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46B1 -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 Google Patents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346B1
KR101725346B1 KR1020160151949A KR20160151949A KR101725346B1 KR 101725346 B1 KR101725346 B1 KR 101725346B1 KR 1020160151949 A KR1020160151949 A KR 1020160151949A KR 20160151949 A KR20160151949 A KR 20160151949A KR 101725346 B1 KR101725346 B1 KR 10172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elonging
support block
bl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래
Original Assignee
조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래 filed Critical 조성래
Priority to KR1020160151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블록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순한 보강 구조만으로 하중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옹벽 축조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기초 터파기가 수행되는 단계; (b) 기초 터파기가 이루어진 위치에 혼합 골재를 깔아 기초 조성을 하는 단계; (c) 기초 조성이 이루어진 곳의 앞쪽에 옹벽 블록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1 옹벽 블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제 1 옹벽 블록층의 뒤쪽에 지지 블록들을 1줄 이상으로 배열하는 단계; (e) 제 1 옹벽 블록층의 옹벽 블록들과 지지 블록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단계; (f) 제 1 옹벽 블록층과 지지 블록들 사이에 성토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및 (g) 성토 위에 그리드 보강재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Method for making retaining wall having enhanced bearing capacity}
본 발명은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 블록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순한 보강 구조만으로 하중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옹벽 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지표 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을 의미한다.
옹벽은 상부구조물과 토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좋고 재료의 확보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축대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대체로 갖추고 있지만, 토압과 수압에 대한 저항능력이 떨어져 중요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안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철근 콘크리트 옹벽으로 대체되어 왔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건설시장의 전문 기능 인력 부족과 그에 따른 인건비 상승,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대한 품질관리의 어려움, 옹벽 높이가 증가할 경우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약점 및 시공비 상승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쉽게 옹벽 축조에 적용될 수 있는 하중 지지력이 강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 블록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순한 보강 구조만으로 쉽게 하중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옹벽 축조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은, (a) 기초 터파기가 수행되는 단계; (b) 기초 터파기가 이루어진 위치에 혼합 골재를 깔아 기초 조성을 하는 단계; (c) 기초 조성이 이루어진 곳의 앞쪽에 옹벽 블록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1 옹벽 블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제 1 옹벽 블록층의 뒤쪽에 지지 블록들을 1줄 이상으로 배열하는 단계; (e) 제 1 옹벽 블록층의 옹벽 블록들과 지지 블록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단계; (f) 제 1 옹벽 블록층과 지지 블록들 사이에 성토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및 (g) 성토 위에 그리드 보강재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블록은 상면에 로드부를 포함하되, 로드부는 지지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옹벽 블록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상하 관통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관통 공간을 둘러싸는 벽들 중에 지지 블록을 향해 위치한 지지 블록측 벽에 연결 모듈이 끼워지며, 연결 모듈은 플레이트형 본체를 포함하며, 플레이트형 본체의 상면에는 연결 로드가 상향 돌출되며, 플레이트형 본체의 하면의 양 종단에는 결합 플레이트들이 하향 돌출되어, 결합 플레이트들 사이에 지지 블록측 벽이 끼워지고, 연결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 종단에 링형 부재들이 형성된 부재이며, 지지 블록들은 2 줄로 배열되며, 2 줄은 제 1 지지 블록 라인 및 제 1 지지 블록 라인과 제 1 옹벽 블록층 사이에 위치한 제 2 지지 블록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e) 단계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에 결합된 연결 모듈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복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옹벽 축조 공법은 (h) 제 1 옹벽 블록층 위에 옹벽 블록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2 옹벽 블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상향 연장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향 연장부는 하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지지 블록의 로드부의 외주면의 나사산과 상향 연장부의 내주면의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다.
옹벽 축조 공법은 (j) 제 2 옹벽 블록층의 뒤쪽에 성토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k)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및 (l) 제 2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에 결합된 연결 모듈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2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옹벽 블록의 형상에 관계 없이 적용 가능하며, 단순한 보강 구조만으로 쉽게 하중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옹벽 축조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 공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 공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 공법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터파기가 수행된다(단계 1). 이어서, 기초 터파기가 이루어진 위치에 혼합 골재를 깔아 기초 조성을 하게 된다(단계 2).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조성이 이루어진 곳의 앞쪽에 옹벽 블록(100)들을 1 줄로 배열하여 제 1 옹벽 블록층(110)을 형성한다(단계 3).
옹벽 블록(100)은 석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상하 관통 공간(101)이 형성되고, 상하 관통 공간(101)을 둘러싸는 벽들 중에 지지 블록을 향해 위치한 지지 블록측 벽(102)에 후술할 연결 모듈(600)이 끼워진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의 뒤쪽에 부직포(31)를 설치한 뒤, 부직포(31)의 위에 배수용 유공관(30)을 위치시키고, 부직포(31)로 배수용 유공관(30)을 감싼다(단계 4).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의 뒤쪽에 지지 블록(200)들을 1줄 이상으로 배열한다(단계 5).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블록(200)들을 2 줄로 배열되며, 이 2 줄은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은 가장 뒤쪽에 위치하며,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은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과 제 1 옹벽 블록층(110)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 블록(200)은 콘크리트, 시멘트 등으로 형성된 육면체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원기둥 형상의 로드부(201)를 포함한다. 로드부(201)는 지지 블록(2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로드부(20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02)이 형성된다.
연결 모듈(600)은 플레이트형 본체(610)를 포함하며, 플레이트형 본체(610)의 상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 로드(620)가 상향 돌출되며, 플레이트형 본체(610)의 하면의 양 종단에는 결합 플레이트(630)들이 하향 돌출된다. 연결 모듈(600)은 결합 플레이트(630)들 사이에 옹벽 블록(100)의 지지 블록측 벽(102)이 끼워지도록 하여 옹벽 블록(100)과 결합한다(단계 6). 이러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수평 하중이 연결 로드(620)에 가해져도 옹벽 블록(100)으로부터 연결 모듈(600)이 분리되지 않는다.
이어서, 옹벽 블록(100)의 상하 관통 공간(101)에 토석(103)을 채운다(단계 7). 채워진 토석(103)은 옹벽 블록(100)에 하중을 주어 노면에 고정하는 동시에, 연결 모듈(600)을 가압하여 연결 모듈(600)이 옹벽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한다.
연결 모듈(600)의 이러한 결합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상하 관통 공간을 가지는 옹벽 블록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옹벽 블록의 형상에 따라 연결 모듈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단순히 위쪽에서 끼우기만 하면 되는 구조이므로, 설치에 어려움이 없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과 지지 블록(200)들 사이에 성토(300)를 채우고 다져서 첫번째 성토층을 만든다(단계 8). 또한, 옹벽 블록(100)과 성토(300) 사이에는 골재(310)를 채워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골재(310)는 옹벽 블록(100)들을 위로 쌓아 나갈 때마다 성토(300)와 옹벽 블록(100) 사이에 채워지도록 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의 옹벽 블록(100)들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의 지지 블록(200)들을 연결부재(400)로 연결하고,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의 지지 블록(200)들과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의 지지 블록(200)들을 연결부재(400)로 연결한다(단계 9).
연결부재(400)는 원기둥형 부재로서, 양 종단에 링형 부재(410)들이 형성된다.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은 제 1 옹벽 블록층(110)에 속한 옹벽 블록(100)에 결합된 연결 모듈(600)의 연결 로드(620)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각각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옹벽 블록층(110)에 속한 옹벽 블록(1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이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은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각각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이 연결된다.
지지 블록(200)들을 복수 개의 줄로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가진 지지 블록(200)들이 중간 고정점을 형성하며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40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연결 부재(4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 및 운반이 편리하게 된다.
제 1 옹벽 블록층(110)에 속한 옹벽 블록(1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연결 및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연결은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400)로 연결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연결 부재(400)들을 중복하여 사용하여 강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는 단순히 연결 로드(620), 로드부(201)에 링형 부재(410)들을 중첩하여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매우 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부재(400)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 로드(620)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복수 개의 지지 블록(200)들의 로드부(201)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연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층이나 같은 라인의 인접한 블록들 사이를 연결부재(400)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즉,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200)들의 로드부(201)들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200)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 2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200)들의 로드부(201)들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을 각각 끼워 제 2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200)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는 제 1 옹벽 블록층(110)에 속한, 인접한 옹벽 블록(100)들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은 2 개의 원기둥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원기둥형 부재들과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 길이조절 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 부재(420)를 회전시킴에 따라, 링형 부재(410)들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연결 로드(620)와 연결 로드(620), 연결 로드(620)와 로드부(201), 로드부(201)와 로드부(201) 사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도 5의 단계 8이 먼저 수행되고, 이어서 도 6의 단계 9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6의 단계 9가 먼저 수행되고, 이어서 도 5의 단계 8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의 뒤쪽에 그리드 보강재(700)를 덮는다(단계 10). 그리드 보강재(700)는 지오그리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토(300) 위로 돌출된 로드부(201)가 그리드 보강재(700)의 그리드 사이로 돌출되게 되므로, 그리드 보강재(700)의 위치는 쉽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드 보강재(700)는 흙과 그리드의 마찰 저항력으로 토압을 분산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 블록층(110) 위에 옹벽 블록(100)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2 옹벽 블록층(120)을 형성하고(단계 11), 제 2 옹벽 블록층(120)의 옹벽 블록(100)들에는 제 1 옹벽 블록층(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 모듈(600)을 설치한다(단계 12).
또한,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상향 연장부(205)를 연결한다(단계 13).
상향 연장부(205)는 하부는 내주면에 나사산(206)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207)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의 외주면의 나사산(202)과 상향 연장부(205)의 내주면의 나사산(206)이 결합됨으로써, 로드부(201)와 상향 연장부(205)가 연결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옹벽 블록층(120)의 뒤쪽에 성토(300)를 채우고 다져서 두번째 성토층을 만든다(단계 14).
다음으로, 단계 9와 같은 방식으로, 제 2 옹벽 블록층(120)의 옹벽 블록(100)들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의 지지 블록(200)들을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연결부재(400)로 연결하고,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의 지지 블록(200)들과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의 지지 블록(200)들을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연결부재(400)로 연결한다(단계 15).
즉,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을 연결한다.
또한,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제 2 옹벽 블록층(120)에 속한 옹벽 블록(100)에 결합된 연결 모듈(600)의 연결 로드(620)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들을 각각 끼워 제 2 옹벽 블록층(120)에 속한 옹벽 블록(100)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을 연결한다.
제 2 옹벽 블록층(120)에 속한 옹벽 블록(100)에 결합된 연결 모듈(600)의 연결 로드(620)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의 연결 및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의 연결은 각각 하나의 연결 부재(400)로 연결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연결 부재(400)들을 중복하여 사용하여 강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는 단순히 연결 로드(620), 상향 연장부(205)에 링형 부재(410)들을 중첩하여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매우 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연결부재(400)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 로드(620)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220)에 속한 지지 블록(200)의 로드부(201)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205)의 연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층의 인접한 연결 로드(620)들이나 같은 라인의 인접한 상향 연장부(205)들 사이를 연결부재(400)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즉,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상향 연장부(205)들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를 각각 끼워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제 1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상향 연장부(205)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 2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상향 연장부(205)들에 연결부재(400)의 링형 부재(410)를 각각 끼워 두번째 성토층 위에서 제 2 지지 블록 라인(210)에 속한, 인접한 상향 연장부(205)들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는 제 2 옹벽 블록층(120)에 속한, 인접한 옹벽 블록(100)들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연결에 의해 지지 블록을 성토층들마다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추가 적층되는 성토층들에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그리드 보강재로 덮는다. 이후에는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단계 11 내지 단계 15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옹벽 블록(100)을 원하는 높이까지 다단으로 축조한 뒤, 거치한 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블록(100)의 상부면에 마감형 블록(800)을 설치하고, 마무리 작업을 한다(단계 16).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 공법에 의해 축조된 옹벽은 연결 부재에 의해 옹벽 블록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 시공 방법이 간단하여 종래의 시공보다 빠르고 쉽게 시공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옹벽 블록
101: 상하 관통 공간
102: 지지 블록측 벽
110: 제 1 옹벽 블록층
120: 제 2 옹벽 블록층
200: 지지 블록
201: 로드부
202: 나사산
205: 상향 연장부
206: 나사산
207: 나사산
210: 제 1 지지 블록 라인
220: 제 2 지지 블록 라인
300: 성토
400: 연결부재
410: 링형 부재
500: 그리드 보강재
600: 연결 모듈
610: 플레이트형 본체
620: 연결 로드
630: 결합 플레이트

Claims (6)

  1. 삭제
  2.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에 있어서,
    (a) 기초 터파기가 수행되는 단계;
    (b) 기초 터파기가 이루어진 위치에 혼합 골재를 깔아 기초 조성을 하는 단계;
    (c) 기초 조성이 이루어진 곳의 앞쪽에 옹벽 블록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1 옹벽 블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제 1 옹벽 블록층의 뒤쪽에 지지 블록들을 1줄 이상으로 배열하는 단계;
    (e) 제 1 옹벽 블록층의 옹벽 블록들과 지지 블록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단계;
    (f) 제 1 옹벽 블록층과 지지 블록들 사이에 성토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및
    (g) 성토 위에 그리드 보강재를 덮는 단계를 포함하되,
    지지 블록은 상면에 로드부를 포함하되, 로드부는 지지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옹벽 블록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상하 관통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관통 공간을 둘러싸는 벽들 중에 지지 블록을 향해 위치한 지지 블록측 벽에 연결 모듈이 끼워지며,
    연결 모듈은 플레이트형 본체를 포함하며, 플레이트형 본체의 상면에는 연결 로드가 상향 돌출되며, 플레이트형 본체의 하면의 양 종단에는 결합 플레이트들이 하향 돌출되어, 결합 플레이트들 사이에 지지 블록측 벽이 끼워지고,
    연결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 종단에 링형 부재들이 형성된 부재이며,
    지지 블록들은 2 줄로 배열되며, 2 줄은 제 1 지지 블록 라인 및 제 1 지지 블록 라인과 제 1 옹벽 블록층 사이에 위치한 제 2 지지 블록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e) 단계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에 결합된 연결 모듈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공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복수 개의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공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의 로드부들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인접한 지지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공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옹벽 축조 공법은
    (h) 제 1 옹벽 블록층 위에 옹벽 블록들을 1줄로 배열하여 제 2 옹벽 블록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상향 연장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향 연장부는 하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고, 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지지 블록의 로드부의 외주면의 나사산과 상향 연장부의 내주면의 나사산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옹벽 축조 공법은
    (j) 제 2 옹벽 블록층의 뒤쪽에 성토를 채우고 다지는 단계;
    (k)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1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 및
    (l) 제 2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에 결합된 연결 모듈의 연결 로드와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의 로드부에 연결된 상향 연장부에 연결부재의 링형 부재들을 각각 끼워 제 2 옹벽 블록층에 속한 옹벽 블록과 제 2 지지 블록 라인에 속한 지지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공법.
KR1020160151949A 2016-11-15 2016-11-15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KR10172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49A KR101725346B1 (ko) 2016-11-15 2016-11-15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949A KR101725346B1 (ko) 2016-11-15 2016-11-15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346B1 true KR101725346B1 (ko) 2017-04-10

Family

ID=5858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949A KR101725346B1 (ko) 2016-11-15 2016-11-15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3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5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KR20060035959A (ko) * 2004-10-21 2006-04-27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옹벽
KR20100079876A (ko) * 2008-12-31 2010-07-08 (주)에스오씨산업 Gns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5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KR20060035959A (ko) * 2004-10-21 2006-04-27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옹벽
KR20100079876A (ko) * 2008-12-31 2010-07-08 (주)에스오씨산업 Gns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20190083466A (ko)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CN109371989A (zh) 一种适用于边坡稳定支护的组合式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18174B1 (ko) 지오매트와 강봉이 결합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101838244B1 (ko) 현장 타설 보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1725346B1 (ko)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 옹벽 축조 공법
KR101761477B1 (ko)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1733928B1 (ko) 연속보 구조를 구비한 패널식 옹벽
KR100780216B1 (ko)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RU237942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фундаментной плиты рам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696663B1 (ko) 안전난간과 토목섬유 매트를 이용한 가시설 옹벽 시공방법
DE102006036540A1 (de) Anordnung zur Gründung eines Bauwerks mit vorgefertigten Bauelementen
JP7049854B2 (ja) 形成方法
KR101057168B1 (ko) 연약지반 도로 교량의 뒷채움 보강 방법
KR101733110B1 (ko) 강성보강노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2497B1 (ko) 옹벽 시공방법
JP2016145500A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EP3880888B1 (en) Procedure for the creation of playgrounds and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curb for such creation of a playground
KR100983086B1 (ko) 포스트구조물과 적층블록체에 의한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KR102490879B1 (ko) H파일 억지말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JP2011219993A (ja) 地盤改良直接基礎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