(9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클(90)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단부에는 링 형상의 결합부(88a, 89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링 형상의 결합부(88a, 89a) 내에 유모차 본체(10a)의 제 3 링크(56)의 전방측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유연 부재(86)의 제 2 벨트(88) 및 제 3 벨트(89)를 유모차 본체(10a)의 시트부 지지부(6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3 링크(56)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구니 지지 부재(71)의 지지 돌기(76)에 의해 바구니(95)의 후방 측을 지지하고, 유연 부재(86)에 의해 바구니(95)의 전방단(前方端)을 지지함으로써, 바구니 지지 기구(70)에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변형례에 의하면,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가 간단한 구조이며, 재료 코스트 및 조립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의해, 다른 변형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는, 유모차 본체(10a)의 한 쌍의 후각(31)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33)으로 이루어지고, 이 연결축(33)은 후륜(32)의 차축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유연 부재(86)로서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유연 부재(86)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훅(87a, 91a)을 연결축(33)에 걸어 유연 부재(86)와 바구니 지지 부재(71)인 연결축(33)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축(33)에 의해 바구니(95)의 후방 측을 지지하고, 유연 부재(86)에 의해 바구니(95)의 전방단을 지지함으로써, 바구니 지지 기구(70)에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례에 의하면, 바구니(95)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후륜(32)의 연결축(33)을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로서 겸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재료 코스트 및 조립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로서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를 연결축(33)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축(33)에 연결축 슬리브(71a)를 씌우고, 이 연결축 슬리브(71a)를 바구니 지지 기구(70)의 바구니 지지 부재(71)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 부재는, 유모차 본체(10a)와 바구니 지지 부재를 연결하고, 바구니 지지 부재와 함께 바구니(95)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Y자 형상, X자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형상으로서 H자 형상, I자 형상, 삼각형, 사각형, 시트 모양 등도 좋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10)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0은 유모차(10)의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유모차(10)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는 바구니(171)의 지지 구조가 다를 뿐이며,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 10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O)는 유모차 본체(10a)와, 유모차 본체(10a)에 결합하는 부속품을 구비하고, 이 중 유모차 본체(10a)는 한 쌍의 전각(11)과, 한 쌍의 전각(11) 상부에 고정된 한 쌍의 케이싱(17)과, 한 쌍의 케이싱(17)을 관통하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핸들(21)과, 한 쌍의 케이싱(17)에 요동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후각(31)과, 핸들(21)의 하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 1 링크(41)와, 한 쌍의 제 1 링크(41)와 한 쌍의 후각(31)에 연결된 한 쌍의 제 2 링크(46)와, 한 쌍의 제 2 링크(46)와 한 쌍의 전각(11)에 연결된 한 쌍의 제 3 링크(5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링크(46) 하방에 짐을 수납하기 위한 바구니(171)가 부속품으로서 설치된다. 바구니(171)는 천으로 만들어지고 상부에 매다는 부재(172)가 설치되어 있다. 바구니(171)의 매다는 부재(172)는 U자 형상 부분(46b)을 포함하는 제 2 링크(46)에 매달려 있고, 이에 따라 바구니(171)는 유모차(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링크(46)의 U자 형상 부분(46b)은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 후방 측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바구니(171)에 짐을 넣고 빼기가 쉽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2 링크(46)의 U자 형상 부분(46b)은 후방 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고, 이 U자 형상 부분(46b)에 짐 수납용 바구니(171)가 매달려 있다. 따라서, 시트판의 하방에 바구니를 배치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바구니(171)로의 짐의 출납이 각별히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링크(46)의 U자 형상 부분(46b)은 후방 측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고, 이 U자 형상 부분(46b)에 짐 수납용 바구니(171)가 매달려 있다. 따라서 시트판의 하방에 바구니(171)를 배치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바구니(171)에의 짐의 출납이 각별히 용이해진다. 또한, 유모차(10)를 접었을 때, U자 형상 부분(46b)은 후각(31)과 대략 평행하게 접히고, 유모차(10)의 콤팩트성을 해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3 링크(56)및 제 2 링크(46)가 시트부 지지부(64)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제 2 링크(46)는 짐 수납용 바구니(171)를 매달기 위한 바구니 지지 레버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유모차(10)를 접기 위해서만 설치된 부재는 제 1 링크(41)뿐이다. 이와 같이 구성 부재를 적게 하여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유모차(10)는 경량화되고 또한 제조 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접을 수 있는 동시에, 접은 상태에서 높이 방향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유모차로서, 유아를 태울 수 있으면서 동시에 쇼핑 바구니를 안정하게 장착할 수 있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바구니 지지 기구의 바구니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1 실시예의 바구니 지지 기구의 유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바구니 지지 기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바구니 지지 기구의 변형례의 유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바구니 지지 기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2 실시예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제 2 실시예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22, 33, 35 : 연결축
18 : 홀
24 : 고정핀 해제 장치
24a, 24b : 고정핀
34 : 지점
41 : 제 1 링크
46 : 제 2 링크
46b : U자 형상 부분
51 : 연결 부재
51b : 연결부
56 : 제 3 링크
70 : 바구니 지지 기구
72 : 가늘고 긴 고정 홀
73 : 볼록부
86 : 유연 부재
95 : 바구니

Claims (17)

  1.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전각, 후각, 핸들, 시트부 지지부를 갖는 유모차 본체와,
    후각의 하방에 설치된 바구니 지지 부재와, 이 바구니 지지 부재와 유모차 본체의 전방 상방 사이에 설치된 유연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구니 지지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바구니 지지 부재는 후각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바구니 지지 부재는 각(各) 후각으로부터 대향해서 연장하고, 또한 바구니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2 항에 있어서,
    바구니 지지 부재는 한 쌍의 후각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후륜의 연결축 또는 연결축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바구니 지지 부재는 바구니에 결합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 부재는 바구니 지지 부재와 유모차 본체로부터 떼어 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 부재는 바구니 지지 부재에 연결하는 훅을 갖고, 바구니 지지 부재는 유연 부재의 훅에 결합하는 고정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 부재의 일단(一端)은 유모차 본체의 시트부 지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 부재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유연 부재의 형상은 Y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전각과,
    전각 상부에 고정된 케이싱과,
    케이싱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각과,
    케이싱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또한 케이싱을 관통해서 설치된 핸들과,
    케이싱보다 하방에서, 핸들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후각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제 2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전각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구비하고,
    핸들을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써 전개 및 접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유모차의 전개시에 제 2 링크와 제 3 링크는 직선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3 링크는 시트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링크의 제 3 링크 측 부분이 시트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링크에 등받이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링크는 후각의 후방 측으로 돌출하는 U자 형상 부분을 갖고, 이 U자 형상 부분에 짐을 수납하기 위한 바구니를 매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 11 항에 있어서,
    후각의 상단(上端)에 가드재(guard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40096869A 2003-12-03 2004-11-24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KR101159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4743 2003-12-03
JP2003404743A JP4421274B2 (ja) 2003-12-03 2003-12-03 かごが装着可能なベビーカー
JPJP-P-2003-00404772 2003-12-03
JP2003404772A JP2005162050A (ja) 2003-12-03 2003-12-03 ベビーカ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90A Division KR101211464B1 (ko) 2003-12-03 2011-10-05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492A true KR20050053492A (ko) 2005-06-08
KR101159711B1 KR101159711B1 (ko) 2012-06-25

Family

ID=34467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869A KR101159711B1 (ko) 2003-12-03 2004-11-24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KR1020110101090A KR101211464B1 (ko) 2003-12-03 2011-10-05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90A KR101211464B1 (ko) 2003-12-03 2011-10-05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9083B2 (ko)
EP (1) EP1538063A3 (ko)
KR (2) KR101159711B1 (ko)
CN (1) CN100528660C (ko)
TW (1) TWI3401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1318B2 (en) * 2003-07-30 2006-03-14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Stroller with basket
US7789413B2 (en) * 2005-09-30 2010-09-07 Orbit Baby, Inc. Removable flexible dual-opening carrying basket
US7487979B2 (en) * 2006-03-30 2009-02-10 Jennie Ferraioli Transporter with integral media entertainment and education center for a baby
US8042869B2 (en) 2007-07-13 2011-10-25 Kids Ii, Inc. Child seat liner
US7401803B1 (en) * 2007-08-28 2008-07-22 Chin-I Lai Stroller
US7798516B2 (en) * 2008-01-15 2010-09-21 Homan Holli L Changing table
US8777252B2 (en) * 2010-11-18 2014-07-1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asket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US20120242050A1 (en) * 2011-03-21 2012-09-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heel Assembly
CN202345741U (zh) * 2011-12-12 2012-07-2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折叠式婴儿车
US8967657B2 (en) 2012-05-02 2015-03-03 Shawn C. Burchi Child carrier folding cart
JP6017184B2 (ja) *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9895005B2 (en) 2014-05-21 2018-02-20 Kids Ii, Inc. Convertible child seat
US10176238B2 (en) 2014-09-26 2019-01-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grating object-based data integration tool with a version control system i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environments
US9517791B1 (en) 2015-07-20 2016-12-13 Gen 7, Inc. Detachable assembly
US10172751B1 (en) * 2016-07-28 2019-01-08 David Michael Balmer Collapsible transport chair with baggage capability
CN111907578B (zh) 2019-05-07 2022-12-2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多人座婴幼儿推车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00360U1 (de) * 1985-01-09 1985-05-23 Herlag Holzwarenfabrik GmbH & Co KG, 3472 Beverungen Kinderwagen mit einem Ablagekorb
US4763919A (en) * 1986-06-05 1988-08-16 Combi Co., Ltd. Baby carriage serving as shopping cart
USD305218S (en) * 1986-11-14 1989-12-26 Combi Co., Ltd. Baby stroller
JP2583040B2 (ja) * 1986-11-26 1997-02-19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かご付き折りたたみ式乳母車
JPS63155775U (ko) * 1987-03-31 1988-10-13
US5676386A (en) * 1995-10-30 1997-10-14 Huang; Li-Chu Chen Stroller in combination with a safety seat assembly
US6241273B1 (en) * 1997-08-08 2001-06-05 Graco Children 's Products Inc. Collapsible stroller with slidable basket
US6155592A (en) * 1998-08-25 2000-12-05 Hsia; Ben Ming Foldable supporting frame for stroller
US6135487A (en) * 1998-09-23 2000-10-24 Regalo International, Llc Baby stroller with unique curved swinging legs and unique trigger to initiate swinging
US6062589A (en) * 1998-11-12 2000-05-16 Pao Hsien Cheng Collapsible stroller
US6152340A (en) * 1999-06-01 2000-11-28 Link Treasure Limited Fast demountable structure for carrier basket of stroller
US6478327B1 (en) * 2000-05-08 2002-11-1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US6412794B1 (en) * 2000-11-01 2002-07-02 The Burton Corporation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for securing footwear to a binding
US20020093160A1 (en) * 2001-01-12 2002-07-18 Andrew Mendenhall Juvenile stroller with portable cooler
JP3493440B2 (ja) 2001-01-31 2004-02-03 株式会社スーパーメイト 幼児用座席付きショッピングカート
TW537231U (en) * 2001-12-14 2003-06-11 Link Treasure Ltd Structure for storage plate capable of adjustment of position
TWM257306U (en) * 2003-11-12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91A (ko) 2011-11-18
EP1538063A3 (en) 2007-09-05
EP1538063A2 (en) 2005-06-08
US20050121871A1 (en) 2005-06-09
KR101211464B1 (ko) 2012-12-12
US7229083B2 (en) 2007-06-12
KR101159711B1 (ko) 2012-06-25
CN100528660C (zh) 2009-08-19
TWI340106B (en) 2011-04-11
TW200521007A (en) 2005-07-01
CN1623833A (zh)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64B1 (ko) 바구니가 장착 가능한 유모차
KR101141633B1 (ko) 유모차
US10053131B2 (en) Basket and stroller apparatus thereof
US8366141B2 (en) Transporter
US6155592A (en) Foldable supporting frame for stroller
US6851700B2 (en) Stroller with a reclining mechanism
US6666473B2 (en) Foldable stroller with passenger support base
JP5385264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US6964429B2 (en) Stroller
US6135487A (en) Baby stroller with unique curved swinging legs and unique trigger to initiate swinging
JP2006159930A (ja) ベビーカー
US6863296B2 (en) Guard arm with drink container holding structure and s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WO2008109302A1 (en) Flat fold stroller
JPH04154477A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GB2431140A (en) Baby stroller frame
WO1990010567A1 (en) Improved push chair/shopping trolley
WO2020146576A1 (en) Stroller convertible for multiple modes of use
CN115158431A (zh) 儿童推车及其置物篮
KR100887216B1 (ko) 3중 접힘식 유모차
JP4421274B2 (ja) かごが装着可能なベビーカー
JP4738919B2 (ja) ベビーカー
CN113085988B (zh) 婴儿车架
CN114715251A (zh) 车架结构及儿童车
JP2005162050A (ja) ベビーカー
TWI391272B (zh) Baby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