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714A -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714A
KR20050048714A KR1020030082394A KR20030082394A KR20050048714A KR 20050048714 A KR20050048714 A KR 20050048714A KR 1020030082394 A KR1020030082394 A KR 1020030082394A KR 20030082394 A KR20030082394 A KR 20030082394A KR 20050048714 A KR20050048714 A KR 2005004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lue
image forming
charging
forming apparatus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필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714A/ko
Publication of KR2005004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초기 구동 상태, 작업 대기 상태 또는 작업 시작 상태에서 감광 드럼에 대전된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체크하여, 대전 전압이 비정상적일 때, 발생하는 백지 또는 흑지의 연속적 출력을 방지하고, 연속적으로 흑지를 출력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제로 인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ctrification in image 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에 대전된 전압 상태가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를 체크하여, 대전이 비정상적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백지 또는 흑지의 연속적 출력을 방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은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LBP),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사진 현상방식에 따른 과정은 공지된 바와 같이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각 과정을 잠시 살펴보면, 첫 번째로, 대전 과정에서는 감광체인 감광 드럼을 접촉 대전기인 대전 롤러에 의하여 대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킨다.
두 번째로, 노광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대전된 감광드럼을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노광시킴으로써 감광 드럼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노광 장치(LSU; Laser Scanning Unit)를 사용하여 프린트하고자 하는 화상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노광시킴으로써 감광 드럼상에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킨다.
또한, 노광이 안된 부분은 대전에 의해 형성된 표면 전위가 그대로 유지되고, 노광된 부분은 전위가 변하게 됨으로써 비노광 부분과 노광 부분간에 전위차를 가지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세 번째로, 현상 과정은 감광 드럼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네 번째로 전사 과정은 감광 드럼상에 부착된 현상제가 전사 롤러에 의해 기록용지로 전사되는 과정이다. 전사 롤러는 통상적으로 약 +800∼+1500V의 전사전압(VT)을 제공받아 감광 드럼상의 현상제를 이송되는 기록 용지 쪽으로 고착시킨다.
다섯 번째로, 정착 과정은 전사과정을 거친 기록 용지가 고온의 히트 롤러(Heat Roller)와 고압의 가압 롤러(Pressure Roller) 사이를 통과하면서 용지상의 토너를 기록 용지상에 용융시키는 과정이다.
그 후, 정착이 완료된 기록용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기록용지 1매에 대한 복사 또는 프린트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상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S 1).
여기서, 준비 작업이란, 화상 형성 장치가 정착기의 온도를 적정 기준 온도로 유지하고, 용지를 이동시켜,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하는 각 센서의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점검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체인 감광 드럼을 접촉 대전기인 대전 롤러를 통해 대전시킨다.
그리고, 준비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 2),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복사 및 프린트 작업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S 3).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사 및 프린트 작업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S 4).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감광 드럼의 대전 상태가 불안정하더라도, 정착 온도 및 용지의 이송 경로에 있는 센서들이 정상적이면, 용지를 픽업하여,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즉, 감광 드럼의 대전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개시하게 되면, 감광 드럼의 대전 상태에 따라 백지 또는 흑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불필요한 백지 또는 흑지를 연속적으로 출력하여, 불필요한 용지의 낭비가 발생한다.
아울러, 흑지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용지에 현상제가 과도하게 흡착하게되고, 그에 따라 현상제로 인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각 기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 대전 상태를 체크하여, 대전 전압이 비정상적일 때, 발생할 수 있는 용지의 낭비 및 현상제로 인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고, 과도한 현상제가 흡착된 흑지의 정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는, 감광 드럼에 대전된 전압 값을 감지는 전압 감지부와, 전압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대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의 대전 제어부는,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이 비정상적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의 전압 감지부는, 감광 드럼의 대전 전압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단계와, 대전된 전압 값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전압 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 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이 비정상적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롤러(Charging Roller : CR)(12)는 감광 드럼(OPC)(10)을 대전시켜,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키고, 노광 장치(Laser Scan Unit : LSU)(11)는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노광시켜, 감광 드럼(10)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현상 롤러(Develope roller : DR)(13)는 감광 드럼(10)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상으로 전환한다.
이때,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15)는 현상 롤러(13)에 부착된 현상제의 양을 조정하여, 현상 롤러(13)에 일정한 양의 현상제가 도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사 롤러(Transfer roller : TR)(14)는 감광 드럼(10)에 부착된 현상제를 기록 매체에 전사한다.
메인 컨트롤러(16)는 노광 장치(11), 대전 롤러(12), 현상 롤러(13) 및 전사 롤러(1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원 제공부(17)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 즉, 전원 제공부(17)는 대전 롤러(12)가 감광 드럼(10)에 대전시키는 전원을 제공한다.
엔진 콘트롤러(18)의 대전 검출부(18a)는 대전 롤러(12)가 감광 드럼(10)에 대전시킨 전압 값을 검출하여, 감광 드럼(10)에 대전된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이 목표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감광 드럼(10)의 대전 상태가 비정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또한, 대전 검출부(18a)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복사 또는 프린트 작업 시작 상태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을 중단시켜, 용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대전 검출부(18a)는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는 A/D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전 검출부(18a)는 감광 드럼(10)에서 검출되는 아날로그 대전 전압 값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여, 대전 검출부(18a)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대전 검출부(18a)는 A/D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 드럼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스위치를 온(on)하면, 전원 제공부(17)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제공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S 10).
여기서, 준비 작업이란, 화상 형성 장치(100)가 현상제를 용지로 정착시키는 정착 롤러(미도시)의 온도를 적정 기준 온도로 유지하고, 복사 및 프린트 작업을 하는 동안 용지가 패스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 기기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또한, 대전 검출부(18a) 감광체인 감광 드럼(10)을 접촉 대전기인 대전 롤러(12)를 통해 대전시킨다(S 11).
그리고, 엔진 콘트롤러(18)의 대전 검출부(18a)는 대전 롤러(12)를 통해 대전된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피드백하여, 검출한다(S 12).
이때, A/D 컨버터는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대전 검출부(18a)로 제공한다.
그리고, 대전 검출부(18a)는 A/D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확인한다.
대전 검출부(18a)는 현재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13).
그 판단 결과,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면, 정착 롤러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복사 및 프린트 작업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S 14).
반면,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대전 검출부(18b)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감광 드럼(10)의 대전이 비정상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 15).
그리고, 대전 검출부(18a)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은 중단하여, 불필요한 용지의 낭비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한다(S 16).
일례로, 감광 드럼(10)의 대전 목표 전압 값이 1500 볼트(Volt)이고, A/D 컨버터(18a)가 5 볼트당 1 값으로 전환하도록 설계하는 경우, 먼저, 감광 드럼(10)이 목표 전압 값인 1500 볼트로 대전된 경우, A/D 컨버터는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300' 값을 대전 검출부(18a)로 제공한다.
그리고, 대전 검출부(18a)는 A/D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500' 값이 대전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됨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작업 명령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목표 전압 값 범위는, 감광 드럼(10)의 올바른 대전 전압 값에 적정한 갭(gap)을 설정한 범위로, 1500 볼트가 감광 드럼(10)의 올바른 대전 전압 값이면, 대략 ±50 볼트의 갭을 두어, 1450 볼트에서 1550 볼트 범위에 감광 드럼(10)이 대전되면, 정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전 검출부(18a)는 A/D 컨버터로부터 수신되는 값이 '290'에서 '310' 사이에 포함되면, 감광 드럼(10)이 정상적으로 대전되었다고 판단한다.
반면, 감광 드럼(10)이 1000 볼트로 대전되면, A/D 컨버터는 감광 드럼(10)의 대전 전압 값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200' 값을 대전 제어부(18b)로 제공한다.
대전 제어부(18b)는 A/D 컨버터(18a)로부터 제공되는 '200' 값이 목표 대전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불필요한 용지 낭비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일례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가 초기 구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나, 기타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 대기 상태 및 작업 시작 전 상태에서도 이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초기 구동 상태, 작업 대기 상태 또는 작업 시작 상태에서 감광 드럼에 대전된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체크하여, 대전 전압이 비정상적일 때, 발생하는 백지 또는 흑지의 연속적 출력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용지의 낭비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흑지를 출력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제로 인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 드럼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 형성 장치 10 : 감광 드럼(OPC)
11 : 노광 장치(Laser Scan Unit) 12 : 대전 롤러(Charging roller)
13 : 현상 롤러(Develope roller) 14 : 전상 롤러(Transfer roller)
15 :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 16 :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er)
17 : 전원 제공부 18 : 엔진 콘트롤러
18a : 대전 검출부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에 대전된 전압 값을 감지는 전압 감지부;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압 값이 설정된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대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이 비정상적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감광 드럼의 대전 전압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의 감광 드럼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단계;
    상기 대전된 전압 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압 값과, 설정된 목표 전압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값이 목표 전압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이 비정상적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30082394A 2003-11-19 2003-11-19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48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394A KR20050048714A (ko) 2003-11-19 2003-11-19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394A KR20050048714A (ko) 2003-11-19 2003-11-19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714A true KR20050048714A (ko) 2005-05-25

Family

ID=3724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394A KR20050048714A (ko) 2003-11-19 2003-11-19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52A (ko) * 2010-07-09 2014-12-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고압 전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52A (ko) * 2010-07-09 2014-12-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고압 전원
KR101504847B1 (ko) * 2010-07-09 2015-03-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고압 전원
US9052676B2 (en) 2010-07-09 2015-06-09 Canon Kabushiki Kaisha High-voltage power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75675A (ja) 画像形成装置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0009057A (ko)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US106565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bias and transfer bias
KR10029142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잔류토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660483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98222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48714A (ko)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00304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42356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용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705214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194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장치
JP4473468B2 (ja) トナー濃度制御方式、画像形成装置
JP41389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7180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印加電圧設定方法
KR100441243B1 (ko) 전자사진현상기기의잔류토너제거방법및그장치
KR100389873B1 (ko)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KR100444897B1 (ko)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전압자동제어방법및그장치
JP4194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461785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193455B1 (ko) 불량 화상 인쇄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사진방식화상 형성 장치
JP202308589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41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방법
JPH08123112A (ja) 画像濃度制御装置
JPH08248704A (ja) 電子写真装置の露光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