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600A -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600A
KR20050051600A KR1020050030214A KR20050030214A KR20050051600A KR 20050051600 A KR20050051600 A KR 20050051600A KR 1020050030214 A KR1020050030214 A KR 1020050030214A KR 20050030214 A KR20050030214 A KR 20050030214A KR 20050051600 A KR20050051600 A KR 2005005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time
signal
relief
cent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석
Original Assignee
와이즈임베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임베드(주) filed Critical 와이즈임베드(주)
Priority to KR102005003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600A/ko
Publication of KR2005005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600A/ko
Priority to KR20050128807A priority patent/KR100720924B1/ko
Priority to PCT/KR2006/001326 priority patent/WO2006109981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26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optical details, e.g. lenses, mirrors or multiple lenses
    • G08B13/19628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optical details, e.g. lenses, mirrors or multiple lenses of wide angled cameras and camera groups, e.g. omni-directional cameras, fish eye, single units having multiple cameras achieving a wide angle vie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주거자의 생활 행동 패턴으로서 주거자가 공간에 존재하는 시간대 및 공간 명암의 시간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촬영수단으로 얻은 촬영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다른 경우에,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처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분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구호통보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가 간단하고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에 촬영수단을 향하는 것만으로 이상 발생시에는 통보처에 확실하게 통보를 할 수 있는 효과와, 부재시에 불필요한 통보신호가 통보처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내에서 이상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출력수단에 의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인하여, 독거 노인이라던가 노약자, 허약자 등의 가정내 조난을 막을 수 있는 효과와 방범기능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omitted}
본 발명은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거 노인 등의 생활 상태를 감시하여 어떤 이상(가정내 조난)이 발생한 경우에, 통신수단을 통해 소정의 연락처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자동적으로 통보하는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독거 노인용 구호통보장치로는 주거 내에 설치된 긴급연락용 버튼이나 노인이 몸에 지닌 펜던트의 버튼을 조작하여 미리 설정한 연락처에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를 하는 방식이였다. 그러나 이것은 주거자인 노인이 이상을 자각하여 버튼 조작을 하지 않으면 전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실제로는 긴급시에 통보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량된 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11282호는, 텔레비전, 수도 꼭지, 가스렌지, 문 손잡이 등 주거자의 생활 행동을 검출할 수 있는 부위에 센서를 설치하고, 미리 설정한 시간 내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주거자의 생활 행동에 어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미리 지정된 통보처에 자동으로 통보를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위 공개특허공보의 구호통보장치는, 피감시자 자신의 의식에 의하지 않고 생활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에 의해 긴급시에 바르게 통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장치를 가동시키는 데에 있어서 텔레비전이나 문 손잡이 등 기존 시설에 손을 대는 것은 어렵고, 또한 각 센서에서 장치 본체에 이르는 배선도 필요해져 그 설비가 대규모가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치가 간단하며 또한 이상 발생시에는 통보처에 확실하게 통보할 수 있는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주거자의 생활 행동 패턴으로서 주거자가 공간에 존재하는 시간대 및 공간 명암의 시간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촬영수단으로 얻은 촬영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다른 경우에,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처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분석수단으로 구성된 구호통보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주거자 부재시에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감시분석수단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고 촬영정보에 의해 움직임을 검지한 경우에는,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구호통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 긴급호출, 전언, 주문, 외출 및 취소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방식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기억수단은 터치패널이나 누름식 버튼에 의해 상기 호출, 긴급호출, 전언, 주문, 외출 및 취소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하는 구호통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활 행동 패턴을 패턴기억부에 저장시키는 과정; 외출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외출 모드가 아닌 경우, 리듬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패턴기억부에 저정된 생활 행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외출 모드인 경우, 외출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부재시에는 발생할 수 없는 정보인 경우에는 불법 침입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센터서버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구호통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활 행동 패턴을 패턴기억부에 저장시키는 과정;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기억장치의 데이터부에 기억시키는 과정; 외출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외출 모드가 아닌 경우, 리듬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패턴기억부에 저정된 생활 행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또는, 정각확인수단은 현재 시간과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판단하여 일치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여 그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시에도 확인 신호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외출 모드인 경우, 외출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부재시에는 발생할 수 없는 정보인 경우에는 불법침입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센터서버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시간, 투약시간, 운동시간 등의 생활 행동 패턴을 미리 패턴기억부에 입력 저장시키는 과정; 음성 메시지나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기억장치의 데이터부에 기억시키는 과정; 정각확인수단이 현재 시간과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비교하여 일치시에는 음성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를 출력시키는 과정; 및 확인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센터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구호통보방법을 제공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구호통보장치(1)의 정면도와 좌측면도로서, 부호2는 장치의 본체 외곽을 이루는 직사각형 외장체, 부호3은 표면에 투명한 터치패널을 설치한 표시수단으로서, 외장체(2)의 정면에 형성된 창구멍(4)에 접하여 설치된 LCD(액정디스플레이)이다. 상기 외장체(2)의 정면 상부에는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예컨대 거실)으로 향해진 촬영수단으로서의 광각카메라(5)가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이 광각카메라(5)는 낮은 조도라도 거실 내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거실의 여러 방향(상하 좌우)을 촬영할 수 있도록 외장체(2)의 내부에 설치된 선회대(6) 위에 탑재되어 있다.
부호7은 음성입력수단으로서의 집음마이크로서 주거자를 포함한 거실 내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또, 여기에 나타낸 집음마이크(7)는 케이블(8)에 의해 외장체(2)와 이격 설치되고, 높은 음량이라도 하울링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외장체(2)와 일체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영정보와 집음마이크(7)로부터의 음성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2)에 취입되어 리얼타임으로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9는 음성출력수단으로서의 스피커로, 이는 외장체(2)의 하부에 배치되고 주거자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외장체(2)의 내부에는 전원부(11)와 제어부(12)가 각각 배치된다. 전원부(11)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LCD(3)나 광각카메라(5)나 제어부(12) 등의 각 부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수단에 해당되는 제어부(12)는 LCD(3)의 후방에 있고,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영정보와 집음마이크(7)로부터의 음성정보를 항시 취입하여 감시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12)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부호 15는 주거자인 노인이 휴대하는 예컨대 목에 거는 식의 펜던트이다. 이 펜던트(15)는 외장체(2)와 비연결상태로 설치되고, 이 펜던트(15)에 설치된 긴급버튼(16)을 조작하면, 무선에 의한 긴급호출신호가 외장체(2)로 향해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상기 구호통보장치(1)를 통신수단인 인터넷망(18)에 접속하는 단말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있는 구호시스템은 하나 내지 복수개의 구호통보장치(1)와 센터장치인 센터서버(21)를 인터넷망(18)에서 서로 접속시킴으로써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감시자 또는 헬퍼(도우미) 자택 등에 설치된 하나 내지 복수개의 통보처단말기(31)가 이것에 부가된다. 구호통보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2)로부터 인터넷망(18)을 통해 통보신호나 경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통보신호나 경보신호의 통보처가 되는 것은 센터서버(21)나 통보처단말기(31)이다.
센터서버(21)는 이른바 퍼스널 컴퓨터 형태를 가지며, 주지된 바와 같이 조작수단인 키보드(24)나 마우스(25), 표시수단인 TV 모니터(26) 및 인터넷망(18)에 접속 가능한 모뎀을 내장한 제어본체(27)로 구성된다. 물론, 다른 형태로 센터장치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구호통보장치(1)와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으로는 인터넷망(18) 이외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보처단말기(31)는 본체 외곽을 이루는 직사각형 외장체(32)에 투명한 터치패널을 표면에 설치한 표시수단으로서의 LCD(33), 선회 가능한 촬영수단으로서의 광각카메라(35) 및 음성출력수단인 스피커(39)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부는 구호통보장치(1)의 LCD(3), 광각카메라(5) 및 스피커(9)와 같은 부품을 사용하고 있다. 단, 여기에서의 통보처단말기(31)는 구호통보장치(1)와의 화상 및 음성에 의한 통화(화상 전화)를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호통보장치(1)와 같은 집음마이크(7)가 아니라 통화 기능을 갖는 전화기(37)가 대신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피관찰자인 노인의 생활 공간에 놓여 있는 구호통보장치(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부호 41은 상기 제어부(12)에 설치된 처리장치로, 이 처리장치(41)에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서 광각카메라(5)나 상기 인터넷망(18)으로 연결되는 LAN(Local Area Network: 40)을 통해 송신되는 화상정보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42), 집음마이크(7)나 LAN(40)을 통해 송신되어 온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43),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정보를 통보처인 통보처단말기(31)에 LAN(40) 및 인터넷망(18)을 통해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화상출력부(44), 스피커(9)에 적절한 음량으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제어부(45), 광각카메라(5)를 탑재한 선회대(6)에 동작신호를 공급하여 광각카메라(5)를 임의의 방향으로 돌리는 카메라제어부(46), 필요에 따라 LCD(3)에 적절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LCD 제어부(47), 처리장치(41)를 소정 순서로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주거자의 생활 행동 패턴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48), 통보처단말기(31)와의 통화를 확립하기 위한 통화제어부(49) 및, 부호화/복호화수단을 포함한 LAN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또한, 처리장치(41)에는 LCD(3)의 표면에 있는 터치패널(52)과 상기 와이어리스식 펜던트(15)로부터의 긴급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3)를 구비한 무선수신부(54)가 각각 접속되어, 터치패널(52)로부터의 조작신호와 무선수신부(54)로부터의 긴급호출신호를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처리장치(41)의 특히 기능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부호 61은 이 노인이 감시 대상이 되는 거실에 존재하는 시간대나, 특히 야간에 노인이 거실에서 조명을 점소등하는 시간대 등 노인의 생활 행동 패턴을 기억하는 패턴기억부이다. 이 패턴기억부(61)는 상기 기억장치(48)의 데이터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미리 터치패널(52) 등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개개의 생활 행동 패턴이 기억 저장되어 있다. 부호 62는 광각카메라(5)로 얻은 촬영정보를 해석하여 인간의 존재 및 조명 상태를 시시각각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기억수단인 패턴기억부(61)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크게 다른 경우에, 인터넷망(18)을 통해 통보처인 센터서버(21)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분석수단으로서의 리듬감시수단이다. 이 리듬감시수단(62)은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영정보 뿐아니라 집음마이크(7)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도 해석하고, 예컨대 패턴기억부(61)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에서는 노인이 거실에 존재하지 않는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통상보다 큰 음성레벨이나 특이한 주파수대의 음성정보(예컨대, 외침 소리나 유리가 깨지는 소리 등)가 집음마이크(7)에서 출력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부호 63은 호출수단으로, 이는 터치패널(52)에 설치된 호출용 조작부에 접촉하면 작동하여, 인터넷망(18)을 통해 센터서버(21)에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센터서버(21)와 접속되어 등록되어 있는 전임담임자 또는 헬퍼(도우미) 자택의 통보처단말기(31)와 쌍방향의 화상/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때의 집음마이크(7)의 감도나 스피커(9)의 출력 음량은 미리 기억장치(48)에 등록한 레벨로 설정된다. 단, 이러한 집음마이크(7)의 감도나 스피커(9)의 출력 음량의 설정 레벨은 상대방 상황에 따라 센터서버(21)측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 64는 긴급호출수단으로, 이는 상기 펜던트(15)에 설치된 긴급버튼(16)을 가압 조작하거나 터치패널(52)에 설치된 긴급호출용 조작부에 접촉하면 작동하여, 인터넷망(18)을 통해 통보처인 센터서버(21)에 긴급호출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센터서버(21)는 다른 복수개의 구호통보장치(1)로부터 호출신호가 중복되게 송신되었어도, TV 모니터(26) 등에 최우선으로 통지를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센터서버(21)측에서는 긴급시 호출에 최우선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긴급 호출시에는 집음마이크(7)의 감도나 스피커(9)의 출력 음량은 모두 최대 레벨로 설정된다. 센터서버(21)는 긴급호출신호의 발신처(노인)를 특정하여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등록자 정보로부터 긴급연락처나 의사 등의 환자 정보를 취득하여 이것을 TV 모니터(26)에 표시한다.
부호 65는 예컨대 케어센터 등으로의 숙박 등 장기 외출시에 터치패널(52)에 설치된 외출용 조작부에 접촉하면, 이 외출용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받아 리듬감시수단(62)에 의한 생활 행동 패턴의 감시동작을 정지시키고, 조작신호를 접수하고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영정보에 의해 화상의 부분적인 변화를 검지한 경우나, 부재시에는 있을 수 없는 큰 음성 레벨이나 특이한 주파수대의 음성정보가 집음마이크(7)에서 출력된 경우에, 인터넷망(18)을 통해 통보처인 센터서버(21)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서의 외출감시수단이다. 또, 조작신호를 접수하고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광각카메라(5)나 집음마이크(7)로부터의 감시를 수행하는 이유는, 바로 감시를 시작하면 주거자 자신을 감지하여 경보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으로,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검지 오류 없이 확실하게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부호 66은 미리 기억장치(48)에 설정한 시간(예컨대, 매일 오전 8:00)이 되면, LCD(3)에 인물이 찍히면서 스피커(9)로부터의 음성메세지(예컨대, 「안녕하세요. 몸은 어때요? 확인버튼을 눌러 주세요」등)로 터치패널(52)의 안부 확인용 조작부에 입력을 재촉하는 동시에,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안부 확인용 조작부에서 조작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넷망(18)을 통해 통보처인 센터서버(21)에 안부 불명 신호를 출력하는 정각(定刻)확인수단(66)이다.
부호 67은 센터서버(21)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정형문(예컨대, 「괜찮습니다」, 「용건이 있습니다. 집으로 와 주세요」, 「전화 주세요」 등)을 지정하여 동일하게 센터서버(21)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가족, 친척이나 지인 등의 연락처에 원터치로 송신하기 위한 메일송신수단이다. 이 메일송신수단(67)은 그 밖에 식사나 물품 등의 주문을 할 때에도 사용하는 것이다.
부호 68은 터치패널(52)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나 각종 바이탈(혈압 등)에 관한 건강정보를 입력하면, 이 건강정보를 센터서버(21)에 송신하는 바이탈송신수단이다. 센터서버(21)는 각 구호통보장치(1)에서 송신되는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등록자인 노인 개개인의 건강상태 추이를 감시한다. 또, 본 실시예의 바이탈송신수단(68)은 헬퍼(도우미) 등이 노인 자택을 순회한 시점에서 건강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미리 이용자와 패스워드가 관련되어 등록되고,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한 이용자 이름과 패스워드가 일치한 경우에만 건강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이 부주의로 건강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노인의 가정내 조난을 막는 각 기능의 동작에 대해서 도6에 나타낸 흐름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노인이 생활 공간으로 하고 있는 거실 등에서 인터넷망(18)에 항시 접속으로 연결된 LAN(40)에 구호통보장치(1)를 접속시키고, 이 구호통보장치(1)에 설치된 전원코드(도시 생략)를 교류 콘센트에 꽂으면, 전원부(11)로부터 구호통보장치(1)의 각부에 소정의 동작전압이 공급되어 제어부(12)가 기동한다. 여기서 단계 S1에서, 예컨대 터치패널(52)을 이용하여 하루 중에서 노인이 거실에 있는 시간대나 야간에 노인이 거실의 조명을 점소등하는 시간 등을 노인의 생활 행동 패턴으로 입력하면, 리듬감시수단(62)은 이 입력된 생활 행동 패턴을 패턴기억부(61)에 기억시킨다(단계 S2). 또한, 단계 S3에서, 정각확인수단(66)에 의한 음성메세지의 출력시간을 터치패널(52)을 통해 입력하면, 정각확인수단(66)은 그 시간을 기억장치(48)의 데이터영역에 기억시킨다(단계 S4).
상기 단계 S1 ~ 단계 S4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구호통보장치(1)의 처리장치(41)는 후술하는 외출버튼(75) 조작에 의해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단계 S5에서 판단한다. 외출 모드가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관찰자인 노인이 가옥 내에 있는 것으로 하고 리듬감시수단(62)이 작동하여, 단계 S6 ~ 단계 S9의 각 순서가 처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듬감시수단(62)은 일정 시간마다 광각카메라(5)의 촬영각도를 움직이면서 구호통보장치(1)를 설치한 방의 인간의 존재 및 조명 상태를 촬영정보로 입력하여 항상 감시한다. 그리고, 단계 S6에서 이 감시 결과가 패턴기억부(61)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 센터서버(21)에 통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7). 또한, 여기에서의 리듬감시수단(62)은 집음마이크(7)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도 해석하여, 패턴기억부(61)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음성 레벨의 음성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도 센터서버(21)에 동일한 통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 S8에서는, 내장된 타이머로 시간을 계측한 현재 시각이 기억장치(48)에 기억된 메시지의 출력 시간(예컨대 오전 8:00)과 일치했는지의 여부를 정각확인수단(66)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시각이 메시지의 출력 시간과 일치한다면 단계 S9에서 스피커(9)에서 음성메세지를 출력한다. 도 12는 이 때 LCD(3)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데, 안부 확인용 조작부인 확인버튼(77)과 이 확인버튼(77)의 입력을 재촉하는 메시지부(78)가 동일한 LCD(3)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그와 동시에 정각확인수단(66)은 예컨대 「안녕하세요. 확인버튼을 눌러 주세요」와 같은 음성안내를 스피커(9)에서 출력시킨다. 정각확인수단(66)은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응답이 없어 확인버튼(77)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센터서버(21)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통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만일 리듬감시수단(62)에 의한 생활 행동 패턴의 감시에서 이상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도, 정각확인수단(66)에 의한 매일의 안부 확인에 의해 노인 등의 가정내 조난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통보신호를 수취한 센터서버(21)는 통보신호의 발신처인 구호통보장치(1)의 광각카메라(5)로 출상정보를 취득하여 TV 모니터(26)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통보를 받은 방의 모습을 센터서버(21)측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센터서버(21)는 피관찰자의 구호통보장치(1)와 전임담임자 또는 헬퍼(도우미) 자택의 통보처단말기(31)를 관련짓는 등록자 정보를 기억수단(도시 생략)에 기억시키고 있고, 이 등록자 정보를 기초로 통보신호를 발신한 피관찰자의 구호통보장치(1)와 특정한 통보처단말기(31)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등록자 정보에는 연락처의 메일주소도 포함되어 있어, 통보신호를 받아 지정된 가족들에게 통보가 있었다는 메일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5에서 외출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리듬감시수단(62) 대신에 외출감시수단(65)이 일정 시간 후에 작동하여, 광각카메라(5)나 집음마이크(7)에 의한 불법 침입 감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외출감시수단(65)은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영정보에 의해 화상의 부분적 변화를 검지한 경우나, 부재시에는 있을 수 없는 큰 음성 레벨이나 특이한 주파수대의 음성정보를 집음마이크(7)로 취득한 경우에, 스피커(9)에서 확인 음성을 출력하는 동시에, 인터넷망(18)을 통해 센터서버(21)에 불법 침입이 발생했다는 경보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2). 센터서버(21)는 구호통보장치(1)의 광각카메라(5)를 원격 조작하여, 실내 상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필요한 조치를 바로 강구한다. 또, 외출모드 설정시에는, 피관찰자가 부재이므로 정각확인수단(66)에 의한 안부 확인을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6에 나타낸 일련의 동작에서 센터서버(21)나 통보처단말기(31)는 임의로 노인 자택의 구호통보장치(1)에 접속시켜 상황 파악 및 음성 및 영상에 의한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전화나 휴대전화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구호통보장치(1)의 광각카메라(5)를 촬영 방향 등으로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도13은 화상 전화 기능을 이용한 통화중인 LCD(3)를 나타내는 것으로, 부호 81은 구호통보장치(1)의 광각카메라(5)로 취득한 화상의 표시부, 부호 82는 통보처단말기(31)의 광각카메라(35)로 취득한 화상의 표시부이다. 또, 통화를 중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중지용 조작부인 중지하는 버튼(83)을 누르면 된다.
도7은 LCD(3)에 표시된 톱 메뉴의 일 형태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LCD(3)의 표면 상에 있는 터치패널(52)을 누름으로써, 처리장치(41)의 여러 가지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는, LCD(3)의 표시 기능과 조합하여 호출버튼(71), 긴급호출버튼(72), 전언버튼(73), 주문버튼(74), 외출버튼(75), 바이탈입력버튼(7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호출용 조작부인 호출버튼(71)을 누르면, 처리장치(41)의 호출수단(63)이 작동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호출중임을 나타내는 표시가 LCD(3)에 표시된다. 그와 동시에 호출수단(63)은 예컨대 「호출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와 같은 음성안내를 스피커(9)에서 출력시킨다. 또, 부호 79는 호출중인 표시화면에서 표시되는 취소버튼으로, 이 취소버튼(79)을 누르면 센터서버(21)로의 호출동작이 중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서버(21)로의 호출이 완료되면, 이 센터서버(21)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등록자 정보로부터 호출을 받은 노인의 전임담임자 또는 헬퍼(도우미) 자택의 통보처단말기(31)를 특정하여, 이 통보처단말기(31)와 구호통보장치(1)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나중에는 구호통보장치(1)와 통보처단말기(31) 사이에서 화상 전화에 의한 통화가 가능해진다. 도13은 이러한 통화중의 일례를 나타내는 LCD(3)의 표시화면이다.
한편, 도9는 상기 전언버튼(73)을 조작한 후의 LCD(3)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여기서는 어떤 요망이 있는지를 선택하는 요망 선택수단으로서, 용건버튼(85), 전언버튼(86), 긴급용건버튼(87), 주문버튼(88), 기타버튼(89)이 설치되는 동시에, 요망을 취소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취소조작수단으로서의 중지하는 버튼(90)이 설치된다. 또한, 이 표시와 동시에 메일송신수단(67)은 예컨대 「희망하는 내용을 눌러 주세요」와 같은 음성안내를 스피커(9)에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노인이 상기 전언버튼(73) 등을 눌러 호출을 요구하면, 센터서버(21)로부터 인터넷망(18)을 통해 어떤 요망이 있는지를 구호통보장치(1)의 LCD(3) 상에서 문의한다. 노인은 상기 요망 선택수단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센터서버(21)에 간단히 요망을 전달할 수 있다.
도10은 상기 용건버튼(85)을 가압 조작했을 때에 표시되는 LCD(3)의 표시화면이다. 여기서는 접속처 즉 통지처를 특정하기 위한 접속처 선택수단으로서 가족버튼(91), 지인버튼(92) 및 친척버튼(93)이 설치되는 동시에, 접속처의 선택을 취소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취소조작수단으로서의 중지하는 버튼(90)이 설치된다. 또한, 이 표시와 동시에 메일송신수단(67)은 예컨대 「통지처를 눌러 주세요」와 같은 음성안내를 스피커(9)에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노인이 어떤 요망인지를 예컨대 용건버튼(85)을 눌러 특정하면, 센터서버(21)로부터 인터넷망(18)을 통해 그 요망을 누구에게 전달할지를 구호통보장치(1)의 LCD(3) 상에서 문의한다. 노인은 상기 접속처 선택수단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센터서버(21)에 간단히 접속처를 전달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가족버튼(91)을 가압 조작했을 때에 표시되는 LCD(3)의 표시화면이다. 이 경우, 가족에게 어떤 용건을 알리고 싶은지를 특정하는 용건 선택수단으로서 「전화를 주세요」라고 표시된 제1버튼(95), 「용건이 있으므로 바로 와 주세요」라고 표시된 제2버튼(96), 「용건이 있으므로 오늘 와 주세요」라고 표시된 제3버튼(97) 및 「용건이 있으므로 내일 와 주세요」라고 표시된 제4버튼(98)이 설치된다. 또한, 이 표시와 동시에 메일송신수단(67)은 예컨대 「통지하고 싶은 것을 눌러 주세요」와 같은 음성안내를 스피커(9)에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노인이 누구에게 연락하고 싶은지를 예컨대 가족버튼(91)을 눌러 특정하면, 센터서버(21)로부터 인터넷망(18)을 통해 어떤 용건을 전달하고 싶은지를 구호통보장치(1)의 LCD(3) 상에서 문의한다. 노인은 상기 용건 선택수단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센터서버(21)에 간단히 접속처를 전달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접속처(연락처)나 용건의 내용은 센터서버(21)에 미리 등록되어 있어, 구호통보장치(1)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그 때마다 판독되어 LCD(3) 상에 표시되도록 되어있는데, 구호통보장치(1)에 등록하여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컨대 제1버튼(95)을 누르면, 메일송신수단(67)으로부터 센터서버(21)를 통해 가족의 메일주소에 「전화를 주세요」라는 메일을 자동 전송한다. 또, 동일한 내용을 메일이 아니라 전화로 직접 통지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도7에 나타낸 톱 메뉴의 화면에서 긴급호출버튼(72)을 조작하면, 긴급호출수단(64)에 의해 센터서버(21)에 긴급호출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 긴급호출신호는 노인이 휴대하는 펜던트(15)에 설치된 긴급버튼(16)을 누르는 것으로도 동일하게 출력된다. 이 경우에 센터서버(21)는 다른 복수개의 구호통보장치(1)로부터 호출신호가 중복되게 송신되었어도, 긴급호출신호를 받은 구호통보장치(1)와의 접속을 최우선으로 하여 광각카메라(5)로부터의 촬상정보나 집음마이크(7)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취득한다. 센터서버(21)의 TV 모니터(26)에는 긴급호출신호의 발신처(노인)에 관련하여 긴급연락처나 의사 등의 환자 정보가 표시되므로, 바로 전화 연락을 취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구호통보장치(1)는 주거자(노인 등)가 출입하는 공간(거실 등)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의 광각카메라(5), 주거자의 생활 행동 패턴으로서 주거자가 공간에 존재하는 시간대 및 공간 명암의 시간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패턴기억부(61) 및 광각카메라(5)로 얻은 촬영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패턴기억부(61)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다른 경우에, 통신수단인 인터넷망(18)이나 LAN(40)을 통해 통보처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분석수단으로서의 리듬감시수단(6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으로서 예컨대 노인이 평소 사용하는 거실의 모습이 광각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한편, 하루 중에서 노인이 거실에 존재하는 시간대와 야간 조명의 점소등에 따른 거실 명암의 시간대가 미리 패턴기억부(61)에 기억 등록된다. 그리고, 만일 노인이 거실에 존재하는 시간대임에 불구하고 광각카메라(5)로 취득하는 촬영정보 중에 노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나, 야간에 조명이 점등되어 있는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촬영정보에서는 조명이 점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노인이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되었거나 하는 어떤 이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보처에 통보신호가 자동적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으로 광각카메라(5)를 향하는 것만으로 주거자가 평소의 생활 행동 패턴을 일탈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통보처에 통보를 할 수 있어 주거자의 가정내 조난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주거자 부재시에 조작하는 조작수단으로서의 외출버튼(75) 및, 이 외출버튼(75)으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리듬감시수단(62)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고 광각카메라(5)에 의해 움직임을 검지한 경우에는, 인터넷망(18)이나 LAN(40)을 통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서의 외출감시수단(65)을 구비하고 있다.
외출 등으로 노인이 거실에서 잠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부재임을 전달하기 위해서 외출버튼(75)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리듬감시수단(62)에 의한 동작이 정지되므로, 부재시에 불필요한 통보신호가 통보처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재시에 거실에서 이상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움직임을 광각카메라(5)가 포착하여 외출감시수단(65)에 의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장치를 가정내 조난의 감시기능으로서 뿐아니라 방범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에게 의사나 본인이 입력해 놓은 시간에 맞추어서 본인들이 해야 할 일을 고지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기상시간, 투약시간, 운동시간 등의 생활 행동 패턴을 미리 패턴기억부에 입력 저장시킨 후, 음성 메시지나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기억장치의 데이터부에 기억시킨다. 정각확인수단은 현재 시간과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비교하여 일치시에는 음성 메시지(예컨대, 「일어나세요. 기상시간입니다 」, 「약을 먹을 시간입니다 」, 「현재 몇시 몇분입니다. 지금부터 20분간 걷기 운동시간이오니 운동해 주세요 」등의 음성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알람 소리는 특정의 알람 소리로 상호간 약속하에 출력함으로써 의사 확인을 할 수 있다(예컨대, 알람 1회는 투약시간, 알람 2회는 운동시간 등).
환자가 음성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를 듣고 그 기능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다음 버튼을 눌러서 또는 통화를 통해 센터서버에 보내면 센터서버는 해당 환자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LCD(3)에 표시되는 내용은 도7 ~ 도13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터치패널(52)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누름버튼식 스위치에 의해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가 간단하고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에 촬영수단을 향하는 것만으로 이상 발생시에는 통보처에 확실하게 통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시에 불필요한 통보신호가 통보처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내에서 이상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출력수단에 의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독거 노인이라던가 노약자, 허약자 등의 가정내 조난을 막을 수 있는 효과와 방범기능의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호통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구호통보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3은 구호통보장치를 포함한 구호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는 구호통보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구호통보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6은 구호통보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구호통보장치의 톱 메뉴의 일 형태를 나타낸 LCD의 정면도이다.
도8은 센터서버로의 호출 중일 때에 표시되는 LCD의 정면도이다.
도9는 센터서버로의 호출이 완료되었을 때 표시되는 LCD의 정면도이다.
도10 및 도11은 용건버튼을 가압 조작했을 때에 표시되는 LCD의 정면도이다.
도12는 현재 시각이 메시지의 출력 시간과 일치한 시점에서의 LCD의 정면도이다.
도13은 화상 전화 기능을 이용한 통화중인 LCD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
1 : 구호통보장치 2, 32 : 외장체
3, 33 : LCD 4 : 창구멍
5, 35 : 광각카메라 6 : 선회대
7 : 집음마이크 8 : 케이블
9, 39 : 스피커 11 : 전원부
12 : 제어부 15 : 펜던트
16 : 긴급버튼 18: 인터넷망(통신수단)
21 : 센터서버 24 : 키보드
25 : 마우스 26 : TV 모니터
27 : 제어본체 31 : 통보처단말기
37 : 전화기 40: LAN
41 : 처리장치 42 : 화상처리부
43 : 음성처리부 44 : 화상출력부
45 : 음성제어부 46 : 카메라제어부
47 : LCD 제어부 48 : 기억장치
49 : 통화제어부 50 : LAN 제어부
52 : 터치패널 53 : 안테나
54 : 무선수신부 61: 패턴기억부
62: 리듬감시수단 63 : 호출수단
64 : 긴급호출수단 65 : 외출감시수단
66 : 정각확인수단 67 : 메일송신수단
68 : 바이탈송신수단 71 : 호출버튼
72 : 긴급호출버튼 73 : 전언버튼
74 : 주문버튼 75 : 외출버튼
76 : 바이탈입력버튼 77 : 확인버튼
78 : 메시지부 79 : 취소버튼
81, 82 : 표시부 83, 90 : 중지 버튼
85 : 용건버튼 86 : 전언버튼
87 : 긴급용건버튼 88 : 주문버튼
89 : 기타 버튼 91 : 가족버튼
92 : 지인버튼 93 : 친척버튼
95 ~ 98 : 제1버튼 ~ 제4버튼

Claims (6)

  1. 구호통보장치에 있어서,
    주거자가 출입하는 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주거자의 생활 행동 패턴으로서 주거자가 공간에 존재하는 시간대 및 공간 명암의 시간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촬영수단으로 얻은 촬영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기억수단에 기억된 생활 행동 패턴과 다른 경우에,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처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감시분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호통보장치.
  2. 구호통보장치에 있어서,
    주거자 부재시에 조작하는 조작수단; 및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조작신호를 수취하면 감시분석수단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촬영정보에 의해 움직임을 검지한 경우에는, 통신수단을 통해 통보처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장치.
  3. 구호통보장치에 있어서,
    호출, 긴급호출, 전언, 주문, 외출 및 취소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방식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터치패널이나 누름식 버튼에 의해 상기 호출, 긴급호출, 전언, 주문, 외출 및 취소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장치.
  4. 구호통보방법에 있어서,
    생활 행동 패턴을 패턴기억부에 저장시키는 과정;
    외출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외출 모드가 아닌 경우, 리듬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패턴기억부에 저정된 생활 행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외출 모드인 경우, 외출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부재시에는 발생할 수 없는 정보인 경우에는 불법 침입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센터서버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방법.
  5. 구호통보방법에 있어서,
    생활 행동 패턴을 패턴기억부에 저장시키는 과정;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기억장치의 데이터부에 기억시키는 과정;
    외출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외출 모드가 아닌 경우, 리듬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패턴기억부에 저정된 생활 행동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또는, 정각확인수단은 현재 시간과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판단하여 일치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여 그 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시에도 확인 신호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센터서버에 통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외출 모드인 경우, 외출감시수단은 광각카메라나 집음마이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부재시에는 발생할 수 없는 정보인 경우에는 불법 침입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센터서버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방법.
  6. 구호통보방법에 있어서,
    기상시간, 투약시간, 운동시간 등의 생활 행동 패턴을 미리 패턴기억부에 입력 저장시키는 과정;
    음성 메시지나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기억장치의 데이터부에 기억시키는 과정;
    정각확인수단이 현재 시간과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의 출력시간을 비교하여 일치시에는 음성 메시지 또는 알람 소리를 출력시키는 과정; 및
    확인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센터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호통보방법.
KR1020050030214A 2005-04-12 2005-04-12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KR20050051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14A KR20050051600A (ko) 2005-04-12 2005-04-12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KR20050128807A KR100720924B1 (ko) 2005-04-12 2005-12-23 구호통보장치
PCT/KR2006/001326 WO2006109981A1 (en) 2005-04-12 2006-04-11 Rescue notif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14A KR20050051600A (ko) 2005-04-12 2005-04-12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00A true KR20050051600A (ko) 2005-06-01

Family

ID=3710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214A KR20050051600A (ko) 2005-04-12 2005-04-12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4295B (en) Monitoring system
JP2006260524A (ja) 介護通報装置
CN104883961B (zh) 便于健康和安全管理的方法和设备
US73075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resident during an emergency within a monitored area having a plurality of residences
WO2017209094A1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0720924B1 (ko) 구호통보장치
TWI448994B (zh) 整合型安全確認系統與方法
JP3830890B2 (ja) 浴室監視装置
JP201103547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3173483A (ja) 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50051600A (ko) 구호통보장치와 그 방법
WO2017179605A1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JP6504255B2 (ja) 介護支援システム及び介護支援方法
JP4179526B2 (ja) 受話器の掛け忘れによる着信不能防止装置
JP4590726B2 (ja) 遠隔監視装置
JP6673382B2 (ja) 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1117649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132055U (ja) 薄型テレビ台
JP6946276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JP6135832B1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作動方法および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中央処理装置
JP4540462B2 (ja) 監視機能付き電源制御装置,該装置を備える電気機器,及び電気機器システム
JP2010176160A (ja) 無線連絡システム
JP2019029824A (ja) 遠隔支援システム
JP2003067494A (ja) 介護型集合住宅における介護支援システム
JP2003067874A (ja) 双方向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