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677A - 증기 밸브 - Google Patents

증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677A
KR20050050677A KR1020057007248A KR20057007248A KR20050050677A KR 20050050677 A KR20050050677 A KR 20050050677A KR 1020057007248 A KR1020057007248 A KR 1020057007248A KR 20057007248 A KR20057007248 A KR 20057007248A KR 20050050677 A KR20050050677 A KR 2005005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in steam
strainer
dispos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559B1 (ko
Inventor
후미오 오오토모
츠토무 오오이시
요시키 니이제키
요시타카 후쿠야마
히사시 마츠다
오사무 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48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07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96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769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5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10T137/7976Plural separ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10T137/8085Hollow strainer, fluid inlet and outle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34With metering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는,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21)와,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22)를 조합하여 하나의 밸브 케이싱(23)에 수용하는 증기 밸브로서, 밸브 케이싱(23) 내에 수용되어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29)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27)에,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에서의 주 증기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압력 손실의 저감화를 더욱 도모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밸브{STEAM VALVE}
본 발명은 증기 터빈 플랜트에 적용되는 증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 증기 가감 밸브)를 조합한 증기 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 터빈 플랜트에서는, 발전기로부터 보다 많은 부하(출력)를 발생시키기 위해 터빈 로터의 축에 고압 증기 터빈, 중압 증기 터빈 및 저압 증기 터빈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즉 3 케이싱의 축류형 구조가 많다.
이 3 케이싱 축류형 구조의 증기 터빈 플랜트는 고압 증기 터빈, 중압 증기 터빈, 저압 증기 터빈의 각 터빈 케이싱 내에 터빈 노즐과 터빈 블레이드를 조합한 복수의 터빈 스테이지를 터빈 로터의 축방향을 따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증기 터빈 플랜트는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로 고압 증기 터빈의 터빈 스테이지에서 팽창 작업을 수행하고, 증기가 팽창 작업을 완료한 후에, 그 증기는 보일러의 재열기(reheater)에서 재열, 즉 다시 가열된다. 그후, 재열된 증기는 중압 증기 터빈을 통해 저압 증기 터빈에 공급되며, 각각의 증기 터빈의 터빈 스테이지에서 팽창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전기를 구동하게 된다. 그런 후에, 증기는 팽창 작업을 완료한 후에 복수기(condenser)에 의해 응축되어 복수(復水)로 되고, 그 복수는 급수(給水) 가열기에 의해 재생되어 급수로서 기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 급수가 다시 보일러에 공급된다.
또한, 증기 터빈 플랜트에는, 기능 및 용도에 따라 구경이 상이한 다수의 밸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 장치 중에서, 특히, 예를 들면 보일러와 고압 증기 터빈 사이에 설치된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는 압력 16.6㎫ ~ 24.1㎫의 초고압, 온도 538℃ ~ 566℃의 초고온의 증기를 취급하기 때문에, 내압(耐壓) 구조의 초대형 밸브 장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주 증기 차단 밸브는, 기동 운전시 증기를 고압 증기 터빈에 신속하게 공급하며, 부하 차단시 신속하게 차단하는 ON-OFF 타입의 밸브이다. 또한, 예를 들면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는, 부하의 수요에 따라 밸브체를 임의의 밸브 개방도로 개방함으로써 유량을 제어하며, 부하 차단시 밸브체를 신속하게 폐쇄하는 제어 밸브 타입의 밸브이다.
종래에, 이들 주 증기 차단 밸브 및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는 고압 증기 터빈의 입구 앞의 별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주 증기 차단 밸브의 크기 및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의 크기가 초대형이기 때문에, 주 증기 차단 밸브 및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위 조합형 증기 밸브가 실현되었다. 즉,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하고 그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하나의 밸브 케이싱에 수용함으로써,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크기가 감소된 증기 밸브가 실현되었다. 조합형 증기 밸브의 구성의 일예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다.
도 30은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하나의 밸브 케이싱에 수용한 종래의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1은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하나의 밸브 케이싱에 수용한 종래의 증기 밸브에서의 주 증기류(증기의 흐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2는 도 30의 XXXII-XXX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증기 밸브(1)에서는, 주 증기 차단 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밸브 장치(2)는 주 증기류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에 상당하는 제 2 밸브 장치(3)는 주 증기류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제 1 밸브 장치(2)와 제 2 밸브 장치(3)는 하나의 밸브 케이싱(4)에 수용된다.
제 1 밸브 장치(2)는 밸브 케이싱(4)에 제 1 주 증기 입구(5) 및 제 1 주 증기 출구(6)를 갖추고 있으며, 제 1 주 증기 출구(6)는 제 2 밸브 장치(3)의 제 2 주 증기 입구(7)에 연통하고, 또한 제 1 밸브 장치(2)는 산화 스케일(oxidized scale)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8)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제 1 밸브 장치(2)는 제 1 주 증기 출구(6)측에 설치된 제 1 밸브 시트(seat)(9)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제 1 밸브체(10)와, 제 1 밸브 로드(rod)(11)를 통해 제 1 밸브체(10)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 2 밸브 장치(3)는 제 2 주 증기 출구(13)측에 설치된 제 2 밸브 시트(14)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며 슬리브(15)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제 2 밸브체(16)와, 제 2 밸브 로드(17)를 통해 제 2 밸브체(16)를 진퇴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장치(18)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기 밸브(1)에 있어서, 제 1 주 증기 입구(5)로부터 밸브 케이싱(4)에 공급된 주 증기가 도 30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미세한 구멍을 구비한 스트레이너(8)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할 때, 산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며, 그런 후에 주 증기는 제 1 밸브 로드(11)를 따라 유동하여, 제 2 밸브 장치(3)의 제 2 주 증기 출구(13)를 통해 고압 증기 터빈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증기 밸브(1)는 하나의 밸브 케이싱(4)에 제 1 밸브 장치(2)와 제 2 밸브 장치(3)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감소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증기 밸브(1)의 제 1 밸브 장치(2)는 비상시에 주 증기를 순간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 2 밸브 장치(3)는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증기 밸브(1)는 증기 터빈 플랜트의 기동 운전시, 정격 부하 운전시, 부분 부하 운전시, 및 긴급 차단 운전시의 어느 운전에서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하여 하나의 밸브 케이싱에 수용한 증기 밸브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979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하여 구성한 증기 밸브(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증기 밸브(1)는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압력 손실의 저감화이다.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낸 종래의 증기 밸브(1)에서는, 편류(drift)에 의한 2차 유동이 발생하고, 이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한다. 그후, 제 2 밸브 장치(3)로부터의 유출시에 선회류가 발생한다. 이는 증기 밸브(1)가 제 1 밸브 장치(2)의 주 증기 통로, 제 2 밸브 장치(3)의 주 증기 통로 및 하나 이상의 예각 만곡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회류로 인해 압력 손실이 더 증가되고 있었다.
이 선회류에 의거한 압력 손실은 유체 해석값, 테스트 등의 실험 데이터에 의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조합형 증기 밸브에서는, 제 1 주 증기 입구(5)로부터 공급된 주 증기는 스트레이너(8)의 입구측에서 두 유동으로 이분되어 그 표면 주위를 통과한다. 그후, 두 증기 분사류는 스트레이너(8)의 출구측에서 합류해 충돌하기 때문에, 큰 혼합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트레이너(8)를 통과하는 주 증기는 차례로 스트레이너(8)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과하기 때문에, 그 내부 공간에서의 축방향 속도 성분이 야기되고, 그에 따라 강한 2차 유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조합형 증기 밸브에 의하면, 2차 유동, 혼합 손실 등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압력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증기 밸브의 압력 손실이 1% 감소되면, 증기 터빈 플랜트의 히트 레이트(heat rate)는 0.1% 이상 증가한다고 언급되어 있고(문헌: Turbomachinery Vol. 30, No. 7), 플랜트의 열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증기 밸브에서의 압력 손실 저감화는 경시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에서의 주 증기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압력 손실의 저감화를 더욱 실현시킨 증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9a는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판이 정상 운전시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의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이고, 도 9b는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판이 비정상 운전시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의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개념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에서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부의 위치와 주 증기에서 발생하는 선회(swirl)각의 유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에서 스트레이너를 평면에 전개했을 때의 주 증기의 선회각을 나타내는 선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에서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부의 위치와 압력 손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XXI-XX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XXVI-XX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격벽을 갖춘 밸브 케이싱과 격벽을 갖추지 않은 종래의 밸브 케이싱에서의 압력 손실을 비교하는, 밸브 개방도에 대해 압력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능 및 용도가 상이한 밸브 장치를 합체한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2는 도 30의 XXXII-XXX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부는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일 수 있으며, 이 차폐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이며, 이 차폐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주 증기 박리 영역을 생성하는 안내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주 증기 박리 영역을 생성하는 안내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쇄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판은 비정상 운전시에는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 장치는 종(縱)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밸브 장치는 횡(橫)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주 증기 입구 및 주 증기 출구의 각각의 축선을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일 수 있으며, 이 차폐판은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포위하며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하는 회전 차폐판과,
상기 회전 차폐판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끼워맞춤 부재(嵌合片)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포위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을 자유롭게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해, 상기 밸브 케이싱의 밸브 덮개에 형성되는 삽입 및 인출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끼워맞춤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폐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부는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돌출편일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돌출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分流)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된 폐쇄부는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폐쇄부 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차폐판과,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차폐판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판은 스트레이너 외측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판은 스트레이너 내측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과,
단부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폐쇄부를 구비한 스트레이너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압력 회복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판 측의 반대측 위치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안내판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밸브 케이싱과 상기 스트레이너 사이에서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 로드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래크(rack)형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래크형 유로는 스트레이너의 외주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유로 구획판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판은 스트레이너의 주위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판은 스트레이너의 주위 전체 중 미리 정해진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 및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증기 밸브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장치가 스트레이너 내에 구비되고,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상기 장치는 스트레이너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한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한 압력 손실을 더욱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 및 그 참조번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 증기 차단 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밸브 장치(21)는 상류측에 배치되고,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에 상당하는 제 2 밸브 장치(22)는 주 증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 1 밸브 장치(21)와 제 2 밸브 장치(22)는 하나의 밸브 케이싱(23) 내에 수용된다.
제 1 밸브 장치(21)는 밸브 케이싱(23) 내의 제 1 주 증기 입구(24)와, 제 2 밸브 장치(22)의 제 2 주 증기 입구(26)에 연통하는 제 1 주 증기 출구(25)를 구비하고, 산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27)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제 1 밸브 장치(21)는 제 1 주 증기 출구(25)측에 배치된 제 1 밸브 시트(28)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제 1 밸브체(29)와, 제 1 밸브 로드(30)를 통해 제 1 밸브체(29)를 진퇴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장치(3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밸브체(29)를 진퇴 구동시키는 제 1 구동 장치(31)는 제 1 주 증기 입구(24)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밸브 케이싱(23)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는 밸브 케이싱(23) 내의 주 증기가 유동하는 통로의 공간이 보다 넓게 얻어져, 주 증기의 압력 손실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밸브 장치(22)는 밸브 케이싱(23)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 2 주 증기 출구(32)와, 이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에 설치된 제 2 밸브 시트(33)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며 슬리브(34)에서 슬라이딩하는 제 2 밸브체(35)와, 제 2 밸브 로드(36)를 통해 제 2 밸브체(35)를 진퇴 구동시키는 제 2 구동 장치(37)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제 1 밸브 장치(21)에 설치된 스트레이너(27)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증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내하는 미세한 관통 구멍(40)이 예를 들면 원통 등의 원통형 요소(38)의 원통형 벽(39)에 제 1 밸브 로드(30)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원통형 벽(39)의 일부, 예를 들면 제 2 밸브 장치(22)의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의 반대측 위치에 주 증기류를 막는 폐쇄부(41)가 제 1 밸브 로드(30)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기 밸브(20)에서,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와 주 증기의 압력 손실 사이의 관계를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은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와 주 증기에서 발생하는 선회각의 유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스트레이너(27)를 평면에 전개했을 때의 주 증기의 선회각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또한, 도 19는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와 압력 손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 도이다.
증기 밸브(20)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으로 설정된 스트레이너(27)의 주 증기 입구(45)측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가 0°로 규정되고, 주 증기 출구(46)측의 반대측 위치가 90°로 규정되며, 주 증기 입구(45)측의 반대측 위치가 180°로 규정되고, 주 증기 출구(46)측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가 270°로 규정되면, 폐쇄부(41)의 위치가 각각 90°와 270°일 때 주 증기의 선회류가 제로(0)라는 것을 실험으로 알았다. 도 18은 실험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점으로 표시한(plot) 선회각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각각 경계로서 기능하는 90° 위치와 270° 위치에서 주 증기의 선회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부(41)의 위치와 주 증기의 압력 손실 사이의 관계를 실험으로 조사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부(41)를 90° 위치에 배치할 때, 주 증기의 압력 손실이 최소값을 지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제 1 밸브 장치(21)의 스트레이너(27)의 원통형 벽(39)에 관통 구멍(40)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원통형 벽(39)의 나머지의 일부에서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의 반대측 위치에 폐쇄부(4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증기 밸브(20)는 원통형 벽(39)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하는 2차 유동의 유속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을 폐쇄부(41)가 막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증기 밸브(20)는 주 증기의 압력 손실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소음의 감소와 더불어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불안정한 유동에 의거한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예에서, 폐쇄부(41)는 제 2 밸브 장치(22)의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의 반대측 위치의 원통형 벽(39)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쇄부(41) 대신,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판(42)이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원통형 벽(39)상에서,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에 대향하는 원통형 벽(39)의 외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판(42)은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원통형 벽(39)의 내측에서, 제 2 주 증기 출구(32)측의 반대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원통형 벽(39)의 외측에서, 제 2 밸브 장치(22)의 제 2 주 증기 출구(32)의 반대측에, 예를 들면 날개 형상의 안내판(44)이 설치될 수 있다. 안내판(44)이 설치되면, 주 증기 박리(분리) 영역(43)이 생성되지만, 이 박리 영역은 압력 손실이 적은 영역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의 압력 손실의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절개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제 5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입구(45)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46)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23)과,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시트(47)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밸브체(48)와, 슬리브(49) 내를 슬라이딩하여 밸브체(48)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밸브 로드(50)로 구성된다.
또한, 스트레이너(2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증기 입구(45) 및 주 증기 출구(46)의 각각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쇄부(51a, 51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27)에 관통 구멍(40)이 형성되는 동시에, 주 증기 입구(45) 및 주 증기 출구(46)의 각각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에 폐쇄부(51a, 51b)가 설치되도록, 그리고 폐쇄부(51a, 51b)가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하는 2차 유동의 유속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 증기 입구(45) 및 주 증기 출구(46)의 각각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폐쇄부(51a, 51b)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쇄부(51a, 51b) 대신, 예를 들면 도 8의 제 6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폐쇄하는 차폐판(52a, 52b)이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주 증기 입구(45) 및 주 증기 출구(46)의 각각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중, 도 9a는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판이 비정상 운전시,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의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이고, 도 9b는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판이 정상 운전시,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의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판(53)이 주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폐쇄판(53)은 비정상 운전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정상 운전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증기 출구(46)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너(27)에 설치된 폐쇄판(53)은 주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비정상 운전시, 폐쇄판(53)은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정상 운전시, 폐쇄판(53)은 주 증기 출구(46)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비정상 운전시, 보다 많이 발생하는 산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스트레이너(27) 내부에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불순물에 의해 야기되는 증기 터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정상 운전시,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하는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제 8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주 증기 차단 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밸브 장치(21)가 주 증기 입구(45)측에 배치되고, 제 1 밸브 장치(21)에 접속되는 증기 제어 밸브에 상당하는 제 2 밸브 장치(22)가 주 증기 출구(46)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밸브 장치(21)는 종형 구조로 형성되고, 제 2 밸브 장치(22)는 횡형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제 1 밸브 장치(21)가 주 증기 입구(45)측에 배치되고, 제 1 밸브 장치(21)에 접속되는 제 2 밸브 장치(22)가 주 증기 출구(46)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제 1 밸브 장치(21)는 종형 구조로 형성되고, 제 2 밸브 장치(22)는 횡형 구조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주 증기 입구(45)로부터 주 증기 출구(46)까지의 위치에서 주 증기류의 사행(蛇行) 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제 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4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입구(45)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주 증기 출구(46)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23)과,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시트(47)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밸브체(48)와, 슬리브(49)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밸브체(48)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밸브 로드(50)와, 스트레이너(2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폐하면서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차폐판(54)과, 회전 차폐판(54)을 지지하는 지지판(55)과, 회전축(56)을 통해 지지판(55)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장치(57)와, 구동 장치(57)에 구동 지령을 주는 제어 커맨드(command)(58)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의 외측을 둘러싸며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폐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차폐판(54)과, 제어부(58)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 회전 차폐판(54)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장치(57)를 구비하기 때문에, 플랜트의 운전 상황에 따라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은 폐쇄될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증기 밸브(20)는 플랜트의 운전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즉, 증기 밸브(20)는 비정상 운전시, 회전 차폐판(54)을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많이 발생하는 산화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스트레이너(27)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순물에 의해 야기되는 증기 터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상 운전시,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기인하는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게 되는 위치로 회전 차폐판(54)을 이동시킴으로써,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제 9 실시예에서 기술한 구성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본 제 1O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입구(45)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주 증기 출구(46)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23)과,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시트(47)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밸브체(48)와, 슬리브(55)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밸브체(48)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밸브 로드(50)와,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폐판(59)과, 밸브 덮개(60)를 통해 차폐판(59)을 지지 및 고정하는 가압판(62)과, 밸브 덮개(60)에 형성되며 차폐판(59)을 자유롭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삽입 및 인출 통로(61)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폐판(59)과, 차폐판(59)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 및 인출 통로(61)가 밸브 덮개(60)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폐판(59)은 용이하게 분해 및/또는 조립될 수 있으며, 조작자의 노력이 더욱 경감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단면 평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제 11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출구(46)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갖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된 스트레이너(27)를 수용하는 밸브 케이싱(23)과,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폐판(52a, 52b)의 이동을 적절한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 및 조정할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 및 밸브 덮개(60)상에 설치되는 조정 스토퍼(63a, 63b)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폐판(52a, 52b)의 이동을 적절한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 및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63a, 63b)를 밸브 덮개(60)상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하는 주 증기의 차폐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주 증기의 선회류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어, 주 증기의 선회류 발생의 억제에 의거하는 압력 손실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의 관통 구멍(40)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폐판(52a, 52b)의 이동을 적절한 범위 내의 위치로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63a, 63b)를 구비하고 있고 그 조정 스토퍼(63a, 63b)는 밸브 덮개(60)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4의 제 12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판(52a, 52b)에 끼워맞춤 부재(64a, 64b)를 설치하고 그 끼워맞춤 부재(64a, 64b)를 밸브 덮개(60)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도시 생략)에 끼워맞춤으로써 차폐판(52a, 52b)의 이동이 조정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제 9 실시예에서 기술한 구성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본 제 13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입구(45)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주 증기 출구(46)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23)과,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시트(47)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밸브체(48)와, 슬리브(55)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밸브체(48)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밸브 로드(50)와, 또한 스트레이너(27) 내측의 밸브 시트(47) 상류측에서 주 증기 입구(45)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돌출편(65)으로 이루어지는 차폐부(66)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제 13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 내측의 밸브 시트(47) 상류측에서 주 증기 입구(45)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되며 돌출편(65)으로 이루어지는 차폐부(6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스트레이너(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하는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며,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너(27) 내측의 밸브 시트(47)의 상류측에, 및 주 증기 입구(45)측의 반대측 위치에 차폐부(66)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6의 제 14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돌출편(65)으로 이루어진 차폐부(66)가 밸브 시트(47)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제 1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예를 들면 주 증기 차단 밸브와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를 조합한 증기 밸브로서, 주 증기 차단 밸브에 상당하는 제 1 밸브 장치(21)는 상류측에 배치되고, 증기 제어 밸브(증기류 조절 밸브)에 상당하는 제 2 밸브 장치(22)는 주 증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 1 밸브 장치(21) 및 제 2 밸브 장치(22)는 하나의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도 1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15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너(27)는, 폐쇄부(41)에 의해 분류되어 스트레이너(27)의 주위를 따라 유동하게 되는 두 개의 주 증기류 사이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손실을 방지하고 주 증기류를 선회시키도록,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서 제 1 밸브 로드(30)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격벽, 즉 분할벽(7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격벽(70)은 제 1 주 증기 입구(24)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기 밸브(20)에서, 스트레이너(27)에 배치된 격벽(70)과 주 증기의 압력 손실 사이의 관계를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9는 격벽이 있는 경우 및 격벽이 없는 경우 각각의, 밸브(제 1 밸브체(29)에 상당)의 개방도 증감에 따른 압력 손실의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 손실 선도이다.
스트레이너(27)가 제 1 주 증기 입구(24)측의 반대측 위치에 격벽(70)을 구비하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이 없는 경우에 비해 밸브의 전체 개방도에 걸쳐 압력 손실이 경감된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서 제 1 주 증기 입구(24)측의 반대측 위치에 제 1 밸브 로드(30)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격벽(70)을 배치하여, 스트레이너(27)의 입구측에 배치된 폐쇄부(41)에 의해 분류되어 스트레이너(27)의 주위를 따라 유입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5 실시예에서는, 제 1 밸브 장치(21)의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27)는 그 스트레이너(27)의 제 1 주 증기 입구(24)를 향하는 측의 원통형 벽(39)상에 폐쇄부(4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폐쇄부(41)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격벽(70)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쇄부(41) 대신, 예를 들면 도 22의 제 16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27)의 원통형 벽(39)의 외주측에 차폐판(71)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차폐판(71)측의 반대측 위치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격벽(7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3의 제 17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원통형 벽(39)의 내주측에서 제 1 주 증기 입구(24)를 향하는 측에 차폐판(7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차폐판(71)측의 반대측 위치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의 위치에 격벽(7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4의 제 18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싱(23)은, 예를 들면 종(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주 증기 입구(24)를 향하는 측에서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된 스트레이너(27)에 폐쇄부(41)가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그 반대측의 위치의 밸브 케이싱(23)의 형상은 단부를 향해 넓어질 수 있어, 압력 회복실(72)로 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제 15 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제 1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일측에 주 증기 입구(45)를, 타측에, 즉 반대측에 주 증기 입구(45)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주 증기 출구(46)를 각각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23)과, 복수의 미세한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형성되는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시트(47)에 탈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밸브체(48)와, 슬리브(49)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밸브체(48)를 자유롭게 진퇴 구동시키는 밸브 로드(50)로 구성된다. 또한, 스트레이너(27)는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측의 원통형 벽(39)에 폐쇄부(41)와, 이 폐쇄부(41)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70)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제 19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밸브(20)는 원통형 벽(39)에 관통 구멍(40)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원통형 요소(38)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27)를 밸브 케이싱(23)에 수용하고, 스트레이너(27)의 주 증기 입구(45)측을 향하는 위치의 원통형 벽(39)에 폐쇄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기 밸브(20)는 폐쇄부(41)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격벽(7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폐쇄부(41)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입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 사이의 충돌이 방지되어, 두 개의 주 증기류 사이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손실이 방지되고, 압력 손실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27)에는, 스트레이너(27)의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측의 원통형 벽(39)에 폐쇄부(41)가 배치되고, 또한 폐쇄부(41)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격벽(70)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쇄부(41) 대신, 예를 들면 도 27의 제 20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측의 스트레이너(27)의 상류측 위치에, 예를 들면 날개 형상의 안내판(72)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제 19 실시예 대신, 예를 들면 도 28의 제 21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싱(23)에 수용되는 스트레이너(27)의 주 증기 입구(45)를 향하는 측의 원통형 벽(39)에 폐쇄부(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폐쇄부(41)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27)와 밸브 케이싱(23) 사이에 격벽(7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밸브 케이싱(23)과 스트레이너(27) 사이의 공간에, 밸브 로드(50)의 축 길이(축선)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복수의 유로 구획판(73)이 설치될 수 있고, 스트레이너(27)의 외주 전체 또는 그 외주 전체 중 미리 정해진 주위 길이 부분이 유로 구획판(73)에 의해 래크형 유로(74)로 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너(27)의 주위 전체 또는 미리 정해진 주변 길이가 래크형 유로(74)로 되도록 구획되면, 주 증기 입구(45)로부터 공급된 주 증기의 반경 방향 속도 성분(밸브 로드(50)의 축 길이방향의 주 증기의 속도 성분)이 제한되고, 그에 따라 2차 유동 손실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래크형 유로(74)를 형성하는 유로 구획판(73)은 전열핀(heat transmission fin)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래크형 유로(74)를 통과하는 주 증기와 유로 구획판(73) 사이의 전열(열전달)이 촉진되어 밸브 전체의 온도 균등화가 도모될 수 있다. 따라서, 기동시의 예열 시간이 단축되고 열응력이 완화될 수 있어 유효한 운전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에서는, 서로 상이한 기능 및 용도의 밸브 장치가 하나의 밸브 케이싱 내로 합체되므로, 설치 공간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기동 운전시, 정격 부하 운전시, 부분 정격 부하 운전시 및 긴급 차단 운전시 중 어느 운전시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는,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주 증기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스트레이너에 유입하는 주 증기의 일부를 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수단을 스트레이너 내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의 편류에 의거하는 2차 유동의 유속의 결손이 존재하는 영역에 다른 주 증기가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손실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는 주 증기의 선회류에 의해 야기되는 불안정한 유동에 의거하는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음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이는 주 증기의 압력 손실이 더욱 경감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구성 및 작동상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밸브는, 특히 증기 터빈 플랜트에 매우 적합하게 적응되는 것이다.

Claims (34)

  1.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증기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에 설치된 폐쇄부는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이며, 상기 차폐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이며, 상기 차폐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5.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주 증기 박리 영역을 생성하는 안내판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증기 박리 영역을 생성하는 안내판은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서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설치되는 증기 밸브.
  7.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쇄판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판은 비정상 운전시에는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판은 정상 운전시에는 주 증기 출구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9.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 장치는 횡(橫)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밸브 장치는 종(縱)형 구조로 형성되며 주 증기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10.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주 증기 입구 및 주 증기 출구의 각각의 축선을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는 폐쇄부를 구비하는 증기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차폐판이며, 상기 차폐판은 스트레이너의 외측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12.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포위하며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하는 회전 차폐판과,
    상기 회전 차폐판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증기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가 설치되는 증기 밸브.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끼워맞춤 부재가 설치되는 증기 밸브.
  15.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포위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을 자유롭게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해, 상기 밸브 케이싱의 밸브 덮개에 형성되는 삽입 및 인출 통로를 구비하는 증기 밸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조정 스토퍼가 설치되는 증기 밸브.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회전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끼워맞춤 부재가 설치되는 증기 밸브.
  18.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폐판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돌출편인 증기 밸브.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돌출편인 증기 밸브.
  21.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分流)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된 폐쇄부는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폐쇄부 측의 반대측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24.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차폐판과,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차폐판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스트레이너 외측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스트레이너 내측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증기 밸브.
  27.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과,
    단부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폐쇄부를 구비한 스트레이너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압력 회복실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28.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29. 일측에 주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주 증기 입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 증기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주 증기 입구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증기 밸브.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는 증기 밸브.
  31. 주 증기 입구부 및 주 증기 출구부를 구비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입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1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의 주 증기 출구부 측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 밸브체, 밸브 로드 및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제 2 밸브 장치와,
    상기 밸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체를 포위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 내에 설치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하는 주 증기류의 일부를 저지하는 폐쇄부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밸브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에 의해 분류되어 그 주위로 유동하는 두 개의 주 증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밸브 케이싱과 상기 스트레이너 사이에서 상기 제 1 밸브 장치의 밸브 로드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래크(rack)형 유로를 구비하는 증기 밸브.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형 유로는 유로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유로 구획판은 스트레이너의 외주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증기 밸브.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구획판은 스트레이너의 주위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증기 밸브.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구획판은 스트레이너의 주위 전체 중 미리 정해진 주위 길이 부분에 걸쳐 배치되는 증기 밸브.
KR1020057007248A 2002-10-29 2003-10-29 증기 밸브 KR100733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4815A JP4230751B2 (ja) 2002-10-29 2002-10-29 蒸気弁
JPJP-P-2002-00314815 2002-10-29
JP2003096780A JP4177694B2 (ja) 2003-03-31 2003-03-31 蒸気弁
JPJP-P-2003-00096780 200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677A true KR20050050677A (ko) 2005-05-31
KR100733559B1 KR100733559B1 (ko) 2007-06-29

Family

ID=3223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248A KR100733559B1 (ko) 2002-10-29 2003-10-29 증기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04021B2 (ko)
EP (1) EP1557537B1 (ko)
KR (1) KR100733559B1 (ko)
AU (1) AU2003280586A1 (ko)
WO (1) WO20040400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0B1 (ko) * 2011-03-25 2014-02-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증기 밸브 장치 및 증기 터빈 플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085C5 (de) * 2003-12-10 2012-06-28 Danfoss A/S Kältemittel-Ventilanordnung
JP4776494B2 (ja) * 2006-10-18 2011-09-21 株式会社東芝 蒸気弁および蒸気タービン
US20090255250A1 (en) * 2008-04-11 2009-10-15 Junfei Yin Switch valve for exhaust gas turbocharger system
DE102008056617B4 (de) * 2008-11-10 2012-05-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Turbine mit kompaktem Einströmgehäuse dank innen liegender Regelventile
US20110103930A1 (en) * 2009-10-30 2011-05-05 Dresser-Rand Company Valve Sequenc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bomachine Acoustic Signature
US20110162735A1 (en) * 2010-01-04 2011-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Flow guided steam strainer for steam turbine valves
ITMI20110830A1 (it) * 2011-05-12 2012-11-13 Alstom Technology Ltd Valvola per una turbina a vapore 700 c
PL218378B1 (pl) * 2011-07-15 2014-11-28 Gen Electric Zespół zaworowy
CN103047438B (zh) * 2011-10-13 2014-10-15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可调节压力降的阀门
CN102937201A (zh) * 2012-11-22 2013-02-20 南通市力沛流体阀业有限公司 一种向空排汽阀
JP6484973B2 (ja) * 2014-09-19 2019-03-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流体制御弁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6269855B2 (ja) 2014-10-28 2018-01-3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主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
JP6486804B2 (ja) * 2015-09-18 2019-03-20 株式会社東芝 蒸気弁及び発電設備
US10731513B2 (en) * 2017-01-31 2020-08-04 Control Components, Inc. Compact multi-stage condenser dump device
EP3459613A1 (de) * 2017-09-22 2019-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sieb für eine dampfturbine
JP7216567B2 (ja) * 2019-02-25 2023-02-01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弁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
DE102019118316A1 (de) * 2019-07-05 2021-01-07 Samson Aktiengesellschaft Ventilgehäuse und Hubventil zum Steuern einer Prozessfluidströmung mit einem Ventilgehäuse
US11841086B2 (en) * 2020-03-30 2023-12-12 Marshall Excelsior Co. Combination valve
JP7417511B2 (ja) * 2020-12-16 2024-01-18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弁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
CN113236789B (zh) * 2021-04-30 2022-12-27 华能海南发电股份有限公司东方电厂 一种防断裂汽轮机调节阀阀杆结构
CN114508388B (zh) * 2021-12-29 2023-07-18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一种双排汽联合汽阀导流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702A (ko) 1973-06-08 1975-02-13
CH584348A5 (ko) * 1975-04-30 1977-01-31 Bbc Brown Boveri & Cie
JPS54145071A (en) 1978-05-04 1979-11-12 Hitachi Ltd Steam valve strainer
JPS55148906A (en) 1979-05-09 1980-11-19 Hitachi Ltd Preventive device for inflow of solid particles into steam turbine
JPS5632011A (en) 1979-08-24 1981-04-01 Hitachi Ltd Emergency shut-off valve for steam turbine
JPS56124606A (en) 1980-03-05 1981-09-30 Hitachi Ltd Emergency shut-off valve of steam turbine
JPS56171605U (ko) 1980-05-21 1981-12-18
AU537607B2 (en) * 1980-12-02 1984-07-05 Hitachi Limited Combined valve for use in a reheating steam turbine
US4481775A (en) * 1981-01-05 1984-11-13 John Beveridge Stored energy power generating system
AU8048882A (en) 1981-03-05 1982-09-09 National Foundation For Cancer Research Inc. Adducts of glyoxal and cysteine as antitumor agents
JPS5850291B2 (ja) 1981-03-13 1983-11-0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炉溶解帯のレベル・形状測定方法
JPS57152405U (ko) * 1981-03-19 1982-09-24
JPS5863303A (ja) 1981-10-09 1983-04-15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JPS5863303U (ja) * 1981-10-23 1983-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タ−ビン主弁用ケ−シング
JPS5898404A (ja) 1981-12-04 1983-06-11 アルプス・カワムラ株式会社 ネクタイ
JPS5898404U (ja) * 1981-12-25 1983-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ストレ−ナ
JPS58122304A (ja) 1982-01-18 1983-07-21 Toshiba Corp 蒸気弁
JPS58137670A (ja) * 1982-02-10 1983-08-16 Toshiba Corp 主蒸気弁装置
JPS6017222A (ja) 1983-07-07 1985-01-29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焼室構造
JPS6017222U (ja) * 1983-07-08 1985-0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弁用ストレ−ナ−
US4481767A (en) 1983-07-08 1984-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exhaust cleaner and burner system with flame distributor
JPS6148904A (ja) 1984-08-16 1986-03-10 Hitachi Metals Ltd 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S6148904U (ko) * 1984-08-30 1986-04-02
JPS6192371A (ja) 1984-10-12 1986-05-10 Fuji Electric Co Ltd 弁装置
DE19719725A1 (de) * 1997-05-09 1998-11-1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wärmen einer Ventilanordnung
US5870896A (en) 1997-11-05 1999-02-1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ed valve configuration for steam cycle units
JP2002097903A (ja) 2000-09-27 2002-04-05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弁
DE10219948A1 (de) 2002-05-03 2003-11-13 Alstom Switzerland Ltd Dampfturbine
US7284569B2 (en) * 2004-10-04 2007-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Steam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0B1 (ko) * 2011-03-25 2014-02-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증기 밸브 장치 및 증기 터빈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4021B2 (en) 2009-10-20
EP1557537A1 (en) 2005-07-27
US20050268973A1 (en) 2005-12-08
KR100733559B1 (ko) 2007-06-29
EP1557537B1 (en) 2011-11-23
EP1557537A4 (en) 2006-09-06
AU2003280586A1 (en) 2004-05-25
WO2004040099A1 (ja)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559B1 (ko) 증기 밸브
KR101491971B1 (ko) 터빈
JP4230751B2 (ja) 蒸気弁
JP4776494B2 (ja) 蒸気弁および蒸気タービン
JP2007521441A (ja) 2次流制御システム
JP2010071281A (ja) タービン排気ガス温度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U2511914C2 (ru) Кольцевой неподви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паровой турбиной и паровая турбина
US10989074B2 (en) Turbine exhaust hood
JP2012112270A (ja) 組合せ蒸気弁および蒸気タービン
US7185736B2 (en) Aerodynamic noise abatement device and method for air-cooled condensing systems
JP4177694B2 (ja) 蒸気弁
US10119416B2 (en) Main steam valve and steam turbine
EP4073353B1 (en) Casing half shell for a turbine system and steam turbine
KR200399629Y1 (ko) 중압 터빈 제어밸브 구조
JP2009133254A (ja) 蒸気タービンの排気室
US20150252681A1 (en) Modular turbomachine inner and outer casings with multi-stage steam extraction sites
SU966254A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сопловой аппарат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JP2019183695A (ja) 蒸気弁および発電設備
JP2005214051A (ja) 軸流タービン段落及び軸流タービン
JP6862335B2 (ja) 組合せ弁及び発電プラント
JP7381226B2 (ja) 弁装置、発電設備および弁装置の弁座
JP2010151033A (ja) 遠心圧縮機
JP2000073705A (ja) 軸流式タ―ボ機械のシュラウドを備えた翼配列
JP6578360B2 (ja) 一軸型構造体のための流入輪郭
JP2013124605A (ja) 蒸気弁および発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