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665A - 치과용 코팅용 키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코팅용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0665A KR20050050665A KR1020057005977A KR20057005977A KR20050050665A KR 20050050665 A KR20050050665 A KR 20050050665A KR 1020057005977 A KR1020057005977 A KR 1020057005977A KR 20057005977 A KR20057005977 A KR 20057005977A KR 20050050665 A KR20050050665 A KR 20050050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olymerizable monomer
- composition
- coating
- me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갖는,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치과용 코팅용 키트, 및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중합성 단량체 (d) 및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갖는,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치핑이나 파절이 잘 일어나지 않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가 제공된다. 어떤 치과용 코팅용 키트도 표백 후 치아의 착색 및 색이 표백 전 색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트로서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코팅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치아의 착색 및 변색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한 코팅용 키트, 특히 표백 후 치아의 착색 및 색이 표백 전 색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한 치과용 코팅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담배, 커피 등에 함유되는 유색물질의 침착이나 색소 생성균의 번식에 의해 착색되거나 변색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착색 및 변색을 방지하여 치아를 희고 아름답게 보이고 싶어하는 마음은 여성쪽이 남성에 비하여 강하다. 최근 여성, 특히 젊은 여성 중에 하기 서술하는 치아의 표백 치료를 받는 환자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치아의 표백 치료는 치아를 희고 아름답게 보이고자 하는 미용의 일환으로서, 또한 착색치아 또는 변색치아를 이전의 자연치아로 복원하는 수단으로서 실시된다. 표백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백제가 사용된다. 표백제에는 치아에 침착된 색소를 분해하는 탈색작용과, 치아의 표면을 조조(粗造)화 (조면화) 하여 광의 난반사를 일으킴으로써 백탁감을 내는 작용 2가지 작용이 있다. 이들 2가지 작용에 의해 치아를 희게 보이게 하는 것이다. 표백 치료는 심미성(審美性)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치아 표면이 조조화되기 때문에 표백 치료 후는 플라크, 단백질, 색소 등이 치아에 부착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표백 치료 후 잠시 동안은, 특히 표백 후 2 ~ 3일간은 착색의 원인이 되기 쉬운 커피, 카레, 감귤류계 쥬스의 섭취나 흡연을 삼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 제한이나 흡연 제한을 하더라도 단기간에 치아가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플라크, 단백질, 색소 등이 치아에 점차 축적되거나 표백 치료에 의해 조조화된 치아의 표면이 구강 내의 타액에 의한 재석회화 작용에 의해 서서히 자연 수복되거나 함으로써, 표백 후 6개월 ~ 2년 정도에 표백색이 표백 치료 전 색으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종래 표백 후 치아의 착색이나 색이 원래 색으로 돌아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표백 처리 후의 치아에 마무리용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한 마무리용 코팅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1009호에서 10중량% ~ 80중량% 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20중량% ~ 80중량% 의 저비점 용제와, 0.4중량% ~ 5중량% 의 가시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27호에서 10중량% ~ 80중량% 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20중량% ~ 80중량% 의 저비점 용제와, 0.4중량% ~ 5중량% 의 가시광 중합 개시제와, 0.5중량% ~ 10중량% 의 백색 무기 미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각각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조성물도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좋지 않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각 조성물에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 0.1중량% ~ 5중량%을 더욱 함유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1009호, 청구항 8, 〔0030〕 및 〔0031〕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27호, 청구항 10, 〔0039〕 및 〔0040〕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결과,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소정량 함유시키더라도 치아에 대한 접착성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표면 경화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실용 가능한 코팅 조성물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치아의 착색 및 변색을 방지하는 데에 유용한 치과용 코팅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치과용 코팅용 키트 (이하 「제 1 키트」라 하기도 함) 는,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셀프에칭형 프라이머라 불리고 있는 것으로, 에칭하면서 치아에 침투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발현한다. 특히 표백 후의 조조화한 치아에 깊게 침투하여 매우 우수한 접착성을 발현한다. 또,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적용한 후에 적용하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는,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배합할 필요가 없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 경화성도 우수한 키트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는 치아에 대한 접착성을 확보한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는 인산기, 피로인산기, 티오인산기, 카르복실산기 또는 술폰산기 등의 산성기를 갖고, 또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비닐기, 비닐벤질기 등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다. 그 중에서도 불포화기로서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또,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로는 그 칼슘염의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인 것이, 접착성 및 내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의 구체예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하에서는 메타크릴과 아크릴을 (메트)아크릴로 포괄적으로 기록하고, 또 메타크릴로일과 아크릴로일을 (메트)아크릴로일로 포괄적으로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7-(메트)아크릴로일옥시헵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8-(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9-(메트)아크릴로일옥시노닐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1-(메트)아크릴로일옥시운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2-(메트)아크릴로일옥시도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1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사데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0-(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이코실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시클로헥실옥시디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7-(메트)아크릴로일옥시헵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8-(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9-(메트)아크릴로일옥시노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디〔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실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2'-브로모옥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틸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노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데실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데실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포스포네이트; (8-메타크릴록시)옥틸-3-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 (9-메타크릴록시)노닐-3-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 (10-메타크릴록시)데실-3-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 (6-메타크릴록시)옥틸-3-포스포노아세테이트, (10-메타크릴록시)데실-3-포스포노아세테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4-메톡시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4-메톡시페닐)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1130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3-677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3-694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3-1449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28393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92891호에 기재된 인산기 함유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 및 이들 산염화물이 예시된다. 이 밖에 상기한 각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알칼리금속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 암모늄염이 예시된다.
피로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피로인산디〔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피로인산디〔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피로인산디〔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 피로인산디〔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 피로인산디〔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 피로인산디〔7-(메트)아크릴로일옥시헵틸〕, 피로인산디〔8-(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 피로인산디〔9-(메트)아크릴로일옥시노닐〕, 피로인산디〔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 피로인산디〔12-(메트)아크릴로일옥시도데실〕 및 이들의 산염화물,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이 예시된다.
티오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디하이드로젠티오포스페이트,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7-(메트)아크릴로일옥시헵틸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8-(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9-(메트)아크릴로일옥시노닐디하이드로젠디티오포스페이트,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젠티오포스페이트 및 이들 산염화물,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이 예시된다.
카르복실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카르보닐프탈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옥시카르보닐프탈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옥틸옥시카르보닐프탈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옥시카르보닐프탈산 및 이것들의 산무수물, 6-(메트)아크릴로일아미노헥실카르복실산, 8-(메트)아크릴로일아미노옥틸카르복실산, 9-(메트)아크릴로일옥시-1,1-노난디카르복실산,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1,1-데칸디카르복실산, 11-(메트)아크릴로일옥시-1,1-운데칸디카르복실산,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및 이들의 산염화물,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이 예시된다.
술폰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2-(메트)아크릴아미드에틸술폰산,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술폰산, 4-(메트)아크릴아미드부틸술폰산, 6-(메트)아크릴아미드헥실술폰산, 8-(메트)아크릴아미드옥틸술폰산, 10-(메트)아크릴아미드데실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산염화물, 알칼리금속염, 암모늄염이 예시된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로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접착성이 특히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6 ~ 25 의 알킬렌기를 갖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그리고 알킬기 및/또는 페닐기를 갖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 12 의 알킬렌기를 갖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거나 해도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의 일반적인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 90중량% 이지만, 5중량% ~ 70중량% 가 바람직하고, 10중량% ~ 5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 (b) 은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의 치아에 대한 탈회력(脫灰力)을 증대시킨다. 접착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순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증류수 또는 이온교환수가 바람직하다. 물 (b) 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거나 해도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물 (b) 의 일반적인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 90중량% 이지만, 1중량% ~ 70중량% 가 바람직하고, 5중량% ~ 5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용제 (c) 는 치아에 대한 침투성을 향상시킨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를 용해할 수 있고,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비율로 물에 용해 가능한 용제를 사용한다. 수용성 용제 (c) 로는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수용성 휘발성 용제 (c-1),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를 초과하는 수용성 용제 (c-2),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고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이상인 수용성 용제 (c-3) (이하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라 하기도 함) 가 예시된다.
수용성 휘발성 용제 (c-1) 로는, 에탄올, 메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이 예시된다.
수용성 용제 (c-2) 로는, 디메틸술폭시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예시된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 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트리메틸암모늄에틸(메트)아크릴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옥시에틸렌기의 수가 9 이상인 것) 가 예시된다.
수용성 용제 (c) 중에서도 수용성 휘발성 용제 (c-1) 및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 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휘발성 용제 (c-1) 는 치과용 에어실링으로 용이하게 증산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 는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와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 중에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옥시에틸렌기의 수가 9) 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용성 용제 (c) 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수용성 용제 (c) 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거나 해도 치아에 대한 침투성이나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수용성 용제 (c) 의 일반적인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 98중량% 이지만, 5중량% ~ 90중량% 가 바람직하고, 10중량% ~ 6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접착성, 기계적 강도 및 도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및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c-3) 이외에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인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러한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로는, α-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α-할로겐화아크릴산에스테르, 크로톤산에스테르, 신남산에스테르, 소르브산에스테르, 말레산에스테르, 이타콘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모노-N-비닐 유도체, 스티렌 유도체가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n개 (n=1, 2, 3, ···) 의 올레핀성 2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n 관능성 단량체라 표현하고, 1 관능성 단량체, 2 관능성 단량체 및 3 관능성 이상의 단량체의 3종류로 나누어 나타낸다.
1 관능성 단량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브로모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1-메타크릴로일옥시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2 관능성 단량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1, 2-비스〔3-(메트)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에탄, 1,2-비스(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에탄,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옥시에틸)]디메타크릴레이트
3 관능성 이상의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N,N'-(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비스〔2-(아미노카르복시)프로판-1,3-디올〕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가 너무 많으면 치아에 대한 침투성이나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일반적인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이하이다.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에, 접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화학중합 개시제를 배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α-디케톤류, 케탈류, 티오크산톤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가 예시된다.
α-디케톤류로는 캠퍼 퀴논, 벤질, 2,3-펜탄디온이 예시된다.
케탈류로는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이 예시된다.
티오크산톤류로는,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이 예시된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트리스(2,4-디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트리스(2-메톡시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클로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3,5,6-테트라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일디-(2,6-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 2,4,6-트리메틸벤조일에톡시페닐포스핀사이드,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3-57916호에 개시된 수용성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이 예시된다.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로는 2-벤질-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벤질-디에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벤질-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파논-1,2-벤질-디에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파논-1,2-벤질-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펜타논-1,2-벤질-디에틸아미노-1- (4-모르폴리노페닐)-펜타논-1이 예시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그것만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광경화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제3급 아민류, 알데히드류,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중합촉진제와 병용해도 된다.
제3급 아민류로는,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부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부톡시에틸, N-메틸디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N,N-디(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이 예시된다.
알데히드류로는, 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가 예시된다.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2-메르캅토벤조옥사졸, 데칸티올,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티오벤조산이 예시된다.
중합촉진제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촉진제의 배합량, 프라이머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중합 개시제로는, 산화제와 환원제로 이루어지는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레독스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포장형태를 산화제와 환원제가 이간되도록 2분할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산화제로서는 디아실퍼옥사이드류, 퍼옥시에스테르류, 디알킬퍼옥사이드류, 퍼옥시케탈류, 케톤퍼옥사이드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 예시된다.
디아실퍼옥사이드류의 구체예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m-톨루오일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퍼옥시에스테르류의 구체예로는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2,5-디메틸-2,5-비스(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디알킬퍼옥사이드류의 구체예로는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퍼옥시케탈류의 구체예로는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케톤퍼옥사이드류의 구체예로는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아세트아세테이트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의 구체예로는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디이소프로필벤젠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환원제로서는 방향족 제 3 급 아민, 지방족 제 3 급 아민 및 술핀산 및 그 염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제 3 급 아민으로는 N,N-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p-톨루이딘, N,N-디메틸-m-톨루이딘, N,N-디에틸-p-톨루이딘, N,N-디메틸-3,5-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3,4-디메틸아닐린, N,N-디메틸-4-에틸아닐린, N,N-디메틸-4-이소프로필아닐린, N,N-디메틸-4-t-부틸아닐린, N,N-디메틸-3,5-디-t-부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메틸아닐린, N,N-디(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N-비스(2-히드록시에틸)-3,4-디메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4-에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4-이소프로필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4-t-부틸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이소프로필아닐린, N,N-비스(2-히드록시에틸)-3,5-디부틸아닐린,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n-부톡시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 예시된다.
지방족 제 3 급 아민으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부틸디에탄올아민, N-라우릴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메틸디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N-에틸디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모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트리메타크릴레이트가 예시된다.
술핀산 및 그 염으로는, 벤젠술핀산, 벤젠술핀산나트륨, 벤젠술핀산칼륨, 벤젠술핀산칼슘, 벤젠술핀산리튬, 톨루엔술핀산, 톨루엔술핀산나트륨, 톨루엔술핀산칼륨, 톨루엔술핀산칼슘, 톨루엔술핀산리튬,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나트륨,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칼륨,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칼슘, 2,4,6-트리메틸벤젠술핀산리튬,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나트륨,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칼륨, 2,4,6-트리에틸벤젠술핀산칼슘,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나트륨,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칼륨,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술핀산칼슘이 예시된다.
산화제 및 환원제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산화제 및 환원제의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모두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성, 유동성 등을 조정하기 위해 이것에 필러를 배합해도 된다. 필러로는 무기계 필러, 유기계 필러 또는 무기/유기 복합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필러로는 실리카 및 카올린, 크레이, 운모, 마이카 등의 실리카를 기재로 하는 광물, 실리카를 기재로 하고, Al2O3, B2O3, TiO2, ZrO2, BaO, La2O3, SrO2, CaO, P2O5 등을 함유하는 세라믹스 및 유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의 구체예로는 란탄 유리, 바륨 유리, 스트론튬 유리, 소다 유리, 리튬볼로실리케이트 유리, 아연 유리,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붕규산 유리, 바이오 유리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외, 결정 석영,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이트륨, 지르코니아, 인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불화리튬, 불화이테르븀도 바람직하다.
유기계 필러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예시된다.
무기/유기 복합 필러로는, 유기계 필러에 무기계 필러를 분산시킨 것, 무기계 필러의 표면을 여러 가지의 중합성 단량체로써 코팅한 것이 예시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거나, 그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러를 실란커플링제 등의 공지된 표면처리제로 미리 표면처리한 후에 프라이머 조성물에 배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표면처리제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예시된다.
필러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필러의 일반적인 배합량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하이지만,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동 배합량이 50중량% 를 넘으면, 이에 대한 침투성이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프라이머 조성물의 치아에 대한 탈회력 (脫灰力) 을 증대시키기 위해, pKa가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보다 작고, 또한 중합성기를 갖지 않는 산을, 프라이머 조성물에 배합해도 된다. 이러한 산으로서는, 인산, 질산, 황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합성기를 갖지 않는 산을 너무 많이 배합하면, 치아질에 대하여 손상을 주거나, 적용 후에 용출되거나 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의 이에 대한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산의 배합량은, 통상, 프라이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에, 중합금지제, 착색제, 형광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 항균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도데실피리디늄브로마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사데실피리디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등의 항균성 물질을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 활택성 조성물은,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로는, 올레핀성 2 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앞서 서술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2 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또는 3 관능성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경화성의 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틀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틀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틀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틀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레핀성 2 중 결합을 3 개 이상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디펜타에리트리틀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틀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레핀성 2 중 결합을 5 개 이상 갖는 중합성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로는, 올레핀성 2 중 결합을 3 개 이상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당해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의 배합량은,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중량% ~ 98중량% 가 바람직하고, 80중량% ~ 95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동 배합량이, 4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휘발성 용제 (g) 는,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를 희석하여,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휘발성 용제 (g) 로는,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를 초과하는 휘발성 용제 (g) 를 사용한 경우에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표면 경화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휘발성 용제 (g) 로는 에탄올, 메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가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와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고, 더욱 독성이 낮고, 비점이 낮은 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휘발성 용제 (g) 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휘발성 용제 (g) 의 배합량은, 도포성이나 조작성의 점에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 59중량% 가 바람직하고, 5중량% ~ 5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 ~ 40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동 배합량이 59중량% 를 초과한 경우에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 조작성이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경화시의 악취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광중합 개시제 (h) 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앞서 서술한 광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α-디케톤류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가 바람직하다. 개시제 자체의 색이 적고, 경화 후의 황변이 작은 점에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 (h) 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 (h) 의 배합량은, 표면 활택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1중량% ~ 5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 (h) 는 그것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경화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중합 촉진제와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중합 촉진제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앞서 서술한 중합 촉진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촉진제의 배합량은, 표면 활택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안료를 배합해도 된다. 안료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코팅층의 색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안료로는, 벵가라, 프탈로시아닌블루, 각종 아조계 안료 및 산화티탄이 예시된다. 예를 들어,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산화티탄을 배합함으로써, 차폐성을 갖는 조성물이 되고, 치아의 심미성을 보충할 수 있다. 안료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안료의 배합량은, 코팅층의 색조나 심미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필러를 배합해도 된다. 필러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앞서 서술한 필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러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필러의 배합량은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동 배합량이 40중량% 를 초과하면,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러로서는, 일반적으로, 평균입경이 0.001㎛ ~ 50㎛ 의 것을 사용하면 되지만,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안료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안료의 침강을 유효하게 억제하기 위해, 0.001㎛ ~ 0.1㎛ 의 초미립자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미립자 필러로는, 콜로이드실리카 (예를 들어, 닛폰 아에로질사 제조, 상품명「아에로질」)이 바람직하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추가로 중합금지제, 형광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조합에 있어서는, 그것이 적당한 점성을 갖도록, 각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30℃ 에서의 점도는, 도포성이나 조작성 면에서 30cP ~ 3,000cP 가 바람직하고, 50cP ~ 1,000cP 가 보다 바람직하고, 80cP ~ 500cP 가 가장 바람직다. 동 점도가 30cP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 치아에 적용할 때에 인접하는 치아와 치아의 빈틈에 침투되는 경우가 있고, 3,000cP 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 1 키트는, 표백 후의 치아의 착색 및 색이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그래서, 다음에, 제 1 키트의 사용방법을 표백 후의 치아를 코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프라이머 조성물을 표백 후의 치아의 표면에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치과용 에어시린지 등을 사용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때까지 건조시키거나, 또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화학 중합 개시제) 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도포층을 중합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공정1).
이어서, 프라이머층의 위에 표면 활택성 조성물를 도포하여, 도포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중합경화시킴으로써, 표백 후의 치아의 표면에 표면층을 형성한다 (공정2). 프라이머 조성물이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광조사에 의해 프라이머 조성물과 표면 활택성 조성물를 동시에 중합경화시켜도 된다.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도포 두께로는 0.005㎜ ~ 0.5㎜ 가 바람직하고, 0.01㎜ ~ 0.3㎜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을 조사할 때의 바람직한 광원으로는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발광 다이오드가 예시된다. 광의 조사시간은 광의 파장이나 광량에 의존한다. 치과 전용의 조사기를 사용하면 3초 ~ 3분간 정도로 경화시킬 수 있다. 또, 표백 후의 치아에 코팅층을 형성한 후,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 경우나 착색 등에 의해 문제가 생긴 경우는, 스케일러 등의 치과용 기구를 사용하여 문제 부분 떼어낸 후, 다시 치아의 표면에 적용한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처치함으로써, 표백 후의 치아의 착색 및 표백 후의 치아의 색이 원래로 되돌아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키트는, 치아의 일부가 금속, 도재(陶材), 세라믹스, 콤포지트 경화물 등의 치관 수복 재료로 수복되어 있는 치아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키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시판되는 치과용 금속 프라이머, 도재 접착용 프라이머, 하이포염소산염 등의 치아면 청소제 등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키트에 의하면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키트에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층 (표면층) 이 딱딱하고 무르기 때문에, 맞물릴 때의 응력 등에 의해, 코팅층에 치핑 (코팅층의 일부가 작게 떨어져 박리되는 현상) 이나 파절 (破折) 이 일어나기 쉽다고 하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별도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이하, 「제 2 키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제 1 키트가 안고 있는 상기의 과제도 해결한 것이다.
즉, 제 2 키트는,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중합성 단량체 (d) 및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를 갖는다.
제 2 키트가 갖는 프라이머 조성물 및 표면 활택성 조성물은 앞서 서술한 제 1 키트가 갖는 그것들과 동일한 것이다.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는, 제 2 키트만이 갖는 코팅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코팅 조성물은, 프라이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 (프라이머층) 과,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표면층) 과의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이 중간층은,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형성되는 최표층의 치핑이나 파절을 방지하는 완충층으로서 기능한다.
코팅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 (d) 및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한다.
중합성 단량체 (d) 로는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성 단량체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단량체 (d) 는 얻어지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 중합성, 얻어지는 코팅층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중합성 단량체 (d) 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코팅 조성물 (II) 의 도포성, 유동성, 조작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 99.99중량% 가 바람직하고, 60 ~ 99.95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단량체 (d) 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와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치아에 대한 습윤성이나 침투성에 우수하고, 게다가 중합경화 후의 인성이 높은 완충층으로서 유효한 코팅층이 얻어진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치아에 대한 습윤성 및 침투성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얻어지는 코팅층의 인성을 높인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배합함으로써 인성이 높아지는 것은,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중합경화 후의 코팅층이 구강 내의 습윤 환경에서 흡수되어 팽윤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말하는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이상인 중합성 단량체이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동 용해도가 30중량% 이상의 중합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1,3-디(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1,2-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틀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트리메틸암모늄에틸(메트)아크릴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옥시에틸렌기의 수가 9 이상인 것) 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중량% ~ 50중량% 가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코팅 조성물의 습성이나이나 얻어지는 경화물의 인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50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경화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동 배합량은 5중량% ~ 4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 ~ 3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접착성, 기계적 강도 및 도포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에 말하는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란,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미만인 중합성 단량체이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로는, 동 용해도가 1중량% 이하의 중합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α-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 α-할로겐화아크릴산에스테르, 크로톤산에스테르, 계피산에스테르, 소르브산에스테르, 말레산에스테르, 이타콘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모노-N-비닐 유도체, 스티렌 유도체 등의 중합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앞서 서술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종류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 중합성 등을 고려하고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성의 점에서, 2 관능성 이상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가 너무 적으면 코팅 조성물의 도포성, 유동성, 조작성 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 90중량% 가 바람직하고, 40중량% ~ 8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 및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 외에, 추가로 중합성 단량체 (d) 로서, 인산기, 피로인산기, 티오인산기, 카르복시산기 또는 술폰산기 등의 산성기를 1 개 이상 갖고, 또한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렌기 등의 중합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를 배합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접착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산성기 함유 합성 단량체로는, 접착성의 점에서, 그 칼슘염의 25℃ 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이하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필수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앞서 서술한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로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6 ~ 25 의 알킬렌기, 알킬기 및/또는 페닐기를 갖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 12 의 알킬렌기를 갖는 인산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가 너무 많으면 코팅 조성물의 중합성 (표면 경화성) 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 30중량% 가 바람직하고, 0.1중량% ~ 20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광중합 개시제 (e) 로는, 공지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e) 로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광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 (e) 의 배합량은, 중합성 단량체 (d) 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광경화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광중합 개시제 (e) 와 중합 촉진제를 병용해도 된다. 중합 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앞서 서술한 제 3 급 아민류, 알데히드류, 티올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촉진제의 함유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e) 와 화학 중합 개시제를 병용해도 된다. 화학 중합 개시제를 병용함으로써, 특히, 광이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중합하기 어려운 코팅층의 내부의 중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학 중합 개시제로는, 산화제와 환원제로 이루어지는 레독스계의 화학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레독스계의 화학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코팅 조성물의 포장 형태를 산화제와 환원제가 이간되도록 2 분할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산화제 및 환원제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시키는 앞서 서술한 산화제 및 환원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제 및 환원제는 모두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산화제 및 환원제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모두 0.01중량% ~ 1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중량% ~ 7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 5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에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를 첨가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굴절률이란, 파장 589.3㎚ 의 빛을 사용하여 20℃ 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굴절률이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는, 중합 경화후의 표면 미중합층을 얇게 하여 코팅층의 표면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치아의 변색을 차폐하거나, 코팅층의 명도를 올리기도 하기 때문에 심미성을 개선하는 데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표면 경화성과 심미성의 개선 효과라는 점에서, 굴절률이 2.1 이상인 무기 필러가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1.9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경화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로는, 산화티탄 (굴절률: 2.49 ~ 2.90), 산화지르코늄 (굴절률: 2.13 ~ 2.19), 산화아연 (굴절률: 2.00 ~ 2.02) 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의 평균입경은, 0.01㎛ ~ 100㎛ 가 바람직하고, 0.1㎛ ~ 8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경화후의 표면의 미중합층이 얇아지는 이유는 정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생각하고 있다.
즉, 통상,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시킬 때에는 공기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가 중합금지제로서 작용하고, 그 결과, 공기와 접촉하고 있는 코팅층의 표면 부분에 미크론 단위의 두께의 미중합층이 생긴다. 그러나, 코팅층에 굴절률이 1.9 이상인 불투명한 무기 필러 (안료에 상당) 가 소량 함유되어 있으면, 이 무기 필러가 코팅층에 입사된 빛 (중합 개시시에 조사한 빛) 을 난반사시켜,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해 그 표면 부분의 중합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중합 경화후의 표면의 미중합층이 얇아진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 50중량% 가 바람직하다. 동 배합량이 0.1중량% 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표면 경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동 배합량이 50중량% 를 초과한 경우에는 광중합성 촉매를 사용한 것 만으로는 경화 심도가 얕아, 내부까지 충분히 경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보다 바람직한 배합량은, 0.1중량% ~ 10중량% 이고, 가장 바람직한 배합량은 0.1중량% ~ 5중량% 이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의 침강을 억제하거나, 기계적 강도, 도포성, 용기로부터의 채취성, 조작성 등을 향상시키거나 하기 위해 다른 필러를 병용해도 된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와 병용하는 필러로는, 굴절률이 1.9 미만인, 무기계 필러, 유기계 필러 및 무기/유기 복합 필러를 들 수 있다. 무기계 필러, 유기계 필러 및 무기/유기 복합 필러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기술한 무기계 필러, 유기계 필러 및 무기/유기 복합 필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와 병용하는 필러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와 병용하는 필러의 배합량은,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와 병용하는 필러의 평균입경은 0.001㎛ ~ 50㎛ 가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필러의 침강을 억제하거나 도포성 또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거나 하기 위해, 평균입경 0.001㎛ ~ 0.1㎛ 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코팅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 ~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 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 ~ 30중량% 배합하면 된다. 이러한 콜로이드 실리카로는, 분무 열분해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직경이 작은 실리카 (예를 들어, 닛폰 아에로질사 제조, 상품명 「아에로질」), 습식법에 의해 얻어지는 실리카졸, 졸겔법으로 얻어지는 단분산 실리카를 예시할 수 있다.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 및 이것과 병용하는 필러는, 코팅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도포성, 조작성, 유동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커플링제 등의 공지된 표면처리제로 미리 표면 처리한 다음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표면처리제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필러에 사용하는 기술한 표면처리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에 안료를 배합해도 된다. 안료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코팅층의 색조를 조정할 수 있다. 안료로는, 벵가라, 프탈로시아닌블루, 각종 아조계 안료를 예시할 수 있다. 안료는, 1종 단독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안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코팅 조성물의 색조나 심미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코팅 조성물에 불소 이온 방출성 물질을 배합해도 된다. 불소 이온 방출성 물질을 배합함으로써, 치아 표면에 내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소 이온 방출성 물질로는,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의 불소 유리,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불화리튬, 불화이테르븀 등의 금속 불화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59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메타크릴산메틸과 메타크릴산플루오라이드와의 공중합체 등의 불소 이온 방출성 폴리머, 세틸아민불화수소산염을 예시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에, 중합금지제, 형광제,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 항균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 (메트)아크릴로일옥시도데실피리디늄브로마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사데실피리디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triclosan) 등의 항균성 물질을 배합해도 된다.
코팅 조성물을 조합하는 데 있어서는, 그것이 적당한 점성을 갖도록 각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의 30℃ 에서의 점도는, 이에 대한 도포성, 조작성 등의 점에서, 300cP ~ 50,000cP 가 바람직하고, 500cP ~ 30,000cP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0cP ~ 20,000cP 가 가장 바람직하다. 동 점도가 300cP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50,000cP 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포성이 저하되어 코팅층의 색조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제 2 키트의 사용방법, 즉 제 2 키트를 사용한 코팅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프라이머 조성물을 치아 표면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치과용 에어시린지 등으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정도까지 건조시키거나, 또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화학중합 개시제) 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도포층을 중합 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공정 1).
이어서, 프라이머층 표면에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조사에 의해 도포층을 중합 경화시켜 중간층을 형성한다 (공정 2). 프라이머 조성물이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광조사에 의해 프라이머 조성물과 코팅 조성물을 동시에 중합 경화시켜도 된다.
마지막으로, 중간층의 표면에,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조사에 의해 도포층을 중합 경화시켜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써, 치아의 표면에 3 층 구조의 코팅층을 형성한다 (공정 3).
공정 2 의 종료후, 중간층의 표면에 미중합층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공정 3 의 종료후의 표면층의 표면 경화성이 불충분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정 2 의 종료후, 예를 들어, 면구(綿球) 등을 사용하여 미중합층을 닦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2 에서의 코팅 조성물의 도포 두께로는, 0.005㎜ ~ 1㎜ 가 바람직하고, 0.01㎜ ~ 0.7㎜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0.5㎜ 가 가장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의 도포층에 광조사하고, 도포층을 중합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수은 램프, 발광 다이오드 등의 광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조사 시간은, 빛의 파장이나 광량에 의존하지만, 치과 전용의 조사기를 사용하면 통상 3 초에서 3 분간 정도로 중합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키트도 제 1 키트와 마찬가지로, 무표백 치아의 표면뿐만 아니라, 표백 후의 치아의 표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치아의 표백은, 치아를 희게 하는 수단으로서 최근 보급되고 있고, 표백에 의해 치아 표면이 조조하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제 2 키트도 제 1 키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조조하게 된 치아에 대해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어, 표백의 효과를 보충할 목적이나 표백 후에 색이 다시 되돌아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키트도 제 1 키트와 마찬가지로, 치아뿐만 아니라, 금속, 도재, 세라믹스, 콤포지트 경화물 등의 치과용 수복 재료의 표면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키트도 제 1 키트와 마찬가지로, 시판되는 치과용 금속 프라이머, 도재 접착용 프라이머, 하이포아염소산염 등의 치아면 청소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제 1 키트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이하의 실시예 1 ~ 12 (제 1 키트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 4 에서의 치아의 표백은 모두 하기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치아의 표백방법]
표백제 (Kerativ 사 제조, 상품명 「Power Gel」) 1 팩에 35% 과산화수소수 3.5㎖ 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겔상의 표백제를 조제하였다. 이 겔상의 표백제를,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미리 청소해 둔, 발치된 사람의 중절치의 입술면 표면에 약 1㎜ 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겔상의 표백제를 도포한 중절치의 입술면 표면에 대하여, 치과용 가시광선 조사기 (에아테크니크스사 제조, 상품명 「아크라이트」) 를 사용하여 30초간 광조사하여 5분간 방치한 후, 중절치의 입술면 표면을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겔상의 표백제의 도포에서 흐르는 물로 세정하기까지의 상기 조작을 3회 되풀이하고, 표백을 종료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약호는 다음과 같다.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MDP: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수용성 용제 (c)]
HEM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DPH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PTA: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휘발성 용제 (g)]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광중합 개시제 (h)]
TMDPO: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CQ: 캠퍼퀴논
[중합촉진제]
DMABE: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
PMEAP: 페닐(2-메타크릴록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DPMEP: 디페닐(메타크릴록시에틸)포스페이트
(실시예 1)
MDP (20중량%), 증류수 (25중량%) 및 HEMA (55중량%) 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DPHA (93중량%), MMA (5중량%) 및 TMDPO (2중량%) 로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과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하기 (1) 의 방법에 의해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점도를 구하였다. 또한, 하기 (2) ~ (4) 의 방법에 의해, 조작성, 악취 및 표면 경화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구한 점도, 조작성, 악취 및 표면 경화성도, 하기 (1) ~ (4) 의 방법에 의해 구한 것이다.
(1) 점도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0.6cc 채취하고, 그 30℃ 에서의 점도를 E 형 점도계 (토오키산업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조작성
표백 후의 사람의 중절치에 대하여,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대로 30초간 정치한 후, 치과용 에어시린지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때까지 휘발성분을 증산(蒸散)시켰다. 이어서, 중절치의 입술면 평탄부를 위를 향하게 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한 후,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작은 붓으로 입술면의 절단 가장자리로부터 치경선까지 도포하고, 인접하는 치아와 치아의 빈틈이나 치근면에 대한 액흘림, 절단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액고임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액흘림 및 액고임이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것을 , 약간 관찰된 것을 △, 분명히 관찰된 것을 ×로 평가하였다.
(3) 악취
상기 (2) 에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면에 대하여,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우시오전기 제조, 상품 코드 「라이텔 Ⅱ」) 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하여,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이 경화시에, 도포면의 상방 3㎝ 위치에 패널리스트의 외비구(外鼻口)를 고정시키고,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악취를 평가하였다. 7 명의 패널리스트를 사용하여, 악취를 느끼지 못한 패널리스트를 3 점, 악취를 느꼈지만 불쾌하지 않았던 패널리스트를 2 점, 악취를 불쾌하게 느낀 패널리스트를 1 점으로 평가하여, 7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치가 2 점 이상인 것을 , 2 점 미만인 것을 ×로 평가하였다.
(4) 표면 경화성
상기 (3) 에서 얻은 경화후의 표면층의 표면을 와이퍼 (주식회사쿠레시아 제조, 상품 코드 「JK wiper」) 로 세게 문지르고, 표면 경화성을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면에 상처가 관찰되지 않고 충분히 표면 경화된 것을 , 표면에 상처가 생겨 표면 경화가 불충분한 것을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 ~ 7)
DPHA, DPPA, PTA, MMA, 에탄올, TMDPO, CQ 및 DMABE 를 표 1 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6 종류의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들 각 표면 활택성 조성물과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점도를 구하고, 또한 조작성, 악취 및 표면 경화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실시예 1 ~ 7 의 제 1 키트는, 불쾌한 악취가 적고, 또 조작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7 의 제 1 키트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에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경화성도 우수하다.
(실시예 8)
MDP (10중량%), 증류수 (30중량%) 및 HEMA (60중량%) 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프라이머 조성물과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키트를 사용하여, 하기 (1) 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표면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 경화성을 평가하였다. 또, 하기 (2) 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표면층의 표백 후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구하였다. 또, 이하의 실시예 9 ~ 12 및 비교예 1 ~ 4 에서 구한 접착 강도도 하기 방법에 의해 구한 것이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1) 표면층의 형성
표백 후의 사람의 중절치 중앙 부분에, 직경 3㎜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8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테이프의 그 구멍 안에 도포하였다. 30초간 정치한 후, 치과용 에어시린지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때까지 휘발성분을 증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구멍 안을 채웠다. 이 도포면에,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우시오전기 제조, 상품 코드 「라이텔 Ⅱ」) 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하고 중합 경화시켜,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2) 접착 강도
상기 표면층에, 시판되는 치과용 레진시멘트 (구라레 제조, 상품 코드 「파나비아 21」) 를 사용하여 스테인리스제의 원기둥 막대 (직경 5㎜, 길이 1.5㎝) 를 막대의 단면 (원면) 을 접착면으로 하여 접착하였다. 30분후에 시험편을 37℃ 의 물 중에 침지하고, 1일 후에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 강도의 측정은, 스테인리스제의 원기둥 막대가 인장방향의 축에 대하여 ±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여러장의 두께 0.5㎜ 의 금속제 판을 치아에 대어 고정시키고, 스테인리스제 막대를 아랫방향으로 잡아 당겨 실시하였다. 또, 접착 강도는, 인장력 시험장치 (시마즈 제작소 제조, 상품명 「오토그래프」) 의 크로스ㆍ헤드 스피드를 2㎜/분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접착 강도는, 시험편 8 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로서 구하였다.
(실시예 9 ~ 12)
MDP, 증류수, HEMA, 에탄올, CQ 및 DMABE 를 표 2 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4 종류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들 각 프라이머 조성물과,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표면층의 표면 경화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표백 후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표백 후의 사람의 중절치 중앙 부분에, 직경 3㎜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테이프의 그 구멍 안에 도포하였다. 테이프의 구멍 안을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채운 상태로, 이 도포면에 대하여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우시오전기 제조, 상품 코드 「라이텔 Ⅱ」) 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하고, 표백 후의 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표면 경화성을 평가하는 것과 함께, 표백 후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 4)
DPHA, MMA, CQ, DMABE 및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 (페닐(2-메타크릴록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또는 디페닐(메타크릴록시에틸)포스페이트) 를 표 2 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4 종류의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들의 각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표백 후의 사람의 중절치의 입술면에 직접 적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표면 경화성을 평가하는 것과 함께, 표백 후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로부터, 실시예 8 ~ 12 의 제 1 키트를 사용하여 표백 후의 치아의 표면에 프라이머층과 표면층을 순차 형성한 경우, 매우 높은 접착 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 ~ 12 의 제 1 키트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 중에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 경화성도 우수하다. 이것에 대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고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표백 후의 치아에 직접 적용한 경우는 (비교예 1, 2), 표면 경화성은 우수하지만, 접착 강도가 매우 낮다. 또한, 인산에스테르계 접착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고 표백 후의 치아에 직접 적용한 경우는, 표백 후의 치아에 대한 접착성은 약간 개선되지만, 표면 경화성이 좋지 않다 (비교예 3, 4).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키트를 사용하여 표백 후의 치아를 코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제 1 키트는 무표백 치아의 코팅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키트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약호는 다음과 같다.
MDP: 10-(메트)아크릴로일옥시데실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HEM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UDMA: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비스(2-카르바모일옥시에틸)]디메타크릴레이트
U-4TH: N,N'-(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비스[2-(아미노카르복시)프로판-1,3-디올]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Bis-GMA: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G: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DPH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CQ: 캠퍼퀴논
DMABE: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TMDPO: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실시예 13)
MDP (20중량%), 증류수 (40중량%) 및 HEMA (40중량%) 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 UDMA (50중량%), U-4TH (20중량%), 3G (29중량%), CQ (0.5중량%), DMABE (0.5중량%) 로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 DPHA (73중량%), MMA (25중량%) 및 TMDPO (2중량%) 로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이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 조성물 및 표면 활택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키트 (제 2 키트) 에 관해서, 하기의 접착력 시험방법 A1 에 의해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기의 내치핑성 시험방법 B1 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접착력 시험방법 A 1]
(1) 발치된 사람의 중절치의 입술면의 에나멜질 표면을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청소한 후, 에나멜질 평탄부의 중앙 부분에 직경 3㎜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테이프의 구멍 안에 도포하였다. 그대로 30초간 정치한 후, 치과용 에어시린지로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정도까지 휘발성분을 증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 프라이머층 표면에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구멍 안을 채웠다. 이 도포면에 대하여,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우시오전기사 제조, 상품명 「라이텔 Ⅱ」) 를 사용하여 30초간 광조사하여 경화시켜,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또, 이 중간층의 표면에,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작은 붓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상기 치과용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를 하여 경화시켜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2) 표면층의 표면에, 시판 중인 치과용 레진 시멘트 (구라레 제, 상품 코드 「파나비아 21」) 를 사용하여 스테인리스제의 원주의 막대 (직경 5㎜, 길이 1.5㎝) 를 막대의 단면 (원면) 을 접착면으로 하여 접착하였다. 30분 후에 시험편을 37℃ 의 수중에 침지하고, 1일 후에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 강도의 측정은 스테인리스제의 원주 막대가 인장 방향의 축에 대하여 ±5°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수 장의 두께 0.5㎜ 의 금속제의 판을 치아에 대고 고정시키고, 스테인리스제의 막대를 하방향으로 잡아 당겨 실시하였다. 또, 접착 강도는 인장 시험 장치 (시마즈 제작소 제조, 상품명 「오토그래프」) 의 크로스ㆍ헤드 스피드를 2㎜/분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접착 강도는 시험편 8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로서 구하였다.
〔내치핑성 시험 방법 B1〕
(1) 발거된 사람의 앞니의 혀측면을 입술면의 에나멜질 평탄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깎아 두께 2㎜ 의 판 형상으로 가공하였다. 이 가공된 치아의 입술면의 에나멜질 표면을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청소한 후, 에나멜질 평탄부의 중앙 부분에, 직경 5㎜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30초간 정치한 후, 치과용 에어시린지를 이용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없어질 정도까지 휘발 성분을 증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구멍 속을 채웠다. 이 도포면에 대하여,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 우시오 전기사 제조, 상품명 「라이텔 II」) 를 사용하여 30초간 광조사하여 경화시켜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 중간층의 표면에,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작은 붓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상기 치과용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한 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에나멜질 표면에 직경 5㎜ 의 표면층이 형성된 판 형상의 치아를 얻었다. 이 표면층이 형성된 판 형상의 치아를 세로 3㎝, 가로 2㎝, 두께 2㎜ 의 금형의 중앙 부분에, 원판 형상의 표면층을 위로 하여 설치하고, 주위에 치과용 컴포지트 레진을 충전하여 치아를 고정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치과용 컴포지트 레진을 중합 경화시키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물을 채운 수조의 저면에 고정시키고, 표면층의 표면에 칫솔모 (라이온사 제조, 상품명 「비트윈」; 경도: 보통) 를 수직하게 접촉시켜, 250g 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칫솔을 진폭 10㎝ 로 왕복 활주시켰다.
(2) 10000왕복, 20000왕복, 40000왕복 후에, 시험편을 꺼내고, 원판 형상의 표면층의 주연부를 광학 현미경 (확대 배율: 10배) 으로 관찰하고, 장경이 0.1㎜ 이상인 치핑의 유무를 조사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치핑이 관찰되지 않은 것:
치핑이 관찰된 것: ×
(실시예 14 ~ 17)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의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 조성물,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4종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 (제 2 키트) 를 제작하였다. 이들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상기 접착력 시험 방법 A1 에 의해 접착 강도를 구하고, 또한 상기 내치핑성 시험 방법 B1 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6)
실시예 13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 (비교예 5) 및 비교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 (비교예 6) 에 관해서, 하기 접착력 시험 방법 A2 에 의해 접착 강도를 구하고, 또한 하기 내치핑성 시험 방법 B2 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당연히, 10000왕복 후에, 시험편을 꺼내어 내치핑성을 평가하려고 하였지만, 비교예 5 및 비교예 6 의 코팅층이 모두 내치핑성 시험의 10000왕복 이전에, 치아로부터 탈락되어버렸기 때문에, 내치핑성에 관해서는 평가할 수 없었다.
〔접착력 시험 방법 A2〕
(1) 발거된 사람의 중절치의 입술면의 에나멜질 표면을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청소한 후, 에나멜질 평탄부의 중앙 부분에, 직경 3㎜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테이프의 구멍 속에 도포하였다. 이 도포면에 대하여, 치과용 광조사기 (군마 우시오 전기사 제조, 상품명 「라이텔 III」) 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하여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코팅층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상기 접착력 시험 방법 A1 (2)에 의해 측정하였다.
〔내치핑성 시험 방법 B2〕
(1) 발거된 사람의 앞니의 혀측면을 입술면의 에나멜질 평탄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깎아, 두께 2㎜ 의 판 형상으로 가공하였다. 이 가공된 치아의 입술면의 에나멜질 표면을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청소한 후, 에나멜질 평탄부의 중앙 부분에, 직경 5㎜ 가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실시예 13 또는 비교예 1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이 도포면에 대하여, 상기 치과용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에나멜질 표면에 직경 5㎜ 의 코팅층이 형성된 판 형상의 치아를 얻었다.
(2) 상기 (1) 에서 얻어진 코팅층의 내치핑성을 상기 내치핑성 시험 방법 B1 (2) 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8 ~ 22)
표 4 에 나타내는 조성의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 조성물,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5종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 (제 2 키트) 를 제작하였다. 이들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상기 접착력 시험 방법 A1 에 의해 접착 강도를 구하고, 또한 상기 내치핑성 시험 방법 B1 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 37)
표 5 에 나타내는 조성의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 조성물,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7종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 (실시예 23 ~ 29; 제 2 키트) 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6 에 나타내는 조성의 프라이머 조성물,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여 8종의 치과용 코팅용 키트 (실시예 30 ~ 37; 제 1 키트) 를 제작하였다. 또, 실시예 32 의 키트는 실시예 7 의 키트와, 실시예 33 의 키트는 실시예 2 의 키트와, 실시예 34 의 키트는 실시예 1 의 키트와, 실시예 35 의 키트는 실시예 8 의 키트와, 실시예 36 의 키트는 실시예 9 의 키트와, 실시예 37 의 키트는 실시예 10 의 키트와, 각각 서로 같은 키트이다. 이들 치과용 코팅용 키트에 관해서, 상기 접착력 시험 방법 A1 에 의해 접착 강도를 구하고, 또한 상기 내치핑성 시험 방법 B1 에 의해 내치핑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기 명도 변화의 측정 방법에 의해, 코팅에 의한 치아의 명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5 및 표 6 에 나타낸다.
〔명도 변화의 측정 방법〕
(1) 발거된 사람의 앞니의 혀측면을 입술면의 에나멜질 평탄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깎아, 두께 2㎜ 의 판 형상으로 가공하였다. 이 가공된 치아의 입술면의 에나멜질 표면을 브러시 (닛폰 치과 공업사 제조, 상품명 「브러시콘」) 를 사용하여 청소한 후, 에나멜질 평탄부의 중앙 부분에, 직경 7㎜ 의 구멍을 뚫은 두께 150㎛ 의 테이프를 붙이고, 구멍 부분의 명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L*0). 명도 지수 (L*) 의 측정은 색차계 (닛폰 덴쇼쿠사 제, Σ90형, 광원은 D65 광원, 시야각 2도, 측색 범위 5㎜φ) 를 사용하여 배후에 표준 백판을 두고 측정하였다. 여기에 나타내는 L* 은 JIS-Z 8729 에 정한 L*a*b* 표색계에서의 명도 지수를 나타낸다.
(2) 이어서, 테이프의 구멍 속에 실시예 23 ~ 37 에서 조제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30초간 정치한 후, 치과용 에어시린지로 유동성이 없어질 정도까지 휘발 성분을 증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3) 이어서,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실시예 23 ~ 29 에서 조제한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구멍 속을 채웠다. 이 도포면에 대하여, 상기 치과용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30초간 광조사하여 중합 경화시켜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코팅 조성물을 갖지 않는 실시예 30 ~ 37 의 키트에 관해서는 이 공정 (3) 을 행하지 않고, 다음 공정 (4) 로 진행시켰다.
(4) 중간층의 표면 (실시예 30 ~ 37 의 경우에는 프라이머층의 표면) 에, 실시예 23 ~ 37 에서 조제한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작은 붓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상기 치과용 광조사기를 사용하여 60초간 광조사한 후, 테이프를 박리함으로써, 에나멜질 표면에 직경 7㎜ 의 코팅층이 형성된 판 형상의 치아를 얻었다.
(5) 이어서, 얻어진 판 형상의 치아의 코팅 부분의 명도 지수를 상기 (1) 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였다 (L*1). 다음식에 의해, 코팅에 의한 명도의 변화 (ΔL*) 를 산출하였다.
명도의 변화 (ΔL*)=L*1-L*0
표 3 ~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 조성물, 코팅 조성물 및 표면 활택성 조성물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키트를 사용하여 치아에 3층 구조의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얻어지는 코팅층은 치아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내치핑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13 ~ 29). 이에 비하여,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이머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지 않고,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치아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여 단층의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얻어지는 코팅층의 치아에 대한 접착성이 낮았다 (비교예 5, 6). 또한,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지 않고, 치아의 표면에 프라이머 조성물 및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이 순서로 도포하여 2층 구조의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접착 강도는 우수하였지만, 내치핑성이 열등하였다.
(실시예 30 ~ 37)
또한,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갖는 제 2 키트를 사용하여 치아에 3층 구조의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코팅에 의해 치아의 명도가 향상되어 심미성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23 ~ 29).
본 발명에 관한 치과용 코팅용 키트는 표백 후 치아의 착색 및 색이 표백 전 색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트로서 특히 유용하다.
Claims (15)
-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갖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이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를 1 ~ 90중량%, 물 (b) 을 0.1중량% ~ 90중량%, 수용성 용제 (c) 를 1중량% ~ 98중량% 함유하고, 상기 표면 활택성 조성물이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를 40중량% ~ 98중량%, 휘발성 용제 (g) 를 1중량% ~ 59중량%, 광중합 개시제 (h) 를 당해 표면 활택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함유하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 (h) 가 아실포스핀옥사이드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포스핀옥사이드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활택성 조성물의 30℃ 에서의 점도가 30cP ~ 3000cP 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백 후의 치아의 코팅용 키트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치아의 표면에,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수용성 용제 (c) 및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또는 중합 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당해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조사에 의해 중합 경화시켜 표면층을 형성하는 치과용 코팅 방법.
-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및 수용성 용제 (c)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중합성 단량체 (d) 및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과,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갖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이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를 1중량% ~ 90중량%, 물 (b) 을 0.1중량% ~ 90중량%, 수용성 용제 (c) 를 1중량% ~ 98중량% 함유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이 중합성 단량체 (d) 를 40중량% ~ 99.99중량%, 광중합 개시제 (e) 를 상기 중합성 단량체 (d) 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함유하고, 상기 표면 활택성 조성물이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를 40중량% ~ 98중량%, 휘발성 용제 (g) 를 1중량% ~ 59중량%, 광중합 개시제 (h) 를 당해 표면 활택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 10중량% 함유하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굴절률이 1.9 이상인 무기 필러 및 콜로이드실리카를 추가로 함유하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30℃ 에서의 점도가 300cP ~ 50,000cP 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 (d) 가 소수성 중합성 단량체 및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고, 상기 코팅 조성물이 당해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를 5중량% ~ 50중량% 함유하는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중합성 단량체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백 후의 치아의 코팅용 키트인 치과용 코팅용 키트.
- 치아의 표면에, 산성기 함유 중합성 단량체 (a), 물 (b), 수용성 용제 (c) 및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또는 중합 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당해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중합성 단량체 (d) 및 광중합 개시제 (e)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조사에 의해 중합 경화시켜 중간층을 형성하고, 당해 중간층의 표면에, 다관능성 중합성 단량체 (f), 휘발성 용제 (g) 및 광중합 개시제 (h)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활택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조사에 의해 중합 경화시켜 표면층을 형성하는 치과용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94821 | 2002-10-08 | ||
JP2002294821 | 2002-10-08 | ||
JPJP-P-2002-00366253 | 2002-12-18 | ||
JP2002366253 | 2002-12-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0665A true KR20050050665A (ko) | 2005-05-31 |
KR100867294B1 KR100867294B1 (ko) | 2008-11-06 |
Family
ID=3209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5977A KR100867294B1 (ko) | 2002-10-08 | 2003-10-06 | 치과용 코팅용 키트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7815434B2 (ko) |
EP (1) | EP1550428B1 (ko) |
JP (1) | JP4530856B2 (ko) |
KR (1) | KR100867294B1 (ko) |
AT (1) | ATE425733T1 (ko) |
AU (1) | AU2003271104B2 (ko) |
DE (1) | DE60326744D1 (ko) |
HK (1) | HK1085928A1 (ko) |
WO (1) | WO200403288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9795A (ko) * | 2014-10-28 | 2016-05-10 | (주)스피덴트 | 끈적임을 방지하는 치과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61288B2 (ja) * | 2003-08-22 | 2009-04-30 |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 歯科用接着剤組成物 |
JPWO2005087179A1 (ja) * | 2004-03-11 | 2008-01-24 | サンメディカル株式会社 | 歯科用歯面コーティングキット |
US20050282937A1 (en) * | 2004-06-16 | 2005-12-22 | Petersen Richard C | Electrochemical compatibilizer and hydrophobic wetting agent for fiber reinforced vinyl esters and related thermosets |
CN101043868A (zh) * | 2004-10-20 | 2007-09-26 | 攀强临床科技有限公司 | 牙科自蚀组合物及使用方法 |
EP1849449A1 (en) * | 2006-04-26 | 2007-10-3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Filler contain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
US9642687B2 (en) | 2010-06-15 | 2017-05-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s for whitening teeth |
DE102012212429A1 (de) | 2012-07-16 | 2014-01-16 | Voco Gmbh | Dentalhandgerät, Verfahren und Verwendung desselben zum Aushärten lichthärtbaren Materials |
JP2014084301A (ja) * | 2012-10-24 | 2014-05-12 | Gc Corp | 歯牙の着色方法 |
BR112015012084B1 (pt) * | 2012-11-27 | 2018-11-13 | Colgate-Palmolive Company |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e método para o branqueamento de um dente |
WO2015036285A1 (en) | 2013-09-10 | 2015-03-19 | Unilever N.V. | Oral care composition |
EP3043868B1 (en) | 2013-09-10 | 2016-11-30 | Unilever N.V. | Oral care composition |
EP3064194B1 (en) * | 2013-10-31 | 2018-05-23 | Kuraray Noritake Dental Inc. | Dental color tone adjustment material kit |
US11147746B2 (en) * | 2016-06-24 | 2021-10-19 |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Hydrophobic dental surfaces |
WO2018060209A1 (en) | 2016-09-29 | 2018-04-05 | Unilever Plc | Oral care composition |
WO2018060164A1 (en) | 2016-09-29 | 2018-04-05 | Unilever Plc | Oral care compo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32911A (en) * | 1929-03-25 | 1930-07-25 | Ig Farbenindustrie Ag |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derivatives of quinoline |
GR852068B (ko) * | 1984-08-30 | 1985-12-24 | Johnson & Johnson Dental Prod | |
US5530038A (en) * | 1993-08-02 | 1996-06-25 | Sun Medical Co., Ltd. | Primer composition and curable composition |
JP3665195B2 (ja) | 1997-12-16 | 2005-06-29 | 株式会社クラレ | 歯科用コンポジットレジンの表面改質剤 |
JPH11180814A (ja) * | 1997-12-24 | 1999-07-06 | Gc:Kk | 歯質接着剤セット |
JP4176196B2 (ja) * | 1998-06-29 | 2008-11-05 | 株式会社クラレ | 歯科用接着剤システム |
AU763355B2 (en) * | 1998-08-20 | 2003-07-17 | Kuraray Co., Ltd. | Bonding compositions for dental use |
SE9904080D0 (sv) * | 1998-12-03 | 1999-11-11 | Ciba Sc Holding Ag | Fotoinitiatorberedning |
JP2001271009A (ja) | 2000-03-27 | 2001-10-02 | Kansai Research Institute | 歯牙漂白後仕上用の透明性歯牙被覆組成物 |
JP2002003327A (ja) | 2000-06-20 | 2002-01-09 | Kansai Research Institute | 歯牙漂白後仕上用の半透明性歯牙被覆組成物 |
JP2003040722A (ja) | 2001-07-23 | 2003-02-13 | Kuraray Co Ltd | 漂白後の歯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
JP2006016911A (ja) * | 2004-07-05 | 2006-01-19 | Shimizu Corp | 免震構造物 |
-
2003
- 2003-10-06 US US10/530,558 patent/US78154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06 AT AT03751346T patent/ATE42573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06 AU AU2003271104A patent/AU2003271104B2/en not_active Ceased
- 2003-10-06 EP EP03751346A patent/EP155042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06 DE DE60326744T patent/DE6032674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06 WO PCT/JP2003/012798 patent/WO200403288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10-06 KR KR1020057005977A patent/KR1008672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06 JP JP2004542831A patent/JP453085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5-25 HK HK06106034.9A patent/HK1085928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9795A (ko) * | 2014-10-28 | 2016-05-10 | (주)스피덴트 | 끈적임을 방지하는 치과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425733T1 (de) | 2009-04-15 |
EP1550428A4 (en) | 2007-10-10 |
WO2004032884A1 (ja) | 2004-04-22 |
US20060078510A1 (en) | 2006-04-13 |
EP1550428B1 (en) | 2009-03-18 |
US7815434B2 (en) | 2010-10-19 |
AU2003271104B2 (en) | 2009-01-08 |
JPWO2004032884A1 (ja) | 2006-02-02 |
JP4530856B2 (ja) | 2010-08-25 |
KR100867294B1 (ko) | 2008-11-06 |
HK1085928A1 (en) | 2006-09-08 |
DE60326744D1 (de) | 2009-04-30 |
EP1550428A1 (en) | 2005-07-06 |
AU2003271104A1 (en) | 2004-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7294B1 (ko) | 치과용 코팅용 키트 | |
EP2571479B1 (en) | Dental compositions | |
EP2554154B1 (en) | Dental adhesive material kit | |
EP2835128B1 (en) | One-pack dental adhesive | |
US20020198284A1 (en) | Adhesive composition | |
JP4675456B2 (ja) | 接着性の組成物 | |
JP4514447B2 (ja) | 歯科用接着剤組成物 | |
JP2003040722A (ja) | 漂白後の歯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方法 | |
JP2008001665A (ja) | 2液型の歯科用接着剤 | |
CN100415199C (zh) | 牙科用涂敷用试剂盒 | |
JP4615260B2 (ja) | 小窩裂溝填塞用キット | |
WO2010033515A1 (en) | Single-container dental adhesive | |
JP4472322B2 (ja) | 1液型の歯科用接着剤組成物 | |
JP4514470B2 (ja) | 2液型の無柱エナメル質用接着剤 | |
JP4646264B1 (ja) | 歯科用硬化性組成物 | |
JP4514469B2 (ja) | 2液型の無柱エナメル質用接着剤 | |
JP2004196735A (ja) | 歯科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 | |
JP4538257B2 (ja) | 歯髄覆罩材 | |
TWI310687B (ko) | ||
WO2024096019A1 (ja) | 歯科用接着性組成物 | |
JP2005213207A (ja) | 接着性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