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284A -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3284A KR20050053284A KR1020030086960A KR20030086960A KR20050053284A KR 20050053284 A KR20050053284 A KR 20050053284A KR 1020030086960 A KR1020030086960 A KR 1020030086960A KR 20030086960 A KR20030086960 A KR 20030086960A KR 20050053284 A KR20050053284 A KR 200500532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vehicle body
- mount
- bracke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41—Link-type sup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을 차체에 설치시 엔진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면에 상기 티엠마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티엠마운트의 지지브라켓은 원통형의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티엠마운트는 보조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 발진시 발생되는 210Hz 영역대의 피크 발생이 제거되어 실내소음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차체의 Y방향 및 Z방향 강성이 목표치인 1000Kgf/mm를 만족하게 되어 부밍 및 럼블 노이즈를 방지하며, 엔진마운트의 강성 증대에 따른 브라켓 구조가 단순화되어 2개의 조립용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작업이 가능해지므로 경량화가 가능해짐과 아울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성도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티엠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상면에 직접 마운트 부시를 설치하여 동강성을 증대하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파워트레인의 진동 및 충격이 차체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티엠마운트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티엠마운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엠마운트 브라켓 어셈블리(2)가 차체(1)에 장착되어 있고, 티엠마운트(3)는 티엠 서포트 브라켓(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엔진마운트 시스템은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 롤방향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롤 마운트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체의 상면과 측면에 브라켓이 설치되어 마운트 부시를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의 좌우방향인 Y방향의 강성이 부족하며, 특히 차량의 상하방향인 Z방향의 강성은 매우 취약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차량 발진시 Z방향으로 210Hz 영역에서 피크 발생으로 인한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에 의하면 강성 목표치인 1000Kgf/mm에 크게 부족하여 차량의 실내소음인 부밍 노이즈 및 럼블 노이즈가 크게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체의 상면과 측면에 걸쳐 브라켓을 조립하기 때문에 상,하측면에 모두 4개의 체결용 볼트를 체결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해져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을 차체에 설치시 엔진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면에 상기 티엠마운트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티엠마운트의 브라켓은 원통형의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엠마운트는 보조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가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동강성 해석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의한 Z방향 동강성 해석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체의 사이드 멤버(10)의 상면에 원통형태의 티엠마운트(미도시)를 파이프 타입의 브라켓(20)에 내측에 설치하여 양단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20)에는 에이프런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 브라켓(30)이 설치되어 지지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체인 사이드 멤버(10)의 상면에 직접 티엠마운트를 브라켓(20)을 사용하여 취부하게 되므로 차량의 전후방향인 X방향은 물론이고, 차량의 좌우방향인 Y방향의 강성이 증대되며, 가장 취약한 진동저감 영역이었던 차량의 상하방향인 Z방향의 강성이 증대된다.
즉, X방향에 대한 강성은 기존 대비 동등한 수준으로 양호해지며, Y방향으로의 강성은 동강성을 목표치인 1000Kgf/mm를 만족하는 수준에 이른다.
또한, 210Hz 부근의 Z방향의 피크(peak)가 없어지게 되며, Z방향 및 Y방향의 증대로 인해 고주파 영역대에서 실내소음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각 방향의 동강성 해석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Z방향 동강성 해석 그래프로서, Z방향 동강성은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약 5배 가량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에 의하면 차량 발진시 발생되는 210Hz 영역대의 피크 발생이 제거되어 실내소음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차체의 Y방향 및 Z방향 강성이 목표치인 1000Kgf/mm를 만족하게 되어 부밍 및 럼블 노이즈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마운트의 강성 증대에 따른 브라켓 구조가 단순화되어 2개의 조립용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작업이 가능해지므로 경량화가 가능해지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성도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브라켓 어셈블리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가 장착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동강성 해석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의한 Z방향 동강성 해석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이드 멤버
20 ; 브라켓
30 ; 보조 브라켓
Claims (3)
- 엔진을 차체에 설치시 엔진으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에 있어서,상기 차체의 상면에 상기 티엠마운트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티엠마운트의 브라켓은 원통형의 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티엠마운트는 보조 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6960A KR20050053284A (ko) | 2003-12-02 | 2003-12-02 |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6960A KR20050053284A (ko) | 2003-12-02 | 2003-12-02 |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3284A true KR20050053284A (ko) | 2005-06-08 |
Family
ID=3724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6960A KR20050053284A (ko) | 2003-12-02 | 2003-12-02 |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5328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81B1 (ko) | 2017-07-21 | 2018-07-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
KR20190026316A (ko) | 2017-09-05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
KR20190026204A (ko) | 2017-09-04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
-
2003
- 2003-12-02 KR KR1020030086960A patent/KR200500532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81B1 (ko) | 2017-07-21 | 2018-07-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
KR20190026204A (ko) | 2017-09-04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
KR20190026316A (ko) | 2017-09-05 | 2019-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2384B1 (ko) | 머플러 행거 로드의 브라켓 장착구조 | |
KR20050053284A (ko) |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 |
KR100452245B1 (ko) | 자동차의 배터리트레이 마운팅 구조 | |
KR100361281B1 (ko) |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 |
JPH11348689A (ja) | 車体構造 | |
KR200202992Y1 (ko) | 엔진지지용 롤로드의 구조 | |
KR100333862B1 (ko) | 엔진 마운팅 부재 | |
CN219257464U (zh) |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 |
CN219277426U (zh) | Esc模块固定支架和车辆 | |
KR100475889B1 (ko) |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보강구조 | |
KR100448829B1 (ko) | 차량의 프론트 휠 하우스 | |
JP2005112202A (ja) | 燃料電池車 | |
KR100622500B1 (ko) |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 |
KR100387780B1 (ko) |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장착구조 | |
KR100452219B1 (ko) | 배터리를 이용한 자동차의 진동억제장치 | |
JPH08310438A (ja) | エンジン支持装置 | |
KR20070100017A (ko) | 프론트엔드모듈 캐리어의 사이드 보강구조 | |
KR100361923B1 (ko) |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 |
KR20050102567A (ko) |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트 구조 | |
KR100461397B1 (ko) | 엔진 마운팅 브라켓 | |
KR100475941B1 (ko) | 차량의 완가속시 실내 소음 저감용 트랜스밋션 마운팅 구조 | |
KR100534346B1 (ko) |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강성증대 고정 구조 | |
CN115848425A (zh) | 用于内燃机车的减振操纵台 | |
KR20050050812A (ko) |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구조 | |
KR20090081893A (ko) | 자동차의 서브프레임용 진동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