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349A -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349A
KR20050052349A KR1020040095733A KR20040095733A KR20050052349A KR 20050052349 A KR20050052349 A KR 20050052349A KR 1020040095733 A KR1020040095733 A KR 1020040095733A KR 20040095733 A KR20040095733 A KR 20040095733A KR 20050052349 A KR20050052349 A KR 2005005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image
work
rear view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463B1 (ko
Inventor
나카무라가즈노리
아다치히로유키
고마쓰히데키
고마쓰가즈노리
가케가와쓰요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상황 정보 등, 다른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을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확한 타이밍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후방 시야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로 모니터의 화면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는, 운전석(5)의 좌우의 슬리브(sleeve)부(5L,5R)에 작업 레버(6,7)가 설치되고, 또 운전석(5)의 전방 위치에 주행용 조작 레버(8a,8b)와 조작 페달(9,9)이 설치되고, 선회(旋回) 조작용을 포함하는 작업 레버(6)의 그립부(6a)에 전환 스위치(16)가 설치되고, 이 전환 스위치(16)를 조작함으로써 모니터(12)의 화상을 차량 상황 정보와 후방 시야 화상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에게 각종의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한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shovel)이 있다. 유압 셔블은, 주지(周知)와 같이, 엔진에 의해 유압 펌프를 구동하고, 이 유압 펌프로부터 출력되는 압유(壓油)를 작동 각 부에 장착한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작동부는, 통상, 운전실 내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조작 레버 등의 조작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토사(土砂)의 굴삭 등의 작업이 행해진다.
운전실에는, 기계의 작동 상황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각종 계기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엔진 회전수 합계, 연료계, 냉각수온계, 작동유 온도계, 아워 미터 등이 있다. 또, 그 외에, 기계의 안전한 작동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게이트 록 레버가 정규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 등의 표시도 행해지고, 또한, 스타터 키가 들어갔는지 여부의 판별도 행해진다. 또한, 프론트 작업기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의 종류 등의 인식도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들 정보, 즉 차량 상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설치된다.
이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고정밀화, 저가격화 등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한 모니터의 화면에 컬러 화상으로서 일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성으로 다종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가 기계의 작동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최근에는, 건설 기계에 후방 감시용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 카메라의 영상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통상 조작하고 있는 자세에서는 볼 수 없는 후방 시야를 보조적으로 얻도록 구성한 것도 개발되어 있다.
운전실 내에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석에 앉아 있는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그 전방 위치 내지 경사 전방 위치에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 모니터를 보는 것이 곤란해 진다. 이 때문에, 전술한 기계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차량 상황 정보 표시 화상과 후방 시야 화상을 별개의 모니터에 표시하면, 이들 모니터가 방해가 되어 전방 시야가 제한되고, 또 오퍼레이터의 주의력이 산만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후방 시야 화상은 항상 표시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후진시 등, 주위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게 보조적인 시야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차량 상황 정보에 대해서는, 가능하면 항상 표시하여 둘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면 옥내 등과 같이 환기가 나쁘고, 엔진이 오버히트하기 직전의 상태에서 기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등, 특별한 상황 하에서 기계를 작동시키는 것 같은 경우는 제외하더라도, 오퍼레이터는 차량 상황을 항상 주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모니터에 차량 상황 정보를 표시하여 두고, 차량을 후진시킬 때는, 모니터를 후방 시야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은, 예를 들면 특허 일본국 특개 2002-371594호 공보에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주행 조작 수단을 조작했을 때, 이것을 파일럿압에 따라 검출하여, 모니터를 후방 시야 화상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또, 주행 조작 수단의 조작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 조작 수단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두고 오퍼레이터가 이 조작 수단을 조작할 때, 즉 차량을 후진시키려고 할 때,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니터가 후방 시야 화상을 비추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전술한 종래 기술에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의 구성에 있어서는, 항상, 모니터에 기본 화상, 즉 작동유의 온도나 엔진 냉각수의 온도 등의 차량 상황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주행 조작 수단, 구체적으로는, 주행 레버나 주행 페달을 조작한 후에, 화면이 기본 화상으로부터 후방 시야 화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지만, 주행용의 조작 수단이 조작되면, 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게 되고, 이 때 후방 시야 화상을 얻을 수 있어도, 안전 조치로서는 미흡한 것이었다. 즉, 작업자 등이 차량의 바로 옆 위치에 들어가 있으면, 비록 모니터에 비추어지고, 이것을 오퍼레이터가 확인해도, 위험을 회피하는 등의 조치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등, 안전 장치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 수동으로 화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해, 주행 조작 수단, 예를 들면 주행 레버에 스위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실제로 차량이 후진하기 전의 단계에서 모니터에 후방 시야 화상을 표시하도록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주행 레버에 화상 전환용의 스위치를 설치했어도, 그 조작성은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운전석의 주위에 설치되는 조작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주행 레버 뿐아니고, 다른 각 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작업 레버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 레버는 운전석의 좌우의 슬리브(sleeve)부에 배치하고, 주행 레버는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양 손의 팔꿈치를 슬리브부에 얹고, 좌우의 작업 레버에 손을 얹는다는 자세 상태를 취해 주행할 때는, 손을 전방으로 가져가 주행 레버에 손을 얹게 된다. 그리고, 주행 레버를 파지하면, 즉시 그 조작을 행하게 되므로, 주행 레버에 스위치를 설치했어도, 사전에 후방 시야 화상이 모니터에 반드시 표시된다는 것이 보증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 레버의 조작과 차량의 주행을 동시에 행하는 복합 조작시에는, 주행 레버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주행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페달이 병설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작업 레버를 조작하면서 주행시키려면, 조작 페달에 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 때 작업 레버로부터 손을 놓아, 주행 레버에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주행 레버에 모니터의 화상 전환용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은 반드시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후방 시야 화상의 표시는, 차량의 후진시 뿐아니라, 선회시에도 후방 시야 화상이 모니터에 표시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주행 조작 수단에 스위치를 설치하면, 후방 시야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은 주행시뿐이며, 선회시에 후방 시야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는 배려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 상황 정보 등, 다른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을 때,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확한 타이밍에서 원 활하고,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후방 시야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로 모니터의 화면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서 채용한 구성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상부 선회체에, 엔진 및 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이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작동부가 설치되고, 또 적어도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잔량, 엔진 냉각수온 및 작동유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기계의 주변을 감시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이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후방 시야 화상이 다른 화상으로 전환 가능하게 표시되는 모니터를 운전실 내에 설치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 내에는, 운전석 좌우의 양 슬리브(sleeve)부 또는 그 근방에 작업 레버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좌우의 작업 레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작업 레버에 상기 모니터의 화상 전환용의 전환 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건설 기계에는, 그 작동 각 부에 센서류 등을 장착하고,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현상태를 인식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엔진 냉각수온이나 작동유 온도가 그것이며, 또 배터리 잔량, 엔진 오일 유압 등도 표시한다. 또한, 가동 시간 표시 및 현재의 시각의 표시 등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오퍼레이터는, 이들을 차량 상황 정보로서, 항상 인식하여 두는 것이, 건설 기계를 무리없이,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작동시켜, 고장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모니터에는 이 차량 상황 정보를 항상 표시하여 두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필요에 따라 화면을 후방 시야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 레버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프론트 작업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프론트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부 선회체의 선회도 작업 레버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작업 레버는 통상 2개 설치되고, 운전석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1개의 작업 레버에 전환 스위치를 설치하여 두면,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모니터의 화상 전환 조작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는 작업 레버는 선회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작업 레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개의 작업 레버에 전환 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건설 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모니터 화면의 후방 시야 화상으로의 전환 조작의 조작성이 매우 양호해져, 필요한 타이밍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화상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가 장착되는 건설 기계로서는, 이 유압 셔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에 유압 셔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 (2)는 상부 선회체, (3)은 상부 선회체(2)에 설치한 굴삭 작업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작업기이다. 또, 상부 선회체(2)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기계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실(캡)(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실(4) 내에는, 하부 주행체(1)에 의한 주행, 상부 선회체(2)의 선회, 토사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프론트 작업기(3)를 구성하는 붐(3a), 암(3b), 버킷(3c)의 작동 등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4)의 내부 구조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운전실(4)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앉아 유압 셔블을 조작하기 위한 운전석(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석(5)의 좌우 양 슬리브부(5L, 5R)에는 조작 레버(6, 7)가 장착되어 있고, 또 운전석(5)의 전방 위치에 한쌍의 조작 레버(8a, 8b)와 조작 페달(9a, 9b)이 장착되어 있다. 양 슬리브부(5L, 5R)에 각각 설치된 조작 레버(6, 7)는 붐(3a), 암(3b), 버킷(3c) 및 선회를 위한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며, 이하 이들을 작업 레버라고 한다. 작업 레버(6, 7)는, 각각 전후 및 좌우로 경사 이동 조작 가능하며, 전술한 4개의 작동부의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슬리브부(5L)에 설치한 작업 레버(6)는 선회 및 버킷 조작용의 것이며, 우측 슬리브부(5R)에 설치한 작업 레버(7)는 붐 및 암 조작용의 것으로 한다. 또, 운전석(5)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8a, 8b)는 좌우로의 주행용이며, 조작 페달(9a, 9b)이나 좌우의 주행용 조작 수단이다.
여기서, 주행용 조작 수단으로서, 조작 레버와 조작 페달을 병설한 것은, 복합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량의 주행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 레버(8a, 8b) 또는 조작 페달(9a, 9b)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주행하면서 붐(3a)을 조작하고, 또한 상부 선회체(2)를 선회시키도록 복합 조작을 행할 때는, 양 손으로 작업 레버(6, 7)를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 페달(9a, 9b)에 의해 주행을 행하게 된다.
유압 셔블은 대략 이상과 같이 구성되지만, 통상, 그 구동은 엔진에 의해 유압 펌프를 작동시켜,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라는 유압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유압 구동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관계의 작동 상황을 검출하는 각종의 센서가 설치되어 유압 구동계의 각 부에도 각종의 센서가 설치되고, 또한 프론트 작업기(3) 등의 작동 각 부에도 센서가 장착되어, 유압 셔블의 작동 각 부를 감시하고 있다. 이들 각 센서 등에 의한 검출 정보 중, 오퍼레이터가 인식하는 편이 바람직한 것 및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과, 오퍼레이터에게 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다.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정보는 차량의 작동 상황에 관한 정보이며, 이들 중, 긴급하게, 또한 확실하게 인식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정보도 있다. 즉, 오퍼레이터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정보로서는, 일반적인 차량 상황 정보와,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중대한 고장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이상 상태의 발생 등에 관한 이상 정보가 포함된다.
이 유압 셔블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외부 시야를 보조하기 위해, 감시용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10)은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2)의 후부 위치에 설치한 카운터 웨이트(11)에 장착되고, 운전실(4) 내에서 기계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안전 확인을 행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따라서, 이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카메라(10)는 작업의 안전 확보 등의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운전실(4)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모니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니터(12)에 각종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기계의 조작을 행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이들 정보를 인식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모니터(12)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을 구성하는 각 기구부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볼 수 있다. 단, 작업중에 있어서는, 전방 시야를 가능한 한 방해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니터(12)는 비교적 소형의 화면을 가지는 것이며, 운전실(4) 내에 있어서, 운전석(5)의 경사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필러(13)에 장착되어 있다.
모니터(12)에는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지만, 먼저 차량 상황 표시 화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차량 상황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표시 정보로서는, 아이콘 표시로서,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도난 방지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의 표시 A1, 프론트 작업기(3)를 구성하는 암(3b)의 선단에 버킷(3c)이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다른 프론트 어태치먼트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표시 A2, 작동 부하 상태 표시 A3, 주행 속도 표시 A4, 오토 아이들인지 여부의 표시 A5, 조명 등의 점등 유무에 관한 표시 A6, 와이퍼의 작동 유무 표시 A7가 있고, 또 이와 함께 가동 시간 표시부 B가 있어, 가동 시간이 수치로 표시된다. 또한, 그 하단, 즉 모니터(12)의 중앙 부분의 큰 영역에는, 엔진 냉각수온 표시 C1, 작동유 온도 표시 C2 및 연료 잔량 표시 C3가 배열되어 캐릭터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최하단에는 배터리 잔량과 엔진 오일 유압의 표시부 D1, D2가 있지만, 배터리의 충전량 및 엔진 오일의 유압이 일정 레벨을 유지하고 있을 때와 배터리의 충전량 및 엔진 오일의 유압이 소정 레벨보다 저하되면, 농담의 변화, 색조의 변화 등, 표시 상태가 변화된다.
그리고, 차량 상황 정보로서 표시되는 것은, 이들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되는 것은 아니고, 또 이들 정보 이외의 정보를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요점은, 오퍼레이터가 인식해야 할 차량의 현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단, 표시 형태는 어떻게 하든, 적어도 엔진 냉각수온 표시 C1, 작동유 온도 표시 C2 및 연료 잔량 표시 C3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또, 모니터(12)에는, 후방 시야를 취득하는 카메라(10)로 얻은 영상이 표시된다. 이 영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12)의 화면 전체에 차량 후방 및 후부측 쪽의 풍경 영상이 후방 시야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이 방향의 시야는, 오퍼레이터가 운전석(5)에 착석한 상태에서, 통상의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후방 시야를 모니터(12)에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사각(死角)으로 되는 범위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시야가 주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모니터(12)에 표시되는 화상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이 있지만, 또 이들 이외에도 각종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상(異常)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이 있고, 이 이상 정보 표시 화상은, 기계를 그대로 계속하여 작동시키면, 고장이나 사고의 원인으로 되는 사태가 발생할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규정값 이하로 되어 있는 경우, 엔진 오일의 유압이 규정값 이하인 경우, 엔진 냉각수가 규정 온도 이상인 경우, 작동유 온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경우, 엔진 필터의 흡기 측에 설치한 필터가 막힌 경우 등이다. 이들 사태를 오퍼레이터에게 신속하게 인식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모니터(12)의 화면 중앙부, 즉 도 3의 캐릭터 표시 C1~C3의 부분에 눈에 띄도록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차량에 통신 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통신용 안테나(14)(도 1)를 통하여 기계의 관리 센터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리 센터 측으로부터의 연락 사항을 포함하는 통신 정보도 모니터(12)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모니터(12)에는 각종의 정보가 표시되지만,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니터(12)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부분에는 선택 스위치군(15)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선택 스위치군(15)을 적당히 조작함으로써, 모니터(12)에 표시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각 화상 중, 도 3에 나타낸 차량 상황 정보의 표시 화상은 기본적인 것이며, 오퍼레이터가 특히 원하는 하지 않는 한, 항상 이 차량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상태로 하고, 이외의 화상은 필요에 따라 차량 상황 정보 화상으로부터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각 화상 중, 이상 정보 표시 화상은, 그 성질상, 기기류 등이 이상 상태로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며, 오퍼레이터가 선택할 여지는 없다. 또, 관리 센터로부터의 연락 사항 등의 통신 정보는 유압 셔블의 작동에 특히 관계된 것은 아니므로, 작업의 휴지(休止)시 등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군(15)을 조작함으로써 이 정보를 판독하여 모니터(12)에 표시시키면 된다.
도 4에 나타낸 후방 시야 화상은, 적어도 차량이 후진할 때, 및 상부 선회체(2)가 선회할 때 필요한 것이며, 이 때문에 모니터(12)에 표시되어 있는 차량 상황 표시 화상으로부터 전환하여 후방 시야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후방 시야 화상의 표시가 필요한 것은, 유압 셔블의 작동 중에서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레버나 페달 등으로 행해지는 조작 수단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이므로, 오퍼레이터에 대해서 모니터(12)에 설치한 선택 스위치군(15)의 조작을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는 않다. 그래서, 유압 셔블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그 조작을 중단 하지 않고, 필요할 때, 최적의 타이밍에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화상을 전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원래, 오퍼레이터가 운전석(5)에 앉아, 유압 셔블의 작동 각 부를 조작할 때는, 좌우의 팔꿈치를 슬리브부(5L, 5R)의 상에 얹고, 작업 레버(6, 7)를 파지한 상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작업 레버(6, 7)는 붐(3a), 암(3b) 및 버킷(3c)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작업기(3)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또 상부 선회체(2)를 선회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중에는, 이들 작업 레버(6, 7)를 전후 및 좌우로 경사이동시키는 조작이 빈번하게 행해지므로, 오퍼레이터는 이들 작업 레버(6, 7)로부터 거의 손을 놓지 않는다. 물론, 작업 레버(6, 7)의 한쪽 또는 양쪽을 조작하면서, 차량을 주행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손으로 2개의 주행용의 조작 레버(8a, 8b)를 동시에 조작하거나, 조작 페달(9a, 9b)을 밟아, 차량을 주행시키게 된다. 여기서, 주행용의 조작 레버(8a, 8b)를 설치한 것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른바 스티어링시로서, 이 때문에 한쪽의 조작 레버(8a)와 다른 쪽의 조작 레버(8b)의 경사이동 방향을 달리하도록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토사의 굴삭 등의 작업중에 있어서는, 주행은 전진 또는 후진이 주요하고, 스티어링을 행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2개의 조작 레버 또는 2개의 조작 페달은 동시에 조작된다.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 레버(6) 또는 (7)의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 조작용을 포함하는 작업 레버(6)의 그립부(6a)에 전환 스위치(16)를 설치하고, 이 전환 스위치(16)를 조작함으로써 모니터(12)의 화상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작업 레버(6) 및 (7)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파일럿 밸브(6P)에 연결되어 있고, 이 유압 파일럿 밸브(6P)로부터 유압 액츄에이터에의 압유의 공급 제어를 행하는 방향 전환 밸브(17)의 유압 파일럿부에 압력을 작용시켜, 이 방향 전환 밸브(17)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며, 이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경사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17)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전환 스위치(16)는 작업 레버(6)의 그립부(6a)를 파지한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전환 스위치(16)를 조작하면, 그 신호가 제어 장치(18)에 받아들여져, 모니터(12)에 표시되는 화상이 전환되게 된다. 여기서, 이 전환 스위치(16)에 의한 화상의 전환은, 도 3에 나타낸 차량 상황 정보 화상과, 도 4에 나타낸 후방 시야 화상이다. 따라서, 모니터(12)에 차량 상황 정보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 스위치(16)를 조작하면, 후방 시야 화상으로 완전히 교체되고, 또 후방 시야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전환 스위치(16)을 조작하면, 차량 상황 정보 표시 화상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제, 유압 셔블을 조작하여, 토사를 굴삭하고, 굴삭토를 덤프 트럭에 적재하는 작업을 상정한다. 이 작업은, 유압 셔블을 굴삭 위치에 배치하여, 프론트 작업기(3)의 붐(3a)을 굴삭 가능한 각도를 이루게 하고, 이어서 암(3b)을 조작하면서, 버킷(3c)을 조작함으로써 버킷(3c)에 의해 토사를 굴삭한다. 그리고, 붐(3a)을 상승시키고, 또 필요에 따라 암(3b)이나 버킷(3c)을 조작하면서, 상부 선회체(2)를 소정 각도 선회시킴으로써, 버킷(3c)을 덤프 트럭의 적재부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버킷(3c)을 조작하여, 토사를 덤프 트럭에 적재한 후에 다시 굴삭을 행하는 위치까지 선회시킨다. 이 조작이 반복하여 행해지지만, 굴삭이 진행되는데 따라 굴삭 위치가 바뀌게 되고, 이와 함께 덤프 트럭도 이동시키게 된다. 단, 작업장의 상태 등에 따라서는 덤프 트럭이 비집고 들어갈 수 없는 장소도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굴삭을 할 때마다 하부 주행체(1)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즉, 굴삭 위치까지 유압 셔블을 전진(또는 후진)시켜, 프론트 작업기(3)에 의한 토사의 굴삭을 행하고, 얼마 후에 덤프 트럭에의 토사의 투입 위치까지 유압 셔블을 후진(또는 전진)시킨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후방 시야를 얻을 필요가 있는 것은 상부 선회체(2)의 선회시와 하부 주행체(1)에 의한 후진시이다. 하부 주행체(1)의 전진시 및 프론트 작업기(3)를 사용하여 토사를 굴삭하거나, 굴삭한 토사를 덤프 트럭에 적재하거나 하는 작업시에는, 오퍼레이터는 작동 각 부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후방 시야를 얻을 필요는 없다. 단, 상부 선회체(2)는 하부 주행체(1)에 대해서 360도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부 선회체(2)가 180도 선회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할 때는, 차량의 전진과 후진이 역으로 된다. 따라서, 전진, 후진은 제외하더라도, 주행시에는 주위의 안전 확인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유압 셔블을 기동시킨 후에 있어서,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는 주위의 안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이 때에도 후방 시야 화상을 모니터(12)에 표시하여, 주위에 구축물 등이 존재하는지, 또는 작업자 등이 위치하고 있는지의 대물, 대인 안전 확인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후방 시야 화상을 모니터(12)에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은, 굴삭 등의 작업에 들어가기 전의 단계와 작업중에는 선회 및 주행시이고, 또한 선회나 주행이 실행에 옮겨지기 전의 단계이며, 상부 선회체(2)가 선회하기 시작한 후, 또 주행 개시 후에 후방 시야 화상이 모니터(12)에 비추어졌다고 해도, 위험을 회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중에는 오퍼레이터는 작업 레버(6, 7)를 항상 파지하고 있고, 작업 레버(6, 7)로부터 손을 놓는 것은, 주행용의 조작 레버(8a, 8b)를 조작할 때와, 다른 스위치, 예를 들면 와이퍼 작동용 스위치, 조명광 점등용 스위치, 엔진의 회전수 가변용의 다이얼 등을 조작할 때이다. 작업중에 있어서는, 프론트 작업기(3)나 상부 선회체(2)의 선회 등을 동시에 행하는 복합 조작이 행해지므로, 주행은 주로 조작 레버(8a, 8b)가 아니고, 조작 페달(9a, 9b)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 조작 레버(8a, 8b)를 조작한다고 해도, 한 손으로 2개의 조작 레버(8a, 8b)를 조작하게 되고, 다른 한쪽 손은 역시 작업 레버(6) 또는 (7)에 손을 잡은 상태로 한다.
따라서, 작업 레버(6, 7)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전환 스위치(16)를 설치하고, 이 전환 스위치(16)의 조작으로 모니터(12)에 있어서의 화상의 전환이 행해지게 되고, 또한 이 화상의 전환은 차량 상황 정보 표시 화상과 후방 시야 화상에 한정함으로써, 후방 시야를 얻을 필요가 있는 차량의 후진시와 선회시에 있어서, 또한 그러한 조작을 개시하기 전의 단계에서, 모니터(12)에 차량 상황 정보가 표시되어 있었던 경우에, 오퍼레이터는 후방 시야 화상으로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안전 확보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 후방 시야의 필요성이 없어졌을 때, 즉 선회나 후진이 종료한 시점 또는 그 후에는, 다시 전환 스위치(16)를 조작함으로써, 모니터(12)에는 차량 상황 정보가 표시되도록 전환된다.
그리고, 2개 설치되어 있는 작업 레버(6, 7) 중, 어떤 전환 스위치(16)를 설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선회 조작을 포함하는 작업 레버(6)에 설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또 작업 레버(6)를 파지하고 있는 손으로 조작 레버(8a, 8b)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를 고려하면, 2개의 작업 레버(6, 7)의 양쪽에 전환 스위치(16)를 설치하여 두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건설 기계의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모니터 화면의 후방 시야 화상으로의 전환 조작의 조작성이 매우 양호해져, 필요한 타이밍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화상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나타낸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의 유압 셔블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운전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차량 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후방 시야 화상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작업 레버의 외관도이다.
도 6은 전환 스위치에 의한 모니터의 전환 기구를 나타낸 구성 설명도이다.

Claims (3)

  1.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하게 설치한 상부 선회체에, 엔진 및 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壓油)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작동부가 설치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잔량, 엔진 냉각수온 및 작동유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기계의 주변을 감시하는 카메라가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후방 시야 화상이 다른 화상으로 전환 가능하게 표시되는 모니터를 운전실 내에 설치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 내에는, 운전석 좌우의 양 슬리브(sleeve)부 또는 그 근방에 작업 레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작업 레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작업 레버에 상기 모니터의 화상 전환용의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는 항상 적어도 상기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상황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전환 스위치에 의해, 상기 차량 상황 정보 표시 화상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로 취득한 후방 시야 화상 정보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는 작업 레버는, 적어도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작업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20040095733A 2003-11-28 2004-11-22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1058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8490A JP4569739B2 (ja) 2003-11-28 2003-11-28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JP-P-2003-00398490 200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349A true KR20050052349A (ko) 2005-06-02
KR101058463B1 KR101058463B1 (ko) 2011-08-24

Family

ID=3472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733A KR101058463B1 (ko) 2003-11-28 2004-11-22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69739B2 (ko)
KR (1) KR101058463B1 (ko)
CN (1) CN16216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20160146698A (ko) * 2014-04-25 2016-12-21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122A (ja) * 2006-06-30 2008-01-17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
JP4885833B2 (ja) * 2007-12-10 2012-02-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1078341B1 (ko) * 2009-02-12 2011-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후방 감시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
CN103635637B (zh) * 2011-05-13 2015-11-25 日立建机株式会社 液压挖掘机的后方视野显示装置
JP5844767B2 (ja) 2013-04-11 2016-0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建設機械
CN103313033A (zh) * 2013-05-14 2013-09-18 浙江大学 工程机械远程及本地视频监控车载装置
WO2015163382A1 (ja) 2014-04-25 2015-10-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及び建設機械の制御方法
JP6621429B2 (ja) * 2017-02-15 2019-12-18 日立建機株式会社 転圧車両
CN106888370A (zh) * 2017-03-31 2017-06-23 江苏大学 一种基于嵌入式与物联网技术的联合收割机视频监控系统
CN107190802A (zh) * 2017-05-31 2017-09-22 成都跟驰科技有限公司 基于人体动作控制的起重机臂架指挥装置
JP7151392B2 (ja) * 2018-11-07 2022-10-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遠隔操作装置
CN109555850A (zh) * 2018-12-17 2019-04-02 洛阳市黄河软轴控制器股份有限公司 装载机档位显示系统
JP2021001472A (ja) * 2019-06-21 2021-01-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建設機械用操縦支援システム、建設機械用操縦支援方法、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26Y2 (ko) * 1987-06-30 1993-05-31
JPH09209418A (ja) * 1996-02-01 1997-08-12 Yanmar Diesel Engine Co Ltd 電子制御式バックホーの動作選択装置及び方法
JP3760055B2 (ja) * 1998-10-26 2006-03-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駆動制御装置
JP2000209575A (ja) 1999-01-11 2000-07-28 Star Micronics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2301953A (ja) * 2001-01-26 2002-10-15 Komatsu Ltd 車両の表示装置
JP2002275949A (ja) * 2001-03-14 2002-09-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JP4567914B2 (ja) * 2001-06-15 2010-10-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4093915B2 (ja) * 2003-05-23 2008-06-04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モニ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20160146698A (ko) * 2014-04-25 2016-12-21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69739B2 (ja) 2010-10-27
JP2005155274A (ja) 2005-06-16
KR101058463B1 (ko) 2011-08-24
CN1621628A (zh) 2005-06-01
CN1621628B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462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105846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100639272B1 (ko) 건설 기계의 화상 표시 장치
US7605692B2 (en) Indicator control system with camera section
KR10113425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US8847745B2 (en) Display system for working machine
WO2016158539A1 (ja) ショベル
KR102522714B1 (ko) 쇼벨
US7772969B2 (en)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KR20050033457A (ko) 건설기계의 표시 장치
JP453527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7466337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29831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KR10233345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KR20210152559A (ko) 작업 기계
KR20140116028A (ko) 휠식 작업 기계
JP3644847B2 (ja) 作業機
US20240159020A1 (en)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System, Work Machine Display System, Work Machine,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Program
WO2022176654A1 (ja)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CN116888330A (zh) 工程机械
JPH0377112A (ja) 操作レバーの中立自己診断装置
JP2000328609A (ja) 作業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