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514A - 건축물의 기초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기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514A
KR20050050514A KR1020040003273A KR20040003273A KR20050050514A KR 20050050514 A KR20050050514 A KR 20050050514A KR 1020040003273 A KR1020040003273 A KR 1020040003273A KR 20040003273 A KR20040003273 A KR 20040003273A KR 20050050514 A KR20050050514 A KR 20050050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top block
shap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198B1 (ko
Inventor
리핑
이이즈카히로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마이코마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93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94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마이코마세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마이코마세븐
Publication of KR2005005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이형 블록의 사용 개수를 대폭 줄여도 필요 충분한 지지력이 얻어지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대상으로 하는 건축물의 주변 윤곽을 따라 다수의 팽이형 블록(10)을 시공 지반(G)에 기립시켜 부설하고, 각 팽이형 블록(10) 사이에 쇄석 또는 자갈 등의 사이 채움 충전재(20)를 충전하여 환상(環狀)으로 연속된 지지 영역(S1)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 있는 팽이형 블록(10)이 팽이형 블록열(列)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반력 지지벽(21)을, 지지 영역(S1)의 내외 양측에 인접시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軸脚)(12)의 하단 레벨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사이 채움 충전재에 의해 형성하고, 내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팽이형 블록 무(無)부설 영역(S)의 되메우기 흙(32)에 압접(壓接)시키고, 외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주변 토양(G1)에 압접시킨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기초 구조{FUNDAMENTAL STRUCTURE OF BUILDINGS}
본 발명은 편평한 상면반(上面盤)의 하부에 원뿔형 또는 각뿔형 동체(胴體)를 형성하고, 상기 동체의 하부 중심에 원기둥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의 축각을 형성한 지반 안정화용의 팽이형 블록을 사용한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팽이형 블록은, 블록 자체 중량 및 블록이 받는 수직 하중과, 동체(胴體) 및 축각에 발생하는 지반의 반력 및 마찰 저항의 전체 합력의 균형을 맞추어, 부등 침하가 없는 수평 지내력(地耐力)을 발휘시키는 것으로서, 각종 지반 안정화나 기초 강화 공법 등에 있어서 기본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팽이형 블록에 의한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대상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 면적 전면에 해당하는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굴착하고, 굴착한 바닥부에 팽이형 블록을 전면에 걸쳐 서로 밀접시켜 부설하고, 하부 연결 부재와 상부 연결 부재에 의해 팽이형 블록군(群)을 동일한 수평 레벨로 서로 결합하고, 각 팽이형 블록(10) 사이에 쇄석이나 자갈 등의 사이 채움 충전재를 촘촘하게 다져 충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건축물의 접지 면적이 큰 경우에는 매우 많은 양의 팽이형 블록이 필요하게 되어 부재 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시공 시간 및 노동력이 많아져 전체적으로 비용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공소 59-5081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공평 4-7448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 2724446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팽이형 블록의 사용 개수를 대폭 줄여도 필요 충분한 지지력이 얻어지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대상으로 하는 건축물의 주변 윤곽을 따라 다수의 팽이형 블록(10)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하여 서로 접촉 또는 결합하여 시공 지반(G)에 대하여 기립시켜 부설하고, 각 팽이형 블록(10) 사이에 쇄석 또는 자갈 등의 사이 채움 충전재(20)를 충전하여, 전체적으로 환상으로 연속된 지지 영역(S1)과, 상기 지지 영역(S1)으로 둘러 싸인 팽이형 블록열(列)의 무부설 영역(S)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 있는 팽이형 블록(10)이 팽이형 블록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반력 지지벽(21)을, 지지 영역(S1)의 내외 양측에 인접시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의 하단 레벨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사이 채움 충전재에 의해 형성하고, 내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되메우기 흙(2)에 압접시키고, 외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주변 토양(G1)에 압접시키고 있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의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지 영역(S1)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과 상면반(11) 중의 적어도 하나의 레벨로 지오 그리드(geo grid) 등의 연결 부재(25)가 수평 방향으로 부설되어 있고, 팽이형 블록(10)군이 상기 연결 부재(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25)가 사이 채움 충전재(20)에 의해 끼워 누름 지지되어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의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지 영역(S1) 및 상기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바닥면 레벨 전역에 걸쳐, 응고재나 시멘트 밀크(cement milk) 등을 지반 바닥부(G0)의 토양에 혼입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방수층(31)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제 4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발명의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에 링체(14)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링체(14)를 사이 채움 충전재(20)로 감싸고 있다.
청구항 제 5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 발명의 상기 구성에 더하여, 팽이형 블록(10)군이 적어도 3 열로 부설되어 있다.
청구항 제 6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발명의 상기 구성에 더하여, 3 개 내지 6 개의 팽이형 블록(10)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다연속형 블록(10a)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시공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접지 면적의 전부에 해당하는 시공 지반(G)이, 팽이형 블록(10)이 단일층으로 부설되는 경우에는 그 축각(軸脚)(12)의 하단 레벨까지, 팽이형 블록(10)이 복수층으로 부설되는 경우에는 최하층의 팽이형 블록의 축각의 하단 레벨까지, 바닥부가 수평이 되도록 파 내어 상기 부분의 기존 토양을 전부 제거한다.
이와 같이 파내려간 지반 바닥부(G0)에 대하여, 지하수가 스며 나오는 상황 등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시멘트 밀크(cement milk)나 석회 등의 응고재를 살포·함침시키고, 그 응결 또는 응고에 의해 방수층(31)을 형성한다.
상기 지반 바닥부(G0) 위에 직접 또는 상기 방수층(31) 위에, 지지 영역(S1)에 있어서는 쇄석이나 자갈 등의 사이 채움 충전재(20)가 팽이형 블록(10)의 축각부(12)의 길이에 대응된 두께로 깔아 채우는 한편,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에 있어서는 개량토, 산모래 또는 이전에 굴착한 기존 토양에 소정의 토질 개질재를 혼합한 되메우기 흙(32)을 동일한 두께로 깔아 둔다.
초기 충전한 사이 채움 충전재층(20)의 전면에 걸쳐 토목용 고강도 플라스틱망 부재인 지오 그리드(geo grid)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5)를 수평 방향으로 깐다.
그리고 지지 영역(S1)에 있어서는, 필요한 개수의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을 연결 부재(25)의 격자 눈금 또는 메시(mesh) 개구에 삽입 통과시켜 상기 사이 채움 충전재층(20)에 밀어 넣는다. 팽이형 블록(10)의 부설은 바람직하게 3 열 이상의 복수열로 이루어지고, 건축물의 주변 윤곽을 따라 환상으로 연속된 블록열 군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부설한 팽이형 블록열 군의 각 상반부(11)가 동일 수평 레벨에 오도록 필요에 따라 위치 조정한 다음, 지지 영역(S1)에 있어서는 각 팽이형 블록(10) 사이에 사이 채움 충전재(20)가 팽이형 블록(10)의 상면반(11)의 레벨에 이르기까지 충전되고,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에 있어서는 되메우기 흙(32)이 동일 레벨까지 충전된다.
팽이형 블록(10)을 다층 시공하는 경우에는, 하층의 시공후에 지지 영역(S1)과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전면에 걸쳐 사이 채움 충전재(20)와 되메우기 흙(32)이 각각 충전되고, 상기 공정을 필요층까지 반복하여 실행한다.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부설된 팽이형 블록(10)의 꼭대기면(13)에는 필요에 따라 시멘트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건축물의 푸팅(footing) 시공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지지 영역(S1)에서 팽이형 블록(10)열 군과 사이 채움 충전재(20)의 결합체는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고, 건축물의 상재(上載) 하중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반(盤) 구조의 상기 결합체에 입력됨과 동시에, 반력 지지벽(21)이 지지 영역(S1)의 내외 양측에 인접시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의 하단 레벨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고, 내외의 반력 지지벽(21)이 각각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되메우기 흙(32)과 주변 토양 벽(G1)에 압접되어 있으므로, 가장자리에 있는 팽이형 블록(10)이 팽이형 블록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거나 넘어지지 않고, 각 팽이형 블록(10)이 정규(正規)의 수직 자세로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각 팽이형 블록(10)은 초기 하중을 가하여 안정화시킨 이후에는 부등 침하하지 않고, 시공 지반(G)이 연약 지반이라도 큰 지지력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 영역(S1)으로 둘러 싸인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면적에 상당하는 만큼의 팽이형 블록(10)의 사용량을, 기초 지반으로서의 지지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삭감할 수 있으므로, 자재비의 절감, 현장으로의 운반 경비, 현장에서의 작업 비용의 절감, 공사 기간의 단축에 의해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현저하게 경감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서는, 지지 영역(S1)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10)열 군과 사이 채움 충전재(20)간의 상기 결합체는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고, 건축물 본체의 상재 하중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반(盤) 구조의 상기 결합체에 입력되게 되므로, 다수의 팽이형 블록(10)의 상면반(11)으로 분산되어 전달된 중력은, 각 팽이형 블록(10)의 동체(15)의 경사면에 접하는 사이 채움 충전재층을 측방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더 눌러 밀착시켜 충분히 큰 지지력을 발휘시킨다.
또한, 반력 지지벽(21)이 지지 영역(S1)의 내외 양측에 인접시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의 하단 레벨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고, 내외의 반력 지지벽(21)이 각각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되메우기 흙(32)과 주변 토양벽(G1)에 압접되어 있으므로, 가장자리에 있는 팽이형 블록(10)이 팽이형 블록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거나 넘어지지 않아, 각 팽이형 블록(10)은 정규의 수직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각 팽이형 블록(10)은 초기 하중을 가하여 안정화시킨 후, 수직 방향으로 가라앉지 않아, 시공 지반(G)이 연약 지반이어도 큰 지지력을 장기간 유지한다.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의 기초 구조에서는, 환상으로 연속되어 있고 지지 영역(S1)의 전면에 둘려 쳐진 연결 부재(25)에 의해 팽이형 블록(10)열 군이 서로 끌어 당기고 있으므로, 각 팽이형 블록(10)은 정규의 수직 자세로 더욱 강고하게 유지되어, 연약 지반에 있어서도 큰 지지력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발명의 기초 구조에서는, 전체 시공 구역의 지반 바닥부(G0)에는, 응고재의 혼입 함침에 의해 응고시킨 방수층(2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지하 수위가 높은 시공 지반(G)이어도 지지 영역(S1) 및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에 물이 마구 침입하지 않아, 기초 구조물의 지지 강도가 쓸데없이 저하하지 않는다.
청구항 제 4 항의 발명의 기초 구조에서는,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에 링(ring)체(14)를 끼워 결합되어 있고, 각 링체(14)를 사이 채움 충전재(10)로 감싸고 있으므로, 팽이형 블록(10)의 자세 유지가 더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건축 구조물에는, 청구항 제 5 항의 발명의 기초 구조와 같이 팽이형 블록(10)을 3 열 이상으로 부설하여 지지력을 높인다.
청구항 제 6 항의 발명의 기초 구조에서는, 팽이형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3 개 내지 6 개 연결된 다연속형 블록(10a)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블록 자체의 안정화가 양호하고, 수직 자세를 유지하여 본래의 난(難)침하성이 최대한으로 발휘된다.
일반적으로 팽이형 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지만, 레진 콘크리트 등의 다른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다. 블록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철근 등의 보강 부재를 배열 설치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으로서, 청구항 제 1 항, 청구항 제 2 항, 청구항 제 3 항 및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각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면 내의 참조 부호가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 내지 구성 부품은 상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공 전체 영역을 정사각형으로 하고, 각 팽이형 블록(10)은 3 열로 부설되고, 평면으로 보아 각 축각부(12)의 위치는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팽이형 블록(10)은 단일층으로 부설되어 있다. 팽이형 블록 부설 영역(S2)의 상면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층(16)이 형성되어 있다.
각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의 상단 레벨에는 토목용 고강도 플라스틱망 부재 내지 격자 부재인 지오 그리드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5)가 깔려 들어가 있고, 각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은 연결 부재(25)의 메시(mesh) 형상 또는 격자 형상 개구를 관통하고 있다. 연결 부재(25)는 각 팽이형 블록의 축각(12)과의 삽입 맞물림 결합과, 사이 채움 충전재(20)에 의한 끼워 누름 지지에 의한 끼워 누름 지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지지 영역(S1)의 당초 형태를 유지하며, 지지력의 감퇴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지지 영역(S1)의 폭으로는, 팽이형 블록 부설 영역(S2)의 양측에 팽이형 블록의 상면반(11)의 직경에 상당하는 만큼, 또는 직경의 2배에 상당하는 만큼의 넓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수치 자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25)의 배치 레벨로는, 시공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팽이형 블록(10)의 꼭대기면(13)의 레벨로 부설하는 것이 적당하며, 또한, 팽이형 블록(10)과 연결 부재(25)의 결합 일체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상면반(11)으로부터 돌출된 역U자형 철근(17)에 연결 부재(25)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도 3에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달리, 전체적인 부설 형태는 L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 네모 형상의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이 3 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와 전혀 다를 바 없다.
<제 3 실시예>
도 4에 나타내고, 청구항 제 1 항, 청구항 제 2 항, 청구항 제 3 항 및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부호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내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곳은, 지지 영역(S1)의 내외면을 따라 지오 그리드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5)와 합성 수지 섬유 부직포 매트(22)가 칸막이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칸막이 부재에 의해 지지 영역(S1)의 사이 채움 충전재(20)가 주변 토양(G1) 및 되메우기 흙(32)으로부터 차단되고, 팽이형 블록(10)열 군과 사이 채움 충전재(20)간의 결합체는, 일체적인 반(盤) 구조로서 보다 강고하게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지지 영역(S1)측에 지오 그리드(25)를 배치하고, 이 외측에 촘촘한 합성 수지 섬유 부직포(22)를 중첩시키고 있으므로, 지오 그리드(25)가 사이 채움 충전재(20)의 유동을 저지하는 한편, 합성 수지 섬유 부직포(22)가 지지 영역(S1) 외부로부터의 토양이나 토사의 침입을 저지하고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영역(S1) 및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 전역의 바닥부 전면에 석회 등의 응결재를 살포하여 방수층(23)을 형성하고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팽이형 블록(10)군과 사이 채움 충전재의 결합체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상기 칸막이 부재와 연결 부재(25)의 협동 작용에 의해 정확하게 저지받는 것으로서, 시공 지반(G)이 연약 지반이어도, 기초 바닥부(G0)가 방수층(23)에 의해 방호되고 있으므로, 지지 영역(S1) 및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으로 물이 침입하지 않고, 또한 주변 토양 및 되메우기 흙(32)이 지지 영역(S1)으로 침입하지 않으며, 지지 영역(S1)의 주위에 틈새가 생길 우려가 없어 더욱 강고한 지반이 된다.
<제 4 실시예>
도 5에 나타내고, 청구항 제 1 항, 청구항 제 2 항, 청구항 제 3 항 및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부호가 동일한 곳은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내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곳은, 지지 영역(S1)의 내외면을 따라 지오 그리드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25)가 칸막이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 5 실시예>
도 6에 나타내고,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부호가 동일한 곳은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내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곳은,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링체(14)를 끼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링체(14)는 독립 기포형의 발포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10)의 형태는 도 7에 나타낸 단일체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를 일체적으로 연속 성형한 다연속형 블록(10a)이라도 좋다. 팽이형 블록(10)의 형상으로는 원뿔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각뿔체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팽이형 블록(10)을 복수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 내지 3 개의 동체(15) 수용 구멍에 공통 축각(12a)을 끼워 삽입하여 적층 연결시켜도 좋고, 또는 상층의 축각을 하층의 동체 수용 구멍에 끼워 결합하여 적층 연결시켜도 좋다.
복수층으로 팽이형 블록(10)을 쌓아 올리는 형식에 대해서는, 상하층의 축각(12)을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피치씩 어긋나게 하여 적층하는 형태라도 좋다.
<실험예>
팽이형 블록(10)을 단일층으로 부설하고, 건축물의 바닥 면적 120 m2로 전면 부설한 경우와, 건축물의 외주 윤곽을 따라 외주부에만 동폭(同幅)으로 부설한 경우(제 1 실시예)를 비교 실험하였다. 이 때의 극한 실측값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측값(kN/m2) 팽이형 블록의 수
종래 기술·무처리 기초 87.10 0
선행 기술·전면 부설 120.15 289
본 발명·주변 부설 120.07 121
본 발명의 외주 부설 기초에서는, 팽이형 블록의 부설 개수는 절반 이하로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력에 있어서는 전면 부설 기초의 선행 기술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의 사용 개수를 대폭 줄여도 필요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팽이형 블록열 군과 사이 채움 충전재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형태가 강고하게 유지되어,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일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중앙 부분을 생략한 종단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기초 구조의 중앙 부분을 생략한 종단 정면도.
도 7은 원뿔체 형상의 단일형 블록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사용되는 팽이형 블록의 사시도.
도 8은 4 연속형 블록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사용되는 다른 팽이형 블록의 사시도.
도 9는 6 연속형 블록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사용되는 또 다른 팽이형 블록의 사시도.
도 10은 각뿔체 형상의 단일형 블록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사용되는 다른 팽이형 블록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사용되는 공통 축각으로 연결된 3 개의 원뿔체 형상의 팽이형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을 복수층으로 부설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기초 구조에 연결 부재로서 사용되는 지오 그리드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팽이형 블록
11 : 상면반(上面盤)
12 : 축각(軸脚)
13 : 꼭대기면
14 : 링체
15 : 동체(胴體)
17 : U자 철근
20 : 사이 채움 충전재
21 : 반력 지지벽
25 : 연결 부재
31 : 방수층
32 : 되메우기 흙
S1 : 지지 영역
S2 : 팽이형 블록 부설 영역
S :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
G : 시공 지반(地盤)
G0 : 지반 바닥부

Claims (6)

  1. 대상으로 하는 건축물의 주변 윤곽을 따라 다수의 팽이형 블록(10)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하여 서로 접촉 또는 결합하여 시공 지반(G)에 대하여 기립시켜 부설하고,
    각 팽이형 블록(10) 사이에 쇄석(碎石) 또는 자갈 등의 사이 채움 충전재(20)를 충전하여 전체적으로 환상(環狀)으로 연속된 지지 영역(S1)과, 상기 지지 영역(S1)으로 둘러 싸인 팽이형 블록열(列)의 무(無)부설 영역(S)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 있는 팽이형 블록(10)이 팽이형 블록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거나 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반력(反力) 지지벽(21)을, 지지 영역(S1)의 내외 양측에 인접시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軸脚)(12)의 하단 레벨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사이 채움 충전재에 의해 형성하고,
    내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되메우기 흙(32)에 압접(壓接)시키고, 외측 반력 지지벽(21)의 팽이형 블록(10)과 대치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을 주변 토양(G1)에 압접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S1)에서,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과 상면반(上面盤)(11)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로 지오 그리드(geo grid) 등의 연결 부재(25)가 수평 방향으로 깔려져 있고, 팽이형 블록(10)군(群)이 상기 연결 부재(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25)가 사이 채움 충전재(20)에 의해 끼워 누름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S1) 및 상기 팽이형 블록 무부설 영역(S)의 바닥면 레벨 전역에 걸쳐, 응고재나 시멘트 밀크(cement milk) 등을 지반 바닥부(G0)의 토양에 혼입 함침시켜 이루어지는 방수층(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블록(10)의 축각(12)에 링체(14)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링체(14)를 사이 채움 충전재(20)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팽이형 블록(10)군이 적어도 3 열로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 개 내지 6 개의 팽이형 블록(10)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다연속형 블록(10a)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초 구조.
KR1020040003273A 2003-11-25 2004-01-16 건축물의 기초 구조 KR10065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3693 2003-11-25
JP2003393693A JP3729415B2 (ja) 2003-05-26 2003-11-25 建設物基礎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514A true KR20050050514A (ko) 2005-05-31
KR100654198B1 KR100654198B1 (ko) 2006-12-06

Family

ID=3866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273A KR100654198B1 (ko) 2003-11-25 2004-01-16 건축물의 기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02B1 (ko) 2007-03-12 2008-07-01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097995B1 (ko) 2011-08-04 2011-12-23 콘비젼스 주식회사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198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524A (en) Concrete slab found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050749A (en)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0243393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280828A (ja) 地盤改良体及びべた基礎からなる建築物の基礎の構造並びに地盤改良べた基礎工法
KR100654198B1 (ko) 건축물의 기초 구조
JP2018091047A (ja) 人工地盤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414401B1 (ko) 팽이형블록집합체에의한기초구조
JP3729415B2 (ja) 建設物基礎構造
JP4176235B2 (ja) 液状化防止対策工法
GB2300009A (en) Foundations for poor soils
JP4519998B2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板組立体を用いた、軽量地盤構築方法、基礎構築方法、及び軽量盛土施工方法
KR100647236B1 (ko) 독립식 수변방틀 구조체
JPH07180132A (ja) 基礎地盤の液状化防止工法
JP342923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ための工法
KR101265100B1 (ko) 조립식 시설의 친환경 바닥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737088B2 (ja) 建築物基礎構造
JP3727320B2 (ja) 地盤補強体、基礎構造体および基礎構造体構築工法
JPH09273160A (ja) 低層建築物用基礎構造及び構築方法
JPH03103535A (ja) 建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JP5069089B2 (ja) 壁状基礎を用いた基礎構造
JP2005076291A (ja) 空間構成用部材およびその利用方法
KR960013592B1 (ko)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 개량공법
RU2209883C1 (ru) Фундамент резервуара
KR101725346B1 (ko)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